신범식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범식은 고려대학교 정치학 학사 출신으로, 교수, 언론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서울일보와 경향신문의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하여 대변인과 선전부장을 지냈으며, 박정희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다. 또한 서울신문 사장과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한국도로공사 이사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공보부 장관 - 홍종철 (1924년)
홍종철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으로, 5·16 군사 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겸 문교사회위원장, 박정희 정부의 대통령경호실장, 문교부 차관, 공보부 장관, 문화공보부 장관, 문교부 장관을 역임한 정무직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공보부 장관 - 이웅희 (1931년)
이웅희는 서울대학교 공대 출신 언론인이자 정치인으로서, 기자 및 편집국장, 청와대 공보수석비서관, 문화공보부 장관, 그리고 3선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그의 활동은 언론 통제 및 정권 홍보에 대한 논란과 함께 민주주의 발전에 대한 기여 여부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동문 - 윤도한
윤도한은 KBS 아나운서, MBC 기자, 문재인 정부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을 거쳐 한국IPTV방송협회장과 글로벌광주방송 사장을 역임한 언론인, 정치인, 방송인이다. -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동문 - 박광온
박광온은 MBC 기자 출신 정치인으로, 뉴스데스크 앵커 등을 역임하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 주요 당직을 지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컷오프되었다. - 경북대학교 교수 - 이열희 (1924년)
이열희는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의관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구강악안면외과학 및 성형외과학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치과의사이자 의학자, 교육자, 대학 행정가이다. - 경북대학교 교수 - 남광우
남광우는 중세 한국어 어휘 및 한자음 연구와 고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한자어 병행 교육을 강조한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신범식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그림 | 신범식 장관.jpg |
출생일 | 1923년 9월 29일 |
사망일 | 1992년 9월 11일 (향년 68세)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청주군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본관 | 고령 |
배우자 | 심원선 |
자녀 | 1남 2녀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
경력 | |
경력 | 경북대학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서울일일신문 논설위원 경향신문 논설위원 민주공화당 선전부장 민주공화당 대변인 대통령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 유신정우회 사무위원 겸 홍보대책위원장 민주정의당 고문 한국국민당 최고위원 한국도로공사 이사장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국회의원 | 9대 |
주요 직책 | |
직책 | 제8대 문화공보부 장관 |
임기 | 1969년 4월 11일 ~ 1971년 6월 3일 |
대통령 | 박정희 |
총리 | 정일권 국무총리 백두진 국무총리 |
차관 | 이춘성 문화공보부 차관 홍경모 문화공보부 차관 |
2. 학력
2. 1. 고려대학교 정치학 학사
고려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1]3. 경력
1950년 고려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52년부터 1962년까지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국학대학(현 고려대학교) 교수 및 서울일보와 경향신문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 1964년 민주공화당 대변인 겸 선전부장을 시작으로 정치 활동을 하였고, 박정희 대통령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서울신문 사장 및 신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6년 유신정우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유신정우회 운영위원 및 국회 농림수산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87년 한국도로공사 이사장을 역임했다.
3. 1. 교수 및 언론인 활동 (1952년 ~ 1962년)
1952년부터 1957년까지 경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국학대학(현 고려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였다. 사회문제연구소 이사장, 청년문제연구회 대표를 역임했다. 4·19 혁명 이후에는 언론인이 되어 1960년부터 1962년까지 서울일보 및 경향신문 논설위원으로 활동했다.[1]3. 2. 정치 활동 (1964년 ~ 1979년)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1964년 민주공화당 대변인 겸 선전부장이 되었다.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의 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겸 대변인으로 발탁되었다. 1969년 4월 11일부터 1971년 6월 3일까지 문화공보부 장관을 역임했다.1972년부터 1974년까지 서울신문 사장, 신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1976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후반기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유신정우회 운영위원 및 국회 농림수산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79년 박정희 암살 사건으로 유신 체제가 붕괴되면서 정계에서 은퇴했다.
3. 3. 기타 경력 (1987년 ~ 1992년)
1987년 한국도로공사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1988년 사임했다. 1992년 지병으로 사망했다.4. 저서
- 《국난극복(國難克服)의 역사》
- 《국가방위(國家防衛)》
- 《현대경제의 이해를 위하여》
- 《민주적 인간유형(民主的人間類型)》
5. 역대 선거 결과
유신정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