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묵은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헌병으로 복무하며 항일 운동가들을 고문한 혐의를 받았고, 해방 후에는 경찰 간부, 서남지구전투사령관, 제주도 경찰국장을 역임했다. 1964년 지리산 도벌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2009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그의 아들인 신기남 전 국회의원의 친일 관련 해명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헌병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일본 헌병 - 아라키 사다오
아라키 사다오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군국주의적 정책을 추진하고 국가주의 이념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군국주의적 사상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 대구사범학교 (1923년) 동문 - 남광우
남광우는 중세 한국어 어휘 및 한자음 연구와 고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한자어 병행 교육을 강조한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대구사범학교 (1923년) 동문 - 서정귀
서정귀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만주고문시험 행정과 합격 후 국립경찰전문학교 교관, 재무부 차관, 국제신문 사장 등을 역임하고 제4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영월 신씨 - 신기남
신기남은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5, 16, 17,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열린우리당 의장,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소설가로도 데뷔했다. - 영월 신씨 - 신건 (법조인)
신건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국가정보원장을 거쳐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를 제기하다가 2015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신상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15년 8월 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익산군 |
사망일 | 1984년 1월 29일 (68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배우자 | 박금옥 |
자녀 | 신선희(장녀), 신기철(장남), 신기남(차남), 신기도(3남), 신기호(4남) |
군 복무 정보 | |
복무 | 일제강점기 일본군 헌병 |
복무 기간 | 1940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일본군 헌병 군조 |
근무 | 헌병분대 |
지휘 | 헌병분대장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태평양전쟁 |
기타 정보 | |
기타 이력 | 제주도 경찰국장 |
2. 일제 강점기 활동
전라북도 익산군 출신으로 교사를 양성하는 경상북도 대구의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했다.
대구사범을 졸업한 1938년 전라남도 화순군의 청풍소학교 훈도로 발령받아 근무하다가, 1940년에 교사를 그만두고 조선특별지원병으로 일본군에 지원했다. 당시 교사는 안정적인 직업이라 군에 지원하는 일은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대구사범 졸업생들 사이에서는 적지 않은 화제가 되었다. 신상묵은 《매일신보》가 주최한 좌담회에 참석해 전쟁 지원 각오를 피력하였고, 《삼천리》에는 "나의 이 감격을 한 가지로 나누지 않으시렵니까. 이렇게 좋은 기회를 잃어버리지 않기를 바랍니다."라며 지원병제를 선전하는 투고문을 싣기도 했다.[3]
일본군 헌병으로 진해에 있던 일본 해군 군용기 공장에 근무하면서 오장을 거쳐 부사관 중 가장 높은 계급인 조장에 올랐는데, 일제시대 조선인 출신으로 일본군 헌병에서 이 직급을 얻은 유일한 사람이었다. 이 때 항일 운동을 탄압하고 항일 혐의로 체포된 피의자를 직접 고문한 혐의가 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신상묵은 조직의 배후를 대라며 수십일 동안 혹독한 고문을 가했다.[4]
세칭 무궁당 사건으로 김한경 이외 20명이 반일투쟁 목적으로 비밀결사를 조직한 사건과 양태의가 조선독립운동을 추진시킬 목적으로 금속회수, 공출, 징용 등을 방해하고 미군이 상륙하면 극력 원조하겠다는 언사를 하였다는 혐의로 동인 이외 4명을 검거한 사건으로 1944년 10월 초순 신상묵의 밀정이 밀고하였고 신상묵 헌병이 담당, 취조하였다.
2. 1. 교사 생활과 일본군 지원
전라북도 익산군 출신으로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했다.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1938년 전라남도 화순군의 청풍소학교 훈도로 발령받아 근무했다.[3] 1940년 조선특별지원병으로 일본군에 지원했는데, 당시 교사는 안정적인 직업이었기에 이는 이례적인 일로 대구사범 졸업생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3] 《매일신보》 좌담회에 참석하고, 《삼천리》에 지원병제를 선전하는 글을 기고했다.[3]2. 2. 일본군 헌병 복무
전라남도 화순군의 청풍소학교 훈도로 근무하다가, 1940년에 교사를 그만두고 조선특별지원병으로 일본군에 지원했다. 일본군 헌병으로 진해에 있던 일본 해군 군용기 공장에 근무하면서 오장을 거쳐 부사관 중 가장 높은 계급인 조장에 올랐는데, 일제시대 조선인 출신으로 일본군 헌병에서 이 직급을 얻은 유일한 사람이었다.[3] 이 때 항일 운동을 탄압하고 항일 혐의로 체포된 피의자를 직접 고문한 혐의가 있다.[4] 피해자들에 따르면 신상묵은 조직의 배후를 대라며 수십일 동안 혹독한 고문을 가했다.[4]세칭 무궁당 사건으로 김한경 외 20명이 반일투쟁 목적으로 비밀결사를 조직한 사건과 양태의가 조선독립운동을 추진시킬 목적으로 금속회수, 공출, 징용 등을 방해하고 미군이 상륙하면 극력 원조하겠다는 언사를 하였다는 혐의로 동인 외 4명을 검거한 사건은 1944년 10월 초순 신상묵의 밀정이 밀고하였고 신상묵 헌병이 담당, 취조하였다.
3. 해방 이후 활동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하고 1945년에 우리나라가 일본의 폭정에서 해방되자 신상묵은 1946년에 국립경찰 양성 1기로 미군정 하의 경찰에 투신하였다. 곧 경상북도 도경 보안과장에 올랐으며[5][6] 한국 전쟁 후에는 서남지구전투사령관으로 조선인민유격대와의 전투를 이끌었다. 이후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제주도 경찰국장을 역임했다. 지리산과 한라산에는 신상묵의 기념비가 남아 있다.[6]
서남흥업이라는 기업체 고문으로 재직 중이던 1964년에는 지리산 도벌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구속되었으나, 이듬해에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 사건은 국유림 내 벌채허가를 받은 기업들이 불법으로 나무를 베어낸 사건으로 현직 공무원도 연루되어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일으켰다.[7]
3. 1. 경찰 투신
1946년 국립경찰 양성 1기로 경찰에 투신했다.[5][6] 경상북도 도경 보안과장을 역임했다.[5][6]3. 2. 한국 전쟁 참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신상묵은 서남지구전투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조선인민유격대와의 전투를 이끌었다.[6] 이 과정에서 지리산에 신상묵의 기념비가 세워졌다.[6]3. 3. 제주도 경찰국장 역임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제주도 경찰국장을 역임했다.[6] 한국 전쟁 후에는 서남지구전투사령관으로 조선인민유격대와의 전투를 이끌었다.[6] 지리산과 한라산에는 신상묵의 기념비가 남아 있다.[6]3. 4. 지리산 도벌 사건 연루
1964년 서남흥업 고문으로 재직 중 지리산 도벌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어 구속되었다.[7] 이 사건은 국유림 내 벌채허가를 받은 기업들이 불법으로 나무를 베어낸 사건으로, 현직 공무원도 연루되어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일으켰다.[7] 그러나 이듬해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7]4. 사후 논란과 평가
신상묵의 이력은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경찰을 지냈다는 정도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4년에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둘러싸고 진상 규명에 적극적인 입장의 열린우리당과 반대하는 입장의 한나라당이 대치하던 중, 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에 의해 열린우리당 의장인 신기남의 아버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헌병으로 근무할 때의 이력이 드러났다. 처음 폭로가 나왔을 때 신기남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교사로만 재직했다고 밝혔고, 이로 인해 거짓 해명 논란이 인 끝에 신기남은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사퇴했다.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2009년 11월, 최종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4. 1. 신기남 부친 친일 행적 논란
2004년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둘러싸고 진상 규명에 적극적인 입장의 열린우리당과 반대하는 입장의 한나라당이 대치하던 중, 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에 의해 열린우리당 의장인 신기남의 아버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헌병으로 근무할 때의 이력이 드러났다. 처음 폭로가 나왔을 때 신기남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교사로만 재직했다고 밝혔고, 이로 인해 거짓 해명 논란이 인 끝에 신기남은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사퇴했다.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신상묵이 포함되었으며 2009년 11월, 최종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4. 2. 친일인명사전 수록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2009년 친일인명사전에 최종 수록되었다. 신상묵의 이력은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경찰을 지냈다는 정도로 알려졌다.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둘러싸고 진상 규명에 적극적인 입장의 열린우리당과 반대하는 입장의 한나라당이 대치하던 중, 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에 의해 열린우리당 의장인 신기남의 아버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헌병으로 근무할 때의 이력이 드러났다. 처음 폭로가 나왔을 때 신기남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교사로만 재직했다고 밝혔고, 이로 인해 거짓 해명 논란이 인 끝에 신기남은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사퇴했다.4. 3. 비판적 시각
신상묵의 이력은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경찰을 지냈다는 정도로 알려졌다. 그러나 2004년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둘러싸고 진상 규명에 적극적인 입장의 열린우리당과 반대하는 입장의 한나라당이 대치하던 중, 한나라당과 보수 언론에 의해 열린우리당 의장인 신기남의 아버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헌병으로 근무할 때의 이력이 드러났다. 처음 폭로가 나왔을 때 신기남은 신상묵이 일제 강점기에 교사로만 재직했다고 밝혔고, 이로 인해 거짓 해명 논란이 인 끝에 신기남은 열린우리당 의장직을 사퇴했다.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2009년 11월, 최종적으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신상묵의 친일 행적은 일제 강점기 한국인들의 강제 동원과 억압의 역사를 보여주는 사례로 비판받는다. 해방 이후 경찰 간부로서의 활동 역시 과거 청산 부재의 문제를 드러낸다는 지적이 있다.
5. 가족 관계
배우자는 박금옥(朴金玉, 1924년 5월 15일 ~ 2022년 1월 3일)이다. 슬하에 1남 4녀를 두었다. 장남은 신기남(1952년생, 정치인)이다.
참조
[1]
뉴스
辛의장 부친 친일행적 파문“辛의장 부친이 직접 고문”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4-08-18
[2]
뉴스
신상묵씨 “일본군 입대까지 독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4-08-18
[3]
뉴스인용
신기남의장 부친 "日軍 자원입대를" 1941년 잡지기고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6-15
[4]
뉴스인용
(辛의장 부친 친일행적 파문)“辛의장 부친이 직접 고문”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6-15
[5]
뉴스인용
신기남과 정동채의 부친이 걸어온 길
http://www.breaknews[...]
브레이크뉴스
2008-09-25
[6]
뉴스인용
지리산·한라산에 신기남 부친 기념비 확인
http://www.hani.co.k[...]
한겨레 (연합뉴스 인용)
2008-06-15
[7]
뉴스인용
(辛의장 부친 친일행적 파문) 辛의장 '어제와 오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