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영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영옥은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성악가이다. 서울에서 태어나 선화예술중·고등학교를 거쳐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스폴레토 페스티벌에서 데뷔했으며, 199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 우승 이후 메트 무대에 데뷔했다. 리릭 레쩨로 소프라노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오페라 배역과 콘서트 레퍼토리를 소화했다. 여러 음반을 발매했으며, 미국 아스펜 성악 콩쿠르, 올가 쿠세비츠키 영 아티스트 어워드, 홍난파 기념상, 대한민국 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꿈을 꾼 후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 채선엽
    채선엽은 이화여고, 이화여전, 줄리어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음악학과 과장, 예술대학 학장, 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교육자이며, 피아니스트와 소프라노로 활동하며 1966년 이화여대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소프라노 가수 - 홍혜경
    홍혜경은 1957년 서울 출생으로,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하고 메트로폴리탄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활동한 한국 3대 소프라노 중 한 명이다.
  • 대한민국의 오페라 가수 - 홍혜경
    홍혜경은 1957년 서울 출생으로, 미국 줄리아드 음악학교에서 유학하고 메트로폴리탄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다양한 배역을 소화하며 활동한 한국 3대 소프라노 중 한 명이다.
  • 대한민국의 오페라 가수 - 길병민
    길병민은 서울대학교 성악과 수석 졸업 후 국내외 주요 콩쿠르를 석권하고 유럽 무대에서 활동한 베이스 바리톤 성악가이자 뮤지컬 배우로서, 팬텀싱어 3 출연 후 크로스오버 그룹 레떼아모르 리더로 활동하며 대중적 인지도를 얻고 뮤지컬 배우로도 데뷔하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신영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신영옥
신영옥
한글신영옥
한자申英玉
로마자 표기Sin Yeongok
출생1961년 7월 3일
출생지서울특별시
직업성악가

2. 삶

서울 태생으로, 선화예술중·고등학교를 거쳐 뉴욕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콩쿠르 3위(고교생 신분으로는 최초 입상 기록), 199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 로렌 자카리 콩쿨, 올가 쿠세비츠키 콩쿨에서 우승했다.

소프라노 조수미와는 선화예술학교 1년 선후배 사이이며, 소프라노 홍혜경과는 줄리어드 학교 선후배 지간이다. 1989년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스폴레토 페스티벌에서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수잔나 역으로 세계 무대에 데뷔하였다. 1990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에 우승한 직후 로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의 아제마 공주 역으로 캐스팅되어 메트 무대에 첫 데뷔하였고, 이후 메트의 1991년 1월 시즌 '리골레토'에서 주인공 질다 역의 대역으로 무대에 서 대호평을 받으며 국제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발돋움했다.

최고의 프리마 돈나로서 뿐만 아니라 콘서트와 리사이틀, 페스티벌 무대에서도 격찬을 받으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링컨 센터의 모스틀리 모차르트 페스티벌에서 '모차르트 콘서트 아리아' 연주회를 가졌다. 테너 호세 카레라스와는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갈라 콘서트와 서울 상암 경기장 빅 콘서트에서 함께 호흡을 맞추었다.

가지고 있는 소리의 영역, 톤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이 갈리는 편이다. 리릭 레쩨로, 리릭 콜로라투라, 수브레토 등 여러 의견이 분분하나, 기본적으로 리릭보다는 부드럽고 가벼운 음색의 레쩨로 소프라노에 속하며, 재치 넘치고 폭넓은 연기 스타일이나 유연한 레가토, 콜로라투라 창법까지 겸비하여 리릭과 수브레토, 콜로라투라 영역까지 넘나들 수 있는 표현력을 가진 가수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이탈리아 오페라 레퍼토리로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리골레토'', ''사랑의 묘약'', ''청교도'', ''가면 무도회'', ''몽유병의 여인'' 등, 도니체티벨리니의 초기 벨칸토 오페라 소프라노 배역과 베르디 오페라들의 가벼운 레제로 배역들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브레토 소프라노의 영역 또한 모차르트의 희극 오페라 배역들인 체를리나, 수잔나, 데스피나 등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준다. 극고음역대의 기교와 빠른 스케일의 표현에서 다소 민첩성이 떨어지는 등의 특징으로 정통적인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라고 할 수는 없지만, 유연한 벨칸토 발성이 뒷받침된 안정적인 레가토로 극중 리릭-레쩨로-콜로라투라 음역대를 필요로 하는 소프라노 인물의 성격과 캐릭터를 이상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적격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정확한 발음과 절제된 발성으로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가곡 해석에도 뛰어나며, 프랑스와 이탈리아, 러시아 가곡들을 모은 앨범인 'A Dream'을 출반하기도 했다.

2010년대에 들어 중고음이 풍부해지며 보다 더 무거운 리릭 소프라노로 변모하고 있으며, 콜로라투라 기교가 많이 필요한 오페라 작품보다는 콘서트 무대나 앨범 발매 활동을 위주로 대중들과 호흡하는 추세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서울에서 3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1] 선화예술중·고등학교를 거쳐 뉴욕 줄리어드 음악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2] 선화예술학교에서는 유병무, 김영자, 이정희를, 줄리어드에서는 다니엘 페로, 엘렌 폴, 클라우디아 핀차를 사사했다. 특히 클라우디아 핀차와는 본인의 줄리어드 졸업 후 프로 가수 경력까지 함께하며 평생 스승으로 모신 일화로 유명하다.

소프라노 조수미와는 선화예술학교 1년 선후배, 소프라노 홍혜경과는 줄리어드 학교 선후배 지간이다. 동아콩쿠르 3위(고교생 신분으로는 최초 입상 기록), 1990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 및 로렌 자카리 콩쿨, 그리고 올가 쿠세비츠키 콩쿨 우승 등의 경력이 있다.

2. 2. 데뷔와 초기 경력

1989년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스폴레토 페스티벌에서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 수잔나 역을 맡아 세계 무대에 데뷔하였다.[1] 1990년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에서 우승한 직후 로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에서 아제마 공주 역으로 캐스팅되어 메트 무대에 첫 데뷔를 하였다.[1]

1991년 메트에서 '세미라미데'의 아제마 역을 마친 후, '리골레토'에서 주인공 질다 역의 대역(언더스터디) 소프라노로 참여하였다.[1] 당시 질다 역을 맡았던 홍혜경이 컨디션 난조로 1막이 끝나고 하차하면서, 객석에서 대기 중이던 신영옥이 대타로 무대에 올라 대호평을 받았다.[1] 이를 계기로 국제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발돋움하게 되었다.[1]

2. 3. 전성기 활동

1989년 스폴레토 페스티벌 USA에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중 수잔나 역으로 오페라 무대에 데뷔하였다.[1] 1990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인터내셔널 콩쿨에 우승한 직후 롯시니의 오페라 '세미라미데'의 아제마 공주 역으로 캐스팅되어 메트 무대에도 첫 데뷔하였고, 이후 메트의 1991년 1월 시즌 '리골레토'에서 주인공 질다 역의 대역으로 무대에 서 대호평을 받으며 국제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발돋움했다.[1]

1991년부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정기적으로 출연하며 ''리골레토''의 질다,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루치아, ''돈 조반니''의 체를리나, ''청교도''의 엘비라, ''가면 무도회''의 오스카, ''사랑의 묘약''의 아디나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1] 스트라빈스키의 ''밤꾀꼬리''와 라벨의 ''어린이와 마법''에서 밤꾀꼬리 역을 맡기도 했다.[1]

주세페 베르디를 기리는 2001년 갈라, 세계 무역 센터 구호 자선 행사 등에도 출연했다.[1] 2005년과 2006년에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가면 무도회'',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리골레토''를 불렀다.[1]

제임스 레바인, 제임스 콘론, 넬로 산티, 플라시도 도밍고, 루치아노 파바로티, 레오 누치 등 세계 최고의 지휘자 및 가수들과 함께 공연했다.[1]

스페인 테네리페 축제에서 벨리니의 ''카풀레티가와 몬테키가''의 줄리에타, 워싱턴 오페라에서 ''가면 무도회''의 오스카로 데뷔했다.[1] 2002-03 시즌에는 파리 오페라에서 파스칼 뒤사팽의 ''페렐라, 르놈 드 퓌메''의 세계 초연 무대에 섰다.[1]

최근에는 파리 오페라 코미크에서 ''몽유병자''를, 디트로이트의 미시간 오페라 극장에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공연했다.[1] 브라티슬라바 봄 축제에서 투란도트의 류 역을 처음으로 맡았다.[1]

바스티유 오페라에서 ''가면 무도회''의 오스카와 ''리골레토''의 질다, 로열 오페라 하우스에서 질다, 쾰른 오페라에서 ''여자는 다 그래''의 데스피나, 캐나다 오페라 컴퍼니에서 질다와 루치아, 니스 오페라에서 ''목동왕''의 아민타와 ''청교도''의 엘비라, 칠레 산티아고의 테아트로 무니시팔과 바르셀로나의 리세우 극장에서 ''진주 조개잡이''의 레일라, 이탈리아 카타니아의 테아트로 마시모 벨리니에서 ''비앙카와 페르난도''의 타이틀 롤을 맡았다.[1]

제1회 중국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베이징에서 질다를 불렀고, 베트남 하노이의 옛 프랑스 오페라 하우스에서 35년 만에 처음으로 오페라를 공연하며 같은 역할을 맡았다.[1] 1999년 5월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가면 무도회''로 데뷔했고, 덴마크 아르후스 페스티벌 심포니와 함께 ''청교도''의 콘서트 공연을 했다.[1]

테너 호세 카레라스와는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갈라 콘서트와 서울 상암 경기장 빅 콘서트에서 함께 호흡을 맞추었다.[1]

2. 4. 최근 활동

최근 신영옥은 파리 오페라 코미크에서 새로운 프로덕션으로 ''몽유병의 여인''을, 미시간 오페라 극장과 함께 디트로이트에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공연했다. 브라티슬라바 봄 축제에서는 ''투란도트''의 류 역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로스앤젤레스 뮤직 센터에서 열린 갈라 공연에도 참여했다.

2010년대 들어 신영옥은 중고음이 풍부해지면서 보다 더 무거운 리릭 소프라노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콜로라투라 기교가 많이 필요한 오페라 작품보다는 콘서트 무대나 앨범 발매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테너 호세 카레라스와는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갈라 콘서트 및 서울 상암 경기장 빅 콘서트에서 함께 공연한 바 있다.

3. 주요 오페라 배역

신영옥은 1989년 스폴레토 페스티벌 USA에서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중 수잔나 역으로 오페라 데뷔를 했고, 1991년부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 정기적으로 출연했다.

주요 오페라 배역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오페라배역
도니체티사랑의 묘약아디나
도니체티람메르무어의 루치아루치아
로시니세미라미데아제마
벨리니비앙카 에 페르난도비앙카
벨리니청교도엘비라
벨리니카풀레티와 몬테키줄리에타
벨리니몽유병자아미나
베르디리골레토질다
베르디가면 무도회오스카
들리브라크메라크메
브라운펠스디 푀겔나흐티갈 (나이팅게일)
라벨어린이와 마법나이팅게일/공주
뒤사팽페렐라, 우오모 디 푸모여왕
모차르트피가로의 결혼수잔나
모차르트돈 조반니체를리나
모차르트여자는 다 그래데스피나
모차르트목동왕아민타
비제진주 조개잡이레일라
푸치니투란도트리우
구노로미오와 줄리엣줄리엣
글루크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아모레
헨델삼손블레셋 여인


4. 콘서트 레퍼토리

5. 음반

발매 연도앨범 제목레이블
1991년《비앙카 에 페르난도》Nuova Era
1995년《보칼리제》삼성 클래식
1995년《신영옥 캐롤집》삼성 클래식
1996년《아베 마리아》삼성 클래식
1997년《꿈》삼성 클래식
1997년《신영옥, 조수미삼성 클래식
1998년《마이 로맨스》삼성 클래식
2000년《성가》예당 클래식
2001년《화이트 크리스마스》예당 클래식
2003년《나의 노래》유니버설 뮤직
2004년《사랑의 샹송 - 2003 서울 라이브》유니버설 뮤직
2004년《얼티밋 시크릿 가든》유니버설 뮤직
2006년《러브 듀엣》유니버설 뮤직
2008년《시네마틱》유니버설 뮤직
2009년《내 마음의 노래》유니버설 뮤직
2009년천추태후 [OST]》포니 캐년
2010년《사랑과 평화》유니버설 뮤직
2010년《제임스 레바인: 메트 40주년 기념: 랭팡 에 레 소르티레》Decca
2012년《고난과 승리》유니버설 뮤직
2012년《마이 스토리: 신영옥 베스트》유니버설 뮤직
2016년앨범: 유나이티드 코리아 4 더 월드》


6.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83년미국 아스펜 성악 콩쿠르 우승
1989년미국 올가 쿠세비츠키 영 아티스트 어워드 수상[5]
1990년미국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전국 심사 우승
1990년미국 로렌 자카리 성악 콩쿠르 우승
1990년미국 MEF 콩쿠르 우승
1992년홍난파 기념상
1995년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2000년대한민국 운경재단상 수상


7. 저서


  • After the Dream영어[1] (2009년 4월 13일)

참조

[1] 뉴스 "'Music is Food for Soul': Soprano Shin Young-ok"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07-04-12
[2] 서적 "Youngok Shin" https://books.google[...] Europa Publications
[3] 웹사이트 Youngok Shin on the MetOpera Database http://archives.meto[...]
[4] 웹사이트 하나의코리아 (통일을 주제로 한 고형원 작사,작곡)/Cd http://mall.duranno.[...]
[5] 웹사이트 List of past winners of the Olga Koussevitzky Young Artists Award http://www.jhcbh.com[...] Musicians Club of New Y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