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되기는 어렵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이 되기는 어렵다》는 르네상스가 일어나지 않은 중세 시대와 유사한 아르카나르 행성을 배경으로, 지구에서 파견된 과학자 돈 루마타가 20년간 현지 문명에 간섭 없이 관찰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루마타는 지식인 구출, 과학자 보호 등의 활동을 펼치지만, 결국 권력 투쟁과 폭력에 휩싸여 절망하고, "신이 되는 것은 어렵다"는 메시지를 남긴다. 이 영화는 권력, 폭력, 지식의 한계 등을 주제로 하며, 오랜 제작 기간과 알렉세이 게르만 감독의 사망으로 완성되었다.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2010년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SF 영화 - 설국열차
《설국열차》는 빙하기 이후 영구 기관 열차 내 계급 투쟁을 그린 봉준호 감독의 디스토피아 영화로, 원작 그래픽 노블에서 각색되었으며, 계급 갈등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질문을 던져 흥행과 논쟁을 동시에 일으켰고, 드라마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 - 체코의 SF 영화 - 타임코드 (2005년 영화)
2005년 개봉한 피터 하이엄스 감독의 SF 영화 《타임코드》는 시간 여행 기술로 공룡 사냥을 떠나는 부유층과 그로 인한 시간 파동을 중심으로 트래비스 라이어, 소니아 랜드, 찰스 허튼 등의 이야기를 그리지만, 특수 효과와 과학적 오류 등으로 비판받으며 흥행에 실패했다. - 체코의 흑백 영화 - 엑스터시 (영화)
사랑 없는 결혼에 지친 여인이 젊은 엔지니어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1933년 체코슬로바키아 영화 《엑스터시》는 헤디 라머의 노출과 오르가즘 묘사로 인해 개봉 당시 검열 논란을 겪으며 여러 국가에서 상영 금지 또는 편집되었다. - 체코의 흑백 영화 - 금발 소녀의 사랑
《금발 소녀의 사랑》은 1965년 밀로스 포먼이 감독한 체코슬로바키아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체코의 한 공장 도시에서 젊은 여성 안둘라가 군인과의 사랑을 통해 현실을 겪는 이야기를 다루며, 체코 뉴 웨이브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의 SF 영화 - 스페이스 독
2024년 공개된 애니메이션 영화 스페이스 독은 1960년대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우주 비행견 벨카와 스트렐카의 우주 비행과 지구 귀환 이야기를 그린 스뱌토슬라프 우샤코프 감독의 작품이며, 속편을 포함하는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 러시아의 SF 영화 - 브랜디드 (2012년 영화)
브랜디드(2012년 영화)는 소련 붕괴 후 마케팅 전문가가 브랜드의 욕망을 형상화한 괴물과 공포 마케팅으로 싸우다 부상당하지만, 광고 없는 세상을 목격하는 내용의 영화이다.
신이 되기는 어렵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러시아어) | Трудно быть богом (트루드노 븟 보고ㅁ) |
영어 제목 | Hard to Be a God (하드 투 비 어 가드) |
감독 | 알렉세이 유리예비치 게르만 |
원작 | 아르카디와 보리스 스트루가츠키의 신이 되기는 어렵다 |
각본 | 알렉세이 게르만, 스베틀라나 카르말리타 |
주연 | 레오니드 야르몰니크 |
음악 | 빅토르 레베데프 |
촬영 | 블라디미르 일린, 유리 클리멘코 |
편집 | 마리아 아모소바 |
제작사 | 렌필름 스튜디오, 세베르 스튜디오, 텔레카날 로시야 |
개봉일 | 로마: 2013년 11월 13일 러시아: 2014년 2월 27일 |
상영 시간 | 177분 |
제작 국가 | 러시아, 체코 |
언어 | 러시아어 |
제작비 | 미화 7백만 달러 |
흥행 수입 | 35,919 달러 |
![]() |
2. 줄거리
영화는 르네상스가 도래하지 않아 중세 시대 유럽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아르카나르 행성을 배경으로 한다. 이곳에서는 원시 파시즘적인 경찰 국가가 과학과 문화 발전을 억압하고, 사람들은 비참한 빈곤 속에서 살아간다.
지구에서는 약 30명의 과학자들이 사회 진화를 관찰하기 위해 신분을 숨긴 채 행성에 파견된다. 이들은 현지 문명에 간섭하지 않고 관찰만 해야 한다. 주인공 돈 루마타는 에스토르의 귀족으로 위장하여 20년간 행성에 살면서 지식인들을 구출하는 임무를 맡는다. 그는 이교도 신인 고란의 아들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살인은 금지되어 있어 결투에서 상대를 죽이지 않고 귀만 자른다.
루마타는 과학자들을 늪지대의 바위 섬에 숨긴다. 그러나 보호받아야 할 부다흐라는 의사가 사라지고, 루마타는 그를 찾기 위해 왕과 돈 레바를 만나지만 소득이 없다. 이후 루마타는 남작 팜파와 술을 마시다 회색 군대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지만, 자신의 신성한 힘을 증명하고 풀려난다.
권력을 잡은 검은 옷의 수도사들은 왕과 가족을 살해하고, 루마타는 기쁨의 탑 고문실에서 부다흐와 팜파를 구출한다. 그러나 팜파는 탈출 중 화살에 맞아 죽고, 루마타는 부다흐와 대화하며 권력 투쟁의 악순환에 대해 고민한다. 루마타는 아라타 곱추에게 노예 봉기를 제안하지만 거절당하고, 결국 아라타에게 질서의 보호 팔찌를 주고 쫓아낸다.
2. 1. 주요 사건
돈 레바의 회색 군대가 지식인들을 탄압하고 학살하면서, 루마타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심과 갈등을 겪는다. 부다흐 박사가 실종되자 루마타는 그를 구출하려 한다. 이후 돈 레바는 권력을 장악하고 신성 군단을 동원해 폭정을 일삼고, 이 과정에서 루마타의 연인 아리가 살해당한다. 이에 분노한 루마타는 복수를 감행하고, 결국 지구로 돌아가지 않고 아르카나르에 남기로 결심한다.3. 등장인물
(하위 섹션에서 주연과 조연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가 이미 상세하게 제공되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별도의 내용을 추가하지 않음)
3. 1. 주연
배역명 | 배우 |
---|---|
돈 루마타 | 레오니드 야르몰니크 |
돈 레바 | 알렉산드르 튜튜코 |
남작 | 유리 츠릴로 |
의사 부다흐 | 예브게니 게르차코프 |
알리 | 나탈리아 마테예바 |
아라타 | 알렉산드르 일린 |
돈 팜파 | 유리 추릴로 |
부처 | 올레그 보틴 |
3. 2. 조연
배우 | 역할 |
---|---|
레오니트 야르몰니크 | 돈 루마타 역 |
알렉산드르 튜튜코 | 돈 레바 역 |
유리 추릴로 | 남작 역 |
예브게니 게르차코프 | 의사 부다흐 역 |
나탈리아 마테예바 | 알리 역 |
예브게니 거차코프 | |
유리 트리로 | |
드미트리 블라디미로프 | |
라우라 피츠켈라우리 | |
알렉산드르 일린 | 아라타 역 |
올레그 보틴 | 부처 역 |
표트르 메르쿠리예프 |
4. 제작
1968년에 각본 초고가 완성되었으나, 체코 사건으로 인해 제작이 좌절되었다.[14] 2000년에 체코에서 촬영이 시작되어 수년에 걸쳐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2006년 8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렌필름 스튜디오에서 종료되었다.[3][14] 오랜 편집 및 후반 작업 단계에서[3] 감독 알렉세이 게르만은 영화가 완성되기 전에 사망했다.[4] 제작은 그의 아내 스베틀라나 카르말리타와 아들 알렉세이 게르만 주니어가 마무리했다.[14]
5. 평가
메타크리틱에서는 1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88점을, 로튼 토마토에서는 3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9.1점, 지지율 94%를 기록했다.[15][16]
『버라이어티』의 제이 와이스버그는 알렉세이 게르만의 솜씨는 훌륭하지만, 상영 시간이 너무 길다고 지적했다. 그는 "형식적으로는 『흐루스타료프, 차를!』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소비에트 지배에 대한 대담한 응답으로서는 최고일 것이다"라고 말했다.[17]
5. 1. 비평가들의 반응
러시아 언론의 반응은 엇갈렸다.[8] 일부 평론가들은 게르만의 비전을 칭찬했지만, 특히 SF를 다루는 언론에서는 원작을 다루는 방식에 비판적이었다.영어권 평론가들로부터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평론가 42명의 리뷰를 바탕으로 95%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9/10이라고 보고했다. 이 사이트에서는 "현재와 뚜렷한 연관성을 가진 SF 서사시, 《신이 되기는 어렵다》는 알렉세이 게르만 감독의 훌륭한 필모그래피를 최고의 걸작으로 마무리한다."라고 평가했다.[9] 메타크리틱에서는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 13개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93점을 기록했다.[10]
피터 브래드쇼는 《가디언》에 기고한 평론에서 별 다섯 개 만점을 부여하며, "그 자체로 압도적으로 미친 방식으로 경외심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며 "아름답고, 훌륭하며, 기괴하다"고 평했다.[11] 《The A.V. Club》의 이그나티 비시네베츠키는 이 영화를 오손 웰스의 《심야의 종소리》에 비유하며, 게르만을 "미국에서 거의 완전히 알려지지 않은 가장 중요한 러시아 영화 제작자"라고 칭했다. 그는 "그로테스크하고 미친" 중세 SF 영화를 "무엇보다 인간의 비참함, 잔혹함, 무지를 보여주는 비전"이라고 칭찬했다.[12]
로케이션 매니저이자 영화 블로거로 활동하는 셰인 스콧-트래비스는 영화 블로거 웹사이트 Taste of Cinema에서 "21세기 가장 아름다운 영화 25편" 목록에 이 영화를 17위로 포함시켰다.[13]
『버라이어티』의 제이 와이스버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남자들이 싸우고, 방귀를 뀌고, 마시고, 소리 지르는 모습을 묘사하는 알렉세이 게르만의 솜씨는 훌륭하지만, 상영 시간이 너무 길다"고 지적하면서, "형식적으로는 『흐루스타료프, 차를!』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소비에트 지배에 대한 대담한 응답으로서는 최고일 것이다"라고 말했다.[17]
5. 2. 수상 및 선정
《신이 되기는 어렵다》는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다수의 비평가 및 언론에서 그해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9][10] 로튼 토마토는 평론가 42명의 리뷰를 바탕으로 95%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평점은 9/10이라고 보고했다. 메타크리틱은 주류 평론가들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가중 평균 점수를 매기는데, 이 영화는 1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3점을 기록했다.또한, 2010년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도 여겨지며, ''They Shoot Pictures, Don't They?''는 《신이 되기는 어렵다》를 21세기 가장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영화 중 228위로 평가했다.
6. 주제 및 해석
이 영화는 권력, 폭력, 지식, 진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지식인의 역할과 진보의 한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작중 루마타의 대사 "회색이 승리하는 곳에는 결국 검은색이 항상 나타난다"는 권력의 속성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1] 이는 권력을 잡은 '회색'이 결국 '검은색'으로 대표되는 또 다른 형태의 억압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화는 중세 시대와 유사한 아르카나르 행성을 배경으로, 지식과 문화가 억압되는 사회상을 보여준다. 지구에서 파견된 과학자들은 관찰자로서 행성의 역사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지만, 주인공 루마타는 지식인들을 구출하려 노력한다.[1]
이 과정에서 루마타는 권력 투쟁과 폭력의 악순환에 직면한다. 약자를 돕기 위한 노력이 또 다른 폭력을 낳는 아이러니를 통해, 영화는 진보의 어려움과 한계를 드러낸다. 결국 연인 아리의 죽음으로 분노한 루마타는 신성 군단을 몰살하고 지구로 돌아가지 않고 행성에 남는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과 연결하여 민주화 운동과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촉발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 영화를 통해 독재와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rudno byt bogom (2015)
https://www.the-numb[...]
2018-06-13
[2]
웹사이트
Close-Up on "Hard to Be a God" and the Medieval in European Cinema
https://mubi.com/not[...]
2022-06-29
[3]
간행물
http://www.ogoniok.c[...]
2010-01-17
[4]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2013)
https://projectedfig[...]
2022-01-21
[5]
웹사이트
После первого просмотра
https://seance.ru/ar[...]
[6]
간행물
http://www.vedomosti[...]
2009-03-07
[7]
웹사이트
Rome Film Festival - Out of Competition
http://www.romacinem[...]
2013-11-11
[8]
웹사이트
Рецензии на фильм Трудно быть богом (2014), отзывы
http://kritikanstvo.[...]
[9]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https://www.rottento[...]
2019-07-26
[10]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http://www.metacriti[...]
2016-07-30
[11]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review – mud, blood and holy hell
https://www.theguard[...]
2015-08-13
[12]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will take you to a world of shit
http://www.avclub.co[...]
2016-01-02
[13]
웹사이트
The 25 Most Beautiful Movies of The 21st Century
http://www.tasteofci[...]
[14]
웹사이트
ウンベルト・エーコをうならせたアレクセイ・ゲルマン遺作「神々のたそがれ」予告編
https://eiga.com/new[...]
2014-12-20
[15]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16]
웹사이트
Hard to Be a God
http://www.rottentom[...]
Flixster
[17]
웹사이트
Film Review: ‘Hard to Be a God’
http://variety.com/2[...]
2013-11-22
[18]
웹사이트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発表、「恋人たち」「マッドマックス」が1位に輝く
https://natalie.mu/e[...]
映画ナタリー
2016-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