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강탈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체 강탈자》는 1831년 에든버러를 배경으로, 해부학 교수와 시체 도굴꾼의 거래를 통해 해부용 시체를 구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시체 부족에 시달리는 교수와 조수의 갈등, 살인 사건, 그리고 협박과 공포 속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보리스 칼로프, 벨라 루고시 등이 출연했으며, 1945년 개봉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영화는 시체 도굴과 윤리 문제, 계급 갈등, 사회적 부조리 등을 주제로 다루며, 로튼 토마토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버트 와이즈 감독 영화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1961년 영화)
1961년 개봉한 미국의 뮤지컬 영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는 1950년대 뉴욕 어퍼 웨스트 사이드를 배경으로 폴란드계 미국인 갱단 제츠와 푸에르토리코계 갱단 샤크 간의 갈등 속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로버트 와이즈와 제롬 로빈스 공동 연출, 레너드 번스타인 음악, 스티븐 손드하임 가사, 리처드 베이머, 나탈리 우드 등이 출연했으며, 아카데미상 10개 부문을 수상했다. - 로버트 와이즈 감독 영화 - 나는 살고 싶다 (영화)
1958년 로버트 와이즈 감독, 수잔 헤이워드 주연의 영화 《나는 살고 싶다》는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쓴 바바라 그레이엄의 실화를 바탕으로 사형 제도의 부당함을 고발하고 주인공의 생존 의지를 그린 작품으로, 수잔 헤이워드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45년 영화 - 잃어버린 주말
《잃어버린 주말》은 알코올 중독자의 고통스러운 주말을 그린 영화로, 술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절망적인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제18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을 수상했다. - 1945년 영화 - 모모타로 바다의 신병
모모타로 바다의 신병은 세오 미쓰요 감독이 제작한 일본의 선전용 애니메이션 영화로, 모모타로 이야기를 모티프로 의인화된 동물들이 해군에 입대하여 술라웨시 섬을 탈환하는 과정을 그리며 전쟁 미화 및 제국주의 비판과 함께 일본 애니메이션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체 강탈자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Body Snatcher |
감독 | 로버트 와이즈 |
제작자 | 발 루턴 |
각본 | 필립 맥도날드 발 루턴 (Carlos Keith 명의) |
원작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1884년 단편 소설 "신체 강탈자" |
출연 | 보리스 칼로프 벨라 루고시 헨리 다니엘 에디스 앳워터 러셀 웨이드 |
음악 | 로이 웨브 |
촬영 | 로버트 드 그라시 |
편집 | J.R. 위트레지 |
제작사 | RKO 라디오 픽처스 |
배급사 | RKO 라디오 픽처스 |
개봉일 | 1945년 5월 25일 |
상영 시간 | 78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일본어 제목 | |
제목 | 死体を売る男 (시타이오 우루 오토코) |
일본 개봉일 | 2013년 10월 28일 |
스태프 | |
미술 | 앨버트 S. 다고스티노, 월터 E. 켈러 |
세트 데코레이터 | 대럴 실베라, 에밀 쿠리 |
의상 | 렌 윌리엄 헐 |
메이크업 | 멜 번 |
특수 효과 | 버논 L. 워커 |
2. 줄거리
1831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저명한 외과 의사이자 해부학 교수인 울프 맥팔레인 박사는 해부용 시체를 공급받기 위해 시체 도굴꾼 존 그레이와 비밀스러운 관계를 맺는다.[3] 맥팔레인은 하반신 마비 소녀 조지나 마쉬의 치료를 의뢰받지만, 시체 부족과 연구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수술을 망설인다.[3] 맥팔레인의 조수 도널드 페테스는 그레이의 정체를 의심하고, 그레이가 저지른 살인 사건을 알게 되면서 갈등에 빠진다.[3]
그레이는 선술집에서 맥팔레인에게 억지로 술을 사게 하고, 페트스에게 자신은 오래된 친구라고 말한다. 페트스는 맥팔레인에게 조지나 수술을 다시 고려해 달라고 부탁하고, 그레이는 그들 사이에 "사적인 이유"를 언급하며 맥팔레인을 설득하는 듯하다.[3] 맥팔레인이 나중에 페트스에게 조지나를 돕려는 의사가 전혀 없으며, 연구할 시체가 없다고 말하자, 페트스는 그레이에게 가서 다른 시체를 구해달라고 부탁한다. 묘지에 경비가 배치되어, 그레이는 시체를 파내는 대신 젊은 거리 가수를 살해한다.[3]
맥팔레인은 조지나의 수술을 성공시키지만, 그레이의 협박과 과거 (버크와 헤어 재판 관여)의 비밀에 짓눌려 파멸을 향해 나아간다.[3]
3. 등장인물
배우 역할 비고 보리스 칼로프 존 그레이 역 택시 운전사 벨라 루고시 조셉 역 맥팔레인 박사의 사용인 헨리 다니엘 울프 "토디" 맥팔레인 박사 역 에디스 애트워터 메그 캠든 역 러셀 웨이드 도널드 페테스 역 리타 코데이 마쉬 부인 역 샤린 모펫 조지나 마쉬 역 도나 리 거리의 가수 역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등장인물
4. 제작
『시체를 파는 남자』는 보리스 칼로프가 RKO에서 주연한 세 편의 영화 중 첫 번째 작품이다. 발 루턴이 프로듀서를 맡았으며, 이후 『뱀파이어 보볼라카』(1945년), 『Bedlam (film)|가칭|공포의 정신병원영어』(1946년)이 제작되었다.
칼로프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니버설 픽처스를 떠나 루턴과 함께하게 된 이유에 대해, 『프랑켄슈타인』(1931년)의 성공 이후 유니버설은 프랑켄슈타인 괴물, 드라큘라 백작, 늑대인간 등 몬스터 영화를 계속 만들었으며, 급기야 이들이 모두 등장하는 영화까지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영화가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어리석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해 유니버설과의 계약을 갱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칼로프는 루턴을 "리빙데드에서 구해준, 말하자면, 영혼을 회복시켜 준 남자"[14]라고 칭송했다.
『뱀파이어 보볼라카』와 거의 동시에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루턴은 두 영화의 각본을 모두 담당했다. 각본에는 영국의 추리 작가 필립 맥도널드도 참여했다.
『마인 드라큘라』(1931년)로 유명한 벨라 루고시도 RKO와 계약하면서, 루턴과 맥도널드는 그를 위해 작은 역할을 추가했다. 이 작품은 루고시와 칼로프가 함께 출연한 마지막 영화가 되었다.
로버트 와이즈는 이후 『지구가 멈추는 날』(1951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61년), 『사운드 오브 뮤직』(1965년), 『샌드 페블스』(1966년) 등으로 유명해진 감독이다. 그는 오랫동안 RKO에서 편집 기사로 일했으며, 『The Curse of the Cat People|가칭|캣 피플의 저주영어』(1944년)에서 전임 감독이 일정을 크게 늦추자 프로듀서였던 루턴이 와이즈를 감독으로 발탁했다.[15]
촬영은 1944년 10월 2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촬영 기간 동안 루턴과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잭 J. 그로스 사이에 긴장감이 흘렀는데, 이는 그로스가 칼로프의 개런티만큼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말했기 때문이었다.[16]
4. 1. 기획 및 각색
보리스 칼로프는 유니버설 픽처스의 프랑켄슈타인 시리즈에 불만을 느껴 프로듀서 발 루턴과 함께 작업하게 되었으며, 루턴을 "산송장에서 구출하고 영혼을 회복시킨 사람"이라고 칭찬했다.[4]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원작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영국 시나리오 작가 필립 맥도널드와 발 루턴("카를로스 키스"라는 필명 사용)이 각색에 참여했다. 벨라 루고시의 캐스팅은 영화의 흥행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결정이었으며, 루턴과 맥도널드는 그를 위해 조셉이라는 작은 역할을 추가했다. ''신체 강탈자''는 칼로프와 루고시가 함께 출연한 마지막 영화였다.
4. 2. 촬영
영화의 주요 촬영은 1944년 10월 25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 촬영 기간 동안 프로듀서 발 루턴과 총괄 프로듀서 잭 J. 그로스 사이에는 예산 문제로 긴장감이 흘렀다.[6] 그로스는 루턴에게 적은 예산으로 제작을 시작하도록 지시했고, 칼로프의 개런티가 있으니 그만큼 예산을 삭감하겠다고 말했다.[16]4. 3. 감독
로버트 와이즈가 감독을 맡았다. 와이즈는 이전에 《캣 피플의 저주》(1944)에서 전임 감독이 일정을 대폭 늦추자 프로듀서 발 루턴이 감독으로 발탁했다.[15]4. 4. 미술 및 의상
미술은 알버트 S. 다고스티노와 월터 E. 켈러가 담당했고, 의상은 레니가 담당했다.5. 개봉
이 영화는 1945년 2월 14일 밤,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미주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1] 초연 행사에는 가짜 시신을 실은 말이 끄는 영구차가 극장 밖에 배치되었으며, 밸런타인데이였으므로 RKO는 카를로프와 루고시가 등장하는 밸런타인 카드를 배포했는데, 거기에는 "제발 당신의 마음의 일부를 주세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2] 상영 후에는 무대 마술사 닥터 네프가 진행하는 라이브 스푸크 쇼가 열렸다.[3]
1945년 5월 1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 있는 하와이 극장에서 개봉했다.[4] 로비에는 묘지 도굴 전시물이 설치되었고, 영화 상영 전에 배우 에릭 제이슨이 무대에서 시연회를 열어 실제 관객을 관에 넣으려고 했다.[5] 1945년 5월 25일에는 미국 뉴욕시 브로드웨이의 리알토 극장에서 개봉했다.[7]
1945년 5월 14일, RKO 임원 시드 크레이머는 RKO에 이 영화가 시카고 시와 오하이오주에서 전면적으로 비난받았지만, 특정 삭제를 하면 시카고에서는 최소한 성인 관람 허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알렸다. 오하이오의 경우, 영화의 수정본을 제출하여 추가 검토를 받아야 했다.[1] 이 영화는 오하이오뿐만 아니라 뉴욕, 캔자스, 펜실베이니아에서도 삭제가 필요했다. 영국에서는 검열관들이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그레이의 환영 장면을 삭제했다.[1] 또한, 이 영화는 처음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상영 금지되었지만, 항소 후 통과되었다.[1]
전미 품위 옹호 전국 연맹은 이 영화에 'B' 등급을 부여하여 "과도한 잔혹성" 때문에 "부분적으로 도덕적으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1]
《신체 강탈자》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국내에서 317000USD, 해외에서 230000USD의 수익을 올려 총 547000USD, 순이익 118000USD를 기록했다.[7]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2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6%의 긍정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7/10이다.[7]
5. 1. 극장 개봉
이 영화는 1945년 2월 14일 밤,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미주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1] 초연 행사에는 가짜 시신을 실은 말이 끄는 영구차가 극장 밖에 배치되었으며, 밸런타인데이였으므로 RKO는 카를로프와 루고시가 등장하는 밸런타인 카드를 배포했는데, 거기에는 "제발 당신의 마음의 일부를 주세요"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2] 상영 후에는 무대 마술사 닥터 네프가 진행하는 라이브 스푸크 쇼가 열렸다.[3]1945년 5월 10일, 이 영화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 있는 하와이 극장에서 개봉했다.[4] 로비에는 묘지 도굴 전시물이 설치되었고, 영화 상영 전에 배우 에릭 제이슨이 무대에서 시연회를 열어 실제 관객을 관에 넣으려고 했다.[5] ''신체 강탈자'' 상영 후에는 RKO가 제작한 또 다른 영화인 ''브라이튼 스트랭글러''(1945)가 상영되었다.[6]
이 영화는 1945년 5월 25일 미국 뉴욕시 브로드웨이의 리알토 극장에서 개봉했다.[7]
5. 2. 검열
1945년 5월 14일, RKO 임원 시드 크레이머는 RKO에 이 영화가 시카고 시와 오하이오주에서 전면적으로 비난받았지만, 특정 삭제를 하면 시카고에서는 최소한 성인 관람 허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알렸다. 오하이오의 경우, 영화의 수정본을 제출하여 추가 검토를 받아야 했다.[1] 이 영화는 오하이오뿐만 아니라 뉴욕, 캔자스, 펜실베이니아에서도 삭제가 필요했다. 영국에서는 검열관들이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그레이의 환영 장면을 삭제했다.[1] 또한, 이 영화는 처음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상영 금지되었지만, 항소 후 통과되었다.[1]전미 품위 옹호 전국 연맹은 이 영화에 'B' 등급을 부여하여 "과도한 잔혹성" 때문에 "부분적으로 도덕적으로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1] 크레이머는 이 등급에 대해 "이 영화에 대해 연맹 사람들이 너무 만장일치 의견을 보여서 현재 등급보다 더 나은 등급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1]
5. 3. 평가 및 흥행
《신체 강탈자》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국내에서 317000USD, 해외에서 230000USD의 수익을 올려 총 547000USD, 순이익 118000USD를 기록했다.[7]개봉 당시, ''뉴욕 PM 리뷰스''의 존 맥매너스는 보리스 칼로프의 연기를 칭찬하며 "''신체 강탈자''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혈통에서 품격을 물려받았다. [...] 만약 당신이 잘 만들어진 전설, 발라드, 또는 단순히 충격적인 작품을 좋아한다면, ''신체 강탈자''는 놓치고 싶지 않은 작품이 될 것이다."라고 썼다.[7] ''뉴욕 헤럴드 트리뷴''의 평론가는 칼로프에 대해 "그는 훌륭한 연출과 각본만 있다면 단순한 괴물이 아닌 진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라고 썼다.[7] ''뉴욕 타임스''의 평론가는 리알토 시사회에서 이 영화가 관객들을 사로잡았으며 "늑대인간이나 뱀파이어는 없었다! 하지만 칼로프가 어슬렁거리고 있는데, 피에 굶주린 도깨비가 무슨 기회를 잡을 수 있겠는가?"라고 썼다.[7]
배우 러셀 웨이드는 할리우드의 하와이 극장에서 열린 시사회 상영을 회상하며 "진짜 '관객을 위한 영화'였다. [...] 몇몇 장면들은 엄청난 관객 반응을 얻었다."라고 말했다.[7] ''할리우드 시티즌 뉴스''의 기자는 영화의 어두운 유머에 대한 관객 반응을 언급했다.[7]
리뷰 집계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2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86%의 긍정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7/10이다.[7]
2018년, ''뉴욕 타임스''의 J. 호버만은 이 영화에서 칼로프의 역할을 "사악함과 아첨을 동시에 보여주는 충격적일 정도로 소름 끼치는 연기"라고 언급했다.[2]
6. 주제 및 분석
영화는 19세기 에든버러를 배경으로, 의학 발전과 윤리적 문제, 계급 갈등과 사회적 부조리, 그리고 실제 사건인 버크와 헤어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의학 발전을 위해 해부용 시체가 필요했지만 합법적인 공급이 부족했던 당시 상황에서, 불법적인 시체 도굴이 성행했다. 영화는 시체 도굴꾼 존 그레이와 의사 울프 맥팔레인의 관계를 통해 의학 발전과 윤리적 딜레마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맥팔레인은 의학 연구를 위해 시체가 필요했지만, 그레이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묵인하면서 죄책감에 시달린다.
또한, 영화는 당시 영국 사회의 계급 갈등과 사회적 부조리를 반영한다.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을 대표하는 존 그레이와 부유하고 권위 있는 의사인 맥팔레인 박사의 대립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드러낸다. 특히, 존 그레이는 사회 시스템의 희생양으로, 맥팔레인 박사는 기득권층의 위선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영화는 버크와 헤어 살인사건을 연상시키는 인물인 그레이가 맥팔레인에게 시체를 제공하기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모습을 보여주며,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긴장감을 조성한다.
6. 1. 시체 도굴과 윤리 문제
19세기 에든버러에서는 의학 발전을 위해 해부용 시체가 필요했지만, 합법적인 공급은 제한적이었다. 이 때문에 불법적인 시체 도굴이 성행했는데, 영화는 이러한 비윤리적인 행위를 중심 소재로 다룬다.[3]영화는 시체 도굴꾼 존 그레이와 의사 울프 맥팔레인의 관계를 통해 의학 발전과 윤리적 딜레마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맥팔레인은 의학 연구를 위해 시체가 필요했지만, 그레이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묵인하면서 죄책감에 시달린다.[3]
맥팔레인은 해부용 시체 사용에 대한 제한 때문에 의과대학이 그레이와 같은 사람들과 협력해야 한다고 그의 조수 페트스를 설득한다. 그러나 그레이는 돈을 벌기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등 점차 도를 넘는 행동을 한다.[3]
결국 맥팔레인은 그레이를 살해하지만, 죄책감과 공포에 휩싸여 파멸에 이른다. 이는 의학적 진보를 위한 욕망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갈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결말이다.[3]
6. 2. 계급 갈등과 사회적 부조리
영화는 당시 영국 사회의 계급 갈등과 사회적 부조리를 반영하고 있다. 존 그레이는 가난하고 소외된 계층을 대표하는 인물로, 생계를 위해 시체 도굴이라는 범죄에 가담한다.[3] 반면, 맥팔레인 박사는 부유하고 권위 있는 의사이지만, 자신의 명성과 연구를 위해 그레이와 타협한다.[3]특히,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관점에서는 영화 속 계급 갈등과 사회적 부조리가 더욱 두드러진다. 존 그레이는 사회 시스템의 희생양으로 묘사되며, 맥팔레인 박사는 기득권층의 위선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될 수 있다.
- 존 그레이: 마부이자 시체 강탈자로, 가난 때문에 해부용 시체를 공급하는 일을 한다.[3] 그는 맥팔레인에게 억지로 술을 사게 하고, 선술집에서 그를 조롱하는 등 비도덕적인 행동을 보인다.[3] 심지어 돈을 위해서라면 살인도 서슴지 않는다.[3]
- 맥팔레인 박사: 하반신 마비 딸을 둔 마쉬 부인의 부탁을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존 그레이의 설득과 자신의 연구를 위해 시체를 받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3]
6. 3. 버크와 헤어 살인사건
19세기 에든버러의 의사 맥팔레인은 병원 경영과 함께 의과 대학생 교육도 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해부용 시체가 필요했지만, 당시 시체 매매는 불법이었기에, 마차 운전수 그레이에게서 암암리에 시체를 사들였다. 그레이는 악명 높은 버크와 헤어의 동료였던 남자로, 묘지에서 시체를 파내고 있었지만, 맥팔레인은 이 사실을 눈감아주고 있었다.[3]영화에서 그레이는 버크와 헤어를 연상시키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맥팔레인에게 시체를 제공하기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인물이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Novels Into Film
[2]
웹사이트
In 'The Black Cat,' the Titans of Terror, Karloff and Lugosi, Face Off
https://www.nytimes.[...]
2022-11-10
[3]
간행물
AFI Catalog
[4]
뉴스
Farewell to Monsters
http://www.whiskeylo[...]
2009-11-07
[5]
서적
Robert Wise: Shadowlands
Indiana Historical Society Press
[6]
서적
The Films of Robert Wise
Scarecrow Press
[7]
웹사이트
The Body Snatcher (1945)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11-10
[8]
Movie
Movie Walker
[9]
간행물
Lugosi and Karloff
[10]
간행물
More Than a Monster
[11]
웹사이트
エドガー・G・ウルマーとゆかいな仲間たち
http://www.cinemaver[...]
シネマヴェーラ渋谷
2020-02-09
[12]
서적
ホラー・ムービー史―恐怖・怪奇・幻想の全映画
芳賀書店
[13]
서적
ぴあ シネマクラブ1993 洋画篇
ぴあ
[14]
뉴스
Farewell to Monsters
http://www.whiskeylo[...]
2009-11-07
[15]
서적
Robert Wise: Shadowlands
Indiana Historical Society Press
[16]
서적
The Films of Robert Wise
Scarecrow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