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는 2006년 8월 18일부터 11월 18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로, 'My Starleague'를 컨셉으로 내세웠다. 이윤열이 우승하며 골든 마우스를 수상했고, 오영종이 준우승, 전상욱이 3위, 이병민이 4위를 차지했다. 8강전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결승전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2. 리그 정보


  • 리그 기간: 2006년 8월 18일 ~ 2006년 11월 18일
  • 리그 컨셉: My Starleague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도전하는 젊음과 함께하는 더 큰 감동
  • 경기장: Mega-Web Station → 용산 아이파크몰 E스포츠 전용경기장 (이전)
  • PD: 위영광 PD (복귀)
  • 특이 사항
  • 24강 제도를 유지하였다.
  • 16강부터 조지명식을 다시 진행하는 등 리그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듀얼토너먼트 1, 2라운드가 통합되었다.
  • 스타리그 최초로 실사 오프닝을 촬영하였다.
  • 매 경기 후 중간광고 후 경기 상세 데이터(가스, 미네랄 채취량, APM 등)를 표시하기 시작하였다.
  • 모든 길목을 중립건물로 막은 시간형 섬맵 'Arkanoid'를 사용하였다.
  • So1 스타리그 이후 저그가 4강 진출에 실패하였다. (4강 이윤열 vs 이병민, 오영종 vs 전상욱)
  • 역대 2번째 스승 VS 제자 매치가 열렸다. (4강 A조 이윤열 VS 이병민)
  • 오영종이 역대 프로토스 중 2번째로 결승에 진출하였다. (김동수-강민-박정석)
  • 최초로 제주도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 최초로 결승전 오프닝이 사용되었다.
  • 최초로 오프닝 BGM 장르가 락 음악이 아닌 힙합음악을 사용하였다. (Feature cast의 Channel Surfing)
  • 온게임넷 스타리그 사상 최초로 결승전에서 테란이 프로토스를 상대로 우승하였다.
  • 이윤열의 우승으로 가을의 전설 법칙이 깨졌다.
  • 이윤열이 최초의 3회 우승자(골든 마우스 수상자)가 되었다.
  • 8강 투어 장소: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
  • 결승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3. 리그 BGM

'''오프닝''': Feature Cast - Channel Surfing

'''오프닝 멘트''': Chimaira - Painting the White to Gray

'''Today Match, 선수 소개, 경기 결과''': Mudvayne - Choice

'''Today Match Up''': 30 Seconds to mars - The Kill

'''최근 10경기''': Three Days Grace - Time Of Dying

'''경기 시작 전''': Alien Ant Farm - State Of Emergency

'''선수 테마곡''': (선수별 테마곡은 '참가 선수 및 테마곡' 목차에서 확인)

4. 참가 선수 및 테마곡

선수테마곡원곡
이병민You Raise Me Up웨스트라이프 - You Raise Me Up
이성은마린의 후회파인애플 - 마린의 후회 [Feat. 임요환&T1]
이윤열BlurryPuddle Of Mudd - Blurry
변은종It's My Life본 조비 - It's My Life
홍진호정상을 위한 독주 2주석 - 정상을 위한 독주 2
조용호Cum on Feel the NoizeQuiet Riot - Cum on Feel the Noize
박성준(MBC)My Way프랭크 시나트라 - My Way
김준영It's sinpet shop boys - It's sin
장육파라독스666 - 파라독스
박태민HolyNicole Nordeman - Holy
오영종벌써 일 년브라운 아이즈 - 벌써 일 년
염보성태양은 가득히(Red Sun)SM타운 - 태양은 가득히(Red Sun)
김택용Maybe I Love You걸프렌즈 - Maybe I Love You
이재호너에게 가는 길박상민 - 너에게 가는 길
고인규Sendoh vs RukawaSendoh vs Rukawa
박성훈FundamentumLesiem - Fundamentum
한동욱Fighter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Fighter


5. I-STATION 듀얼토너먼트

I-STATION 듀얼토너먼트는 각 조별로 4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쳐 2명의 선수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 방식은 각 조별로 1, 2경기와 승자전, 패자전, 최종전으로 구성되었다.

아래 표는 I-STATION 듀얼토너먼트의 경기 결과이다.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박성훈 승 - 최가람안상원 승 - 김남기 패안상원 승 - 박성훈 패최가람 승 - 김남기 패박성훈 승 - 최가람
B조김준영 승 - 박명수박지호 승 - 고인규김준영 승 - 박지호 패고인규 승 - 박명수고인규 승 - 박지호 패
C조이성은 승 - 임요환김택용 승 - 박영훈 패이성은 승 - 김택용임요환 승 - 박영훈 패김택용 승 - 임요환
D조서경종 승 - 강민전상욱 승 - 이윤열전상욱 승 - 서경종이윤열 승 - 강민이윤열 승 - 서경종
E조염보성 승 - 박재혁 패오영종 승 - 변길섭오영종 승 - 염보성박재혁 승 - 변길섭염보성 승 - 박재혁 패
F조이재황 승 - 이병민 패이유석 승 - 최연성이재황 승 - 이유석 패이병민 승 - 최연성이병민 승 - 이유석 패
G조안기효 승 - 박찬수 패이재호 승 - 김성제 패안기효 승 - 이재호 패박찬수 승 - 김성제 패이재호 승 - 박찬수 패
H조박태민 승 - 서기수진영수 승 - 박성준박태민 승 - 진영수박성준 승 - 서기수박성준 승 - 진영수
I조차재욱 승 - 김성진장육 승 - 송병구장육 승 - 차재욱송병구 승 - 김성진차재욱 승 - 송병구


5. 1. 예선 통과자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
안상원이재황오영종박재혁김성진박성훈김택용이유석진영수
J조K조L조M조N조O조P조Q조R조
이성은이윤열서기수장육서경종박찬수김준영고인규이재호


5. 2. 결과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박성훈 승 - 최가람안상원 승 - 김남기 패안상원 승 - 박성훈 패최가람 승 - 김남기 패박성훈 승 - 최가람
B조김준영 승 - 박명수박지호 승 - 고인규김준영 승 - 박지호 패고인규 승 - 박명수고인규 승 - 박지호 패
C조이성은 승 - 임요환김택용 승 - 박영훈 패이성은 승 - 김택용임요환 승 - 박영훈 패김택용 승 - 임요환
D조서경종 승 - 강민전상욱 승 - 이윤열전상욱 승 - 서경종이윤열 승 - 강민이윤열 승 - 서경종
E조염보성 승 - 박재혁 패오영종 승 - 변길섭오영종 승 - 염보성박재혁 승 - 변길섭염보성 승 - 박재혁 패
F조이재황 승 - 이병민 패이유석 승 - 최연성이재황 승 - 이유석 패이병민 승 - 최연성이병민 승 - 이유석 패
G조안기효 승 - 박찬수 패이재호 승 - 김성제 패안기효 승 - 이재호 패박찬수 승 - 김성제 패이재호 승 - 박찬수 패
H조박태민 승 - 서기수진영수 승 - 박성준박태민 승 - 진영수박성준 승 - 서기수박성준 승 - 진영수
I조차재욱 승 - 김성진장육 승 - 송병구장육 승 - 차재욱송병구 승 - 김성진차재욱 승 - 송병구


6. 24강

24강은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는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되었다. 선수들은 각 조에서 세 경기씩 치렀고, 각 조에서는 총 여섯 경기가 펼쳐졌다. 경기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자, 와일드카드전 진출자, 탈락자가 결정되었다.


  • 1승 2패를 기록한 선수가 3명일 경우, 1위는 16강, 2위는 와일드카드전, 3위는 탈락한다.
  • 1승 2패를 기록한 선수가 2명일 경우, 승자는 와일드카드전에 진출하고 패자는 탈락한다.

6. 1. 본경기

24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A조B조C조D조E조F조
한동욱0승 3패조용호1승 2패홍진호1승 2패변은종2승 1패박성준 (삼성)2승 1패변형태1승 2패
오영종2승 1패이재황1승 2패박성훈1승 2패안기효1승 2패장육1승 2패차재욱1승 2패
전상욱3승 0패김택용3승 0패안상원2승 1패고인규0승 3패이윤열3승 0패박태민2승 1패
박성준 (MBC)1승 2패이성은1승 2패이병민2승 1패염보성3승 0패이재호0승 3패김준영2승 1패


  • 3명이 1승 2패일 경우에는 1위는 16강, 2위는 와일드카드전, 3위는 탈락이 된다.
  • 2명이 1승 2패일 경우 승자는 와일드카드전, 패자는 탈락이 된다.


B조C조F조
조용호0승 2패홍진호1패변형태1승
이재황1승 1패박성훈1승차재욱1패
이성은2승 0패colspan="4" |


6. 2. 와일드카드전

각 조 3위끼리 대결하여 1조와 2조로 나누어 16강 진출자를 가리는 경기이다.

방식은 풀리그로, A, B, C조 3위는 1조, D, E, F조 3위는 2조로 나누어 진행한다.

1조2조
박성준 (MBC)2승 0패안기효1승 1패
이재황0승 2패장육0승 2패
박성훈1승 1패변형태2승 0패


7. 16강 대진표 및 결과

선수선수
이윤열2박성훈
박성준 (삼성)2박성준 (MBC)
김택용1이병민
안상원1안기효
김준영1오영종
염보성1박태민
이성은0변형태
전상욱2변은종



선수선수
이윤열2박성준 (삼성)
이병민2안기효
오영종2박태민
변형태1전상욱



선수선수
이윤열3이병민
오영종3전상욱



선수선수
이윤열3오영종



선수선수
이병민1전상욱



3, 4위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8. 최종 순위

순위선수
우승이윤열 (초대 골든마우스 수상)
준우승오영종
3위전상욱
4위이병민
5위박태민
6위박성준 (삼성)


9. 5, 6위 결정전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진행했으며, 승자전과 최종전 승자는 차기 리그 5, 6번 시드를 받는다. 패자와 최종전 패자는 듀얼토너먼트로 강등된다.

5, 6위 결정전 대진표
1라운드 (1, 2경기, 패자전)2라운드 (승자전, 최종전)3라운드 (5, 6위 시드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