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윤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윤열은 대한민국 프로게이머로, 특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2000년 데뷔하여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 KPGA(MSL의 전신) 3회 우승을 포함, 양대 개인리그 10회 결승 진출, 6회 우승, 4회 준우승을 기록하며 이영호와 함께 최고의 커리어를 가진 선수로 평가받는다. 2010년에는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하여 활동했으며, 2012년 은퇴 후에는 팀 매니저, 아프리카TV BJ, 게임 개발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 게이밍의 선수 - 박준 (프로게이머)
    대한민국의 워크래프트 3,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박준(Lyn)은 워크래프트 3에서 여러 팀에 소속되어 IEM, ESWC, 블리즈컨, WCG 등 주요 대회에서 우승하고 KeSPA e스포츠 대상 워크래프트3 부문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스타크래프트 II에서도 G-League Season 2 우승, GSL Code S 8강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 SK 게이밍의 선수 - 장민철
    장민철은 전 프로게이머이자 게임 해설자, 지도자로서,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활동하며 GSL에서 우승하고, 코치 및 감독, 해설위원, 강사로 활동했다.
  • 골든마우스 수상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골든마우스 수상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MSL 금배지 수상자 - 최연성
    최연성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MSL 3회 우승, 스타리그 2회 우승, WCG 2006 금메달 등의 우승 경력을 쌓았고 SK텔레콤 T1 코치 시절 혁신적인 빌드로 '빌드 깎는 노인'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으로 아프리카 프릭스 팀을 이끌어 2018년 롤드컵 8강에 진출한 전직 프로게이머이자 前 LoL 프로게임단 감독이다.
  • MSL 금배지 수상자 - 이영호 (1992년)
    이영호는 2007년 KT 롤스터에 입단하여 최연소 OSL 챔피언 기록을 세우고, 스타리그 3회 우승, MSL 3회 우승, WCG 금메달을 획득하며 e스포츠 사상 최초이자 최후의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자 현재는 아프리카TV BJ이다.
이윤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윤열, oGs 유니폼 착용.
이윤열, oGs 유니폼 착용.
이름이윤열
한자 표기李允烈
로마자 표기I Yun-yeol
출생일1984년 11월 20일
출생지경상북도 구미시
별명천재
수달
머신
벼닉스 (피닉스)
아재
선수 정보
종족테란
아이디NaDa
키보드삼성 DT-35(화이트)
마우스레이저 살모사
프로게이머 경력
포지션테란
게임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II
활동 시작알 수 없음
활동 종료2012년
소속 팀
2001–2002년Ideal Space
2002–2003년KT_MagicNs
2003–2005년Toona S.G
2005–2007년Pantech EX
2007–2010년WeMade FOX
2010–2012년Old Generations
2011–2012년SK Gaming
2012년compLexity Gaming
기타 정보
직업NaDa Digital CEO

2.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윤열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프로게이머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까지 활동하며 수많은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특히, 2002년부터 2006년까지는 '천재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전성기를 누렸다.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MSL(KPGA)을 석권하였다.

2006년에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2에서 우승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골든 마우스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그러나 2007년부터 마재윤에게 연패하며 슬럼프를 겪기도 했다. 이후 재기를 위해 노력했지만, 2010년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하기 전까지 뚜렷한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2. 1. 데뷔 및 초기 활동 (2000년 ~ 2001년)

이윤열은 2000년 iTV의 '고수를 이겨라'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최인규를 꺾으며 데뷔하였다. 이후 2001년 상반기, Game-i (이후 화승 OZ의 전신인 IS와 합병)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하였다.[6]

2001년 데뷔 후, 이윤열은 각종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당시 임요환의 뒤를 잇는 새로운 신예 테란으로 주목받았다. 2002년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iTV 랭킹전에서 임요환변길섭을 꺾고 2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KPGA (MSL의 전신)에서 3연속 우승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특히 2003년 초반에는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 GhemTV 3차 스타리그를 동시에 석권하면서 전무후무한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였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의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명결과
2001년매직스테이션배 네트워크 게임대회우승 (2:0 문규준)
2001년제2회 세계 청소년 문화축제 스타크래프트 게임대회1위
2001년iTV 한게임배 서바이벌 프로구단 리그1위
2001년한국통신 메가패스배 서바이벌 프로리그1위
2002년iTV 랭킹전 3차리그우승 (3:1 임요환)
2002년2002년 KPGA 투어 1차리그8강
2002년GhemTV 1차 스타리그3위
2002년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리그우승 (3:2 홍진호)
2002년iTV 랭킹전 4차리그우승 (3:0 변길섭)
2002년GhemTV 2차 스타리그8강
2002년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리그우승 (3:0 박정석)
2002년2002년 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리그우승 (3:2 조용호)
2002년KTF BIGI 4대천왕전준우승 (1:2 임요환)
2002년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3:0 조용호)
2003년KTEC배 2003 KPGA 위너스 챔피언십3위
2003년GhemTV 3차 스타리그우승 (3:0 강도경)
2003년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준우승 (0:3 홍진호)
2003년Ting배 KBC 파워게임쇼3위
2003년여수 사이버 게임체전 4대천왕전준우승 (0:1 홍진호)
2003년Olympus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년Stout MSL 2003준우승 (0:3 강민)
2003년핫브레이크배 온게임넷 마스터즈우승 (3:1 한웅렬)
2003년Mycube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년TG삼보 MSL 20033위
2003년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우승 게이머상
2003년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우승 (3:1 임요환)
2003년NHN한게임배 03~04 온게임넷 스타리그8강


2. 2. 전성기 (2002년 ~ 2006년)

2000년 iTV의 '고수를 이겨라' 프로그램에서 최인규를 꺾으며 데뷔했고, 2001년 상반기 Game-i(화승 OZ의 전신인 IS와 합병)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에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iTV 랭킹전에서 임요환변길섭을 꺾고 2연속 우승, KPGA(MSL의 전신)에서 3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03년 초에는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 GhemTV 3차 스타리그를 동시에 석권하는 전무후무한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6]

이후 Stout MSL에서 준우승하고 최연성의 등장으로 주춤했지만, 꾸준히 MSL 결승에 진출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2005년에는 IOPS 스타리그에서 박성준을 3:0으로 완파하고 우승했다. 2006년 11월 18일에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에서 우승하며 골든 마우스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골든 마우스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이윤열과 박성준, 이제동, 이영호만이 수상했다.

하지만 마재윤에게 엘리트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결승전, WEF 2006 결승전, CJ 슈퍼파이트 S3 결승전 등에서 패배했고, 2007년 2월 24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에서도 1:3으로 패배했다. 이후 신한은행 마스터즈에서 마재윤에게 3:1로 승리하며 복수했고, 08-09 시즌 클럽데이 MSL, 로스트사가 MSL에서 연속으로 시드를 획득하는 등 꾸준히 활약했다.

'''주요 대회 기록'''

연도대회명결과
2001년매직스테이션배 네트워크 게임대회우승 (2:0 문규준)
2001년제2회 세계 청소년 문화축제 스타크래프트 게임대회1위
2001년iTV 한게임배 서바이벌 프로구단 리그1위
2001년한국통신 메가패스배 서바이벌 프로리그1위
2002년iTV 랭킹전 3차리그우승 (3:1 임요환)
2002년2002년 KPGA 투어 1차리그8강
2002년GhemTV 1차 스타리그3위
2002년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리그우승 (3:2 홍진호)
2002년iTV 랭킹전 4차리그우승 (3:0 변길섭)
2002년GhemTV 2차 스타리그8강
2002년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리그우승 (3:0 박정석)
2002년2002년 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리그우승 (3:2 조용호)
2002년KTF BIGI 4대천왕전준우승 (1:2 임요환)
2002년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3:0 조용호)
2003년KTEC배 2003 KPGA 위너스 챔피언십3위
2003년GhemTV 3차 스타리그우승 (3:0 강도경)
2003년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준우승 (0:3 홍진호)
2003년Ting배 KBC 파워게임쇼3위
2003년여수 사이버 게임체전 4대천왕전준우승 (0:1 홍진호)
2003년Olympus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년Stout MSL 2003준우승 (0:3 강민)
2003년핫브레이크배 온게임넷 마스터즈우승 (3:1 한웅렬)
2003년Mycube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년TG삼보 MSL 20033위
2003년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우승 게이머상
2003년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우승 (3:1 임요환)
2003년NHN한게임배 03~04 온게임넷 스타리그8강
2004년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준우승 (2:3 최연성)
2004년Gillette 스타리그8강
2004년Spris MSL 200416강
2004년EVER 2004 스타리그8강
2004년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우승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2004년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3위
2004년당신은 골프왕 MSL 2004준우승 (2:4 박태민)
2005년IOPS 04~05 스타리그우승 (3:0 박성준)
2005년EVER 2005 스타리그16강
2005년우주닷컴 MSL 200516강
2005년스니커즈 올스타 리그준우승 (2:3 홍진호)
2005년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1:2 최연성)
2005년블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3위
2006년WWI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4강
2006년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개인전 다승왕
2006년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개인전 다승왕
2006년W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0:2)
2006년I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우승 (2:1 최연성)
2006년프링글스 MSL 시즌216강
2006년CJ 슈퍼파이트 S2우승 (3:0 박정석)
2006년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우승 (3:2 오영종)
2006년CJ 슈퍼파이트 S3준우승 (1:3 마재윤)
2006년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준우승 (1:3 마재윤)
2006년신한은행 마스터즈우승 (4강전 3:1 변형태, 결승전 3:1 마재윤)
2006년2006 대한민국 e-SPORTS 대상테란 최우수선수상
2007년곰TV MSL 시즌232강
2007년2007 다음 스타리그16강
2007년WWI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4강
2007년곰TV MSL 시즌332강
2007년EVER 스타리그 200716강
2008년곰TV MSL 시즌48강 (1:3 박성균)
2008년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16강
2008년EVER 스타리그 200816강
2008년아레나 MSL 200816강
2008년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36강
2008년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8강 (0:3 윤용태)
2008년블리즈컨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0:2)
2008년곰티비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64강 2라운드



2007년 12월, KeSPA 랭킹 1위를 탈환하며 2년 5개월 만에 1위 자리에 복귀했다. 2006년 2차 신한은행 스타리그 우승 인터뷰에서 "어머니가 관객으로 앉아 계신 가운데 결승에서 우승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하지만 이 승리를 아버지께 바칩니다."라며 아버지에게 승리를 헌정했다.[7] 이 우승으로 OSL 골든 마우스 트로피를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고, 당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가장 많은 업적을 이룬 선수가 되었다.

2. 3. 슬럼프와 재기 (2007년 ~ 2010년)

2007년 마재윤에게 엘리트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결승전, WEF 2006 결승전, CJ 슈퍼파이트 S3 결승전 등에서 패배하였고,[6] 2007년 2월 24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에서 1:3으로 패배하며 슬럼프가 시작되었다.[6] 이후 신한은행 마스터즈에서 마재윤에게 3:1로 승리하며 복수에 성공했고, 08-09 시즌 클럽데이 MSL, 로스트사가 MSL에서 연속으로 시드를 획득하며 꾸준히 활약했다. 하지만 이후 슬럼프가 다시 찾아왔고, 미니홈피에 쓴 글로 인해 은퇴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우승을 전후하여 다시 게임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였다.[6]

2008년 곰TV MSL 시즌4 8강에서 박성균에게 1:3으로 패배했고,[6]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8강에서는 윤용태에게 0:3으로 패배했다.[6] 2009년 로스트사가 MSL 2009 8강에서는 허영무에게 2:3으로 패배했다.[6]

2009년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재기에 성공하는 듯 했으나,[6] 이후 2010년까지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하고 슬럼프가 이어졌다. 2010년 소속팀과의 계약이 만료된 후, 이윤열은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할 의사를 밝혔다.[8]

3. 스타크래프트 II (2010년 ~ 2012년)

위메이드 FOX와 재계약을 하지 않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전향을 선언한 후,[15] oGs에 입단하여 Sony Ericsson STARCRAFT II OPEN Season 2 예선을 통과, 본선에 진출했다.[16] 64강과 32강에서 각각 조경준과 박종혁을 2:0으로 꺾고 16강에 진출, 이동녕을 상대로 2:1 역전승을 거두며 8강에 올랐다. 8강에서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라이벌이었던 '황제' 임요환을 만나 1세트를 따냈으나, 내리 2, 3, 4세트를 내주며 1:3으로 역전패했다.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에서는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으나, 이후 꾸준히 코드S에 진출하며 임재덕에 이어 두 번째로 장기간 코드S 진출 기록을 세웠다.

'''주요 스타크래프트 II 대회 성적 (2010년 ~ 2012년)'''

대회결과
2010년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8강
2010년 G-Star 2010 스타크래프트 II 올스타전16강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8강
2011년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8강
2011년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십16강
2011년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4강
2011년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16강
2011년 PEPSI GSL July Code S16강
2011년 PEPSI GSL Aug. Code S16강
2011년 MLG Raleigh4위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Oct. Code S32강
2011년 소니 에릭슨 GSL Nov. Code S32강
2011년 2011 MLG Pro Circuit Raleigh4위
2012년 핫식스 2012 GSL 시즌 1 Code S32강
2012년 핫식스 2012 GSL 시즌 2 Code S32강



2011년의 이윤열

4. 은퇴 및 이후 활동 (2012년 ~ 현재)

2012년 은퇴를 선언한 후, 이윤열은 프로게이머로서의 활동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분야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2012년 12월 25일 아주부 팀의 매니저로 영입되었으며, 2013년 7월 16일 상근 예비역으로 군 입대하여 2015년 4월 15일 전역했다.[2][3]

이후 아프리카tv BJ로 활동하며 팬들과 소통을 이어갔다. 2015년 11월 9일에는 일반인 여성과 결혼식을 올렸는데, 이 결혼식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출시 행사와 함께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진행되어 전 세계로 생중계되며 많은 축하를 받았다.[5] 2016년 2월 1일에는 아프리카tv 방송을 통해 5살 딸이 있음을 밝히기도 했다.[6]

이후 게임 개발자로 전향하여 현재 게임엔젤즈에서 게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4. 1. 은퇴와 팀 매니저 활동

2012년 6월 20일, 이윤열은 자신이 속한 팀인 컴플렉시티 게이밍 홈페이지를 통해 은퇴를 발표했다.[1] 은퇴 이유는 병역 문제와 개인적인 문제가 겹쳤기 때문이라고 밝혔다.[1] 2012년 7월 3일, tving 스타리그 2012 레전드 매치가 이윤열의 은퇴 전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1]

2012년 12월 25일, 이윤열은 아주부 팀의 매니저로 영입되었다.[2] 2013년 7월 16일에는 상근 예비역으로 군에 입대했다.[3] 경북 구미시 지역대에서 상근예비역으로 복무한 후, 2015년 4월 15일 전역하여 아프리카 BJ로 활동하기 시작했다.[3]

4. 2. 군 복무와 아프리카 BJ 활동

2012년 6월 20일 이윤열은 자신의 팀인 컴플렉시티 게이밍 홈페이지를 통해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사유는 병역 문제와 개인적인 문제가 겹쳤기 때문으로 알려졌으며, 2012년 7월 3일 tving 스타리그 2012 레전드 매치를 끝으로 은퇴하였다.[3]

2013년 7월 16일 상근 예비역으로 군에 입대하였으며,[4]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시지역대에서 상근예비역으로 복무하다 2015년 4월 15일 전역 후 아프리카 BJ로 활동하고 있다.[4]

2015년 11월 9일에는 일반인 여성과 결혼식을 올렸다. 이 결혼식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출시 행사와 함께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진행되어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고, 많은 팬들의 축하를 받았다.[5]

2016년 2월 1일에는 아프리카tv 방송을 통해 5살 딸이 있음을 밝혔다. 늦게 밝힌 이유는 딸이 있음을 알리는 적절한 시기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6]

4. 3. 결혼과 개인사

2015년 11월 9일, 이윤열은 일반인 여성과 결혼하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주최한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출시 행사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이 결혼식은 전 세계로 생중계되어 많은 팬들의 축하를 받았다.[14]

2016년 2월 1일 자정 경, 이윤열은 아프리카tv 방송을 통해 자신에게 5살짜리 딸이 있음을 밝혔다. 그는 딸의 존재를 늦게 밝힌 이유에 대해 알릴 시점을 잡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이윤열은 게임엔젤즈에서 게임 개발자로 활동하고 있다.

4. 4. 게임 개발자 전향

NaDa Digital영어을 설립하여 게임 개발자로 전향했다. 2017년, NGEL Games에서 ''스타크래프트'' 모드인 ''Random Tower Defense''를 각색한 ''Project RTD: Random Tower Defense'' 개발을 도왔다.[13] 2020년 ''Project RTD'' 출시 후, 자신의 스튜디오인 NaDa Digital영어을 설립, 첫 타이틀인 ''Mafia 3D''를 출시했다.[13]

5. 주요 기록

이윤열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 KPGA(MSL의 전신) 3회 우승 등 이영호와 함께 가장 화려한 커리어를 가진 프로게이머이다. 양대 개인리그 10회 결승 진출, 6회 우승과 4회 준우승을 기록했다.[17]

'''스타크래프트1 최종 전적 (10.08.14 기준)'''

경기승-패승률
대 테란319195–12461.1%
대 저그477299–17862.7%
대 프로토스361214–14759.3%
총합1157708–41261.2%



연도대회명결과
2001매직스테이션배 네트워크 게임대회우승
2001제2회 세계 청소년 문화축제 스타크래프트 게임대회1위
2001iTV 한게임배 서바이벌 프로구단 리그1위
2001한국통신 메가패스배 서바이벌 프로리그1위
2002iTV 랭킹전 3차리그우승 (3:1 임요환)
20022002년 KPGA 투어 1차리그8강
2002GhemTV 1차 스타리그3위
2002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리그우승 (3:2 홍진호)
2002iTV 랭킹전 4차리그우승 (3:0 변길섭)
2002GhemTV 2차 스타리그8강
20022002년 펩시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리그우승 (3:0 박정석)
20022002년 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리그우승 (3:2 조용호)
2002KTF BIGI 4대천왕전준우승 (1:2 임요환)
2002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3:0 조용호)
2003KTEC배 2003 KPGA 위너스 챔피언십3위
2003GhemTV 3차 스타리그우승 (3:0 강도경)
2003벼룩시장 FindAll배 GhemTV 챌린저 오픈준우승 (0:3 홍진호)
2003Ting배 KBC 파워게임쇼3위
2003여수 사이버 게임체전 4대천왕전준우승 (0:1 홍진호)
2003Olympus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Stout MSL 2003준우승 (0:3 강민)
2003핫브레이크배 온게임넷 마스터즈우승 (3:1 한웅렬)
2003Mycube배 2003 온게임넷 스타리그16강
2003TG삼보 MSL 20033위
2003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우승 게이머상
2003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우승 (3:1 임요환)
2003NHN한게임배 03~04 온게임넷 스타리그8강
2004하나포스 센게임 MSL 2004준우승 (2:3 최연성)
2004Gillette 스타리그8강
2004Spris MSL 200416강
2004EVER 2004 스타리그8강
2004SKY 프로리그 2004 2라운드우승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2004KT-KTF 프리미어 리그 20043위
2004당신은 골프왕 MSL 2004준우승 (2:4 박태민)
2005IOPS 04~05 스타리그우승 (3:0 박성준)
2005EVER 2005 스타리그16강
2005우주닷컴 MSL 200516강
2005스니커즈 올스타 리그준우승 (2:3 홍진호)
2005CKCG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1:2 최연성)
2005블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3위
2006WWI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4강
2006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개인전 다승왕
2006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개인전 다승왕
2006W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0:2)
2006IEF 2006 스타크래프트 부문우승 (2:1 최연성)
2006프링글스 MSL 시즌216강
2006CJ 슈퍼파이트 S2우승 (3:0 박정석)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우승 (3:2 오영종)
2006CJ 슈퍼파이트 S3준우승 (1:3 마재윤)
2006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준우승 (1:3 마재윤)
2006신한은행 마스터즈우승 (4강전 3:1 변형태, 결승전 3:1 마재윤)
20062006 대한민국 e-SPORTS 대상테란 최우수선수상
2007곰TV MSL 시즌232강
20072007 다음 스타리그16강
2007WWI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4강
2007곰TV MSL 시즌332강
2007EVER 스타리그 200716강
2008곰TV MSL 시즌48강 (1:3 박성균)
2008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16강
2008EVER 스타리그 200816강
2008아레나 MSL 200816강
2008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36강
2008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8강 (0:3 윤용태)
2008블리즈컨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0:2)
2008곰티비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64강 2라운드
2009로스트사가 MSL 20098강 (2:3 허영무)
2009아발론 온라인 MSL 200932강
2009e스타즈 서울 2009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준우승 (1:2)
2009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4위
2009곰티비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64강
2009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우승 (3:1 홍진호)
2012e스포츠 명예의 전당헌액


  • 최초의 단일대회 3회 연속 우승 (2002 KPGA 2차/3차/4차리그, 2002~2003년)
  • '''유일무이한 단일시즌 3대 개인리그(온게임넷 스타리그, KPGA, GhemTV 스타리그) 동시 제패''' (2003년)
  • 온게임넷 스타리그 최초의 3회 우승 및 최초의 골든 마우스 수상 (2006년 11월 18일)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중 최초로 공식전 500경기 출전 (2007년 8월 3일)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중 최초로 비공식전 포함 1000경기 출전 (2008년 6월 14일)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중 비공식 포함 최다전 최다승 기록
  •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중 양대리그 본선 최다 진출 선수
  • MBC게임 공식전 출전 200경기 돌파 (2008년 11월 8일)
  • 프로게이머 최초 골든 마우스와 금배지 동시 소유자
  • 프로리그 통산 12번째로 100승을 기록한 선수(2010년 6월 26일)
  •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 (스타리그 본선 14회, MSL 본선 18회 진출)

5. 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이윤열은 아마추어 선수 시절, ITV 게임 특별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Chrh 선수를 꺾으며 이름을 알렸다.[6] 이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2002년 한 해 동안 3번의 KPGA 투어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이뤘다. KPGA 투어가 MSL로 변경된 후에도, 이윤열은 이전 KPGA 투어 우승 경력을 인정받아 MSL 3회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골든 배지를 획득하였다. 또한, 파나소닉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도 우승하며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슬럼프를 겪기도 했지만, 꾸준한 활약으로 여러 리그와 토너먼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2004년 또는 2005년 IOPS 온게임넷 스타리그 전까지는 MSL이나 OSL에서 우승하지 못했지만, 2005년 7월 18일, 이윤열의 부친이 음주 운전자의 불법 유턴으로 인한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아픔을 겪었다.[7]

프로게이머로 복귀한 이윤열은 다시 정상에 오르기 시작했다. 2007년 12월에는 KeSPA 랭킹 1위를 탈환했는데, 이는 2004년 7월 이후 2년 5개월 만의 쾌거였다. 특히, 2006년 2차 신한은행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고, 우승 인터뷰에서 "어머니가 관객으로 앉아 계신 가운데 결승에서 우승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하지만 이 승리를 아버지께 바칩니다. 아버지는 함께하지 못했지만요. 지금부터 어머니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며 아버지에게 승리를 헌정했다.[7] 이 우승으로 이윤열은 OSL 골든 마우스 트로피를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으며, 통산 6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하며 당시 ''스타크래프트'' 역사상 가장 많은 업적을 이룬 선수가 되었다.

2007년, 이윤열은 위메이드 폭스와 약 69만달러 규모의 3년 계약을 체결했다.[8] 2010년 계약 만료 후, ''스타크래프트 II''로 완전히 전향할 의사를 밝혔고, ''스타크래프트''에서 은퇴할 때까지 이영호와 함께 가장 많은 업적을 기록한 선수로 남았다.

다음은 이윤열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기록한 주요 수상 내역이다.

연도대회명결과
2001–2002iTV 랭킹 3차 리그우승
2001매직스테이션 네트워크 게임 토너먼트우승
20021st 겜TV 스타리그3위
2002iTV 랭킹 4차 리그우승
2002리복 KPGA 투어 2차 리그우승
2002펩시 트위스트 KPGA 투어 3차 리그우승
2002배스킨라빈스 KPGA 투어 4차 리그우승
2002–2003파나소닉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20031st 겜TV 스타리그우승
2003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3위
2003KTF 비기 4대천왕 배틀준우승
2003겜TV 파인드올 챌린저 오픈 스타리그준우승
2003팅 KBC 슈퍼 게임 쇼 토너먼트3위
2003스카우트 MBC게임 스타리그준우승
2003핫브레이크 온게임넷 마스터즈우승
20032nd TGSambo (트라이젬) MBC게임 스타리그3위
2004KT-KTF 프리미어 리그 통합 챔피언십우승
2004유 아 더 골프 킹 MBC게임 스타리그준우승
2004하나FOS CEN 게임 MBC게임 스타리그준우승
2004KT-KTF 프리미어 리그3위
2004–2005IOPS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2005스니커즈 올스타 리그준우승
20062nd 신한은행 온게임넷 스타리그우승
2006–20073rd 신한은행 온게임넷 스타리그준우승
2007신한은행 온게임넷 마스터즈우승
2009e-Stars 서울 스타크래프트 헤리티지 리그준우승


5. 2. 스타크래프트 II

이윤열은 2010년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8강, G-Star 2010 스타크래프트 II 올스타전 16강에 진출했다. 2011년에는 소니 에릭슨 GSL Jan. Code S 8강,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Code S 8강, LG 시네마 3D GSL 월드 챔피언십 16강,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S 4강,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16강, PEPSI GSL July Code S 16강, PEPSI GSL Aug. Code S 16강, MLG Raleigh 4위, 소니 에릭슨 GSL Oct. Code S 32강, 소니 에릭슨 GSL Nov. Code S 32강, 2011 MLG Pro Circuit Raleigh 4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는 핫식스 2012 GSL 시즌 1 Code S 32강, 핫식스 2012 GSL 시즌 2 Code S 32강에 진출했다.

참조

[1] 뉴스 NaDa moves to StarCraft II http://www.sk-gaming[...] SK Gaming 2010-09-17
[2] 뉴스 NaDa – The Genius Terran http://steelseries.c[...] SteelSeries 2011-10-12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e-sports[...] 2010-10-04
[4] 웹사이트 compLexity Welcome NaDa http://www.complexit[...] 2012-03-18
[5] 웹사이트 compLexity NaDa Announces Retirement http://www.complexit[...] 2012-08-23
[6] 웹사이트 CHRH(Progamer) vs Nada(When {{sic|Ama|ture|hide=y}}) http://www.teamliqui[...]
[7] 웹사이트 Letter to the Sky (Nada) http://www.teamliqui[...]
[8] 간행물 Sex, Fame and PC Baangs: How the Orient plays host to PC gaming's strangest culture http://rossignol.cre[...] 2005-04-01
[9] 웹사이트 "[GSL] : Code S ro8: Day 2" http://www.teamliqui[...]
[10] 뉴스 SK acquires MC and NaDa in oGs deal http://www.sk-gaming[...] SK Gaming 2011-07-15
[11] 웹사이트 compLexity Welcomes NaDa http://www.complexit[...] 2012-03-18
[12] 웹사이트 NaDa opens online store. http://www.teamliqui[...]
[13] 간행물 Ex-StarCraft player becomes game startup CEO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0-09-17
[14] 웹사이트 Blizzard Held a StarCraft Wedding in South Korea http://kotaku.com/bl[...] 2015-11-09
[15] 뉴스 스타 '천재테란' 이윤열 스타2 전향 선언 http://www.hkn24.com[...] 이슈프리즘 깜뉴스 2010-10-17
[16] 뉴스 임요환·이윤열, GSL 오픈 시즌 2 본선 진출! http://www.eto.co.kr[...] 경제투데이 2010-10-17
[17] 문서 스타리그 3회 우승, 1회 준우승. MSL 3회 우승, 3회 준우승.
[18] 뉴스 럭비ㆍ권투보다 e게임이 좋아 https://news.naver.c[...] 디지털타임스 2004-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