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꼬리표문쥐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꼬리표문쥐치는 쥐치돔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1835년 아실 발랑시엔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유니콘 피시'로도 불리며, 성어가 되면 푸른색 몸과 녹색 입술을 가지며, 꼬리에 실꼬리 모양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도양과 태평양의 산호초 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며, 해조류를 먹는 잡식성이다. 최대 60cm까지 성장하며, 수족관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5년 기재된 물고기 - 철갑상어
    중국철갑상어는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대형 회유성 어류로, 뾰족한 주둥이와 아래쪽 입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중국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고 과거 진미로 여겨졌으며 한반도와 일본에서도 발견된다.
  • 1835년 기재된 물고기 - 쥐돔
    쥐돔은 쥐돔과에 속하는 어류로, 짙은 갈색 몸에 쥐치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최대 50cm까지 성장하고, 일본, 타이완, 한반도 남부 연안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양배추를 먹여 비린내를 제거하여 상품화되기도 한다.
  • 양쥐돔목 - 깃대돔
    깃대돔은 양쥐돔목 깃대돔과에 속하며, 인도양과 태평양의 암초 지역에 분포하고 최대 23cm까지 성장하며, 납작한 몸과 튜브 모양의 주둥이, 검은색 띠를 특징으로 하는 잡식성 물고기이다.
  • 양쥐돔목 - 마타양쥐돔
    마타양쥐돔은 인도-태평양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몸 색깔을 바꾸는 특징을 가진 최대 50cm까지 자라는 잡식성 양쥐돔과 물고기이다.
  • 양쥐돔과 - 마타양쥐돔
    마타양쥐돔은 인도-태평양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몸 색깔을 바꾸는 특징을 가진 최대 50cm까지 자라는 잡식성 양쥐돔과 물고기이다.
  • 양쥐돔과 - 제주표문쥐치
    제주표문쥐치는 주황색 입술과 꼬리 가시, 검은색 얼굴 가리개를 가진 쥐치목 쥐치과 어류로, 최대 45cm까지 성장하며 해조류를 섭취하고 관상어 및 식용으로 이용된다.
실꼬리표문쥐치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몰디브에 서식하는 성체
몰디브에 서식하는 성체
보존 상태관심 필요 (LC)
학명Naso vlamingii
명명자(발렌시엔, 1835)
이명Naseus vlamingii 발렌시엔, 1835
영명Bignose unicornfish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스즈키목
니자이대과
테구하키속
사자나미토사카하기 (Naso vlamingii)
기타
일반명사자나미토사카하기
학명(카타카나)サザナミトサカハギ
학명(한글)실꼬리표문쥐치

2. 분류 및 명칭

''실꼬리표문쥐치''는 1835년 프랑스의 동물학자 아실 발랑시엔에 의해 ''Naseus vlamingii''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모식 산지는 인도네시아의 말루쿠 제도로 지정되었다.[3] 이 종은 ''Naso'' 속의 명명 아속으로 분류된다.[4] 속 ''Naso''는 쥐치돔과에 속하는 아과 Nasinae의 유일한 속이다.[5]

종소명은 본 종의 표본을 수집한 네덜란드의 탐험가인 코르넬리스 드 블라밍(Cornelis de Vlamingh)에게 바치는 헌사이다.[11]

2. 1. 어원

종명 ''Naso vlamingii''은 네덜란드 탐험가이자 제독인 코르넬리스 데 플라밍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그는 동물 표본을 수집하고 국립 자연사 박물관을 위해 물고기 그림을 그렸으며, 아실 발랑시엔은 플라밍의 그림 중 하나를 토대로 이 종에 대한 설명을 했다.[2] 1835년에 아실 발랑시엔에 의해 ''Naseus vlamingii''로 기재되었으며, 모식지는 몰루카 제도였다. 종소명은 본 종의 표본을 수집한 코르넬리스 드 블라밍(Cornelis de Vlamingh)에게 바치는 헌사이다.[11]

3. 형태 및 특징

실꼬리표문쥐치는 '''유니콘 피시'''라고도 불릴만큼 유니콘을 닮은 아름다운 물고기이다. 어릴 때는 흰색이었다가 성어가 되면 몸은 푸른색, 입술은 녹색으로 변한다. 눈에서 꼬리까지 푸른색 띠가 있고, 몸 측면, 등, 항문, 배지느러미에 아름다운 반점과 줄무늬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인데, 제1 등지느러미는 매우 길다.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 부근에도 아름다운 얼룩무늬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뭉툭한 삼각형이지만, 최상단과 최하단에 실꼬리 모양 돌기가 있어 현재의 이름이 붙여졌다. 자거나 놀랐을 때는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크레타수족관의 ''Naso vlamingii''


''Naso vlamingii''는 등지느러미는 6개의 가시와 26~27개의 연조로, 뒷지느러미는 2개의 가시와 27~29개의 연조로 이루어져 있다. 체고는 높고, 체장은 아성체에서 체고의 2.2배, 성체에서 2.6배이다. 주둥이가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미병부에 2개의 골질판이 있다. 성어는 꼬리지느러미 양 끝이 실처럼 늘어진다. 성어의 전체적인 색상은 회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머리와 윗면에는 작은 짙은 파란색 반점이 있고 빠르게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반점들은 아랫면에서 줄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진다. 눈에서 덩굴 모양 돌기 앞쪽으로 넓은 파란색 띠가 뻗어 있다. 입술은 파란색이고,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뒤쪽에 불규칙한 파란색 반점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기저부는 파란색, 가운데는 회색이며 불분명한 노란색 가장자리와 엽의 파란색 바깥쪽 가장자리가 있으며, 이는 필라멘트까지 이어진다. 이 종은 구애를 하거나 청소소에서 청소어와 소통할 때 파란색 표시의 색상 강도가 선명한 파란색으로 증가할 수 있다.[6] 체장은 60cm이다.[14]

먹이로는 주로 해조류를 먹지만, 새우와 같은 갑각류도 먹는 잡식성이다. 바닷물고기로서 아름다워 관상어로도 쓰이며 아쿠아리움에서도 볼 수 있다.

3. 1. 성어의 특징

실꼬리표문쥐치는 '''유니콘 피시'''라고도 불릴만큼 유니콘을 닮은 아름다운 물고기이다. 어릴 때는 흰색이었다가 성어가 되면 몸은 푸른색, 입술은 녹색으로 변한다. 눈에서 꼬리까지 푸른색 띠가 있고, 몸 측면, 등, 항문, 배지느러미에 아름다운 반점과 줄무늬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인데, 제1 등지느러미는 매우 길다.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 부근에도 아름다운 얼룩무늬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뭉툭한 삼각형이지만, 최상단과 최하단에 실꼬리 모양 돌기가 있어 현재의 이름이 붙여졌다.[6] 자거나 놀랐을 때는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성어는 회갈색 또는 적갈색 바탕에 머리와 윗면에 작은 짙은 파란색 반점이 있다. 이 반점들은 아랫면에서 줄무늬를 형성한다. 눈에서 덩굴 모양 돌기 앞쪽으로 넓은 파란색 띠가 뻗어 있고, 입술은 파란색이다.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뒤쪽에는 불규칙한 파란색 반점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기저부는 파란색, 가운데는 회색이며 불분명한 노란색 가장자리와 엽의 파란색 바깥쪽 가장자리가 있고, 필라멘트까지 이어진다. 구애를 하거나 청소어와 소통할 때 파란색 표시가 선명해진다.[6]

등지느러미는 6개의 가시와 26~27개의 부드러운 지느러미 줄기로, 뒷지느러미는 2개의 가시와 27~29개의 부드러운 지느러미 줄기로 지지된다. 몸 깊이가 깊고, 표준 길이는 몸 깊이의 2.2배(준성어)에서 2.6배(성어)이다. 주둥이 위 머리에서 뚜렷한 덩굴 모양의 돌기가 자란다. 미병의 각 측면에는 두 개의 뼈판이 있으며, 앞쪽을 가리키는 가시가 있는 용골이 있다. 성어는 꼬리지느러미 엽의 끝에서 긴 필라멘트를 발달시킨다.[6] 최대 길이는 60cm이다.[2]

주로 해조류를 먹지만, 새우와 같은 갑각류도 먹는 잡식성이다. 바닷물고기로서 아름다워 관상어로도 쓰이며 아쿠아리움에서도 볼 수 있다.

3. 2. 색상 변화

실꼬리표문쥐치는 유니콘과 닮은 점이 많아 '''유니콘 피시'''라고도 불린다.[13] 어릴 때는 흰색의 몸을 하고 있지만 성장하면서 몸은 푸른색, 입술은 녹색으로 변한다. 눈에서 꼬리까지 푸른색 띠가 있으며, 성어는 등쪽, 항문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몸 측면에 아름다운 반점과 줄무늬를 가진다.[13] 등지느러미는 2개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등지느러미가 매우 길게 솟구쳐 있다.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 부근에도 아름다운 얼룩무늬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삼각형 모양으로 뭉툭하지만 최상단과 최하단에 실꼬리 모양의 돌기가 있어 실꼬리표문쥐치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자고 있거나 놀랐을 때는 푸른색에서 짙은 갈색으로 변색된다.[13]

체색은 회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머리와 체측 상부에는 작은 짙은 청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체측 하부에는 줄무늬가 나타난다. 눈에서 주둥이의 돌출부까지 푸른 띠가 들어간다. 입술은 파랗고, 아래는 청흑색이다. 가슴지느러미 기부 후방에 불규칙한 푸른 반점이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기부가 청색, 중앙이 회색이고 가장자리가 황색이며, 상연은 청색이다. 구애 행동을 하거나 청소놀래기에게 청소를 받을 때는 무늬와 체색이 선명해진다.[13]

4. 분포 및 서식지

실꼬리표문쥐치의 주된 서식지는 동아프리카 연안의 인도양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며 폴리네시아, 투아모투 제도, 일본 남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서식한다.[1] 산호초로 우거진 일대나 해조류가 많은 암초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Naso vlamingii''는 동쪽의 아프리카 케냐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해안에서부터 인도양의 섬들을 거쳐 안다만 해, 인도네시아를 지나 태평양에 이르기까지 넓은 인도-태평양 분포를 보인다. 하지만 대륙 남부 아시아 해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1] 태평양에서는 북쪽으로는 남부 일본, 동쪽으로는 갈라파고스 제도, 남쪽으로는 뉴칼레도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한다.[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여러 섬과 암초, 북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앞바다, 태즈먼 해의 로드 하우 섬 주변 해역에서도 발견된다. 큰코유니콘피시는 깊은 석호와 바다쪽 암초에서 발견되며, 종종 깊은 경사면과 단구의 높은 지역 주변에서 동물 플랑크톤을 먹는 군집을 이룬다.[7]

인도-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며, 분포 지역은 인도양에서는 케냐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아프리카 동해안에서 인도양의 섬들까지 뻗어 있다. 태평양에서는 북쪽은 남일본, 동쪽은 갈라파고스 제도, 남쪽은 뉴칼레도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한다.[10]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북부에서 뉴사우스웨일스주시드니 앞바다까지, 그리고 태즈먼 해의 로드 하우 섬 주변에서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와카야마현, 니가타현, 이와테현 및 야쿠시마 이남의 류큐 열도에 서식한다.[12]

4. 1. 주요 서식지

실꼬리표문쥐치는 동아프리카 연안의 인도양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며 폴리네시아, 투아모투 제도, 일본 남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서식한다.[1] 산호초로 우거진 일대나 해조류가 많은 암초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인도-태평양에 널리 분포하며, 인도양에서는 케냐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아프리카 동해안에서 인도양의 섬들까지 뻗어 있다.[10] 태평양에서는 북쪽은 남일본, 동쪽은 갈라파고스 제도, 남쪽은 뉴칼레도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한다.[1][10]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북부에서 뉴사우스웨일스주시드니 앞바다까지, 그리고 태즈먼 해의 로드 하우 섬 주변에서 발견된다.[12]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와카야마현, 니가타현, 이와테현 및 야쿠시마 이남의 류큐 열도에 서식한다.[12]

4. 2. 서식 환경

실꼬리표문쥐치는 동아프리카 연안의 인도양태평양에 주로 서식하며 폴리네시아, 투아모투 제도, 일본 남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서식한다.[1] 산호초로 우거진 일대나 해조류가 많은 암초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의 어류이다. 동물 플랑크톤을 먹는 군집을 이룬다.[7]

''Naso vlamingii''는 동쪽의 아프리카 케냐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이의 해안에서부터 인도양의 섬들을 거쳐 안다만 해, 인도네시아를 지나 태평양에 이르기까지 넓은 인도-태평양 분포를 보인다.[1] 하지만 대륙 남부 아시아 해역에는 서식하지 않는다. 태평양에서는 북쪽으로는 남부 일본, 동쪽으로는 갈라파고스 제도, 남쪽으로는 뉴칼레도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분포한다.[1]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여러 섬과 암초, 북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앞바다, 태즈먼 해의 로드 하우 섬 주변 해역에서도 발견된다.[7]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 이즈 제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와카야마현, 니가타현, 이와테현 및 야쿠시마 이남의 류큐 열도에 서식한다.[12]

5. 생태

실꼬리표문쥐치는 매우 아름다운 색을 가지고 있는 물고기로서 유니콘과 닮은 점이 많아 '''유니콘 피시'''라고도 불린다. 어릴 때의 유어는 흰색의 몸을 하고 있지만 청소년기를 거쳐 성어가 되어가면 몸의 색이 푸른색으로 변하고 입술은 녹색으로 변하게 된다. 눈에서 꼬까지는 푸른색의 띠를 가지고 있으며 성어에게는 키가 큰 등쪽, 항문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몸의 측면엔 아름다운 반점과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 또한 등지느러미도 2개를 가지고 있으며 제1이 등지느러미가 매우 길게 솟구쳐 있다. 아가미와 가슴지느러미의 부근에도 아름다운 얼룩의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삼각형의 모양으로 뭉특하지만 꼬리지느러미의 최상단과 최하단엔 실꼬리의 모양이 되는 돌기를 가지고 있어 이것을 보고 실꼬리표문쥐치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자고 있거나 몹시 놀라서 경악했을 때에 푸른색에서 짙은 갈색으로 변색이 되는 물고기이다.

어린 개체
실꼬리표문쥐치는 사육 환경에서 최대 40년까지 살 수 있다.[8] 암컷이 여러 차례 알을 방출한 후, 알은 외부 수정된다. 산란은 일반적으로 많은 개체가 모여 알과 정자를 동시에 방출하는 집단에서 발생한다.[9] 이들은 평생 동안 먹이 섭취 패턴을 바꾼다. 어린 개체는 초식동물로 주로 해조류를 먹고, 반성체는 잡식동물이며, 성체는 주로 육식동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사냥한다. 어릴 때는 외형이 유사하여 ''Naso lopezi''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8]

먹이로는 주로 해조류라는 바다식물을 주로 먹는 초식성을 많이 하지만 새우와 같은 갑각류도 잘먹는 초식성을 위주로 하는 잡식성의 어류이다. 바닷물고기로서 매우 아름다워서 관상어로도 쓰이며 아쿠아리움에서도 만날 수가 있는 물고기이다. 깊은 석호나 바다쪽 산호초에 서식한다. 무리를 지어 동물 플랑크톤을 먹는다[15], 잡식성 종이다[11], 큰 눈 바라쿠다, 바라쿠다, 무태거 등 육식 어류의 무리 사이를 밤에 헤엄치며 이들 물고기의 배설물을 먹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11]。 대형 눈퉁돔 (''Sphyraena forsteri'') 및 검은 지느러미 바라쿠다 (''S. queni'')와 큰 눈 자리돔 (''Caranx sexfasciatus'')과 같은 포식성 어류 무리 사이에서 밤에 헤엄치며 이 물고기들의 배설물을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5. 1. 먹이

실꼬리표문쥐치는 주로 해조류를 먹는 초식성이지만 새우와 같은 갑각류도 잘 먹는 잡식성 어류이다. 어린 개체는 초식동물로 주로 해조류를 먹고, 반성체는 잡식동물이며, 성체는 주로 육식동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사냥한다.[8] 큰 눈 자리돔 (''Caranx sexfasciatus'')과 같은 포식성 어류 무리 사이에서 밤에 헤엄치며 이 물고기들의 배설물을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잡식성 종이며[11], 큰 눈 바라쿠다, 바라쿠다, 무태거 등 육식 어류의 무리 사이를 밤에 헤엄치며 이들 물고기의 배설물을 먹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11]

5. 2. 번식

실꼬리표문쥐치는 사육 환경에서 최대 40년까지 살 수 있다.[8] 암컷이 여러 차례 알을 방출한 후, 알은 외부 수정된다. 산란은 일반적으로 많은 개체가 모여 알과 정자를 동시에 방출하는 집단에서 발생한다.[9] 이들은 평생 동안 먹이 섭취 패턴을 바꾸는데, 어린 개체는 초식동물로 주로 해조류를 먹고, 반성체는 잡식동물이며, 성체는 주로 육식동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사냥한다.[8]

깊은 석호나 바다쪽 산호초에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동물 플랑크톤을 먹는다[15], 잡식성 종이다[11], 큰 눈 바라쿠다, 바라쿠다, 무태거 등 육식어 무리 사이를 밤에 헤엄치며 이들 물고기의 배설물을 먹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11]。대형 눈퉁돔 (''Sphyraena forsteri'') 및 검은 지느러미 바라쿠다 (''S. queni'')와 큰 눈 자리돔 (''Caranx sexfasciatus'')과 같은 포식성 어류 무리 사이에서 밤에 헤엄치며 이 물고기들의 배설물을 먹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5. 3. 수명

실꼬리표문쥐치는 사육 환경에서 최대 40년까지 살 수 있다.[8] 암컷이 여러 차례 알을 방출한 후, 알은 외부 수정된다. 산란은 일반적으로 많은 개체가 모여 알과 정자를 동시에 방출하는 집단에서 발생한다.[9] 이들은 평생 동안 먹이 섭취 패턴을 바꾼다. 어린 개체는 초식동물로 주로 해조류를 먹고, 반성체는 잡식동물이며, 성체는 주로 육식동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사냥한다. 어릴 때는 외형이 유사하여 ''Naso lopezi''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8] 대형 눈퉁돔 (''Sphyraena forsteri'') 및 검은 지느러미 바라쿠다 (''S. queni'')와 큰 눈 자리돔 (''Caranx sexfasciatus'')과 같은 포식성 어류 무리 사이에서 밤에 헤엄치며 이 물고기들의 배설물을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깊은 석호나 바다쪽 산호초에 서식하며 무리를 지어 동물 플랑크톤을 먹고[15], 잡식성 종이며[11], 큰 눈 바라쿠다, 바라쿠다, 무태거 등 육식 어류의 무리 사이를 밤에 헤엄치며 이들 물고기의 배설물을 먹는 것이 관찰되고 있다[11]

6. 이용

실꼬리표문쥐치는 일부 지역에서 자급어업의 대상이 되며, 수족관 거래를 위해 가끔 포획되기도 한다.[2] 오키나와현에서는 몰이 어업이나 자망 등으로 어획되어 식용으로 이용되며, 수족관에서도 사육된다.[11]

참조

[1] 간행물 "''Naso vlamingii''" 2012
[2] FishBase
[3] Cof genus 2023-07-31
[4] 웹사이트 Order ACANTHURIFORMES (part 2): Families EPHIPPIDAE, LEIOGNATHIDAE, SCATOPHAGIDAE, ANTIGONIIDAE, SIGANIDAE, CAPROIDAE, LUVARIDAE, ZANCLIDAE and ACANTHU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1-12
[5] 서적 Fishes of the World Wiley
[6] 서적 Coastal Fishe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https://saiab.ac.za/[...] South African Institute for Aquatic Biodiversity 2023-07-17
[7] 웹사이트 "''Naso vlamingii''"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2023-07-31
[8] 웹사이트 Naso vlamingii https://www.reeflex.[...] 2024-09-15
[9] 웹사이트 Reproduction Summary - Naso vlamingii https://fishbase.mnh[...] 2024-09-15
[10] 간행물 "''Naso vlamingii''" 2012
[11] 웹사이트 Order ACANTHURIFORMES (part 2): Families EPHIPPIDAE, LEIOGNATHIDAE, SCATOPHAGIDAE, ANTIGONIIDAE, SIGANIDAE, CAPROIDAE, LUVARIDAE, ZANCLIDAE and ACANTHURIDAE https://etyfish.org/[...]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21-01-12
[12] 논문 岩手県宮古市から得られたニザダイ科サザナミトサカハギの北限記録 https://doi.org/10.3[...] 2021
[13] 서적 Coastal Fishe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https://saiab.ac.za/[...] South African Institute for Aquatic Biodiversity 2024-01-25
[14] FishBase
[15] 웹사이트 "''Naso vlamingii''" https://fishesofaust[...] Museums Victoria 2024-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