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바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바섬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섬으로, 많은 해변과 만을 가지고 있다. 주요 해변으로는 소토리슈체와 찰리치가 있으며, 섬 밖에는 도보로 접근 가능한 벨레 스테네, 포르트 스브. 안테, 도브레 보데, 노즈드레 등의 만이 있다. 실바섬은 북쪽 해안이 바위가 많아 접근이 어렵지만, 페르나스티차 만과 같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섬의 상징인 토레타 마리니치는 1872년에 지어진 전망탑이다. 실바섬은 다양한 물고기를 잡아먹는 바닷새의 번식 개체군을 지원하여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역사적으로는 9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자다르 자치구, 베네치아 공화국, 그리고 개인 소유를 거쳐 주민들이 섬을 소유하게 되었다. 18세기에 실바는 강력한 함대를 보유했으며, 과거에는 "마을 왕"을 선출하는 전통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다르주의 지형 - 파그섬
    파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암석 지대가 많고 포도, 채소, 과일 재배와 파그 치즈, 파그 레이스가 유명하며, 소금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자다르주의 지형 - 우글랸섬
    우글랸섬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로마 시대,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를 거쳐 16~17세기 오스만 제국 난민들의 영향을 받아 현재는 관광, 어업, 농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며, 석회암 지형과 다양한 만, 성 미카엘 요새 등의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다.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실바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실바섬의 소토리슈체 만
실바섬의 소토리슈체 만
기본 정보
이름실바섬
이탈리아어셀베 (Selve)
위치아드리아해
행정 구역자다르 주
면적15km²
최고점바르흐
해발 고도80m
인구292명 (2011년 기준)
인구 밀도20.46명/km²

2. 지리

이 섬에는 수많은 작은 해변과 만이 있다. 물 항구 근처에 있는 주요 공공 해변인 소토리슈체(Sotorišće)는 얕고 맑은 물과 모래 바닥을 가지고 있다. 찰리치(Žalić)에는 많은 자갈 해변과 부두가 있으며, 여객선과 상업 교통을 운송하는 배들이 이곳에 정박한다.[1]

마을 밖에는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많은 만이 있다. 섬의 남쪽에는 도보로 약 30~45분 거리에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1]


  • '''벨레 스테네(Vele Stene, 큰 바위)'''는 섬에서 해안이 가파르고 바위투성이인 유일한 지점이다.[1]
  • '''포르트 스브. 안테(Port Sv. Ante)'''는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되어 요트 애호가들이 선호한다. 만 옆에는 작은 예배당도 볼 수 있다.[1]
  • '''도브레 보데(Dobre Vode)'''는 얕은 모래 바닥을 가진 해변이다.[1]
  • '''노즈드레(Nozdre)'''는 바다에 의해 잘려진 특징적인 평평한 암석 형성을 가진 큰 만이다.[1]


마을 북쪽에는 실바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바르흐(Varh, 86m)가 있다. 북쪽 해안은 바위가 많은 해안으로 인해 남쪽보다 접근이 어렵지만, 마을 밖에서 파프라니차(Papranica)의 작은 항구로 이어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마을에서 약 1시간 정도 걸어가면 섬에서 가장 아름다운 만 중 하나로 여겨지는 페르나스티차(Pernastica) 만이 있다. 이곳은 석양을 향하고 있으며 길고 얕은 모래 바닥을 가지고 있다.[1]

3. 중요 조류 지역(IBA)

실바섬은 북부 자다르 군도의 일부이며, 여러 종의 물고기를 잡아먹는 바닷새의 번식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3]

4. 역사

실바섬의 옛 이름은 ''Selbo''이며, "숲"을 의미하는 라틴어 "Silva"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실바섬은 9세기의 역사 기록에 처음 언급되었다. 827년에는 자다르 자치구에 속해 있었다. 1073년, 페타르 크레시미르의 통치 말년(아마도 그의 누이 치카, 자다르의 성 마리아 수녀원의 첫 번째 수녀의 요청)에 자치구는 성당 축성식에서 성 마리아 수도원에 섬을 기증했다(일부에서는 이 일이 1027년에 일어났다고 한다). 이후, 섬은 베네치아 당국에 넘어갔고, 그들은 이 섬을 파니 소페 선장에게 12350두카트에 판매했다.

그 후 이 섬이 베네치아 가문인 ''모로시니''의 소유가 된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다. 실바는 19세기 초까지 ''모로시니'' 가문이 소유했다. 너무 멀리 떨어져 통치하고 현물 세금을 징수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1770년에 모로시니 가문은 실바 주민들과 매년 2000베네치아 리라의 임대료를 받는 데 동의했다. 실바 주민들은 이 임대료를 ''체르트르티나''(4분의 1)라고 불렀는데, 이는 토지 수확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며, 다른 곳의 농노들이 주인에게 바치는 것이었다.

1838년, 모로시니 가문은 28500오스트리아 리라에 미국에서 부유하게 돌아온 벨리 로시니 출신의 마르코 라구신에게 섬을 팔았다.

실바 주민들은 이전 소유주에게 화폐로 임대료를 지불했기에, 새 지주에게도 그렇게 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그는 실바 근처의 로시니에 살고 있었기에 거절하고 작물 수확량의 4분의 1을 요구했다. 13년 동안 이어진 소송 끝에, 라구신은 마침내 이 섬을 구매한 같은 주민들에게 팔기로 결정했고, 각자 자신의 토지 면적에 비례하여 총 5025바이에른 탈러를 지불했다. 1852년 3월 19일에 주민들에 의한 섬 소유권이 등록되었으며, 이는 섬의 주요 공휴일인 성 요셉의 날이 되었다.

4. 1. 선박과 해상 무역

18세기 실바는 220톤의 3기 범선 38척과 63톤의 2기 범선 60척으로 구성된 함대를 보유했다. 이 함대는 19세기 초 프랑스에 의해 파괴되었다.[4] 범선으로 인한 섬의 경제적 이익은 섬의 일반적인 복지로 이어졌다. 오래된 지역 속담에 "Silba zlatom siva, i u njoj se raj uživa"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실바는 금으로 빛나고, 그곳에서 천국의 즐거움을 누린다"는 뜻이다.[4]

4. 2. 마을 왕 선출 전통

과거 실바섬에는 "마을 왕"을 선출하는 전통이 있었다. 왕은 성 스테파노 축일(12월 26일)에 선출되어 동방 박사의 날(1월 6일)까지 통치했다.[4] 왕은 12일의 통치 기간 동안 12명의 의원과 함께 대관식을 하고 마을 회의를 주재하며 정의를 시행했다.[4] 그의 임무는 마을 촌장과 경비대장 및 구성원을 임명하고, 전년도 예산을 마감하고 다음 해 예산을 계획하는 것이었다.[4] 또한 그 해 동안 누적된 불만과 분쟁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4] 이 관습은 19세기 초에 사라졌으며, 왕관은 여전히 교구 교회의 보물창고에 보관되어 있다.[4]

4. 3.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실바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아드리아 해 작전 중 해상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4]

참조

[1] 논문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04-06
[2]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2011 http://www.dzs.hr/Hr[...] 2014-02-27
[3] 웹사이트 North part of Zadar Archipelago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
[4] 서적 Silba (1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