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단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단전은 1962년 산케이 신문 주최로 시작된 일본의 바둑 기전이다.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주최하며, 도전자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7단, 타이틀 획득 시 8단으로 승단하고, 2급 기전 중 하나에서 우승하면 9단으로 승단한다. 초기에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변경되었다. 1961년 창설되었으며, 전신은 하야고 명인전이다. 십단을 5연패하거나 통산 10기 이상 획득하면 명예 십단 칭호를 얻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바둑 기전 - 명인전 (일본)
일본 명인전은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이 주최하는 일본의 주요 바둑 기전으로, 구 명인전과 현 명인전으로 나뉘어 명기사들이 명인 자리를 놓고 경쟁하며, 특정 조건을 달성한 기사에게는 명예 명인 칭호가 수여되고 풀리그 본선과 7번기 도전기로 진행되며 높은 상금이 걸려 있다. - 일본의 바둑 기전 - 기성전 (일본)
일본 기성전은 요미우리 신문 주최의 최고 권위 바둑 기전으로, 최고 상금을 자랑하며, 리그 시스템과 도전자 결정 토너먼트를 거쳐 기성 타이틀을 놓고 7번기를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기사에게는 명예 기성 자격이 주어진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십단전 | |
---|---|
기본 정보 | |
토너먼트 명칭 | 십단 |
전체 명칭 | 십단 |
시작 년도 | 1962년 |
후원 | 산케이 신문 |
상금 | 700만 엔 |
소속 | 일본기원 |
상세 정보 | |
기전 이름 | 십단전 |
기전 종류 | 공식전 (7대 타이틀) |
정식 명칭 | 다이와하우스배 십단전 |
이전 기전 명칭 | 하야고 메이진전 |
주최 | 산케이 신문사, 일본기원, 간사이 기원 |
특별 협찬 | 다이와하우스 공업 주식회사 |
우승 상금 | 700만 엔 |
도전 기회 | 5번기 |
기전 형식 | 20명에 의한 본선 토너먼트로 도전자를 결정한다 |
제한 시간 | 3시간 |
초읽기 | 5분 전부터 |
창설 년도 | 1961년 |
개최 시기 | 도전 5번기: 3-4월, 본선: 전년도 10월-1월 |
URL | 일본기원 십단전 |
종류 | 십단 |
전기 우승자 | 이야마 유타 (제62기) |
명예 칭호 | 없음 |
최다 우승 | 가토 마사오 (7회) |
최장 연패 | 가토 마사오, 오 리세이 (4연패) |
2. 역사
1962년 산케이 신문에 의해 시작된 십단전[1]은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주최하는 바둑 기전이다. 일본의 다른 주요 기전과 유사하게 도전자 결정전이 있고, 예선은 토너먼트 방식이다.
십단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을 채택하여, 예선에서 한 번 패배한 선수에게도 패자 부활전을 통해 다시 도전할 기회를 제공한다. 패자 부활전 우승자는 승자조 우승자와 대결하여 최종 도전자를 가린다. 최종 도전자는 타이틀 보유자와 5번의 대국을 통해 십단 타이틀을 놓고 경쟁한다.
도전자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7단, 타이틀 획득 시 8단으로 승단하며, 이후 고세이, 십단, 왕좌, 천원 중 하나에서 우승하면 9단으로 승단한다.[2]
2. 1. 창설 배경
1961년 산케이 신문의 주최로 창설되었으며, 전신은 고바야고 명인전이다.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주최한다.[1] 전신은 1956년부터 1961년까지 진행된 하야고 명인이었다.2. 2. 새로운 경쟁 구도 (2000년대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십단전은 새로운 우승자들과 함께 경쟁 구도가 변화하였다. 왕리청 九단, 장쉬 九단, 이야마 유타 九단 등 새로운 강자들이 등장하여 십단전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었다.[3]십단전의 우승 상금은 초기 1500만 엔이었으나, 2011년부터 1200만 엔으로 변경되면서 타이틀 서열이 4위에서 6위로 하락했다. 이후 50기(2012년)에는 750만 엔, 51기(2013년)에는 700만 엔으로 계속해서 상금이 감소하면서 서열도 7위까지 내려갔다.[3]
제한 시간은 2002년까지 5시간, 2010년까지 4시간, 2011년부터는 3시간으로 변경되었다.[3]
2011년부터 모리 빌딩이 협찬하면서 정식 명칭이 '''모리 빌딩배 십단전'''으로 변경되었고, 2021년부터는 다이와 하우스 공업이 협찬을 맡아 '''다이와 하우스배 십단전'''으로 변경되었다.[3]
2. 3. 대회 방식 변천
초기에는 패자부활전이 있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16명이 참가하여 도전자를 결정했다. 본선 토너먼트에서 2승 이상을 거둔 8명은 다음 기에 시드를 받았고, 예선을 통과한 8명과 함께 도전권 결정 토너먼트를 치렀다. 한 번 패배한 기사는 패자조 토너먼트로 이동하여, 패자조 우승자는 본선 토너먼트 우승자와 도전권 결정전을 치렀다. 이후 도전자는 타이틀 보유자와 5번기로 우승자를 결정했다.[1]제50기(2012년)부터는 20명에 의한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도전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
제한 시간은 2002년까지 5시간, 2010년까지 4시간, 2011년부터 3시간으로 변경되었다.[1]
3. 대회 방식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주최하는 바둑 기전인 십단전은 1962년 산케이 신문에 의해 시작되었다.[1] 십단전은 예선 토너먼트, 도전자 결정전, 도전자와 타이틀 보유자의 5번기 대국으로 구성된다.
도전자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7단, 타이틀 획득 시 8단으로 승단하며, 이후 고세이, 십단, 왕좌, 천원 중 하나에서 우승하면 9단으로 승단한다.[2]
우승 상금은 초기 1500만 엔이었으나, 2011년 1200만 엔으로 변경되어 타이틀 서열이 4위에서 6위로 하락했고, 2012년에는 750만 엔, 2013년에는 700만 엔으로 감소하여 서열이 7위까지 내려갔다.
제한 시간은 2002년까지 5시간, 2010년까지 4시간, 2011년부터 3시간이다.
2011년부터 모리 빌딩이 협찬하여 '''모리 빌딩배 십단전'''으로, 2021년부터 다이와 하우스 공업이 협찬하여 '''다이와 하우스배 십단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
3. 1. 예선
일본의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에서 주최하는 바둑 기전이다.[1] 1962년 ''산케이 신문''에 의해 시작되었다. 형식은 일본의 다른 주요 기전과 유사하며, 도전자 결정전은 예선 토너먼트 방식이다. 하지만 예선 토너먼트는 단판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가 아닌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이다. 패자 부활전이 있어서, 예선에서 진 선수는 패자 부활전으로 가게 된다. 패자 부활전 우승자는 승자조 우승자와 대결하여 최종 도전자 결정전을 치른다.- 도쿄 예선
- * 예선 B·C 통과자 26명, 시드 기사 토너먼트.
- 간사이·주부 예선
- * 예선 B·C 통과자 10명, 시드 기사 토너먼트.
- 도쿄, 중부, 간사이 예선 A의 승자 18명(도쿄 13명, 간사이・중부 5명), 시드 기사 14명에 의한 토너먼트를 통해 본선 출전 선수 8명을 결정한다.
3. 2. 본선 토너먼트
제49기까지 십단전은 7대 타이틀전 중 유일하게 패자 부활전 방식을 채택했다. 16명으로 구성된 토너먼트전에서 한 번 패배한 기사는 패자조 토너먼트로 이동하며, 패자조 우승자는 본선 토너먼트 우승자와 도전권 결정전을 치렀다. 도전자는 타이틀 보유자와 5번기를 통해 우승자를 가렸다.[1] 본선 토너먼트에서 2승 이상을 거둔 8명은 다음 기에 시드를 받았고, 예선 통과자 8명과 함께 도전권 결정 토너먼트를 진행했다.제50기부터는 20명에 의한 단순 토너먼트 방식으로 도전자를 결정하고 있다.[3]
3. 3. 도전기
일본기원과 관서기원이 주최하는 십단전은 예선 토너먼트를 거쳐 도전자를 결정한다. 예선은 패자 부활전이 있는 방식으로, 한 번 패배한 선수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 패자 부활전 우승자는 승자조 우승자와 도전권 결정전을 치른다.[1] 이후 도전자는 타이틀 보유자와 5번기 대국으로 십단 타이틀을 놓고 겨룬다.[1]49기까지는 16명이 참가하는 토너먼트에서 패자 부활전을 통해 도전자 결정전을 치렀고, 본선 토너먼트에서 2승 이상을 한 8명은 다음 기에 시드를 받아 예선 통과자 8명과 함께 도전권 결정 토너먼트를 치렀다.[3] 50기부터는 20명이 참가하는 단순 토너먼트 방식으로 도전자를 결정한다.[3]
4. 승단 규정
십단전에서 도전자 결정전에서 우승하면 7단으로 승단한다. 타이틀을 획득하면 8단으로 승단한다. 이후 2급 기전(고세이, 십단, 왕좌, 천원) 중 하나에서 우승하면 9단으로 승단한다.[2]
- 6단 이하의 기사가 십단 도전권을 획득한 경우 7단으로 승단한다.
- 7단의 기사가 십단위를 획득한 경우 8단으로 승단한다.
- 8단으로, 다른 타이틀을 1기 획득한 기사가 십단을 획득한 경우 9단으로 승단한다.
5. 역대 우승자
십단전의 역대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사 | 첫 획득 년도 | 통산 우승 횟수 |
---|---|---|
하시모토 우타로 | 1962 | 2회 |
한다 도겐 | 1963 | 1회 |
후지사와 호사이 | 1964 | 1회 |
다카가와 가쿠 | 1965 | 1회 |
사카타 에이오 | 1966 | 5회 |
오타케 히데오 | 1969 | 5회 |
하시모토 쇼지 | 1974 | 1회 |
린하이펑 | 1975 | 1회 |
가토 마사오 | 1976 | 7회 |
조치훈 | 1982 | 6회 |
고바야시 고이치 | 1984 | 5회 |
다케미야 마사키 | 1990 | 3회 |
요다 노리모토 | 1995 | 2회 |
히코사카 나오토 | 1998 | 1회 |
왕리청 | 2001 | 4회 |
다카오 신지 | 2008 | 2회 |
장쉬 | 2009 | 2회 |
이야마 유타 | 2011 | 6회 |
유키 사토시 | 2013 | 1회 |
이다 아쓰시 | 2015 | 1회 |
무라카와 다이스케 | 2019 | 1회 |
시바노 도라마루 | 2020 | 2회 |
쉬자위안 | 2021 | 2회 |
;통산 최다 연패 기록
연패 횟수 | 기사 | 기간 |
---|---|
4회 | 가토 마사오 (1976-79), 왕리청 (2001-04) |
3회 | 사카타 에이오 (1966-68), 고바야시 고이치 (1984-86), 다케미야 마사키 (1990-92), 조치훈 (2005-07), 이야마 유타 (2016-18) |
2회 | 사카타 에이오 (1972-73), 오타케 히데오 (1980-81, 1993-94), 조치훈 (1988-89), 요다 노리모토 (1995-96), 고바야시 고이치 (1999-00), 장쉬 (2009-10), 이야마 유타 (2011-12), 쉬자위안 (2021-22) |
5. 1. 역대 우승자 목록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1 | 1962 | 하시모토 우타로 | 3-1 | 한다 도겐 |
2 | 1963 | 한다 도겐 | 3-1 | 하시모토 우타로 |
3 | 1964 | 후지사와 호사이 | 3-2 | 한다 도겐 |
4 | 1965 | 다카가와 가쿠 | 3-1 | 후지사와 호사이 |
5 | 1966 | 사카타 에이오 | 3-1 | 다카가와 가쿠 |
6 | 1967 | 사카타 에이오 | 3-1 | 후지사와 호사이 |
7 | 1968 | 사카타 에이오 | 3-1 | 후지사와 슈코 |
8 | 1969 | 오타케 히데오 | 3-0 | 사카타 에이오 |
9 | 1971 | 하시모토 우타로 | 3-2 | 오타케 히데오 |
10 | 1972 | 사카타 에이오 | 3-1 | 하시모토 우타로 |
11 | 1973 | 사카타 에이오 | 3-0 | 다카기 쇼이치 |
12 | 1974 | 하시모토 쇼지 | 3-1 | 사카타 에이오 |
13 | 1975 | 린하이펑 | 3-0 | 하시모토 쇼지 |
14 | 1976 | 가토 마사오 | 3-2 | 린하이펑 |
15 | 1977 | 가토 마사오 | 3-0 | 사카타 에이오 |
16 | 1978 | 가토 마사오 | 3-0 | 린하이펑 |
17 | 1979 | 가토 마사오 | 3-1 | 하시모토 쇼지 |
18 | 1980 | 오타케 히데오 | 3-2 | 가토 마사오 |
19 | 1981 | 오타케 히데오 | 3-0 | 하시모토 쇼지 |
20 | 1982 | 조치훈 | 3-1 | 오타케 히데오 |
21 | 1983 | 가토 마사오 | 3-2 | 조치훈 |
22 | 1984 | 고바야시 고이치 | 3-2 | 가토 마사오 |
23 | 1985 | 고바야시 고이치 | 3-0 | 오타케 히데오 |
24 | 1986 | 고바야시 고이치 | 3-0 | 다케미야 마사키 |
25 | 1987 | 가토 마사오 | 3-1 | 고바야시 고이치 |
26 | 1988 | 조치훈 | 3-2 | 가토 마사오 |
27 | 1989 | 조치훈 | 3-0 | 린하이펑 |
28 | 1990 | 다케미야 마사키 | 3-2 | 조치훈 |
29 | 1991 | 다케미야 마사키 | 3-2 | 조치훈 |
30 | 1992 | 다케미야 마사키 | 3-1 | 고바야시 고이치 |
31 | 1993 | 오타케 히데오 | 3-1 | 다케미야 마사키 |
32 | 1994 | 오타케 히데오 | 3-2 | 고바야시 고이치 |
33 | 1995 | 요다 노리모토 | 3-0 | 오타케 히데오 |
34 | 1996 | 요다 노리모토 | 3-1 | 왕리청 |
35 | 1997 | 가토 마사오 | 3-2 | 요다 노리모토 |
36 | 1998 | 히코사카 나오토 | 3-2 | 가토 마사오 |
37 | 1999 | 고바야시 고이치 | 3-0 | 히코사카 나오토 |
38 | 2000 | 고바야시 고이치 | 3-0 | 나카노 히로나리 |
39 | 2001 | 왕리청 | 3-2 | 고바야시 고이치 |
40 | 2002 | 왕리청 | 3-2 | 다케미야 마사키 |
41 | 2003 | 왕리청 | 3-2 | 다카오 신지 |
42 | 2004 | 왕리청 | 3-1 | 장쉬 |
43 | 2005 | 조치훈 | 3-2 | 왕리청 |
44 | 2006 | 조치훈 | 3-1 | 야마시타 케이고 |
45 | 2007 | 조치훈 | 3-2 | 야마시타 케이고 |
46 | 2008 | 다카오 신지 | 3-0 | 조치훈 |
47 | 2009 | 장쉬 | 3-1 | 다카오 신지 |
48 | 2010 | 장쉬 | 3-0 | 야마시타 케이고 |
49 | 2011 | 이야마 유타 | 3-2 | 장쉬 |
50 | 2012 | 이야마 유타 | 3-1 | 장쉬 |
51 | 2013 | 유키 사토시 | 3-2 | 이야마 유타 |
52 | 2014 | 다카오 신지 | 3-2 | 유키 사토시 |
53 | 2015 | 이다 아쓰시 | 3-2 | 다카오 신지 |
54 | 2016 | 이야마 유타 | 3-1 | 이다 아쓰시 |
55 | 2017 | 이야마 유타 | 3-1 | 위정치 |
56 | 2018 | 이야마 유타 | 3-0 | 무라카와 다이스케 |
57 | 2019 | 무라카와 다이스케 | 3-1 | 이야마 유타 |
58 | 2020 | 시바노 도라마루 | 3-1 | 무라카와 다이스케 |
59 | 2021 | 쉬자위안 | 3-2 | 시바노 도라마루 |
60 | 2022 | 쉬자위안 | 3-0 | 위정치 |
61 | 2023 | 시바노 도라마루 | 3-1 | 쉬자위안 |
62 | 2024 | 이야마 유타 | 3-2 | 시바노 도라마루 |
5. 2. 주요 우승자
순위 | 기사 | 횟수 |
---|---|---|
1 | 가토 마사오 | 7 |
2 | 조치훈 | 6 |
이야마 유타 | 6 | |
4 | 사카타 에이오 | 5 |
오타케 히데오 | 5 | |
고바야시 고이치 | 5 | |
7 | 왕리청 | 4 |
8 | 다케미야 마사키 | 3 |
9 | 하시모토 우타로 | 2 |
요다 노리모토 | 2 | |
장쉬 | 2 | |
시바노 도라마루 | 2 | |
13 | 한다 도겐 | 1 |
후지사와 호사이 | 1 | |
다카가와 가쿠 | 1 | |
하시모토 쇼지 | 1 | |
린하이펑 | 1 | |
히코사카 나오토 | 1 | |
다카오 신지 | 1 | |
유키 사토시 | 1 |
- 하시모토 우타로: 십단전 초대 우승자(1962년)로, 1971년에도 우승하여 통산 2회 우승했다.[3]
- 사카타 에이오: 1966년부터 3연패, 1972년과 1973년에도 연속 우승하여 통산 5회 우승했다.[3]
- 린하이펑: 1975년 우승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중화민국 국적 기사가 되었다.[3]
- 가토 마사오: 1976년부터 4연패를 포함, 통산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3]
- 조치훈: 1982년 첫 우승 후, 1988년과 1989년 2연패,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연패를 달성하여 통산 6회 우승했다.[3]
- 고바야시 고이치: 1984년부터 3연패, 1999년과 2000년에도 연속 우승하여 통산 5회 우승했다.[3]
- 다케미야 마사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3연패를 달성하며 통산 3회 우승했다.[3]
- 왕리청: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연패를 달성하며 통산 4회 우승했다.[3]
- 장쉬: 2009년과 2010년에 연속 우승하여 통산 2회 우승했다.[3]
- 이야마 유타: 2011년과 2012년 연속 우승,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연패, 2024년 우승으로 통산 6회 우승을 달성했다.[3]
6. 명예 십단
십단을 5연패 하거나 통산 10기 이상 획득한 기사는 은퇴 후나 60세 이후에 명예 십단 칭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4연패(가토 마사오, 왕리청)와 통산 7기(가토 마사오)가 최고 기록이며, 명예 십단 자격을 획득한 기사는 없다. 7대 타이틀 중 명예 칭호 보유자가 없는 것은 십단전 뿐이다.[3]
7. 기타
2011년부터 모리 빌딩이 협찬하여 '''모리 빌딩배 십단전'''이라는 정식 명칭이 사용되었다. 2021년부터는 다이와 하우스 공업이 협찬을 맡아 '''다이와 하우스배 십단전'''으로 변경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Title Information
http://www.nihonkiin[...]
nihonkiin.or.jp/english
2014-07-19
[2]
웹사이트
Abolition of the rating tournament
http://www.nihonkiin[...]
nihonkiin.or.jp/english
2011-07-04
[3]
웹사이트
https://www.nihonk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