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자석은 변성암에서 발견되는 지표 광물로, 결정 구조는 사방정계 또는 단사정계이며 화학식은 H₂Fe₄Al₁₈Si₈O₄₈로 표현된다. 이축성 광물로 십자형 쌍정을 이루는 특징이 있으며, 황산과 서서히 반응하고 불산에는 녹지 않는다. 십자석은 배로비안형 및 버컨형 변성상에서 석류석, 남정석, 홍주석, 근청석 등과 공생하며 산출된다. 한국에서는 연천 지역에서 주로 산출되며, 미국 조지아주의 주 광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사정계 광물 - 석고
석고는 황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건축, 농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단사정계 광물 - 모나자이트
모나자이트는 M(III)PO4 형태의 란타넘족 원소의 중요한 원천 광물이며, 희토류 금속 추출 및 핵폐기물 처리에 활용된다. - 규산염 광물 - 장석
장석은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알루미늄과 규소의 3차원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함유된 원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화성암 분류 및 점토광물 생성에 사용되며, 유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규산염 광물 - 흑운모
흑운모는 벽개를 가져 쉽게 벗겨지는 판상 광물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되며 연대 측정 및 변성암 연구에 활용되고, 대륙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 - 지질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질학 - 판 (지각)
판은 지구 표면을 덮는 조각으로,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분되며,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등 14~15개의 주요 판과 40여 개의 소규모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자석 | |
---|---|
개요 | |
![]() | |
종류 | 네소 규산염 광물 |
화학식 | Fe2+2Al9O6(SiO4)4(O,OH)2 |
화학 기호 | St |
결정계 | 단사정계 |
공간군 | C2/m |
단위 세포 | a = 7.86 Å, b = 16.6 Å, c = 5.65 Å; β = 90.45°; Z = 2 |
색상 | 암적갈색, 흑갈색, 황갈색, 드물게 청색; 박편에서는 옅은 황금색 |
결정형 | 일반적으로 기둥 모양 결정 |
쌍정 | 일반적으로 60° 쌍정, 드물게 90° 십자형 쌍정 |
쪼개짐 | {010} 면에서 뚜렷함 |
깨짐 | 아패각상 |
굳기 | 7 – 7.5 |
광택 | 아유리 광택에서 수지 광택 |
조흔색 | 흰색에서 회색 |
투명도 | 투명에서 불투명 |
비중 | 측정: 3.74 – 3.83, 계산: 3.686 |
복굴절 | δ = 0.009 – 0.015 |
다색성 | X = 무색; Y = 옅은 노란색; Z = 황금색 |
2V | 측정: 88°, 계산: 84° ~ 88° |
분산 | r > v; 약함 |
식별 특징 | |
진단 | 갈색 십자형 쌍정 |
기타 정보 | |
스트룬츠 분류 | 9.AF.30 |
2. 결정 구조
Náray-Szabó는 십자석의 결정 구조를 처음으로 결정하면서 48개의 산소 원자들이 입방최밀쌓음으로 배열된 완전한 사방정계로 보았다. 또한 (010)면에 평행하게 알루미늄 팔면체의 사슬들이 규산염 사면체와 교차하고 있다고 생각했다.[21]
십자석은 이축성 광물이며, 현미경 상에서 뚜렷하게 돌출된 형태로 관찰된다.[6][14] 화학 조성에 따른 고철질 십자석의 광학적 성질 차이는 미약하게 나타난다. Juurinen은 115개의 십자석의 α-굴절률을 측정하여 단위포의 철 함량과 십자석의 굴절률이 선형적 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Schreyer와 Seifert는 함마그네슘 십자석의 굴절률을 측정하여 Jurrinen의 십자석 시료들 중 마그네슘 끝성분을 골라내어 비교한 결과 마그네슘 성분에는 차이가 있어도 굴절률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24] 누대구조는 종종 나타나는데, 부채꼴누대로도 자주 나타난다. 이러한 부채꼴누대는 광물 표면에서의 성장률과 확산률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황산과 서서히 반응하며, 불산에는 녹지 않는다. 지표에서 흔히 변질되어 견운모화작용이나 녹니석화되는 과정을 거친다[25].
이후 Juurinen이 알루미늄과 철, 그리고 결정구조 내의 수산기 함량을 정정했으며,[22] Hurst가 렌트겐선 회절분석을 통해 단사정계이나 사방정계와 흡사한 구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23]
정정된 십자석의 공간군은 C2/m이며, 팔면체 자리에 2개의 알루미늄 이온 자리가 추가되었다. 8개의 알루미늄 규산염 층이 Al2Fe4O8H2와 교체되어 광물의 화학식은 H2Fe4Al18Si8O48로 결정되었다. Juurinen의 모형은 결정구조와 화학조성에 있어서는 실제 측정값과 잘 맞았으나, 전기적 중성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 문제는 Smith, Griffen과 Ribbe가 개선하여 최종 화학조성을 Fe2+2Al9O6(SiO4)4(O,OH)2으로 하여 해결하였다.
3. 물리적 성질
십자석은 흔히 반상변정으로 산출되며, 석영이나 운모류를 포유물로 포함하고 있다. 때로는 남정석과 평행연정을 보이기도 하는데, 그 때에는 십자석의 (010)면과 남정석의 (100)면이 평행하게 발달한다. 특징적인 십자형 쌍정을 이루며, 이를 십자형 침투 쌍정이라고 부른다.[6] 직각의 투입쌍정은 정대 {031}에 발달하며 정대 {231}에는 60˚ 쌍정이 발달한다. 정대 {031}에서는 접촉쌍정도 나타날 수 있다. 육안으로 보이는 십자석 결정은 각주 모양이다.[14] 박편에서 십자석은 일반적으로 쌍정을 이루며, 석영과 유사한 낮은 1차 복굴절을 나타내며 쌍정은 광학적 연속성을 나타낸다. 변성암에서는 에멘탈 치즈와 같은 외관 (내부에 포이킬리틱 석영)과 종종 피복된 반정질 특성으로 식별할 수 있다. 벽개는 {010} 정대에서 나타나나, 잘 발달되어 있지는 않다. 단구는 조개껍질의 안쪽과 같이 휘어져 깨지는 모습인데, 역시 완벽한 패각상으로 깨지지는 않는다.
4. 화학적 성질
십자석의 화학조성 차는 마그네슘의 함량 외에는 크지 않으나, 십자석의 수산기 함량은 양이온 자리가 부분적으로만 점유되는 특성 문제에 의해 측정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이 문제는 Griffen과 Ribbe가 단위포의 질량 평균치를 내어 측정하는 방식으로 해결되었다[26]. 십자석이 포함하고 있는 미량 원소로는 아연, 니켈, 알칼리 금속류 등이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십자석에서의 철-마그네슘 함량은 변성 당시의 온도를 지시하는 지온계로 사용될 수 있다. 십자석과 석류석의 Mg와 Fe 끝성분의 반응 단계를 십자석Mg+석류석Fe 십자석Fe+석류석Mg 와 같이 표현할수 있다.
이 반응에서, 마그네슘 분율 계수 이다.
그리고 이다. (는 마그네슘, 철, 망간 중의 마그네슘 분율)
이와 같은 계산에 바탕하여 Perchuk은 십자석-석류석 간의 철-마그네슘 농도 차를 이용, 의 관계를 도시하여 지온계로 쓸 수 있음을 보였다. 이에 따르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27].
실험적인 열역학 연구들에 의하면, Halferdahl 에 의해 귀석류석과 허시나이트와 함께 Fe-십자석이 산출되는 것이 1961년에 보고되었다[28]. 이는 7kbar 이상의 압력과 700 °C 이상의 온도에서 경녹니석이 분해되어 생긴 것임이 이후에 확인되었다[29].
초기에 Fe - 십자석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압력의 상한은 높은 물과 QFM 버퍼의 분압이 있는 환경을 상정했을 때 10kbar 정도라 생각되었는데[30][31], 이후에 QFM과 NNO 버퍼의 산소 도산능에 따라 6 - 15 kbar 정도임이 확인되었다[32].
5. 변성상에서의 공생 관계
5. 1. 배로비안형 변성상
십자석은 니질 퇴적암이 광역 고압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광물이며, 흔히 석류석, 남정석과 함께 산출된다. 배로비안형 변성지대에서는 변성환경이 고압상을 띨수록 십자석은 안정하게 존재하지 못하고 남정석이 안정하게 나타난다. 이는 십자석의 안정 압력 상한이 남정석의 안정 영역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배로비안형 변성지대에서 십자석은 중간 정도의 변성 정도를 지시한다. 버컨형 변성상과 비교했을 때 배로비안형이 변성 당시의 압력이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석류석과 공생하고 남정석, 경녹니석이 산출되지 않는 환경 역시 낮은 정도에서 높은 정도의 배로비안형 변성지대에서 나타날 수 있다.
5. 2. 버컨형 변성상
광역 변성작용 중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변성상의 경우에는 넓은 지역에서의 심성 관입과 관련이 있으며, 변성작용의 후기 단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십자석은 홍주석이나 근청석과 연계되는 성향이 더 강하다. 이러한 경우의 변성상을 '''버컨형 변성상'''(Buchan-type)이라 하여 배로비안형과 구별한다. 이때 십자석-근청석 평형은 홍주석 안정 영역과 대부분 겹친다.[33]
6. 산출지
한반도에서 십자석은 주로 연천계나 마천령계의 운모편암류에서 나오나 연천 삭녕면 느릅고개의 십자석은 드물게 석영맥에서도 함께 거정으로 나고 있다.[34] 주요 산지는 아래와 같다[34]:
- 경기도 연천군 삭령면 진곡리 느릅고개, 전음리
- 경기도 연천군 중면 중사리
- 충청남도 서산군 부석면 취평리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송덕리
-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 평안남도 강서군 성대면 가장리
- 강원도 회양군 난곡면 하송관리
- 강원도 김화군 근북면 산현리 (망간십자석 산출)
- 함경남도 단천군 수하면 고성리 중당동, 내촌리 거사동
-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용천리
- 함경남도 갑산군 진동면 유포리
십자석은 중간에서 높은 등급의 광역 변성 광물이다. 십자석은 알만딘 가넷, 운모, 청렴석, 알바이트, 흑운모, 규선석과 함께 광역 변성암의 편마암과 편암에서 발견된다.[7]
십자석은 미국 주 조지아주의 공식 주 광물이며, 스위스의 레폰틴 알프스에서도 발견된다.
십자석은 주로 조지아주 패닌 카운티에서 발견된다.[8] 또한 버지니아주 패트릭 카운티의 페어리 스톤 주립공원에서도 발견된다. 이 공원은 이 지역의 전설에서 유래된 십자석의 지역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아이다호주 아일랜드 파크, 헨리스 호수 근처; 뉴멕시코주 타오스; 미네소타주 블란차드 댐 근처; 그리고 노르웨이 셀부에서도 표본이 발견된다.
십자석은 중변성도에서 고변성도의 광역변성암에서 산출되는 광물이다. 철반석류석, 운모, 남정석, 사장석, 규선석과 함께 산출된다[15]。
십자석은 조지아주의 주의 광물이며, 스위스의 레폰틴 알프스에서도 산출된다.
십자석이 가장 잘 보이는 곳은 조지아주 패닌군이다[16]。 십자석은 버지니아주 패트릭군의 페어리 스톤 주립 공원(공원 이름은 십자석의 현지 명칭에서 유래)[17], 아이다호주의 아일랜드 파크, 뉴멕시코주의 타오스 군, 미네소타주의 블랜차드 댐 부근, 노르웨이의 셀부 군에서도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도야마현 구로베시 우나즈키마치에서 산출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18]。 그러나 결정은 작다.
6. 1. 한국
한반도에서 십자석은 주로 연천계나 마천령계의 운모편암류에서 나오나 연천 삭녕면 느릅고개의 십자석은 드물게 석영맥에서도 함께 거정으로 나고 있다.[34] 주요 산지는 아래와 같다[34]:
- 경기도 연천군 삭령면 진곡리 느릅고개, 전음리
- 경기도 연천군 중면 중사리
- 충청남도 서산군 부석면 취평리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송덕리
-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 평안남도 강서군 성대면 가장리
- 강원도 회양군 난곡면 하송관리
- 강원도 김화군 근북면 산현리 (망간십자석 산출)
- 함경남도 단천군 수하면 고성리 중당동, 내촌리 거사동
-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용천리
- 함경남도 갑산군 진동면 유포리
6. 2. 국외
십자석은 중간에서 높은 등급의 광역 변성 광물이다. 십자석은 알만딘 가넷, 운모, 청렴석, 알바이트, 흑운모, 규선석과 함께 광역 변성암의 편마암과 편암에서 발견된다.[7]
십자석은 미국 주 조지아주의 공식 주 광물이며, 스위스의 레폰틴 알프스에서도 발견된다.
십자석은 주로 조지아주 패닌 카운티에서 발견된다.[8] 또한 버지니아주 패트릭 카운티의 페어리 스톤 주립공원에서도 발견된다. 이 공원은 이 지역의 전설에서 유래된 십자석의 지역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아이다호주 아일랜드 파크, 헨리스 호수 근처; 뉴멕시코주 타오스; 미네소타주 블란차드 댐 근처; 그리고 노르웨이 셀부에서도 표본이 발견된다.
십자석은 중변성도에서 고변성도의 광역변성암에서 산출되는 광물이다. 철반석류석, 운모, 남정석, 사장석, 규선석과 함께 산출된다[15]。
십자석은 조지아주의 주의 광물이며, 스위스의 레폰틴 알프스에서도 산출된다.
십자석이 가장 잘 보이는 곳은 조지아주 패닌군이다[16]。 십자석은 버지니아주 패트릭군의 페어리 스톤 주립 공원(공원 이름은 십자석의 현지 명칭에서 유래)[17], 아이다호주의 아일랜드 파크, 뉴멕시코주의 타오스 군, 미네소타주의 블랜차드 댐 부근, 노르웨이의 셀부 군에서도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도야마현 구로베시 우나즈키마치에서 산출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18]。 그러나 결정은 작다.
7. 이용
십자석은 암석이 변성 작용을 겪는 온도, 깊이 및 압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광물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Manual of Mineralogy
Wiley
1985
[2]
간행물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2021
[3]
웹사이트
Handbook of Mineralogy
http://rruff.geo.ari[...]
[4]
웹사이트
Mindat.org
http://www.mindat.or[...]
[5]
웹사이트
Webmineral data
http://webmineral.co[...]
[6]
서적
Rock & Mineral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11-17
[7]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Rocks and Minerals
[8]
웹사이트
Fannin County Archives
http://www.williamls[...]
[9]
웹사이트
Virginia State Parks
http://www.dcr.virgi[...]
[10]
서적
Manual of Mineralogy
Wiley
1985
[11]
웹사이트
Handbook of Mineralogy
https://rruff.geo.ar[...]
[12]
웹사이트
Mindat.org
https://www.mindat.o[...]
[13]
웹사이트
Webmineral data
https://webmineral.c[...]
[14]
서적
Rock & Mineral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7-11-17
[15]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Rocks and Minerals
[16]
웹사이트
Fannin County Archives
http://www.williamls[...]
[17]
웹사이트
Virginia State Parks
http://www.dcr.virgi[...]
[18]
웹사이트
宇奈月の十字石
https://www.city.kur[...]
[19]
서적
Manual of Mineralogy
Wiley
1985
[20]
서적
Rock-forming minerals volume 1A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1997
[21]
논문
The structure of staurolite
1929
[22]
논문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staurolite
1956
[23]
논문
Staurolite twinning
1956
[24]
논문
High pressure phases in the system MgO-Al₂O₃-SiO₂-H₂O
1969
[25]
서적
Introduction to Optical Minera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6]
논문
The crystal chemistry of staurolite
1973
[27]
논문
The staurolite-garnet thermometer
1969
[28]
논문
Chloritoid: its composition, X-ray and optical properties, stability and occurrence
1961
[29]
논문
The stability of chloritoid below 10kb PH₂O
1974
[30]
논문
Staurolite
1967
[31]
논문
The composition of synthetic Fe-staurolite
1968
[32]
논문
Further data on the stability of staurolite+quartz and related assemblages
1979
[33]
논문
Staurolite stability and related parageneses: theory, experiments and applications
1972
[34]
서적
朝鮮鑛物誌
三省堂
194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