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쑥은 중국, 일본, 한국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산과 들에서 자생하며, 뿌리줄기로 번식한다. 잎은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연분홍색 꽃이 핀다. 쑥은 떡이나 쑥차, 쑥국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약재로도 활용된다. 쑥은 뜸의 재료로도 사용되며, 한국의 단군신화에도 등장하는 등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쑥속 - 타라곤
    타라곤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을 허브로 사용하며, 프랑스 요리의 파인 에르브 중 하나로 아니스와 비슷한 향을 내고 요리, 향장품, 약용으로 사용된다.
  • 쑥속 - 제비쑥
    제비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특유의 강한 냄새가 나며, 노란색 꽃이 피고, 어린 잎은 식용 가능하며, 성숙한 잎과 즙은 소화제, 질염, 피부병 치료,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 1930년 기재된 식물 - 송엽국
    송엽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원산의 석류풀과 여러해살이풀로, 다육질 잎과 자주색 꽃을 피우며 고온과 건조에 강해 길가나 화단 등에 재배된다.
  • 1930년 기재된 식물 - 풍지초
    풍지초는 긴 포복경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일본 고유종이며 산간 부락 활엽수림 지역의 계곡 옆 바위 위에서 군생하고, 8-10월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개화하는 풍지초속의 유일한 종이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쑥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쑥
학명Artemisia princeps Pamp.
이명Artemisia montana var. nipponica (Nakai) Pamp.
Artemisia parvula Pamp.
일본어ヨモギ (Yomogi)
영어mugwort
분류
식물계 (Plantae)
속씨식물군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아강국화군 (Asterids)
국화목 (Asterales)
국화과 (Asteraceae)
아과국화아과 (Asteroideae)
쑥속 (Artemisia)
쑥 (Artemisia princeps)
변종요모기 (Artemisia indica Willd. var. maximowiczii (Nakai) H.Hara)
활용
효능항돌연변이성
항산화 작용
필라그린 및 로리크린 발현 향상
용도약재
식용

2. 분포 및 서식지

쑥은 중국, 일본, 한국이 원산지이다.[31][32] 벨기에네덜란드에도 유입되었다.[31] 길가, 경사지, 계곡, 강둑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자란다.[33] 번식력이 강하여 빈터, 강가, 밭 등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18] 지하경을 뻗어 늘어나 군생하는 경우가 많다.

3. 생태

쑥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 자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오는 로제트(rosette)처럼 모여 달리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난다. 잎은 날개깃처럼 깊게 4~8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향기가 난다. 연분홍색 은 7~9월 무렵 줄기 끝에 두상(頭狀)꽃차례로 무리져 피는데, 하나의 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무리져 달린다.[7][4][8]

땅속줄기를 길게 뻗어 번식하며, 아직 추운 이른 봄(2~3월경)에 다른 식물보다 먼저 은빛 털로 덮인 로제트형 어린싹(근생엽)을 내어 월동한다. 봄이 되면 줄기가 자라기 시작하여, 키는 50~150센티미터 정도가 되며, 줄기는 곧게 서서 여러 갈래로 가지를 치며 약간 목질화된다. 이른 봄 새싹일 때는 전체가 흰 털로 덮여 있다.

은 어긋나기하며, 너비 4 cm, 길이 8 cm 정도이고, 좌우가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2~4쌍 있다. 잎의 모양은 변이가 많다. 잎가장자리는 더욱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잎은 톱니가 적어진다. 잎의 뒷면은 흰 솜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희게 보인다. 이 미세한 흰 털은 쑥이 건조지대에서도 생육하기 위해, 기공을 열어 잎 호흡을 할 때, 수증기와 함께 귀중한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현미경으로 보면, 털 한 가닥이 중간부터 두 갈래로 나뉘어 알파벳 T자 모양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 「T자 모」라고 불리며, 뿌리에서 나는 털의 수를 많게 하고 있다. 또한 털은 밀랍을 포함하고 있어 수분을 빼앗기지 않는 구조를 하고 있다.

꽃 피는 시기는 여름부터 가을경(8~10월)에 걸쳐 줄기를 높이 뻗어 가지를 치고, 작은 가지에 연한 갈색의 눈에 띄지 않는 작은 꽃이 이삭 모양으로 핀다. 줄기 끝의 꽃이삭은 원추꽃차례이며, 지름 1.5밀리미터, 길이 3밀리미터의 장타원형 두상화를 아래로 향하여 많이 단다. 두상화는 관상화뿐이며, 이것을 싸고 있는 총포에는 거미줄 모양의 부드러운 털이 있다. 쑥과 같은 국화과의 많은 식물은 식물 진화 과정에서 풍매화에서 충매화로 가장 진화한 그룹이지만, 쑥은 충매화에서 다시 풍매화로 전환된 식물이다. 이 때문에 다른 국화과처럼 눈에 띄는 꽃잎이 없고 수수하며, 바람에 맡겨 많은 꽃가루를 날리기 때문에 가을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식물 중 하나이다.

꽃이 지면 총포가 남아 안에서 열매가 익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1~1.5밀리미터 정도의 선형으로 회백색을 띠고 있으며, 관모는 없고, 중앙에 세로 능선이 있다. 바람을 타고 종자를 퍼뜨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풀과 마찬가지로 땅속줄기 등에서 다른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한다. 이 현상을 알렐로파시(타감작용, allelopathy)라고 한다.

쑥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향기는 건조지대에서 자라는 많은 식물과 마찬가지로, 해충과 세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항균 물질 등의 화학 물질을 발달시켜 온 데서 유래한다. 향기의 근원이 되는 정유 성분은 여러 가지 약효 성분이 있으므로, 옛부터 약초로 이용되어 왔다.

어린잎

4. 명칭

한글명 '''쑥'''의 어원은 불명확하지만, 잘 번식하여 사방으로 퍼지는 데서 "사방초(四方草)"라고 써서 쑥이라고 읽는다는 설과 봄에 잘 돋아나는 풀이라는 데서 "선맹초(善萌草)"에서 유래했다는 설, 잘 타는 데서 "선연초(善燃草)"라고 써서 쑥이라고 읽는다는 설이 있다. 쑥의 "쑥"은 줄기가 있는 풀을 의미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봄에 어린 잎을 따서 떡에 넣는 데서 '''떡쑥'''(餅草)으로 불리며, 잎 뒷면의 털을 모아 에 사용하는 데서 '''애엽'''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에모기, 사시모그사(사시모풀), 사세모그사, 사세모, 탈레하그사(처진잎풀), 뜸, 야키쿠사(구운풀), 야이그사(구운풀), 요고미 등의 방언명이 있다. 오키나와현에서는 후치바라고 하여, 냄새 제거, 약용, 향초로 사용된다. 도곡의 『청이록』에는 "'''배속병풍'''"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

홋카이도 아이누어와 사할린 아이누어에서는 개똥쑥·산쑥·산쑥을 공통적으로 노야(아이누어: noya)라고 부른다. 이것은 "비비는 풀"이라는 의미로, 약초로 잎을 비벼 상처에 붙인 데서 유래한다.

영어로는 ''Japanese mugwort''라고도 불리지만, 영어의 ''mugwort''와는 다를 수 있다.

5. 이용

쑥은 식용, 약용, 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쑥을 귀하게 여겨왔으며, 단군신화에도 쑥이 등장한다.[9]

이 쑥 100 다발과 마늘 100개를 먹고 사람이 되었다는 한국의 개국설화에서 볼 수 있듯이, 쑥은 신비한 약효를 지니는 식물로 예로부터 귀중히 여겨왔다.

옛날에는 말린 쑥을 화롯불에 태워 여름철 모기를 쫓거나, 단오에 말린 쑥을 집에 걸어두어 액막이로 활용했다. 양봉에서는 벌을 진정시키는 데 쑥 연기를 사용한다.

도로 공사 시에는 토양 유실을 막기 위해 쑥을 심기도 한다. 다만, 쑥 꽃가루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5. 1. 식용

이른 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거나, 쑥을 덖어 차로 마시기도 하고, 이나 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쑥은 약으로도 쓰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가벼운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9] 일본에서는 쑥을 쑥떡(草餅, kusa mochi) 또는 쑥절편(蓬餅, yomogi mochi)이라고 불리는 찹쌀떡에 향을 내는 데 사용한다. 쑥경단(草団子, kusa dango)이라고 불리는 쌀가루 경단에도 사용한다. 어린 잎은 살짝 데친 후 찧어 넣어 맛깔스러운 색깔과 향, 맛을 더할 수 있다.

일본 요리에서는 잎을 데쳐서 수프나 밥에 넣기도 한다.[10][11]

한국 요리와 한약에서 널리 사용되는 쑥(ssuk)은 봄철에 어린 쑥잎을 전, 쑥김치, 쑥국과 같은 요리에 사용한다. 신선한 쑥과 분말로 갈아낸 말린 잎은 다양한 떡의 재료로 쓰이며, 오늘날에는 아이스크림, 빵, 케이크, 쑥차(쑥차), 쑥라떼와 같은 디저트와 음료에도 풍미와 색깔을 더한다.[12]

쑥차


이른 봄에 딴 어린 싹은 데쳐서 나물이나 무침, 국거리로 사용하거나, 잘게 썰어 떡에 넣어 쑥떡이나 쑥개떡을 만든다. 쑥은 쓴맛이 강해 소금을 약간 넣은 뜨거운 물에 데쳐 찬물에 우려 쓴맛을 제거한다. 섬유질이 많아 소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잘게 썰거나 으깨서 사용한다. 잘게 썬 쑥은 갓 지은 밥에 섞어 쑥밥을 만들거나 쑥국수, 쑥죽 등의 요리에도 사용된다. 튀김에는 초여름(6월)까지 부드러운 윗부분을 따서 사용한다.

쑥은 쑥갓과 비슷한 향을 즐길 수 있다. 떡의 재료로는 흰명아주 대신 쑥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잎 뒷면의 미세한 털이 떡의 끈기를 더해주므로, 원래는 색깔이나 향을 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떡의 결착제로 사용되었다. 쑥의 어린 싹은 들판이나 둑, 강가 등에서 무리 지어 자라기 때문에 쉽게 많은 양을 채취할 수 있다.

사철쑥 (), 애기사철쑥 등은 모두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쑥잎과 독성 식물인 투구꽃의 잎은 모양이 매우 비슷하므로, 야생 쑥을 채취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투구꽃은 일본 전역에 자생하지만 특히 본주 중부 이북과 홋카이도 산간 지역에 많이 자생한다.

5. 2. 약용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 구토, 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13]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쑥의 종류 중 하나인 '''산쑥 (''Artemisia princeps'')'''은 에 사용되는데, 뜸은 중국, 한국, 몽골, 티베트, 네팔베트남의 전통 의료 행위이다.[13] 말린 잎을 차처럼 마시면 건위, 설사, 빈혈 등에 많은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잎을 그늘에서 말려 뜸의 쑥으로도 사용한다. 잎에는 정유 약 0.02% (시네올 50%, 알파-투욘, 세스키테르펜), 아데닌, 콜린, 타닌, 엽록소의 클로로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유는 내복하면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발한 작용, 해열 작용을 하며, 목욕제로도 목의 통증, 요통, 어깨 결림의 통증을 완화한다. 타닌이 조직 세포를 수축시키는 작용에 의해 지혈이나 설사 멈춤에 효과적이다. 쑥속의 속명 ''Artemisia''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하며, 생리통, 생리불순, 불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여성 건강의 수호신"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쑥은 다른 많은 약효가 있기 때문에 '''허브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있다.

6~8월경 잘 자란 잎을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 것을 애엽(艾葉)이라 하는데, 생약으로서 한방에서는 지혈, 진통, 설사 멈춤 등의 목적으로 처방에 사용된다. 민간에서는 애엽 1일 15g을 약 600cc의 물에 반량이 될 때까지 약한 불로 달인 즙을 옻나무 피부염, 땀띠, 습진 부위에 차갑게 찜질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 달인 즙을 양치약으로 사용하면 치통, 목 통증, 편도선염, 감기 기침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복부의 냉증, 통증, 생리통, 생리불순, 자궁 출혈에는 마찬가지로 1일 3~8g의 애엽을 약 400~600 cc의 물에 위와 같이 달인 즙을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따뜻하게 하면서 치료하는 약초이므로, 손발이 뜨거운 사람이나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금기된다.

8~9월경 무성해진 지상부의 줄기와 잎을 베어 잘게 썰어 말린 것을, 베주머니에 넣어 욕탕료목욕에 넣는다.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고, 통증을 완화하며 보온에 도움이 되므로, 땀띠, 어깨 결림, 요통, 신경통, 류머티즘, 냉증에 좋다고 여겨진다. 녹즙은 혈압을 내린다고 알려져 있다.

아이누족은 감기폐렴에 걸렸을 때, 쑥을 끓일 때 나는 수증기를 흡입시켜 치료했다.[25]

망토를 착용하고, 그 안에 쑥 등의 약초를 찐 구멍이 뚫린 의자에 앉아 몸을 따뜻하게 하는 "쑥찜질"이라는 메뉴를 제공하는 에스테틱살롱도 많이 있다.[26]

5. 3. 뜸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 구토, 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13]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쑥의 종류 중 하나인 산쑥(''Artemisia princeps'')은 뜸에 사용되는데, 뜸은 중국, 한국, 몽골, 티베트, 네팔베트남의 전통 의료 행위이다. 뜸에 사용하는 쑥뜸(艾)은 자란 쑥의 잎을 햇볕에 말려 건조시킨 후, 절구에 찧어 체에 치고, 뒷면의 솜털만을 채취한 것이다.

5. 4. 기타

흔히 쑥 이외에 산쑥(`A. montana`), 참쑥(`A. lavandulaefolia`), 덤불쑥(`A. rubripes`) 등도 쑥이라고 일컫는다.

이른 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어 봄을 느끼기도 하며, 쑥을 덖어 차로 마시거나 , 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 쑥 100 다발과 마늘 100개를 먹고 사람으로 되었다는 한국의 개국설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쑥은 신비한 약효를 지니는 식물로 예로부터 귀중히 여겨왔다.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 구토, 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한국 곳곳의 양지바른 길가, 풀밭, 에서 자란다. 옛날에는 말린 쑥을 화롯불에 태워 여름철에 날아드는 여러 가지 벌레, 특히 모기를 쫓기도 했고, 집에 귀신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단오에 말린 쑥을 집에 걸어두기도 했다. 양봉에서는 벌들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말린 쑥을 태운 연기를 활용한다.

도로 공사에서 쑥을 사용하는 예로는, 산이나 비탈면을 깎아 도로를 만들 때 빗물 등으로 법면(法面, のりめん)의 표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성장이 빠른 관목인 아까시나무(일반적으로 보이는 아카시아와 꿀 아카시아는 아까시나무를 의미함)나 풀씨 등을 섞은 흙을 뿌리는 방법이 있다. 쑥은 성장이 빠르고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지상부가 말라도 남은 뿌리가 살아 있어 토양 고정에 적합하다. 다만, 쑥의 꽃가루는 돼지풀과 마찬가지로 가을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이기도 하므로, 인공적으로 대량으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점이 있다.

중국 지방의 구전에는 본원사 문도들 사이에서 쑥 뿌리에 소변을 뿌린 것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함으로써, 쑥 특유의 뿌리혹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질산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말의 소변과 쑥을 이용하여 (당시로서는) 대량 생산되었다. 이것은 당시 군사 기밀이었기 때문에 철저히 비밀이 지켜져 일반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본원사파에 공급된 화약의 주체였던 것 같다. 오다 노부나가가 놀랐던 본원사의 철포 수는 사실 탄약의 양에 좌우되는 것이었고, 저렴한 질산이 그것을 뒷받침했던 것이다.

6. 효능

쑥은 마늘, 당근과 더불어 성인병을 예방하는 3대 식물로 꼽힐 만큼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혈액 속에서 해로운 병균을 잡아먹는 백혈구의 수를 늘려 면역기능을 높이고 살균효과가 있다.

몸 안의 습기와 냉기를 내보내는 작용이 있어 여성의 냉, 대하, 생리통 등 자궁을 따뜻하게 하기 때문에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고, 더러운 피를 정화시키고 부족한 피를 보충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위장도 튼튼하게 만들어준다.

7. 문화

한국에서는 쑥 또는 타래쑥[14]이라고 부르며, 단군신화, 즉 최초의 한국 왕국인 고조선의 전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14] 고대 한국인들에게 쑥은 약효나 종교적 가치가 있다고 믿었던 음식 중 하나였다.[15]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 신화에서 100일 동안 마늘 20쪽과 쑥 한 묶음만 먹고 웅녀가 여자로 변신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5]

8. 근연종


  • 개발나물( ''Artemisia capillaris''): 한국 본토(일본의 경우 혼슈)에서 오키나와(류큐 제도)에 걸쳐 분포하며, 강가나 해안의 모래땅에 자생한다. 키는 30~100cm이며, 꽃이 피지 않는 줄기는 짧고 로제트형으로 잎을 펼친다. 꽃줄기의 잎은 1~2회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9~10월에 피며, 꽃줄기를 세워 타원형의 두상화를 맺는다.[1]

  • 인디카쑥( ''Artemisia indica''): 한국 본토 서부 이서[2] 및 남서제도에 자생하며, 오키나와 방언으로는 "후치바(フーチバー)"라고 불린다.[3] 향이 강하며, 잡내 제거, 약용, 향신료로 사용된다.[27] 쓴맛이 순하며, 잘게 썰어 영양밥에 넣거나,[28] 오키나와 요리오키나와 소바나 염소고기 수프의 양념으로 토핑으로도 사용된다.[3] 이 단어는 나가사키 사투리나 하카타 사투리 등 규슈 사투리에 보이는 "후츠(フツ)","후츠파(フツッパ, 후츠의 잎이라는 의미)"와 어원이 같다고 여겨진다. 죽에 넣은 "후치바 지유시(フーチバージューシー)"도 일상적인 조리법이다.[29]

  • 산쑥( ''Artemisia montana''): 야마요모기(ヤマヨモギ)라고도 한다. 한국 본토 이북에 자생한다.[2]

9. 갤러리

10. 국화 잎과의 구별

쑥 잎은 국화 잎과 유사한데, 앞뒤가 모두 초록색이면 국화, 뒷면이 흰색이면 쑥 잎으로 구별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rtemisia princeps Pamp. http://www.theplantl[...]
[2] 논문 Antimutagenicity of Japanese traditional herbs, gennoshoko, yomogi, senburi and iwa-tobacco https://iubmb.online[...] 2004
[3] 논문 Antioxidant Artemisia princeps Extract Enhances the Expression of Filaggrin and Loricrin via the AHR/OVOL1 Pathway https://www.mdpi.com[...] 2017-09-00
[4] 웹사이트 Japanese mugwort https://hosho.ees.ho[...] 2021-08-10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0-21 Page 704 魁蒿 kui hao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Artemisia princeps - Pampan. http://www.pfaf.org/[...] 2008-01-18
[7] 웹사이트 Artemisia princeps http://www.eppo.int/[...] 2021-06-11
[8] 웹사이트 Artemisia princeps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2-08-11
[9] 서적 Plants for Human Consumption Koeltz Scientific Books
[10] 서적 A Dictionary of Japanese Food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997-01-00
[11] 뉴스 Yomogi (Mugwort) http://www.shejapan.[...] Japan Through Young Eyes 2008-01-18
[12] 웹사이트 Food in Korea : Korean Food Culture http://www.foodinkor[...]
[13] 논문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rtemisia princeps and A. montana. http://sciencelinks.[...] 2000
[14] 서적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5]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Reaktion Books
[16] 웹사이트 Artemisia indica Willd. var. maximowiczii (Nakai) H.Hara ヨモギ(標準) https://ylist.info/d[...] 2023-03-15
[17] 웹사이트 Artemisia princeps Pamp. https://ylist.info/d[...] 2023-03-15
[18] 서적 街でよく見かける雑草や野草がよーくわかる本 秀和システム 2006-11-05
[19] 서적 植物名の由来
[20] 서적 からだにやさしい旬の食材 野菜の本 講談社 2013-05-13
[21] 서적 清異録 江淮異人録 上海古籍出版社
[22] 웹사이트 アイヌと自然デジタル図鑑 植物編 §001 エゾヨモギ Artemisia vulgaris L. var. yezoana kudo https://ainugo.nam.g[...]
[23] 웹사이트 北海道ブルーリスト - 詳細内容 http://bluelist.pref[...] 2024-11-28
[24] 웹사이트 Artemisia japonica Thunb. オトコヨモギ(標準) https://ylist.info/d[...] 2023-03-14
[25] 서적 アイヌと自然シリーズ■第4集 アイヌと植物<薬用編> アイヌ民族博物館
[26] 웹사이트 『よもぎ蒸しにかかる法規制』 インスクエア ビジネスニュース Vol.1445 https://in-sq.com/ma[...] いしい行政書士事務所 2017-11-30
[27] 서적 からだにやさしい旬の食材 野菜の本 講談社 2013-05-13
[28] 서적 かしこく選ぶ・おいしく食べる 野菜まるごと事典 成美堂出版 2012-07-10
[29] 논문
[30] 웹인용 Artemisia princeps - Pampan. http://www.pfaf.org/[...] 2008-01-18
[31] 웹인용 Artemisia princeps http://www.eppo.int/[...] 2021-06-11
[32] 웹인용 Japanese mugwort https://hosho.ees.ho[...] 2021-08-10
[33] 웹인용 Artemisia princeps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2-08-11
[34] 서적 인용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Northeast Asia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35] 서적 인용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Reaktio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