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시마 점령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시마 점령 사건은 1861년 러시아 제국 해군이 부동항 확보를 목표로 쓰시마를 점령하려 한 사건이다. 러시아는 군함 포사드니크 호를 파견하여 측량을 실시하고, 시설 건설 및 주민을 위협하며 장기 체류를 시도했다. 이에 쓰시마 후추 번은 막부에 지원을 요청하고, 무력 충돌과 외교적 노력을 병행했으나, 러시아의 공세에 어려움을 겪었다. 막부는 영국에 도움을 요청하여 영국 해군의 압력으로 러시아 군함이 철수하면서 사건은 종결되었다. 이 사건은 일본의 개항과 근대화, 쓰시마 후추 번의 위상 변화,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세 침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러시아 - 농노해방령
    농노 해방령은 1861년 알렉산드르 2세가 러시아 제국 내 사유지 농노를 해방하고 시민 권리를 부여한 법률로, 크림 전쟁 이후 근대화 필요성에 따라 추진되었으며, 토지 구매 허용과 함께 공동체를 통한 분배 및 상환금 부과 등의 제약이 있었지만 자본주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 1861년 일본 - 도젠지 사건
    도젠지 사건은 1861년과 1862년 에도 시대 말기에 발생한 두 차례의 외국인 습격 사건으로, 쇄국 정책과 불평등 조약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던 시기에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격변의 도화선이 되었다.
  • 러시아-일본 관계사 - 에노모토 다케아키
    에노모토 다케아키는 막말의 해군 장교이자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로서, 보신 전쟁에서 막부군으로 활약하고 에조 공화국을 건국했으나 메이지 정부에 항복 후 사면되어 고위 관료로 활동하며 해군경, 통신대신, 농상무대신, 문부대신, 외무대신 등을 역임하고 홋카이도 개척과 해외 이민 정책에 기여했다.
  • 러시아-일본 관계사 - 구 러시아 영사관
    구 러시아 영사관은 러시아 제국이 설치한 영사관으로 일본 하코다테와 대한제국 한성부에 있었으며, 하코다테 영사관은 역사적 사건들을 겪고 냉전 시대에 폐쇄되었고, 한성부 영사관은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거점 역할을 했으며, 현재 하코다테의 건물은 호텔로 매각되어 재개장을 준비 중이다.
쓰시마 점령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사건 개요
사건명러시아 군함 대마도 점령 사건
관련 분쟁그레이트 게임
시기1861년 3월 14일 - 1861년 9월 19일
위치일본 대마도
원인-
결과러시아 함선 철수
상태-
교전 세력
교전국 1일본
교전 세력 1대마도
교전국 2영국
교전국 3러시아 제국
지휘관
지휘관 1소 요시카즈(宗義和)
지휘관 2제임스 호프
지휘관 3니콜라이 빌릴료프
전력
전력 1-
전력 2코르벳함 1척
사상자
사상자 12명 사망

2. 경과

2. 1. 러시아 군함의 진출

분큐 원년(1861년) 2월 3일(양력 3월 14일), 러시아 제국 해군 중위 니콜라이 빌리료프는 군함 포사드니크 호를 이끌고 쓰시마에 도착, 오자키우라(尾崎浦)에 닻을 내리고 측량을 실시한 뒤 곧바로 아소만으로 진입했다.[2]

니콜라이 빌리료프


러시아 함대의 중국 해역 함대 사령관 이완 리하쵸프 대좌는 부동항 확보를 위해 쓰시마 해협에 근거지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일본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러시아 제정은 리하쵸프의 제안을 거절했으나, 해사대신(海事大臣)이었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이 쓰시마로의 함대 파견을 허가하여 리하쵸프 사령관의 명령으로 포사드니크 호가 파견되었다.[2]

포사드니크 호가 오자키우라에 닻을 내리자 쓰시마 후추번의 번주 소 요시요리는 중신을 파견해 개항지가 아닌 곳에 정박하는 것은 불법이라며 퇴거를 요구했다. 이에 함장 브릴료프는 난파로 인해 항해가 어려워 배를 수리하기 위해 왔다고 답하고, 수리 공장 설치 자재, 식료품, 유녀(遊女)를 요구했다.[2] 3월 4일에는 이모자키에 무단 상륙하여 병사용 막사를 짓기 시작했고, 이후 선체 수리를 명목으로 공장과 연병장까지 건설했다.[2]

리하초프의 지시와 콘스탄틴의 조언에 따라, 1861년 2월 20일 포사드니크는 하코다테를 떠나 3월 1일 아소 만 서해안의 오사키 마을에 도착했다.[11] 소 요시요리는 즉시 막부에 알렸지만, 안도 노부마사의 내각은 대응을 지연시켜 요시요리는 스스로 행동해야 했다.[11] 비릴레프는 소 씨와 개인적인 접촉을 했고, 답례 선물을 주고받았으며, 이모사키 만을 측량하는 것에 대한 요시요리의 동의를 얻었다. 포사드니크는 4월 2일에 그곳에 도착했다.[11] 승무원들은 하선하여 러시아 국기를 게양하고, 임시 숙소와 부두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프로펠러와 선미 튜브 수리가 필요한 배를 개조할 준비를 했다.[11] 일본 관리들은 사실상 해군 기지를 설립하는 데 묵시적으로 동의했으며, 심지어 러시아인들을 돕기 위해 15명의 현지 목수 팀을 배정했다.[11]

2. 2. 쓰시마 후추 번의 대응과 교섭

쓰시마 후추 번에서는 러시아 해군의 쓰시마 점령 사건에 대한 대응을 두고 무력 충돌을 주장하는 양이파와 온건 대응을 주장하는 온건파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4][5][12][13] 번주 소 요시카즈는 사태를 악화시키지 않고 원만하게 해결하고자 노력하며, 문장사(問状使)를 포샤트니크 호에 파견해 러시아 측의 불법 행위를 여러 차례 추궁했다.

그러나 러시아 함대는 무응답으로 일관하며, 우세한 무력을 앞세워 쓰시마 주민들을 위협하거나 회유했다. 목재, 우마, 식량, 목탄 등을 강탈하거나 매수하며 장기 체류 준비를 갖추었고, 수병들은 작은 배를 이용해 연안을 측량하고 산야를 돌아다니며 야수를 포획하는 과정에서 부녀자들을 위협하기도 했다.[4][5][12][13] 이에 격분한 주민들과 러시아 수병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1861년 3월 23일, 브릴료프 함장은 쓰시마 번주에게 면회를 재차 요구하고, 이모자키의 조차를 요구했다. 이는 무력을 통해 쓰시마 후추 번의 승낙을 얻어내고, 이를 기정사실화하여 막부의 인정을 받으려는 의도였다. 쓰시마 후추 번은 면회 요구를 거절하면서 나가사키와 에도에 급히 사자를 파견해 막부의 지시를 구했다.

1861년 4월 12일, 러시아 병사들이 소함정을 타고 오후나고시(大船越)의 수문을 통과하려 하자, 쓰시마 후추 번의 경비병이 이를 제지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병사들은 경비병 마쓰무라 신고로(松村安五郎)를 사살하고 향사 2명을 포로로 납치했다.[4][12] 납치된 향사 중 한 명인 요시노 슈노스케(吉野数之助)는 그 자리에서 혀를 깨물고 자살했다. 러시아군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인근을 습격해 무기를 강탈하고 주민들을 납치, 소 일곱 마리를 빼앗아 귀환했다. 다음 날에는 수병 100여 명을 파견해 오후나코시 마을을 약탈하기도 했다.[4][5][12][13]

번주 소 요시카즈는 포샤트니크 호에 즉시 퇴거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쌀과 소금, 목탄을 제공하며 회유하고자 했다. 또한 번내 백성들에게 경거망동을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비밀리에 연안에 포대를 축조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소 씨의 소령인 히젠(肥前) 다시로(田代)에서는 대관 히라타 헤이하치(平田平八)가 수병을 이끌고 쓰시마로 건너와 러시아군을 격퇴할 기세를 보이기도 했다.

2. 3. 막부의 개입과 외교적 노력

나가사키 부교(長崎奉行) 오카베 나가쓰네(岡部長常)는 쓰시마 후추번에 러시아와의 분쟁을 피하도록 신중한 대응을 지시하고, 브릴료프 함장에게 불법행위를 힐문하는 글을 보냈다. 또한 사가(佐賀), 지쿠젠(筑前), 조슈(長州) 등 이웃 번의 제후들에게 실정을 조사하게 하고 대책을 의논했으나, 뾰족한 방법은 나오지 않았다.[12][13]

막부는 보고를 받고 하코다테 부교(箱館奉行) 무라가키 노리마사(村垣範正)에게 명해 현지 주재 러시아 총영사 이오시프 고스케비치에게 포샤트니크 호 퇴거를 요구했다. 또한 가이코쿠 부교(外国奉行) 오구리 다다마사(小栗忠順)를 간린마루(咸臨丸)로 쓰시마에 급파해 사태 수습을 꾀했다.[12]

오구리 타다마사


분큐 원년(1861년) 5월 7일, 오구리 다다마사는 쓰시마에 도착하여 5월 10일 브릴료프 함장과 회견했다. 러시아 측은 번주 면담을 강력히 요구했으나, 오구리는 이를 거절하고 러시아 병사의 무단 상륙을 조약 위반이라 항의했다. 5월 18일 회담에서 브릴료프는 다시 번주 면담을 요구했지만, 오구리는 "나를 사살해도 상관없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결국 협상은 결렬되었다. 5월 20일, 오구리는 쓰시마를 떠나 에도로 돌아갔다.[12]

에도로 돌아온 오구리 다다마사는 로주들에게 쓰시마 직할령화, 정식 외교 절차를 통한 교섭, 국제 여론 호소 등을 제안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오구리는 7월에 가이코쿠 부교직에서 사임했다.

2. 4. 영국의 개입과 러시아의 철수

7월 9일, 일본의 막부는 영국 공사 러더퍼드 올콕과 영국 해군 중장 제임스 호프에게 영국 함대의 압력으로 러시아 군함을 퇴거시킬 것을 제안했고, 로주(老中) 안도 노부마사 등과 협의하였다. 7월 23일 영국 동양함대 군함 두 척(인카운터, 린도브)이 쓰시마로 회항해 시위행동을 했고, 호프 중장은 러시아측에 엄중항의하였다.[6] 그러나 이 시점에 올콕은 영국에 의한 쓰시마 점령을 본국 정부에 제안하고 있었다.

러더퍼드 올콕


로주 안도 노부마사는 하코다테 부교 무라가키 노리마사를 시켜 러시아 영사에게 항의하게 하였다. 러시아 영사 이오시프 고스케비치는 영국의 간섭으로 형세가 불리해질 것으로 판단하고 군함 오프리치니크 호를 쓰시마로 급파해 브릴료프를 설득했다. 결국, 1861년 8월 15일(9월 19일), 포사드니크 호는 쓰시마에서 물러났다.[6]

9월, 가이코쿠 부교 노노야마 겐칸 등은 막부의 명을 받고 쓰시마로 가서 하코다테 담판의 결의에 따라 러시아 함대가 쓰시마에 설치했던 시설들을 처리했다. 러시아인의 조영물은 파괴하고 그 재료는 나가사키에 보관했다.

러시아는 극동에서의 근거지와 남해 항로 확보를 위해 쓰시마 점령을 시도했지만, 당시 아시아에 광대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영국에 의해 저지되었다. 리하체프는 콘스탄틴의 지시에 따라 전면 철수를 명령했고, 이후 중국의 뤼순커우 기지 완공까지 나가사키에 머물렀다.[13][14]

3. 사건의 배경과 원인

3. 1. 러시아의 남하 정책과 부동항 확보

19세기 중반 러시아 제국은 일본해로 세력을 확장했다.[7] 1850년 아무르 강 하구에 전초 기지를 건설하고,[7] 아이훈 조약(1858)과 베이징 조약(1860)을 통해 현재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획득했다.[7] 1860년에는 블라디보스토크를 건설했다.[7]

1858년 러시아 제국 해군은 겨울철 나가사키의 이나사 마을 맞은편 해안선을 임대했다.[7] 그러나 함대 사령관 이반 리하체프 제독은 외국 항구 주둔의 위험성을 인지하고[8] 쓰시마에 영구 기지 건설을 결정했다.[7] 1859년 영국이 쓰시마에 깃발을 꽂으려 했고, 1855년 섬 주변 수로 측량을 실시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9]

1860년 리하체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정부에 허가를 요청했고, 외무부 장관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는 영국의 이익에 반하는 침략을 배제했다.[9] 대제독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는 쓰시마 후추 번주와 개인적 거래를 제안하며, 실패 시 러시아 당국은 원정대 관련 정보를 부인하기로 했다.[9][10]

3. 2. 일본의 쇄국 정책과 쓰시마의 특수성

3. 3. 영국과 러시아의 동아시아 패권 경쟁

4. 사건의 영향과 역사적 의의

4. 1. 일본의 개항과 근대화에 미친 영향

4. 2. 쓰시마 후추 번의 위상 변화

4. 3.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5. 한국의 관점과 교훈

5. 1. 외세 침략에 대한 경각심 고취

5. 2. 국제 정세 인식과 외교 전략의 중요성

5. 3. 역사적 교훈과 미래를 위한 과제

참조

[1]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2]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3]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4]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5]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6] 서적 Negotiating with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간행물 Memorandum of Likhachev to General Admiral Great Prince Konstantin of 21 May 1860 The Central State Navy Archive (St Petersburg)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