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궁이는 전통 한옥 부엌에 설치되어 땔감을 사용하여 불을 피우는 시설이다. 기원전 10세기에서 4세기에 부뚜막의 형태로 등장했으며, 고구려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아궁이는 가마솥을 올려 음식을 조리하고, 발생한 열기로 방을 데우는 온돌 시스템의 핵심적인 요소였다. 연료의 변화와 현대 주택의 변화에 따라 연탄 아궁이, 보일러 등으로 대체되었으며, 일본의 가마도는 아궁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엌 - 가스레인지
    가스레인지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구이며, 1802년에 개발되어 상업화되었고, 한국에서는 1960년대 후반에 수입되어 1970년대부터 조립 생산되었으며, 실내 공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부엌 - 주방
    주방은 음식을 조리하고 준비하는 공간으로 인류 식생활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는 위생, 효율성, 소통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스마트 기술과 융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 난방 - 코타츠
    코타츠는 일본의 전통 난방 기구로, 테이블 아래 열원을 두고 이불을 덮어 다리를 따뜻하게 하는 가구이며, 이로리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 현대에는 전기 난방 방식과 함께 일본 가정의 필수 가구로 자리 잡았고, 세계 각지에 유사한 난방 기구가 있지만 일본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난방 - 열펌프
    열펌프는 저온의 열을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냉장고, 에어컨, 난방 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하여 정부는 보급을 장려하고 있다.
  • 불 - 방화
    방화는 고의로 불을 질러 재산 또는 인명 피해를 입히는 행위로, 형법상 중대한 범죄이며, 다양한 동기에 의해 발생하고 국가별로 처벌 수위가 다르게 적용된다.
  • 불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아궁이
개요
전통적인 한국식 부엌, 아궁이와 부뚜막이 있다.
한글아궁이
로마자 표기agungi
다른 이름부뚜막
한글 (다른 이름)부뚜막
로마자 표기 (다른 이름)buttumak
정의
정의전통적인 한국식 요리를 위한 화덕

2. 역사

아궁이는 고구려 시대 유적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전통적으로 아궁이에는 나무, 잔가지, 나뭇잎 등의 땔감이나 통나무를 길쭉하게 잘라서 쪼갠 땔나무인 장작을 사용했다.

2. 1. 초기 역사

초기 부뚜막은 기원전 10세기에서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6] 철과 도자기로 만들어진 부뚜막은 이후의 형태와 유사하며, 안악 3호분과 같은 고구려 기원전 1세기 유적에서 발굴되었다.[7]

2. 2. 근현대

해방 후 주거 난방용 연료가 초목에서 연탄으로 대체되어 연탄 아궁이로 바뀌었다. 연탄 아궁이는 편리했지만, 온돌 틈 사이로 일산화탄소가 누출되어 많은 인명피해를 입혔다.[11]

1970년대 초까지 많은 한국 농가에서는 을 연료로 사용하는 아궁이가 있는 부뚜막을 사용했다.[3] 그러나 현대 주택에는 장작 등 연료 조달에 어려움이 있고, 화재의 염려나 연기 발생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 때문에 예전의 온돌 기능은 기름, 가스, 전기 등을 이용한 보일러 시설로 바뀌었고, 가마솥의 음식 조리 시설은 가스레인지 등으로 대체되었다.

1980년대부터 공영아파트에서도 부엌이 입식으로 설치되면서 난방 방법도 연탄 아궁이 식에서 보일러로 바뀌었고, 부엌과 마루가 통합된 형태로 시공되었다.[11]

한국 부엌에 가마솥이 놓인 아궁이 - 제천시 청풍면 황석리에 충주댐 수몰로 이전한 보존가옥

3. 구조



한옥의 부엌과 인접한 온돌방의 그림을 통해 본 전통 한국 아궁이 구조


전통 한옥의 부엌 시설은 아궁이, 부뚜막, 온돌, 굴뚝 등으로 구성된다. 아궁이는 불을 때는 부분이고, 부뚜막은 아궁이 위에 가마솥을 얹는 언저리이다.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는 온돌을 통해 방을 데우고, 식은 공기는 굴뚝으로 배출된다.

온돌은 더운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므로, 아궁이는 구들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엌은 방 바닥보다 50cm~1m 정도 낮게 만들어졌다. 부뚜막은 벽돌이나 돌로 만들고 흙으로 마감했다.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있고, 불을 조절하기 위해 철판이나 문으로 덮을 수 있었다. 아궁이 뒤쪽 통풍구는 연기와 뜨거운 공기를 굴뚝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3]

3. 1. 아궁이



전통 한옥의 부엌에 있던 시설로,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면 아궁이 위에 가마솥을 얹어 음식을 조리하고, 아궁이 뒤로 빠져나간 열기는 고래를 따라 방을 데우는 데 쓰였다. 식은 공기는 굴뚝으로 빠져나갔다.[10]

온돌은 더운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빠져나가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어, 아궁이는 항상 구들장보다 낮은 곳에 있어야 했다. 따라서 아궁이가 있는 부엌은 방 바닥보다 50cm ~ 1m 정도 낮게 만들었다.

농가의 한국 부엌에 있는 부뚜막은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돌로 만들어졌으며, 으로 다듬어졌다.[5]

각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아궁이에 사용되는 큰 솥)을 부뚜막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위쪽 열린 공간이 있다.[5] 부엌에는 여러 개의 아궁이 구멍과 위쪽 열린 공간이 있는 부뚜막이 있을 수도 있고, 단일 아궁이 구멍과 단일 위쪽 열린 공간이 있을 수도 있다.[5] 각 아궁이는 불을 조절하기 위해 철판이나 문으로 덮을 수 있다.[5]

아궁이와 부뚜막은 전통적인 온돌(바닥 난방)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아궁이 뒤쪽의 통풍구는 추운 날씨에 열어 연기와 뜨거운 공기가 굴뚝을 통해 온돌 방 아래로 흐르고 집 반대편의 굴뚝으로 나가도록 한다.[3]

3. 2. 부뚜막



부뚜막은 아궁이 위 가마솥이 놓인 언저리로 흙과 돌을 쌓아 편평하게 만들어, 솥의 음식을 담아내는 그릇을 두거나 간단한 음식 재료를 준비하는 곳이다.[5] 농가의 한국 부엌에 있는 부뚜막은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돌로 만들어졌으며, 으로 다듬어졌다.[5]

각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아궁이에 사용되는 큰 솥)을 부뚜막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위쪽 열린 공간이 있다.[5] 부엌에는 여러 개의 아궁이 구멍과 위쪽 열린 공간이 있는 부뚜막이 있을 수도 있고, 단일 아궁이 구멍과 단일 위쪽 열린 공간이 있을 수도 있다.[5] 각 아궁이는 불을 조절하기 위해 철판이나 문으로 덮을 수 있다.[5]

3. 3. 온돌과의 연계



전통 한옥의 부엌에 있던 시설로,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면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을 얹어 음식을 조리하고, 아궁이 뒤로 빠져나간 열기는 고래 따라 방을 데우는데 쓰이고, 식은 공기는 굴뚝으로 빠져나간다.[10]

온돌구조는 무정형의 자연석을 괴임돌로 지지시켜 그 위에 자연석판을 깔아 그 사이의 공극은 진흙과 돌로 막고 그 위를 반죽된 흙으로 초벌을 한 다음 장판을 깔고 마무리했다.[10]

온돌은 더운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빠져나가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어, 아궁이는 항상 구들장 보다 낮은 곳에 있어야 하므로, 아궁이가 있는 부엌은 방 바닥보다 50cm ~ 1m 정도 낮게 만들었다.

농가의 한국 부엌에 있는 부뚜막은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돌로 만들어졌으며, 으로 다듬어졌다.[5]

각 아궁이 위에는 가마솥(아궁이에 사용되는 큰 솥)을 부뚜막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위쪽 열린 공간이 있다.[5] 부엌에는 여러 개의 아궁이 구멍과 위쪽 열린 공간이 있는 부뚜막이 있을 수도 있고, 단일 아궁이 구멍과 단일 위쪽 열린 공간이 있을 수도 있다.[5] 각 아궁이는 불을 조절하기 위해 철판이나 문으로 덮을 수 있다.[5]

아궁이와 부뚜막은 전통적인 온돌(바닥 난방)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아궁이 뒤쪽의 통풍구는 추운 날씨에 열어 연기와 뜨거운 공기가 굴뚝을 통해 온돌 방 아래로 흐르고 집 반대편의 굴뚝으로 나가도록 한다.[3]

4. 영향

일본의 가마도는 한국에서 유래된 부뚜막을 개량한 것이다.[8][9] "가마도"(竈|조한국어)라는 단어 또한 부뚜막의 동의어인 한국어 단어 "가마"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한국어에서 "가마"라는 단어는 보통 가마를 지칭하지만, 부뚜막을 의미하는 용법은 부뚜막에 사용되는 가마솥을 지칭하는 "가마솥"과 같은 일부 복합어에서 찾을 수 있다.

5. 기타

아궁이에서 열 손실이 없도록 입구에 주철로 문을 달아 두는 경우도 있었다. 연탄 아궁이로 변천되었을 때는 아궁이 주위의 열 손실 방지를 위해 연탄 화덕을 레일식으로 만들어 온돌 내부에 집어넣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아궁이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Agungi https://krdict.korea[...] 2018-01-05
[3]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2018-01-04
[4] 웹사이트 Buttumak https://krdict.korea[...] 2018-01-05
[5]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8-01-05
[6] 논문 Advanced Horticultural Techniques in Korea: The Earliest Documented Greenhouses 2007-Summer
[7] 웹사이트 Buttumak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1-04
[8] 뉴스 A Family Tree: Traditional Kitchens of China, Korea and Japan https://koreana.or.k[...] 2018-01-04
[9] 서적 Daidokoro dōgu no rekishi Shibata Shoten
[10] 저널 한식온돌의 규격화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971-06
[11] 저널 아파트 공간 변용면으로 본 주거자의 생활 형태에 관한 연구 199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