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리 도브리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톨리 도브리닌은 소련의 외교관으로, 1919년 모스크바주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항공 대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소련 외무부에 입성했다. 1962년부터 1986년까지 주미 소련 대사를 역임하며 냉전 시대 소련-미국 관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6명의 미국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대사직을 수행했다. 1986년 귀국 후 당 중앙위원회 서기 겸 국제부장을 맡았으며, 1989년 몰타 회담에 참석하여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 1995년 회고록을 출판했으며, 2010년 사망했다. 사회주의 노동영웅 칭호와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러시아 외교의 전설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주재 소련 대사 - 안드레이 그로미코
안드레이 그로미코는 소련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약 28년간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냉전 시대 소련 외교의 핵심 인물이었고, 핵무기 경쟁 통제 협상에 관여했으며, UN에서 소련을 대표하여 "미스터 네트"라는 별명을 얻었고, 이후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의장을 지냈다. - 미국 주재 소련 대사 - 막심 리트비노프
막심 리트비노프는 리투아니아계 유대인 출신으로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에서 혁명 활동을 시작하여 볼셰비키 파벌의 창립 멤버로 활동했으며, 외무 인민 위원(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소련 외교 발전에 기여했다. - 냉전기의 외교관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냉전기의 외교관 - 조지 마셜
조지 마셜은 미국의 5성 장군이자 국무장관,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 확장과 유럽 침공 작전을 지휘하여 연합군 승리에 기여하고, 전후 마셜 플랜을 통해 유럽 경제 재건과 냉전 시대 안정에 기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진주만 공습 정보 실패와 맥아더 장군 해임 관련 논란도 있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 -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빅토르 스테파노비치 체르노미르딘은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러시아의 초대 총리를 역임하며 가스프롬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고, 체첸 분쟁 중재와 코소보 전쟁 외교, 우크라이나 주재 러시아 대사 등의 활동을 했으며, 그의 경제 정책과 독특한 화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나톨리 도브리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
국제부 부장 | 중앙위원회 국제부 |
임기 시작 | 1986년 3월 6일 |
임기 종료 | 1988년 9월 30일 |
이전 | 보리스 포노마레프 |
이후 | 발렌틴 팔린 |
미국 주재 소련 대사 | 미국 주재 소련 대사 |
임기 시작 | 1962년 1월 4일 |
임기 종료 | 1986년 5월 19일 |
이전 | 미하일 멘시코프 |
이후 | 유리 두비닌 |
제27기 서기국 구성원 | 서기국 |
임기 시작 | 1986년 3월 6일 |
임기 종료 | 1988년 9월 30일 |
중앙위원회 정식 단원 | 중앙위원회 |
임기 시작 | 1971년 4월 9일 |
임기 종료 | 1990년 7월 14일 |
중앙위원회 후보 단원 | 중앙위원회 |
임기 시작 | 1966년 4월 8일 |
임기 종료 | 1971년 4월 9일 |
개인 정보 | |
출생 이름 | 아나톨리 표도로비치 도브리닌 |
출생일 | 1919년 11월 16일 |
출생지 | 러시아 소비에트 모스크바 현 모자이스키 우예즈드, 크라스나야 고르카 |
사망일 | 2010년 4월 6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
국적 | 소련/러시아 |
출신 학교 | 모스크바 항공 대학 |
직업 | 외교관, 공무원, 정치인 |
배우자 | 이리나 도브리니나 |
정당 | 소련 공산당 (1946–1991) |
기타 | |
서명 | Anatoly Dobrynin signature.svg |
2. 어린 시절과 교육
도브리닌은 1919년 11월 16일 모스크바주 모자이스크 근처의 크라스나야 고르카 마을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자물쇠 제조공이었다. 그는 모스크바 항공 대학교를 졸업한 후 야코블레프 설계국에서 일했다. 이후 1944년 고등 외교 학교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의 저서인 『신뢰 속에서: 6명의 냉전 시대 대통령에게 보낸 모스크바 대사』는 1995년에 출판되었으며, 2001년에 마지막으로 재판되었다.
3. 경력
1946년 소련 외무부에 입부하며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1] 이후 외무부 비서실에서 근무하며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드미트리 셰필로프, 안드레이 그로미코, 발레리안 조린과 같은 고위 관리들을 보좌했다. 1957년에는 유엔 사무차장으로 임명되었고, 1960년에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소련 외무부의 미국 및 캐나다 담당 부서 책임자를 맡았다.[1]
1962년, 주 미국 소련 대사로 임명되어 외교 경력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그는 1986년까지 무려 24년간 이 직책을 수행했으며,[1] 1979년 7월부터는 워싱턴 D.C. 주재 외교단의 단장을 맡기도 했다.[2] 그의 재임 기간은 케네디, 존슨, 닉슨, 포드, 카터, 레이건에 이르는 6명의 미국 대통령 임기와 겹치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웠다.
냉전 시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그의 역할은 소련-미국 관계의 핵심 중 하나였다. 당시 대부분의 외교 업무는 주 소련 미국 대사가 아닌 워싱턴의 주미 소련 대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도브리닌은 미국 국무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는 국무부 차고에 개인 주차 공간을 제공받을 정도로 미국 외교계와 밀접하게 소통했으나, 이 특권은 1981년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취소되었다. 레이건 대통령은 당시 도브리닌에 대해 "인간적으로 그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4]
특히 헨리 키신저와는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일주일에 최대 네 번 만나 식사할 정도였다. 두 사람은 서로의 사무실에 직통 전화를 설치하고 선물을 교환했으며, 농담을 나누고 서로의 가족을 만나기도 했다.[5]
도브리닌은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에 발생한 쿠바 미사일 위기나, 원자로를 탑재한 인공위성 코스모스 954호 추락 사건 당시 소련을 대표하여 미국 측과 중요한 협상을 진행했다.[7]
1971년에는 소련 공산당(CPSU)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 오랜 주미 대사 임기를 마친 후 1986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당 중앙위원회 비서실에 합류하여 2년간 CPSU 중앙위원회 국제부장을 역임했다. 1988년 말 중앙위원회에서 은퇴한 뒤에는 소련 대통령 고문으로 활동했다.[1]
1989년 12월, 그는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만난 몰타 회담에 소련 대표단으로 참석하여 공식적인 냉전 종식을 선언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했다. 1992년에는 러시아 정부로부터 특명 전권 대사 명예 직위를 받았다.
2010년 4월 6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이 러시아 신문 『로스발트』를 통해 보도되었다.[8][9] 사인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4. 저서와 사망
도브리닌은 2010년 4월 6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8][9]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는 도브리닌의 가족에게 보낸 조전에서 그를 기리며 다음과 같이 애도했다.
"재능 있고 기억에 남는 인물인 아나톨리 도브리닌은 최고의 품격을 갖춘 전문인이자 러시아 외교의 전설이었으며 우리 곁을 떠났다. 그의 이름은 러시아와 세계 외교 정책의 한 시대를 대표한다.
아나톨리 도브리닌은 쿠바 미사일 위기를 해결하고 소련-미국 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지대한 개인적 기여를 했다는 점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는 뛰어난 협상가이자 분석가로서 동료와 적 모두에게 존경을 받았으며, 그의 선의, 깊은 지식, 풍부한 삶의 경험은 주변 모든 사람에게 존경과 호감을 얻게 했다."[6]
5. 영예와 수상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Political Biography
https://web.archive.[...]
OUP
2013-09-01
[2]
뉴스
Deans of the Diplomatic Corps
https://2009-2017.st[...]
2018-09-24
[3]
서적
The Fifty Year Wound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4]
간행물
Henry Kissinger: The Emotional Statesman
https://www.jstor.or[...]
2011-09
[5]
간행물
Henry Kissinger: The Emotional Statesman
https://www.jstor.or[...]
2011-09
[6]
뉴스
Dmitry Medvedev expressed his condolences over the death of diplomat Anatoly Dobrynin
http://eng.kremlin.r[...]
Presidential Press and Information Office
2011-09-01
[7]
뉴스
原子炉積載衛星が墜落 ソ連のコスモス型
朝日新聞
1978-01-25
[8]
웹사이트
Медведев соболезнует родным и близким известного дипломата Добрынина
http://www.rosbalt.r[...]
2010-04-08
[9]
웹사이트
訃報:A.ドブルイニンさん
http://mainichi.jp/s[...]
2010-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