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나 아폰수 데 레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알바루 1세의 서손녀로, 1670년 콩고 왕국의 여왕이 되었다. 그녀는 요리사로 활동하며 빈민 구제에 힘썼으며, 1669년 후계 공족으로 책봉된 후 1670년 잠시 왕위에 올랐다. 이후 퇴위하고 상왕으로 물러났지만, 은콘도 지역에서 독립적인 공국을 세워 통치했다. 콩고 왕국 재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1710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아프리카 사람 - 가르시아 5세
    죄송합니다. 제공된 정보가 없어 "가르시아 5세"에 대한 개요를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없습니다.
  • 18세기 아프리카 사람 - 안드레 2세
    안드레 2세는 가르시아 5세의 서자로 태어나 왕태자를 거쳐 콩고 왕국의 군왕으로 즉위했으며, 아들에게 선위한 후 사망했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17세기 아프리카의 군주 - 베르나르두 2세
  • 1625년 출생 - 쇼켄왕
    쇼켄왕은 류큐국의 왕이며, 쇼호왕의 아들이다.
  • 1625년 출생 - 라스무스 바르톨린
    라스무스 바르톨린은 17세기 덴마크의 과학자이며,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 학장, 총장을 역임하고, 덴마크어 문법서를 저술했으며, 방해석에서 빛의 복굴절 현상을 발견했다.
아나 아폰수 데 레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콩고 왕국의 여왕
재위 기간1673년 - 1709년
전임자아폰수 3세
후임자없음, 콩고 왕국 통합
출생일기원전 1625년경
사망일1710년 (84/85세)
배우자아폰수 2세
가문킨라자 가
종교가톨릭교
기본 정보
원래 이름Ana Isabel Afonso de Leão (아나 이사벨 아폰수 데 레앙)
왕조콩고 왕실
왕가콩고 왕가
작위콩고 왕국 제29대 마니콩고
재위 기간1670년 1월 8일 ~ 1670년 4월 15일
전임자알바루 9세
총리라파엘
수상라파엘
후임자세바스티앙 1세
배우자장 피에르 은통가(Jean Pierre Ntongga)
자녀2남 2녀
아버지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국적콩고 왕국
친인척알바루 페드루 음벰바(이복 서얼 오빠)
가르시아 2세(이복 서얼 오빠)
아폰수 3세(이복 서얼 남동생)
알바로 1세(친조부)
알바로 6세(이복 적형)
알바로 2세(이복 적백부)
페드로 2세(이복 서숙부)
알바로 3세(이복 서숙부)
베르나르도 2세(사촌 오빠)
암브로시오 1세(사촌 오빠)
알바로 4세(사촌 오빠)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사돈)
출생일1625년 5월 6일
출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사망일1712년 8월 30일
사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종교콩고 토속 신앙 → 로마 가톨릭(세례명: 이사벨)

2. 생애

알바루 1세의 서손녀인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1579~1648, 알바루 1세의 서차자)의 슬하 9남 3녀 가운데 서삼녀이자 막내로 태어났다. 1638년 13세의 나이로 결혼하여 사저에서 30년 넘게 요리사(料理師)로 활약하며 헐벗은 일반 서민들에게 무료 식사를 제공하는 등 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의 성자로 일컬어졌다.

1669년 7월 20일, 친정 조카손자인 알바루 9세로부터 덕망을 인정받아 후계공족으로 책봉되었으며, 1670년 1월 8일 알바루 9세에게 보위를 물려받았다. 1670년 2월 15일 친정 이복 서얼 조카 세바스티앙후계공으로 책봉하였고, 같은 해 4월 15일 세바스티앙에게 선위하여 퇴위한 후 상왕으로 물러났다. 이후 요리사로 복귀하여 복지 성향 식당 및 요리사 양성소 건립 등에 전념하였다.

2. 1. 초기 생애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알바루 1세의 서손녀였다. 그녀는 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 1579~1648, 알바루 1세의 서차자)의 슬하 9남 3녀 가운데 서삼녀이자 막내로, 1625년경에 태어났다. 콩고 왕국의 국왕 가르시아 2세 아폰수의 여동생이자, 단명한 군주 아폰수 2세의 아내였다. 13세 시절이던 1638년에 결혼하여 사저에서 왕위에 관심 없이 30년 넘도록 요리사(料理師)로 활약하며 헐벗은 일반 서민들에게 무료 식사를 제공하는 등 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의 성자로 일컬어졌다.

2. 2. 은콘도의 여왕

알바루 1세의 서손녀이자 알바루 1세의 서차자인 피에르 음벰바의 서삼녀로 태어난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1669년 친정 조카손자인 알바루 9세로부터 덕망을 인정받아 후계공족으로 책봉되었다.[1] 1670년 1월, 알바루 9세가 선위하자 즉위하였다. 즉위 직후 친정 이복 서얼 조카 세바스티앙을 후계공으로 책봉하였으나, 곧 그에게 선위하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콩고 왕국 내전(1665~1709) 기간 동안,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은콘도를 중심으로 사실상의 독립적인 공국을 설립하여 1682년부터 1714년까지 통치하였다. 그녀의 영토는 "여왕의 땅"으로 불렸다.

1691년 말, 마누엘 1세와 그의 동맹 소요의 공격을 받았으나, 음밤바 공작 페드로 바예 데 라그리마스의 도움으로 저항하였다. 하지만 1692년 5월 패배하였다. 이후 여러 지역으로 피신하였으며, 1696년 9월, 그녀의 두 명의 대장, 키바시의 D. 안토니오 아폰수 음판주와 D. 가르시아 마쿵가가 페드로 콘스탄티노와 싸워 여왕의 이전 거주지인 콩도를 탈환했다.

2. 3. 콩고 왕국 재통일을 위한 노력

도나 아나 아폰수 데 레앙은 왕족 혈통이라는 권위를 바탕으로 콩고 왕국의 통일을 되찾기 위한 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696년 당시 콩고 왕국에는 페드루 4세와 주앙 2세라는 두 명의 유력한 왕위 경쟁자가 있었다. 아나 여왕은 자신의 친척인 주앙 2세를 지지하였고, 1696년 3월 루크 데 칼타니세타 신부를 렘바 지역으로 보내 주앙 2세에게 대사로 파견하였다.[1] 그러나 주앙 2세는 평화를 이루기 위한 필수 조건이었던 키오와 키아 은자 반환과 옛 수도 상 살바도르 점령을 거부하였다.

이후 아나 여왕은 킨라자 가문의 또 다른 친척인 D. 안토니오 데 레앙 맙누 Kinvangi를 지지하였다. 그는 1680년부터 1688년까지 루안다에서 지냈고, 유럽으로 돌아간 후 1693년 선교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콩고 왕국을 여행하며 단일 왕을 선출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하고 1702년 유럽으로 돌아갔다. 결국 아나 여왕은 킨라자 가문의 키방구 왕 페드루 4세를 지지하게 되었다. 그녀의 권위 덕분에 콩고 왕국의 주요 지도자들은 1696년 8월 2일 상 살바도르에서 즉위한 페드루 4세에게 충성을 맹세하였다. 하지만 일부 권력자들의 야망으로 인해 콩고의 완전한 통일은 1709년에야 이루어졌다.

아나 여왕의 사망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교황 클레멘스 11세가 1707년에 그녀에게 보낸 편지가 있어 171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알바루 1세콩고 왕국의 군주
부친피에르 음벰바(Pierre Mbemba)알바루 1세의 서차자, 슬하 9남 3녀
남편아폰수 2세콩고 왕국의 단명한 군주
사위D. 다니엘 엠펨바후작
조카알렉시스 아폰수
조카페드루 콘스탄티뉴 다 시바
조카마누엘 2세콩고 왕국의 군주, 알렉시스 아폰수, 페드루 콘스탄티뉴 다 시바의 이복형제
조카D. 알바로1700년에서 1707년 사이에 콩고 왕으로 옹립하려 함
조카도나 카타리나
조카손녀도나 아나남편 D. 클레멘테 사후 오완도 공작령 통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