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네지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네지브는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고고학적 기록을 통해 그의 존재가 확인된다. 그의 이름은 다양한 유물에 새겨져 있으며, 전임자인 덴의 아들로 추정된다. 아네지브는 "두 군주"를 의미하는 새로운 칭호인 "네부이"를 도입했으며, 왕실 요새와 거주지를 건설했다는 기록이 점토 인장에 남아 있다. 그는 또한 헵 세드 축제를 기념하려 했으나, 덴 왕의 무덤에서 관련 기록이 발견되어 논란이 있다. 아네지브의 무덤은 아비도스에 위치하며, 64개의 부속 무덤과 함께 발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통치자 - 카아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26년 동안 통치했으며, 왕위 쟁탈전 이후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왕조
    이집트 제1왕조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전 30세기까지 이집트를 통치하며 통일 국가를 형성하고 상형 문자, 건축, 예술 등을 발전시켰으며, 메네스, 호르-아하, 제르, 덴 등의 파라오들이 통치했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파라오 - 카아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26년 동안 통치했으며, 왕위 쟁탈전 이후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아네지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네지브 파라오의 석제 그릇 조각
아네지브 파라오의 석제 그릇 조각
역할파라오
통치 기간기원전 2930년경, 8-10년
왕조제1왕조
선왕
후왕세메르케트
호루스 이름호르-아네지브
Ḥr-ˁḏ-jb
'담대한 심장/의지력을 가진 자'
아비도스 왕 목록메르비아페
mr-bj3-p
'청동 옥좌의 사랑받는 자'
사카라 타블렛메리비아펜
mr.ij-bj3-pn
'청동 옥좌의 사랑받는 자'
토리노 왕 목록메리-게레그-이펜
mrj-grg-ipn
'청동 옥좌의 사랑받는 창시자'
즉위명니수트-비티-네부이-메르비아페
nsw.t-bty-nebwy-mrj-bj3-p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 두 군주의 그, 청동 옥좌의 사랑받는 자
개인 정보
배우자베트레스트?
자녀세메르케트?
아버지덴?
매장지움 엘-카아브, 무덤 X

2. 명칭

아비도스 왕 목록에서 가져온 카르투슈 명칭 '''메르비아페'''


아네지브는 고고학 기록에서 잘 입증되어 있다. 그의 이름은 편암, 설화석고, 각력암 및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용기에 새겨진 비문에 나타난다. 그의 이름은 또한 상아 태그와 흙 항아리 봉인에도 보존되어 있다. 아네지브의 이름과 칭호가 새겨진 물건은 아비도스와 사카라에서 발견된다.[3][4]

3. 가족 관계

아네지브의 가족 관계는 명확히 밝혀진 부분이 적다. 그의 부모가 누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임자인 덴이 아버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네지브는 베트레스트라는 여성과 결혼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팔레르모 석에는 베트레스트가 아네지브의 뒤를 이은 세메르케트 왕의 어머니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아네지브에게 아들과 딸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들의 이름은 역사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그의 아들 후보로는 후계자인 세메르케트가 거론된다.[5]

4. 통치

아네지브는 니수트-비티 칭호 외에 호루스와 세트를 상징하는 네부이 칭호를 도입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다.[5][6] 또한 새로운 왕실 요새와 거주지를 건설하고[7] 다수의 숭배 조각상을 제작하는 등[4] 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헵 세드 기념과 관련하여 선대 왕 덴의 기록을 도용했다는 의혹이 있으며, 이는 그의 재위 기간이 짧고 말년에 불안정한 상황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8][3][6]

4. 1. 업적 및 사건

아네지브 왕의 인장


고고학 기록에 따르면, 아네지브는 ''니수트-비티'' 칭호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왕실 칭호인 ''네부이'' 칭호를 도입했다. 이 칭호는 짧은 깃대에 매달린 두 개의 매 기호로 쓰였으며, "두 군주"를 의미하며 신성한 수호신인 호루스와 세트를 가리킨다. 이는 또한 하 이집트와 상 이집트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아네지브는 이 칭호를 통해 이집트 왕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정당화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5][6]

점토 인장에는 새로운 왕실 요새인 ''호르 네부-케트''("신성한 공동체의 금인 호루스")와 왕실 거주지인 ''호르 세바-케트''("신성한 공동체의 별인 호루스")의 건립이 기록되어 있다.[7] 석조 용기 비문에는 아네지브 치세 동안 왕을 위해 유난히 많은 수의 숭배 조각상이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최소 6개의 유물에서 왕의 왕실 문장을 들고 서 있는 조각상을 묘사하고 있다.[4]

석조 용기 비문에는 아네지브가 첫 번째, 심지어 두 번째 ''헵 세드''(왕위 즉위 축제)를 기념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축제는 전통적으로 왕의 재위 30년 후에 처음 거행되고 그 후 3년 또는 4년마다 반복되었다.[8] 그러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헵 세드와 아네지브의 이름이 함께 표시된 모든 유물은 실제로는 덴 왕의 무덤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아네지브가 단순히 덴의 이름을 지우고 자신의 이름으로 대체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집트 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이를 아네지브가 실제로는 헵 세드를 기념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그의 재위 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증거로 해석한다. 니콜라스 그리말과 볼프강 헬크와 같은 이집트 학자들은 덴의 아들인 아네지브가 이집트 왕위에 올랐을 때 이미 상당한 나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헬크는 또한 아네지브의 모든 헵 세드 그림에 헵 세드 파빌리온 계단에 "케센"("재앙")이라는 표기가 쓰여 있다는 특이점을 지적하며, 이는 아네지브의 재위 말기가 폭력적인 사건으로 점철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보았다.[3][6]

4. 2. 헵 세드 축제 논란

석조 용기 비문에는 아네지브가 첫 번째, 심지어 두 번째 헵 세드(왕위 즉위 축제)를 기념했다는 기록이 있다.[8] 헵 세드는 전통적으로 파라오의 재위 30년 후에 처음 거행되고, 이후 3년 또는 4년마다 반복되는 중요한 축제였다.

그러나 최근 조사 결과, 헵 세드와 아네지브의 이름이 함께 새겨진 유물들은 실제로는 선대 파라오인 덴 왕의 무덤에서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아네지브가 단순히 덴의 이름을 지우고 자신의 이름으로 대체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이집트 학자와 역사학자들은 이를 아네지브가 실제로는 헵 세드를 기념하지 않았으며, 그의 재위 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중요한 증거로 보고 있다. 니콜라스 그리말과 볼프강 헬크와 같은 이집트 학자들은 덴의 아들인 아네지브가 이집트 왕위에 올랐을 때 이미 상당한 나이였을 것으로 추정한다.[3][6]

헬크는 또 다른 특이한 점을 지적했는데, 아네지브의 헵 세드 관련 그림에는 헵 세드 파빌리온 계단에 qsn|케센egy("재앙" 또는 "불행"을 의미)이라는 단어가 새겨져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아네지브의 통치 말기가 혼란스럽거나 폭력적인 사건으로 마무리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6]

5. 무덤

아네지브의 매장지는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묘지 지역에서 발굴되었으며 "무덤 X"로 알려져 있다.[9] 이 무덤은 해당 지역의 다른 왕실 무덤들에 비해 규모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무덤은 중앙 매장실과 이를 둘러싼 64개의 부속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부장 매장, 특히 고대 이집트 수행원 희생 풍습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10][11][13] 부속 무덤 중 일부에서는 상아 조각품과 같은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2]

이 무덤은 에밀 아멜리노와 독일 고고학 연구소의 초기 조사를 거쳐, 1899년에서 1900년 사이에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굴되었다.

무덤에서 나온 상아 상감 조각

5. 1. 구조

아네지브의 매장지는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묘지에서 발굴되었으며 "무덤 X"로 알려져 있다. 그 크기는 16.4m x 9m이며 이 지역의 모든 왕실 무덤 중 가장 작다. 아네지브의 매장실(7m x 4.5m)은 두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쪽에서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매장실 벽은 1m가 넘게 두껍고 방들은 잘린 벽으로 나뉘어져 있다. 두 개의 방 중 작은 방에는 여러 개의 원통형 인장이 들어 있었고, 아마도 저장실이었을 것이다. 매장실은 다른 기초 없이 사막 모래에 나무 판자를 박아 만들었다. 이 판자 중 일부는 잘 보존되어 있었다. 매장실 지붕은 나무 기둥으로 지탱되었으며, 발굴자들이 그 중 하나를 그대로 발견했다.[9]

주요 매장실은 64개의 부속 무덤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부장 매장으로 해석된다.[10][11] 이들 방 중 일부에는 많은 수의 상아 조각품이 들어 있었다.[12] 제1왕조 말까지 왕의 가족과 왕실자살하거나 살해된 후 통치자 곁의 묘지에 매장되는 전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3]

현재까지 이 무덤은 1899년에서 1900년 사이에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한 번 발굴되었다. 이는 묘지의 다른 무덤과는 달리, 에밀 아멜리노라는 프랑스인에 의해, 그리고 그 후 독일 고고학 연구소에 의해 페트리 이전에 발굴되었다.

5. 2. 부장품

아네지브의 매장지는 아비도스의 움 엘-카아브 묘지에서 발굴되었으며 "무덤 X"로 알려져 있다. 크기는 16.4m x 9m로, 이 지역 왕실 무덤 중 가장 작다. 아네지브의 매장실(7m x 4.5m)은 두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동쪽 계단을 통해 들어갈 수 있다. 매장실 벽은 1m가 넘게 두꺼우며, 방들은 벽으로 나뉘어 있다. 두 방 중 작은 방에서는 여러 개의 원통형 인장이 발견되어 저장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장실은 별다른 기초 없이 사막 모래에 나무 판자를 박아 만들었으며, 일부 판자는 잘 보존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매장실 지붕은 나무 기둥으로 지탱되었는데, 발굴 당시 기둥 하나가 그대로 발견되기도 했다.[9]

주요 매장실 주변에는 64개의 부속 무덤이 있으며, 이는 부장 매장으로 해석된다.[10][11] 이들 방 일부에서는 많은 수의 상아 조각품이 나왔다.[12] 제1왕조 말까지는 왕족이나 왕실 측근들이 자살하거나 살해된 뒤, 통치자 곁의 묘지에 함께 매장되는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3]

이 무덤은 1899년에서 1900년 사이에 플린더스 페트리가 발굴했다. 다른 무덤들과 달리, 페트리 이전에 프랑스인 에밀 아멜리노와 독일 고고학 연구소가 먼저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

참조

[1] 서적 Manetho (The Loeb Classical Library, Volume 350)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2004
[2] 서적 The Royal Canon of Turin Griffith Institute of Oxford, Oxford (UK) 1997
[3]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Harrassowitz, Wiesbaden 1987
[4] 서적 Early Dynastic Egypt Routledge, London 1999
[5] 서적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1, P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6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London/New York 1994
[7] 간행물 Egypt at its origins: studies in memory of Barbara Adams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rigin of the State, Predynastic and Early Dynastic Egypt Peeters Publishers, Leuven 2004
[8] 간행물 The Heb Set Festival, Sequence and pBrooklyn 47.218.50 2009
[9] 서적 The royal tombs of the first dynasty: 1900. Part I. London 1900
[10] 간행물 Zur Rekonstruktion der Oberbauten der Königsgräber der 1. Dynastie in Abydos (Mitteilungen des Deutschen Archäologischen Instituts Kairo 47) von Zabern, Mainz 1991
[11] 서적 Ägypten,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3200-2800 v. Chr Fourier, Wiesbaden 1964
[12] 서적 The royal tombs of the earliest dynasties: 1901. Part 2 http://digi.ub.uni-h[...] Egypt Exploration Fund u.a., London 1901
[13] 서적 Ägypten, Geschichte und Kultur der Frühzeit, 3200-2800 v. Chr Fourier, Wiesbaden 1964
[14] 서적 図説古代エジプト誌 古代エジプトのファラオ 弥呂久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