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노비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노비우스는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활동한 기독교 변증가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에 대한 반박을 담은 저서 《이교도들을 반박함》(Adversus nationes)을 저술했다. 그는 이교 신앙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기독교의 일신교, 그리스도의 신성, 기독교의 확산을 옹호했으며, 파스칼의 내기라고 불리는 논증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 아르노비우스는 영혼 불멸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피력했으며, 루크레티우스와 플라톤의 영향을 받았고 성경에 대한 지식은 제한적이었다. 그의 저서는 9세기에 필사본으로 보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베르인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베르베르인 - 유수프 이븐 타슈핀
유수프 이븐 타슈핀은 11세기 알모라비드 왕조의 창시자이자 베르베르족 군주로서, 마그레브와 알-안달루스를 정복하고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 왕국들을 통합하여 서구 이슬람 세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 라틴어 작가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라틴어 작가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는 1483년 독일에서 태어난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오직 믿음으로' 칭의 교리를 확립하고 95개 논제를 발표하여 종교 개혁을 촉발했으며, 독일어 성경 번역과 성직자 결혼 허용에 기여했으나 후기에는 반유대주의적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아르노비우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아르노비우스 엘더 아르노비우스 아페르 시카의 아르노비우스 |
국적 | 로마인 |
직업 | 신학자 작가 |
분야 | 서양 철학 |
시대 | 로마 철학 |
주요 관심사 | 변증론 수사학 신학 |
주요 사상 | 파스칼의 내기의 초기 형태 |
주요 저서 | 《민족들을 반박하여》(Adversus nationes) |
상세 정보 | |
사망일 | 기원후 330년경 |
사망 장소 | 고대 로마 |
2. 저술 배경 및 목적
아르노비우스의 저술 《이교도들을 반박함》(Adversus nationesla)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기독교 박해에 대한 반박과 기독교 변증을 목적으로 한다.[4]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기독교인들이 고대 로마에 신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박해를 정당화하려 했다.
레빌로 P. 올리버가 "과장되고 거친 문체를 구사하는 사람"이라고 묘사한[5] 아르노비우스는 이 책에서 기독교를 강력하게 변호했다. 그는 이교 신들을 실존하는 존재로 여겼지만, 기독교의 최고 신에게 종속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간의 영혼은 신의 작품이 아니라 중간 존재의 작품이며, 본질적으로 불멸이 아니라 신의 은총과 같은 불멸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6]
아르노비우스는 성경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없이 저술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구약성서에 대해 모르고, 신약성서에서 그리스도의 생애만 알며, 복음서를 직접 인용하지 않는다. 그는 루크레티우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플라톤을 읽었다. 그의 그리스 및 로마 신화에 대한 진술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Protrepticus''와 네오플라톤주의를 복원하려 했던 코르넬리우스 라베오에 기반을 두고 있다.[6]
2. 1.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
아르노비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기독교인들이 로마 신들의 분노를 샀다고 주장하며 박해를 정당화한 것에 대해 반박하며,[4] 저서 《이교도들을 반박함》(Adversus nationesla)을 통해 이러한 주장에 대응했다.2. 2. 기독교 변증
아르노비우스는 저서 Adversus nationesla(《이교도들을 반박함》)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기독교인들이 로마에 신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박해를 정당화하려는 주장에 대응하여 기독교를 변호했다.[4] 그는 이교 신들을 실존하는 존재로 여겼지만, 기독교의 최고 신에게 종속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간의 영혼은 신의 작품이 아니라 중간 존재의 작품이며, 본질적으로 불멸이 아니라 신의 은총으로 불멸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6]아르노비우스는 일신교, 기독교(deus princeps, deus summusla), 그리스도의 신성을 옹호한다. 그는 기독교의 급속한 확산을 칭찬하고, 기독교가 야만인을 문명화했으며, 플라톤주의와 일치한다고 묘사했다. 이교와 우상 숭배에 반대하기 위해, 아르노비우스는 코르넬리우스 라베오와 같은 자료를 활용하여 이교 숭배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3권에서 5권까지 그는 당시의 신전, 우상, 그리스-로마 제례 관행을 설명하고, 6권과 7권에서는 제물과 형상 숭배를 설명한다.[6]
Adversus nationesla의 2권 4절에서 아르노비우스는 훗날 파스칼의 내기라고 불리는 논증의 최초 버전을 제시했다.[8] 종교에 대해 의심이 드는 경우, 그렇게 함으로써 얻는 보상과 그렇게 하지 않음으로써 겪는 위험 때문에 종교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미래의 본질이 어떤 예측으로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고려할 때, 확실하지 않고 의심스러운 상태에 있는 두 가지 중 어떤 희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전혀 희망을 갖지 않는 것보다 믿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은가? 왜냐하면, 한 경우에는 임박했다고 하는 것이 헛되고 근거 없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위험이 전혀 없지만, 다른 경우에는 때가 왔을 때 선언된 것에 거짓이 없다는 것이 밝혀지면 구원의 상실과 같은 가장 큰 손실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아르노비우스는 성경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이 없이 저술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구약성서에 대해 모르고, 신약성서에서 그리스도의 생애만 알며, 복음서를 직접 인용하지 않는다. 그는 루크레티우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플라톤을 읽었다. 그의 그리스 및 로마 신화에 대한 진술은 각각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Protrepticus''와 네오플라톤주의를 복원하려 했던 전 세대에 속한 코르넬리우스 라베오에 기반을 두고 있다.[6]
3. 주요 내용
아르노비우스의 주요 저술은 Adversus nationes|이교도들을 반박함la이다. 이 책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기독교인들이 고대 로마에 신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는 이유로 기독교 박해를 정당화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4]
아르노비우스는 이 책에서 기독교를 강력하게 변호하고, 이교와 우상 숭배를 비판하며, 영혼 불멸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제시한다. 특히, Adversus nationesla 2권 4절에서 파스칼의 내기로 불리는 논증의 최초 버전을 제시했다.[8]
그는 성경에 대한 지식은 부족했지만, 루크레티우스의 영향을 받았고 플라톤을 읽었다. 그의 그리스 및 로마 신화 관련 진술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Protrepticus''와 코르넬리우스 라베오의 저술에 기반한다.[6]
Adversus nationesla는 파리의 9세기 필사본과 브뤼셀에 있는 해당 필사본의 복사본으로 보존되었다.[9] 파리 필사본에는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의 ''옥타비우스''도 포함되어 있다.[10]
3. 1. 기독교 옹호
아르노비우스는 저서 Adversus nationes|이교도들을 반박함la에서 일신교, 기독교(deus princeps, deus summus|최고신, 주신la) 및 그리스도의 신성을 옹호했다.[7] 그는 기독교가 빠르게 확산되고 야만인을 교화했으며, 플라톤주의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아르노비우스는 기독교를 강력하게 변호하며, 이교 신들을 실존하는 존재로 여기지만 기독교의 최고 신에게 종속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영혼은 신의 작품이 아니라 중간 존재의 작품이며, 본질적으로 불멸이 아니라 신의 은총과 같은 불멸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혼의 불멸에 대한 믿음이 도덕적 억제를 제거하고 인간의 삶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6]
Adversus nationesla 2권 4절에서 아르노비우스는 파스칼의 내기라고 불리는 논증의 최초 버전을 제시했다.[8] 그는 종교에 대해 의심이 드는 경우, 그렇게 함으로써 얻는 보상과 그렇게 하지 않음으로써 겪는 위험 때문에 종교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 2. 이교 신앙 비판
아르노비우스는 저서 《Adversus nationes|아드베르수스 나티오네스la》(《이교도들을 반박함》)에서 이교 신앙을 비판했다. 그는 이교 신들이 실존하지만 기독교의 최고신에게 종속된 존재라고 주장했다.[6] 아르노비우스는 코르넬리우스 라베오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6] 당시 이교 숭배의 상세한 내용을 비판했는데, 3권에서 5권까지는 신전, 우상, 그리스-로마 제례 관행을,[6] 6권과 7권에서는 제물과 형상 숭배를 다루었다.[6]3. 3. 영혼 불멸 논쟁
아르노비우스는 인간의 영혼은 신의 작품이 아니라 중간 존재의 작품이며, 본질적으로 불멸이 아니라 신의 은총으로 불멸성을 얻는다고 주장한다. 그는 영혼 불멸에 대한 믿음이 도덕적 억제를 제거하고 인간의 삶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비판한다.[6]3. 4. 파스칼의 내기
아르노비우스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확실하고 의심스러운 두 가지 중 희망을 품는 쪽을 믿는 것이 전혀 희망을 갖지 않는 것보다 더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한쪽은 헛된 것으로 판명될 경우 위험이 없지만, 다른 한쪽은 진실로 밝혀졌을 때 구원을 잃는 큰 손실이 따르기 때문이다.[8] 이는 파스칼의 내기로 불리는 논증의 초기 형태이다.4. 아르노비우스의 사상 및 영향
아르노비우스는 기독교를 강력하게 변호하며, 이교 신들을 기독교의 최고 신에게 종속된 존재로 여겼다. 그는 인간의 영혼이 신의 작품이 아니라 중간 존재의 작품이며, 본질적으로 불멸은 아니지만 신의 은총으로 불멸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혼 불멸에 대한 믿음이 도덕적 억제를 제거하여 인간 삶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6]
아르노비우스는 일신교, 기독교(deus princeps, deus summusla)를 옹호하고 그리스도의 신성을 인정했다. 그는 기독교가 빠르게 확산되고 야만인을 문명화했으며, 플라톤주의와 일치한다고 보았다. 이교와 우상 숭배에 반대하기 위해 코르넬리우스 라베오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당시의 신전, 우상, 그리스-로마 제례 관행, 제물과 형상 숭배를 자세히 설명했다.[6]
Adversus nationesla 2권 4절에서 아르노비우스는 파스칼의 내기라고 불리는 논증의 초기 버전을 제시했다.[8] 그는 종교에 대해 의심이 들더라도, 믿음으로 얻는 보상과 믿지 않음으로 겪는 위험 때문에 종교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1. 루크레티우스와 플라톤
아르노비우스는 루크레티우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플라톤을 읽었다. 그의 그리스 및 로마 신화에 대한 진술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Protrepticus''와 네오플라톤주의를 복원하려 했던 전 세대에 속한 코르넬리우스 라베오에 기반을 두고 있다.[6]4. 2. 성경 지식
아르노비우스는 성경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자신의 저술을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구약성서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신약성서에 대해서도 그리스도의 생애 정도만 알고 있을 뿐 복음서를 직접 인용하지는 않는다.[6]5. 보존 및 전승
Adversus nationesla는 파리에 있는 9세기 단일 필사본과 브뤼셀에 있는 그 사본의 조악한 복사본으로 보존되었다.[9] 프랑스 필사본에는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펠릭스의 ''옥타비우스''도 포함되어 있다.[10]
참조
[1]
서적
Histoire de la Tunisie: depuis les origines jusqu'a nos jours
https://books.google[...]
La Rapide
1944-01-01
[2]
문서
De Viris Illustribus (Jerome)
[3]
간행물
The Attitude of the Early Christian Writers to Pagan Literature and Learning
Washington
1949
[4]
서적
Historica, Biblica, Ascetica Et Hagiographic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6
[5]
뉴스
Arnobius of Sicca: The Case Against the Pagans
Revilo P. Oliver, reviewing George E. McCracken (tr.)
1949
[6]
EB1911
Arnobius (writer)
[7]
간행물
Arnobius Adversus Genera: 'Arnobius on the Genders'
[8]
서적
The Science of Conjecture: Evidence and Probability Before Pascal
Baltimore
2001
[9]
문서
Arnobii adversus nationes libri vii
Turin
1953
[10]
웹사이트
Modern translations of the Octavius come from a 9th century manuscript in the Bibliotheque Nationale in Paris which contains the seven books of Arnobius’ (284-305) Adversus Nationes along with an 8th book—the Octavius.
http://www.iep.utm.e[...]
[11]
문서
To distinguish him from a later Arnobius, of the fifth century, he is sometimes called '''Arnobius the Elder'''.
[12]
서적
L'apport de l'Afrique à la pensée humaine
https://books.google[...]
Payot
1952-01-01
[13]
서적
Le Berbère-- lumière de l'Occident
https://books.google[...]
Nouvelles Editions Latines
1984
[14]
서적
Histoire de la Tunisie: depuis les origines jusqu'a nos jours
https://books.google[...]
La Rapide
1944-01-01
[15]
문서
De Viris Illustribus (Jerome)
[16]
간행물
The Attitude of the Early Christian Writers to Pagan Literature and Learning
Washington
19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