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크투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가까운 1등성 중 하나이다. 태양의 26배 크기이며, 적외선을 포함한 밝기는 태양의 180배에 달한다.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다음으로 빠른 고유 운동을 보이며, 현재 태양계에 초속 122킬로미터로 접근하고 있다. 아르크투루스는 52개의 별들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크투루스 주변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이름은 그리스어 '곰의 수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욥기 등 다양한 문화에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상의 행성계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가설상의 행성계 - VB 10
VB 10은 조지 밴 비스브록이 발견한 적색 왜성이며 글리제 752의 반성으로, 밴 비스브로엑의 별, 독수리자리 V1298로도 불리며, 항성 질량 하한선에 가까운 작은 질량, 큰 고유 운동, 잦은 플레어 현상이 특징이나, 2009년 발견 발표된 행성 VB 10b의 존재는 불확실하다. - 목동자리 - 사분의자리 유성우
사분의자리 유성우는 매년 1월 초에 나타나는 유성우로, 폐지된 별자리인 사분의자리에서 복사점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복사점은 목동자리와 용자리 사이에 있으며, 최대 시간당 유성수는 변동이 심하고 활동 기간은 짧으며, 소행성 2003 EH₁이 모천체로 추정되고 혜성 C/1490 Y1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 - 목동자리 - 목동자리 에타
목동자리 에타는 목동자리에 있는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무프리드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황색 준거성이자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금속 과잉 별이다. - 변광성 후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변광성 후보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아르크투루스 | |
---|---|
기본 정보 | |
![]() | |
별자리 | 목동자리 |
겉보기 등급 | -0.04 |
적경 | 14h 15m 39.7s |
적위 | +19° 10' 56" |
거리 | 36.7 ± 0.3 광년 (11.26 ± 0.09 파섹) |
연주시차 | 0.088 초(88.98 ± 0.68 밀리초각) |
분광형 | K1.5 IIIFe-0.5 |
물리적 특성 | |
질량 | 1.15 |
크기 | 25.7 ± 0.3 |
광도 | 210 ± 10 |
표면 온도 | 4,300 K |
절대 등급 | -0.29 |
중원소 함량 | 태양의 20ㅡ50% |
나이 | >4.6 년 |
기타 정보 |
2. 물리적인 특성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이다. 분광형 옆에 붙은 'pe'는 '특이 방출(peculiar emission)'의 약자로,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에 방출선이 강하게 나타나는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현상은 아르크투루스와 같은 거성에서 드물지 않게 나타나지만, 아르크투루스에서 특히 더 강하게 관측된다. 아르크투루스의 반지름, 밝기, 운동, 질량 및 진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2. 1. 크기 및 밝기
아르크투루스는 분광형 K1.5IIIpe의 오렌지색 거성이다. 분광형 옆에 붙은 pe는 '특이 방출(peculiar emission)'의 약자로, 이는 별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이 특이한 양상을 보여주며 방출선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양상은 아르크투루스 같은 거성에서 그리 드문 현상은 아니지만, 유달리 아르크투루스에서 더 강하게 발견된다. 아르크투루스의 반지름은 태양의 26배 정도, 밝기는 태양의 110배 정도이다. 그러나 아르크투루스는 적외선 영역에서 많은 에너지를 발산하기 때문에 모든 영역을 고려한 밝기는 태양의 180배까지 증가한다. 큰 부피에 비해 가시광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덜 밝은 이유는 별 표면 온도가 태양보다 낮아서 발광효율이 낮기 때문이다.[1]
2. 2. 운동
아르크투루스는 지구 근처 1등성들 중 센타우루스자리 알파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고유 운동을 보여준다. 현재 태양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오기 직전이며,[1] 태양계에 대하여 초속 122킬로미터로 움직이고 있다. 아르크투루스는 52개의 다른 별들과 무리를 지어 우주 공간을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 3. 질량 및 진화
아르크투루스의 질량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태양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아르크투루스는 태양보다 나이가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보이며, 태양은 나이를 먹으면서 아르크투루스와 흡사한 진화 과정을 밟게 될 것이다.
3. 행성 존재 여부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 프로젝트에서 아르크투루스는 주인별 밝기의 약 20분의 1 정도 되는 짝별을 거느리고 있으며, 현재 관측 기술로 겨우 구별해 낼 수 있을 정도로 주인별에 가까이 붙어 돌고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 결과 히파르코스 자료는 짝별이 존재할 가능성을 남겨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짝별의 존재는 확실하게 검증되지 않았다.[2]
1993년 알데바란, 아르크투루스, 폴룩스의 시선속도를 측정하여 아르크투루스가 긴 주기의 시선속도 변화를 보임을 찾아냈고, 이는 '준항성 동반천체'로 해석이 가능했다. 예상되었던 질량은 최소 목성의 12배 정도이며, 별과 떨어진 거리는 지구~태양 거리와 비슷한 1.1 천문단위였다. 그러나 나머지 두 별에서 나온 자료도 비슷하여 결과적으로 세 별 모두 슈퍼목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추정이 가능했다. 결국 행성의 존재로 의심했던 시선속도의 흔들림은 동반천체의 중력 때문이 아니라 항성 내부의 활동 때문인 것으로 결론이 났다. 지금까지 아르크투루스 주변을 도는 것으로 검증된 행성은 아직 없다.[3]
4. 이름의 유래 및 관련 문화
아르크투루스(Αρκτοῦροςgrc)는 '곰의 수호자'라는 뜻으로,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 근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목동자리)이라는 점에서 유래된 이름이다.[4][5][6]
흠정역 성서의 욥기에는 아르크투르스에 대한 언급이 두 번 나온다.[7][8]
4. 1. 다양한 명칭
아르크투루스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Αρκτοῦρος에서 왔으며 '곰의 수호자'라는 뜻이다. 이는 아르크투르스가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 근처에 있는 별들(목동자리) 중 가장 밝다는 점과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아랍어로는 '''아스-시마크 아르-라미'''(السماك الرامح)로 불렸으며 이는 '창을 쥐고 있는 자의 다리'라는 뜻이다. 이 발음은 고대에 '''아라멕''', '''아지메크''' 등으로 바뀌어 불리기도 했다. 제프리 초서가 1391년 집필한 ''Treatise on the Astrolabe''에는 '''알라미'''라는 이름으로 수록되어 있다. '''하리스 아스-사마'''(حارس السماء)라는 이름도 있는데, 이는 '하늘의 파수꾼'이라는 뜻이다.[4][5][6]
4. 2. 성서에서의 언급
흠정역 성서의 욥기에는 아르크투루스가 두 번 언급된다.[7][8]- "아크투루스 별과 오리온 별자리와 플레이아데스 별무리와 남쪽의 방들을 만드시고" (욥기 9:9)
- "네가 마자롯을 그것의 철에 이끌어 낼 수 있느냐? 혹은 네가 아크투루스 별을 그것의 아들들과 함께 인도할 수 있느냐?" (욥기 38:32)
참조
[1]
문서
[2]
저널
Is Arcturus a well-understood K giant?
2005
[3]
저널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three K giants
1993-08
[4]
웹사이트
List of the 25 brightest stars
http://www.jas.org.j[...]
2007-04-30
[5]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1936
[6]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1994
[7]
웹인용
킹제임스(흠정역) 욥기 제9장
http://bible.c3tv.co[...]
2009-04-17
[8]
웹인용
킹제임스(흠정역) 욥기 제38장
http://bible.c3tv.co[...]
2009-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