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알데바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알데바란은 '뒤따르는 자'라는 뜻의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황소자리의 가장 밝은 별이다. 국제천문연맹(IAU)에서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으며,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황소자리 알파(α Tauri)로 표기된다. 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히아데스 성단 근처에 위치하지만 실제로는 히아데스 성단보다 훨씬 가깝다. 달에 의해 가려지는 엄폐 현상이 관측되며, 근적외선 파장에서 밝기가 매우 밝다. 고대 그리스, 중국, 아랍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신화와 문화, 현대 대중문화 속에서도 널리 언급된다. 알데바란은 물리적 특징, 안시 동반성, 행성계 존재 가능성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황소자리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황소자리 - 게 성운
    게 성운은 1054년 초신성 SN 1054의 잔해로, 중심부의 게 성운 펄서가 에너지 방출을 통해 성운의 팽창과 싱크로트론 복사를 일으키는 황소자리의 산광성운이다.
  • 아랍어 낱말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아랍어 낱말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알데바란
기본 정보
알데바란
알데바란 (이미지 중앙의 별)
화성 접근2024년 7월 11일 (0.697 AU)
2026년 6월 15일 (0.652 AU)
2028년 6월 29일 (0.626 AU)
2030년 6월 12일 (0.664 AU)
2032년 7월 01일 (0.691 AU)
명칭
아랍어الدَّبَران (ad-dabarān), '따르는 자'
기타 명칭황소자리 알파 (α Tau, Alpha Tauri)
87 황소자리 (87 Tauri)
파릴리시움 (Parilicium)
코르 타우리 (Cor Tauri)
BD+16°629
FK5 168
HD 29139
HIP 21421
HR 1457
SAO 94027
LTT 11462
GJ 171.1, 9159
ARICNS 00382
관측 정보
별자리황소자리
겉보기 등급0.86 (0.75–0.95, 변광)
특징
분광형K5+ III (적색 거성)
색 지수 (B-V)+1.44
색 지수 (U-B)+1.92
변광성 유형LB
운동 정보
시선 속도54.26 km/s
고유 운동 (적경)63.45 mas/yr
고유 운동 (적위)-188.94 mas/yr
연주 시차49.97 mas
절대 등급-0.641
물리적 특성
질량1.16 태양 질량
반지름45.1 태양 반지름
광도439 태양 광도
표면 온도3,900 K
표면 중력1.45 cgs
금속 함량-0.33 dex
자전 주기520일
자전 속도3.5 km/s
나이6.4 십억 년
반성 (伴星)
명칭황소자리 알파 B (Alpha Tau B)
겉보기 등급13.6
분광형M2V (적색 왜성)
고유 운동 (적경)64 mas/yr
고유 운동 (적위)-191 mas/yr
절대 등급11.98
반지름0.04 태양 반지름
질량0.15 태양 질량
광도0.00014 태양 광도
표면 온도3,050 K

2. 명칭

알데바란의 전통적인 이름은 '뒤따르는 자'라는 뜻의 아랍어 '알 다바란(al Dabarā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알데바란이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뒤따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은 이 고유 명칭을 공식 승인하였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황소자리 알파(α Tauri)로,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는 황소자리 87(87 Tauri)로 표기한다. 알데바란은 밝은 별 목록 1457번, 헨리 드레이퍼 목록 29139번, 히파르코스 성표 21421번으로 등재되어 있다.

변광성이지만 바이어 기호를 받았기 때문에 별도의 변광성 명칭은 없다. 워싱턴 이중성 목록, 에이트켄 이중성 목록 등 여러 이중성 목록에도 등재되어 있다.

2. 1. 다른 언어권 명칭


  • 고대 그리스에서는 람파디아스(Λαμπαδίας)로 불렸으며, '횃불 같은' 또는 '횃불을 든 자'라는 뜻이다.
  • 중국에서는 필수(畢宿)에서 다섯 번째 별이라는 뜻으로 필수오(畢宿五)라고 부른다.
  • 일본에서는 아토보시(後星), 스바루노아토보시(統星の後星) 등으로 불렸으며, '뒤따르는 별'이라는 뜻이다.

3. 관측

오리온자리의 허리띠에 있는 세 별에서 시리우스 반대 방향으로 시선을 옮기면 가장 먼저 만나는 밝은 별이 알데바란이다.[82] 알데바란은 히아데스 성단에서 가장 밝은 구성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히아데스 성단보다 훨씬 가까이 있다.[83] 히아데스 성단은 알데바란보다 두 배 이상 먼 곳인 150광년 거리에 있어 중력적으로 알데바란과 관련 없는 천체이다.

알데바란은 황도로부터 남쪽으로 5.47도 떨어져 있어 이 가릴 수 있다. 이런 엄폐 현상은 달의 승교점이 추분점 근처에 있을 때 일어난다. 2015년 1월 29일부터 2018년 9월 3일까지 달의 엄폐가 49회 연속 발생했다. 각각의 사건들은 북반구 또는 적도에 가까운 지역에서 볼 수 있었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남반구에서는 알데바란 엄폐 현상을 볼 수 없는데, 이는 알데바란이 황도로부터 남쪽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1978년 9월 22일 엄폐 때 알데바란의 지름을 꽤 정확히 측정했다. 알데바란은 매년 6월 1일경 태양과 의 위치에 자리한다.

근적외선 J 대역에서 알데바란의 밝기는 -2.1이다. 이 파장에서 알데바란보다 더 밝은 별은 베텔게우스(-2.9), 안타레스(-2.7), 황새치자리 R(-2.6), 아크투루스(-2.2) 넷뿐이다.

달에 의한 알데바란의 항성 엄폐


12월 상순 무렵에는 거의 하룻밤 내내 알데바란을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봄 저녁이나 가을 새벽에도 볼 수 있다.

4. 관측 역사

서기 509년 3월 11일 그리스 아테네에서 달이 알데바란을 엄폐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18] 영국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는 이 사건을 연구하여 1718년 알데바란이 사건 이후 수 분각 북쪽으로 위치를 변경했음을 알아냈다. 이는 시리우스와 아크투루스의 위치 변화 관측과 함께 고유운동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현재 관측 기록에 따르면 알데바란의 위치는 최근 2000년 동안 7′ 바뀌었으며, 이는 대략 보름달 지름의 4분의 1에 해당한다.[19][20]

윌리엄 허셜1782년 알데바란에서 117″ 떨어진 곳에서 11등급 밝기의 희미한 동반천체를 발견했다.[21] 1888년 S. W. 번햄은 이 동반천체 자체가 근접 이중성임을 알아냈으며, 주성으로부터 31″ 거리에서 14등급 동반성을 추가로 발견했다. 고유운동 측정 결과 허셜의 동반성은 알데바란으로부터 멀어지고 있었기에 둘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반면 번햄이 발견한 동반성은 알데바란과 거의 똑같은 고유운동을 보여주고 있었기 때문에 둘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쌍성계로 추정되었다.[22]

1864년 윌리엄 허긴스는 잉글랜드 털스 힐에 있는 그의 개인 천문대에서 알데바란의 스펙트럼을 최초로 연구하여 ,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원소 아홉 개의 분광선들을 발견했다. 1886년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에드워드 찰스 피커링은 알데바란의 스펙트럼에서 사진건판을 이용하여 흡수선 50개를 잡아냈다. 이 관측기록은 1890년 출판된 드레이퍼 항성목록의 일부가 되었다. 1887년에 이르러 사진술은 스펙트럼상의 도플러 변이량으로부터 어떤 항성의 시선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이 방법으로 헤르만 카를 포겔과 그의 조수 율리우스 샤이너는 포츠담 천문대에서 수행한 측정자료들을 이용하여 알데바란의 후퇴 속도가 초당 48 킬로미터임을 알아냈다.[23]

1921년 윌슨산 천문대의 후커 망원경에 부착된 간섭계를 이용하여 알데바란의 각지름을 측정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24]

이후 알데바란은 가이아 미션에서 항성 매개변수들을 조정하기 위해 선택된 항성 33개에 포함되었다.[25] 알데바란은 가이아 미션 이전에도 허블 우주망원경에 탑재된 관측장비들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어 왔다.[26]

5. 물리적 특징

알데바란과 태양의 크기 비교


알데바란은 K5III형 항성의 분광 표준별로 등재되어 있다. 스펙트럼상 알데바란은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한 뒤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주계열 띠를 이탈한 거성에 해당된다. 알데바란의 중심핵은 붕괴되어 축퇴 헬륨핵으로 진화하여 중심핵의 바깥쪽에 수소 껍질층을 형성한 상태인데 이를 적색 거성 가지(RGB)라고 부른다.

알데바란 광구의 유효 온도는 3910 켈빈이다. 광구에서의 표면 중력은 1.59 cgs로 거성으로는 평범한 수치이나 지구의 25분의 1, 태양의 700분의 1에 불과하다. 별의 금속함량은 태양보다 약 30% 적다.

히파르코스 관측 위성의 측정자료 및 기타 출처들에 의하면 알데바란은 지구로부터 65.3 광년 떨어져 있다. 성진학적 연구에 따르면 알데바란은 태양보다 16% 질량이 더 큰 것으로 나오나, 반지름이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광도는 태양의 518 배에 이른다. 알데바란의 각지름은 여러번 측정된 바 있다. 가이아 계획상 기준 조정의 일부분으로 채택된 측정값은 20.580 ± 0.030 mas이다. 알데바란의 지름은 태양의 44 배로 대략 6100만 킬로미터이다.

알데바란은 변광성의 성질을 미약하게 보여주므로 느린 불규칙 변광성(LB)에 속한다. 변광성 일반 목록에는 이 별이 역사적 관측기록상 겉보기 등급 0.75 ~ 0.95 사이에서 밝기의 변동을 보인다고 나와 있다. 이후 논문들에서는 이 변화량이 좀 더 작아졌고 일부 논문에 따르면 밝기 변화가 거의 없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광자료에 따르면 알데바란은 18 일 주기로 대략 0.02 등급의 진폭을 보인다. 지상 기반 집중 측광 관측에 따르면 밝기가 91 일 주기로 약 0.03 등급의 진폭을 보여줬다. 훨씬 더 긴 기간 동안 관측한 기록을 분석한 결과 겉보기 등급의 진폭은 0.1 미만이며, 변광 주기는 불규칙한 것으로 보인다.

알데바란의 광구에는 탄소, 산소, 질소가 풍부하여 이 거성이 끌어올림 최초 단계를 통과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끌어올림은 대류를 통해 항성 깊숙한 곳에 있던 물질이 표면으로 옮겨지는 현상으로, 어떤 별이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면서 밟는 보편적 과정이다. 알데바란은 천천히 회전하기 때문에 코로나를 만드는 데 필요한 다이너모가 부족하여 경엑스선 방출원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좀 더 깊은 대기층에서는 작은 규모의 자기장이 여전히 존재하여 표면 근처에서의 대류 난류를 만드는 것 같다. 알데바란의 자기장 위력은 0.22 가우스이다. 다만 스펙트럼상 자외선 방출은 검출되나, 깊은 대기층에서 방출된 연엑스선을 채층이 약화시키는 것 같다. 현재 알데바란은 (30만 년 동안 1 지구질량을 잃는 것임)의 비율로 질량을 잃고 있으며, 물질들의 이탈 속도는 초당 30 킬로미터이다. 이 항성풍은 항성의 깊은 층에서 발생하는 미약한 자기장에 의해 생겨나는 것일 수 있다.

알데바란의 채층 너머에는 확장된 분자 외곽 대기(MOLsphere)가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의 온도는 가스 분자가 생겨날 수 있을 정도로 낮다. 이 영역은 항성 반지름의 2.5 배 범위까지 퍼져 있으며 온도는 1500 켈빈 정도이다. 이 영역의 스펙트럼에는 일산화탄소, , 산화티타늄의 선들이 나타난다. MOLSphere 바깥쪽으로 별의 항성풍은 국부 거품을 지배하는 뜨겁고 이온화성간매질과 만나 말단충격을 만드는 지점까지 미친다. 이렇게 만들어진 항성권은 구체에 가까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알데바란을 중심으로 대략 반지름 1000 AU에 이른다.

6. 안시 동반성

알데바란 근처에는 어두운 항성 다섯 개가 있으며, 이들은 이중성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 이 동반성들은 발견 순서에 따라 로마자 대문자 기호(B~F)로 표기된다. 주성 알데바란은 A로 표기된다.

WDS 04359+1631 항성 목록
황소자리 α겉보기등급각거리 (″)방위각 (°)연도시차 (mas)
B13.6031.601132007
C11.30129.50322011
D13.70
E12.0036.103232000align=right |
F13.60255.701212000



가이아 데이터 2차 방출 같은 일부 연구들에서는 황소자리 알파 B가 알데바란과 동일한 고유운동시차를 가질 수 있기에 물리적으로 묶인 쌍성계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B는 밝은 주성에 너무 가까이 붙어 있어 측정이 어렵고, 자료의 오차 한계가 커서 물리적 연결 관계를 확실히 긍정하거나 부정하기 어렵다. 황소자리 알파 B의 분광형은 M2.5로 알려져 있다.

B 외에 다른 동반성들은 알데바란과 물리적으로 확실히 묶여 있다는 증거가 없다.

황소자리 알파 CD는 쌍성계로, C와 D는 중력적으로 묶여 서로 공전한다. 이들은 히아데스 성단의 구성원으로 밝혀졌으며, 알데바란은 물론 성단 내 다른 별들과도 물리적으로 묶여 있지 않다.

7. 행성계

1993년 알데바란, 아크투루스, 폴룩스시선속도 측정 결과, 알데바란에서 장주기 시선 속도 변화가 발견되었다. 이는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동반 천체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었다. 알데바란에 대한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이 동반 천체는 최소 질량이 목성의 11.4배, 공전 주기는 643일, 항성으로부터의 평균 거리는 2.0 AU (300 기가미터)이며, 약간 찌그러진 궤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함께 관측된 다른 두 항성(아크투루스, 폴룩스)에서도 비슷한 질량의 동반 천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흔들림이 발견되었다. 이에 논문 저자들은 이러한 시선 속도 변화가 동반 천체의 중력적 효과보다는 항성 자체의 활동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2015년, 행성급 동반 천체와 항성 활동 모두의 증거가 되는 안정적인 장기적 변화량이 측정되었다. 별의 진동을 분석하여 행성에 의한 흔들림만을 분리한 결과, 알데바란 b의 최소 질량은 목성의 5.8배로 추정되었다.

알데바란 b의 상상도


그러나 2019년 후속 연구에서는 알데바란 b의 존재에 대한 증거가 불확실하다는 결과가 나왔다.[7] 추가적인 시선 속도 관측 데이터를 포함한 재분석 결과, 시선 속도 변화가 행성의 공전이 아닌 항성 자체의 진동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재분석에서는 두 번째 행성(알데바란 c)의 존재 가능성도 고려되었으며, 두 행성이 존재할 경우 알데바란 c의 공전 주기는 772.83일로 추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알데바란 b의 존재는 현재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천체최소 질량공전 주기 (일)항성과의 거리 (AU)궤도 이심률
b5.8 목성 질량628.96 ± 0.91.46 ± 0.270.1 ± 0.05
c772.83 ± 4.340.09 ± 0.08


8. 신화 및 문화

알데바란은 밝고 찾기 쉬워 고대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 멕시코 북서부의 세리족은 알데바란을 플레이아데스 성단(일곱 아이를 출산하는 여인들)에게 빛을 주는 존재로 보았다. 이들은 알데바란을 '''', '''', '''' ('앞서가는 별') 등 세 가지 이름으로 불렀다. 10월을 뜻하는 세리족 단어는 '''' ('알데바란의 길')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북동부 클라렌스강 유역 원주민들은 알데바란을 다른 남자의 아내를 빼앗은 카람발(Karambal)이라는 조상으로 여겼다. 아내를 빼앗긴 남자는 카람발을 찾아내 그가 숨은 나무를 불태웠고, 카람발은 연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 알데바란이 되었다고 믿었다.

  • 힌두 천문학에서 알데바란은 월수(月宿) 로히니('붉은 것')로 불리며, 다크샤의 27딸 중 하나이자 찬드라(달) 신의 아내로 여겨진다.

  • 고대 그리스에서 알데바란은 람파디아스(Λαμπαδίας|람파디아스el)로 불렸는데, 이는 '횃불 같은' 또는 '횃불을 든 자'라는 뜻이다.

  • 중국에서 알데바란은 필수(황소자리 엡실론, 황소자리 델타3, 황소자리 델타1, 황소자리 감마, 71 Tauri, 황소자리 람다를 포함)의 다섯 번째 별로, 필수5(畢宿五)라고 불렸다.


이탈리아 해군 호위함 F590 알데바란


알데바란(또는 황소자리 알파) 명칭은 여러 곳에 사용되었다.

알데바란은 소설 《성난 군중으로부터 멀리》,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 《렌즈맨 시리즈》, 《추락한 용》 등 과학 소설에도 자주 등장한다. 점성학에서 황도궁의 별들 중 가장 밝은 알데바란은 매우 중요하다.

알데바란은 외계 생명체의 고향이나 나치UFO와 관련되어 언급되기도 한다. 독일 음모 이론가 악셀 스톨은 알데바란을 아리안족의 고향이자 독일 육군의 탐사 대상으로 보았다.

파이어니어 10호는 현재 지구와 교신이 끊겼지만, 알데바란 방향으로 이동 중이며 약 200만 년 후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서적 NightWatch: A Practical Guide to Viewing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2019-05-09
[2] 서적 The Monthly Sky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5-09
[3] 웹사이트 The Moon Hits a Cosmic Bull's Eye Tonight: How to See It https://www.space.co[...] 2015-09-04
[4] 간행물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ftp://tlgleonid.asus[...] 1998-04-01
[5] DR3
[6] Exoplanet Archive Alpha Tauri
[7] 간행물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XII. Evidence against the proposed planet Aldebaran b 2019-03-25
[8] 간행물 Long-lived,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Aldebaran: A planetary companion and stellar activity
[9] 웹사이트 Aldebaran, the eye of the bull http://www.ianridpat[...]
[10] 웹사이트 Welcoming Kapuahi, Hawaiian Airlines' first Boeing 787 Dreamliner https://newsroom.haw[...] 2024-02-23
[11] 서적 Job 1-21: interpretation and commentar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3
[12] 웹사이트 Fixed Star Aldebaran https://astrologykin[...] 2015-04-30
[13] 서적 The Encyclopedia Cthulhiana
[14] 간행물 Die Zerlegung des Ytterbiums in seine Elemente https://zenodo.org/r[...] 1908
[15] 간행물 Lutetium und Neoytterbium oder Cassiopeium und Aldebaranium – Erwiderung auf den Artikel des Herrn Auer v. Welsbach https://zenodo.org/r[...] 1909
[16]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7] 간행물 Search for a solution of the Pioneer anomaly 2007-01-01
[18] 간행물 Occultation of Aldebaran in the sixth century. - Bliss, Astronomer Royal 1885
[19] 간행물 Considerations on the Change of the Latitudes of Some of the Principal Fixt Stars. By Edmund Halley, R. S. Sec
[20] 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1978
[21] 간행물 Alpha Tauri CD - A well-known Hyades binary 1985-09-01
[22] 서적 Studies in astronomy https://books.google[...] Chatto & Windus 1904
[23] 서적 A Popular History of Astronomy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dam and Charles Black 1908
[24] 간행물 The Angular Diameter of a Bootis by the Interferometer 1921-06-01
[25] 문서 2005
[26] 간행물 Astrometric Studies of Aldebaran, Arcturus, Vega, the Hyades, and Other Regions 2008-07-01
[27] 간행물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28] 간행물 Occultation series of five stars
[29] 간행물 Lunar occultation of the Hyades and diameters of Alpha Tauri and Theta-1 Tauri 1979-06-01
[30] 웹사이트 LASCO Star Maps (identify objects in the field of view for any day of the year) http://lasco-www.nrl[...] Large Angle and Spectrometric Coronagraph Experiment (LASCO) 2008
[31] 간행물 The Washington Visual Double Star Catalog 2001
[32] 간행물 Statistical studies of visual double and multiple stars. II. A catalogue of nearby wide binary and multiple systems 1994-04-01
[33] 간행물 Long-period radial velocity variations in three K giants 1993
[34] 웹사이트 The Extrasolar Planet Encyclopaedia — Aldebaran b http://exoplanet.eu/[...] 태양계외행성 엔사이클로페디아
[35] 웹사이트 The Extrasolar Planet Encyclopaedia — Aledebaran c http://exoplanet.eu/[...] 태양계외행성 엔사이클로페디아
[36] 문서 알데바란 발음
[37] 논문
[38] 논문
[39] 문서 아라비아 별명의 오래된 의미
[40]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7-01-02
[41]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s://www.pas.roch[...] 2017-01-02
[42] 문서 알마게스트 恒星社厚生閣
[43] 문서 Tetrabiblos The Loeb Classical Library
[44] 문서 Palīlicium sīdus
[45] 서적 Oxford Lati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자연사 八坂書房
[47] 서적 Diccionaire Latin Français Hachette
[48] 서적 천구 회전론 みすず書房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문서
[53] 문서 타리윤나주무 발음
[54] 문서 나주무와 플레이아데스
[55] 문서 타비아 발음
[56] 문서 타비아와 정관사
[57] 문서 타리와 타비아의 어원
[58] 문서 하디윤나주무 발음
[59] 논문
[60] 논문
[61] 문서 Al-Āṯār al-bāqiya ʿan al-qarūn al-ḫāliya Leipzig
[62] 문서 미주다후/무주다후
[63] 논문
[64] 문서 아이누사우르 발음
[65] 논문
[66] 문서 칼부사우르 발음
[67] 논문
[68] 문서 칼불아사드 발음
[69] 문서 칼불아크랍 발음
[70] 논문
[71] 문서 아라비아 세계의 학문적 저술 번역 활동
[72] 문서 알데바란의 다양한 표기
[73] 참고문헌 Kunitzsch (1959, p. 110)
[74] 문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
[75] 참고문헌 Kunitzsch (1959, p. 70)
[76] 문서 알폰소 표의 알데바란 기록
[77] 문서 "황소의 심장"에 대한 어원적 배경
[78] 문서 루돌프 표의 알데바란 기록
[79] 문서 Confessio Amantis VII.1310
[80] 서적 Comcáac quih yaza quih hant ihíip hac: Diccionario seri-español-inglés http://lengamer.org/[...] Universidad de Sonora and Plaza y Valdés Editores 2005
[81] 서적 Aboriginal People and Their Plants https://books.google[...] Rosenberg Publishing Pty Ltd. 2007
[82] 서적 NightWatch: A Practical Guide to Viewing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83] 서적 The Monthly Sky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05-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