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한겔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아르한겔스크주의 행정 중심지이자 러시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다. 12세기에 건설된 미하엘 대천사 수도원을 기원으로 하며, 1584년 이반 4세에 의해 도시가 건설된 후 1613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발트해의 통항이 어려웠던 시기에 러시아의 유일한 해항으로 번성했으며, 표트르 1세 시대에 조선소가 건설되기도 했다. 19세기 말 철도 연결을 통해 목재 수출항으로 다시 활기를 찾았으나,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백군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보급 기지 역할을 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폐쇄 도시로 지정되기도 했다. 현재는 쇄빙선 덕분에 연중 항해 가능하며, 목재 가공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한겔스크 - A-A선
    A-A선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소련 침공 계획의 일부로 설정한 가상의 군사 경계선으로, 소련의 군사적, 경제적 역량 약화 및 자원 확보를 목표로 아르한겔스크에서 아스트라한까지 이어지는 선을 따라 소련 영토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코틀라스
    코틀라스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917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목재 산업, 하항, 철도 중심지로서 굴라그 수용소, 코틀라스 공항, 페름의 성 스테판 교회가 위치해 있다.
  • 아르한겔스크주의 도시 - 미르니 (아르한겔스크주)
    미르니는 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957년 탄도 미사일 발사 기지 노동자들을 위한 정착지로 지정되었으며, 1966년 우주 기지 개발과 함께 폐쇄 도시가 되었다.
  • 백해 - 카렐리야
    카렐리야는 백해에서 핀란드만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분할과 병합을 거쳐 핀란드와 러시아에 걸쳐 있으며 핀란드의 국민 서사시와 관련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백해 - 사미인
    사미인은 북유럽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순록 방목 등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활해 왔으며, 차별과 동화 정책을 겪었으나 현재는 자치권 확보와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르한겔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아르한겔스크, 북드비나 강
상단-하단, 왼쪽에서 오른쪽: 북드비나 강을 따라 보이는 풍경; 아르한겔스크 항; 성모 승천 교회와 해변; 마천루 Vysotka 전망
공식 명칭아르한겔스크
로마자 표기Arkhangelsk
다른 표기아르항겔, 아르항겔스크
별칭세계의 도시
위치러시아 아르한겔스크주
기념일6월 마지막 주 일요일
행정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아르한겔스크주
도시 округ아르한겔스크 도시 округ
행정 중심지아르한겔스크 도시 округ
시장드미트리 모레프
시 두마아르한겔스크 시 두마
지리
면적294.42 제곱킬로미터
인구
2010년 인구 조사348,783명
인구 순위50위
인구 밀도1185명/제곱킬로미터
2013년 인구350,985명
2021년 인구301,199명
역사
설립일1584년 (Novo-Kholmogory)
기타 정보
우편 번호163000-163071
지역 번호8182
웹사이트아르한겔스크 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바이킹 시대에 아르한겔스크 주변 지역은 비아르말란드로 알려졌다.[13] 12세기 노브고로드인들이 북드비나강 하구에 대천사 미카엘에게 헌정된 수도원을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는 홀모고리였다. 1478년 이 지역은 이반 3세에 의해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

1553년 이반 4세영국 상인(모스크바 회사)들에게 무역 특권을 부여했고, 1584년 노보 홀모고리(이후 아르한겔스크로 개칭)를 건설했다. 1693년 표트르 1세는 아르한겔스크에 조선소를 건설했으나,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면서 아르한겔스크의 중요성은 점차 감소했다.

19세기모스크바와의 철도 연결로 경제가 부활했고,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연합국의 주요 보급항 역할을 했다.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백군의 거점이 되기도 했다.[18]

2. 1. 초기 역사

바이킹들은 아르한겔스크 주변 지역을 비아르말란드로 알고 있었다.[13] 1989년, 현 아르한겔스크 바로 옆 드비나강 어귀에서 현지 농장 노동자들에 의해 매우 인상적인 은 보물이 발견되었다.[14] 대부분의 발견물은 총 1.6kg의 은으로, 주로 동전 형태였다. 보석과 보석 조각은 러시아 또는 인접 지역에서 온 것이다. 동전의 대부분은 독일 것이었지만, 이 보물에는 소수의 쿠파 동전, 영국, 보헤미아 동전, 헝가리 동전, 덴마크 동전, 스웨덴 동전, 노르웨이 동전도 포함되어 있었다.

12세기에 노브고로드인들은 대천사 미카엘에게 헌정된 수도원을 북드비나강 하구에 세웠다. 당시 이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는 아르한겔스크에서 남동쪽으로 75km 떨어진 홀모고리였다.

아르한겔스크 지역은 노르웨이와 러시아의 북부 지역 이권 다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411년, 노브고로드 출신의 야코프 스테파노비치는 북부 노르웨이를 공격했다. 이는 일련의 충돌의 시작이었다. 1419년, 500명의 병사를 태운 노르웨이 선박이 백해로 진입했다. "무르만인"으로 불린 노르웨이인들은(cf. 무르만스크) 아르한겔 미하일 수도원을 포함하여 해안을 따라 많은 러시아 정착지를 약탈했다.[15]

노브고로드는 노르웨이인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478년, 이 지역은 이반 3세에 의해 점령되어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넘어갔다.

12세기에는 노브고로드인이 북드비나강 어귀에 대천사 미카엘 수도원을 건립했다. 노브고로드에서 온 정착민들은 포몰이라고 불렸으며, 백해에서 북극해를 통한 교역에 관여했다. 1478년에는 노브고로드 공국을 멸망시킨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 당시 이 지역의 상업 중심지는 현재 아르한겔스크보다 조금 상류에 있는 도시 홀모고리였으며, 아직 아르한겔스크는 존재하지 않았다.

2. 2. 노브고로드 공화국 시대

바이킹들은 아르한겔스크 주변 지역을 비아르말란드로 알고 있었다.[13] 12세기노브고로드인들은 대천사 미카엘에게 헌정된 수도원을 북드비나강 하구에 세웠다.[14] 당시 이 지역의 주요 무역 중심지는 아르한겔스크에서 남동쪽으로 75km 떨어진 홀모고리였다.

아르한겔스크 지역은 노르웨이와 러시아의 북부 지역 이권 다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2세기에 노브고로드는 러시아의 관심을 콜라반도까지 북쪽으로 확장했지만, 노르웨이는 세금을 부과하고 모피 무역에 대한 권리를 행사했다. 1411년, 노브고로드 출신의 야코프 스테파노비치는 북부 노르웨이를 공격했고, 1419년에는 노르웨이 선박이 백해로 진입하여 아르한겔 미하일 수도원을 포함한 해안을 따라 많은 러시아 정착지를 약탈했다.[15]

노브고로드는 노르웨이인들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478년, 이 지역은 이반 3세에 의해 점령되어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넘어갔다.

2. 3. 모스크바 대공국과 무역

1555년, 이반 4세 (뇌제)가 북동항로를 찾아 백해로 온 영국 상인들(모스크바 회사)에게 특권을 부여하자, 북드비나강 하구에 매년 영국 선박이 보내지게 되었다.[16] 이어서 네덜란드 상인들도 백해에서의 활동을 시작했고, 1584년 이반 4세는 홀모고리의 하류에 도시를 건설했다. 처음에는 '''노보 홀모고리''' (신 홀모고리의 뜻)라고 불렸으나, 1613년 인근의 수도원에 연유하여 '''아르한겔스크'''로 개칭되었다. 발트해의 통항이 한자동맹과 이를 대체한 발트 제국에 의해 지배되던 시대, 아르한겔스크는 겨울철 5개월 동안은 결빙되어 사용할 수 없었지만, 러시아의 유일한 해항이었으며, 네덜란드 및 영국 (모스크바 회사) 상인과의 백해를 경유한 해상 교역으로 번성했다.

1693년, 해군의 중요성을 인식한 표트르 1세에 의해 아르한겔스크에 조선소가 건설되었다.[17] 이후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1703년 핀란드만에 면한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개항했다. 외국 무역의 전부를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집중시키는 칙령이 내려진 후에도 아르한겔스크를 경유한 무역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지만, 점차 아르한겔스크의 중요성은 감소해갔다.

2. 4. 표트르 대제와 쇠퇴

1693년, 표트르 대제는 아르한겔스크에 국립 조선소를 건설하라고 명령했다. 1년 후, 선박 ''스뱌토예 프로로체스트보''(성스러운 예언), ''아포스톨 파벨''(사도 바울), 요트 ''스뱌토이 표트르''(성 베드로)가 백해에서 항해했다. 그러나 표트르 대제는 아르한겔스크가 얼음으로 덮이는 5개월 때문에 항구로서 항상 제한적일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발트해 지역에서 스웨덴 군대에 대한 성공적인 작전 이후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 북부에서 중요한 해군 기지이자 해상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17]

1722년, 표트르 대제는 아르한겔스크가 도시의 소비에 충분한 양 이상의 상품을 더 이상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선언했다. 이는 차르가 모든 국제 해상 무역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기려는 의지 때문이었다. 이 요인은 1762년 이 법령이 취소될 때까지 지속된 아르한겔스크의 쇠퇴에 크게 기여했다.

발트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아르한겔스크는 쇠퇴했지만, 노르웨이 북부의 어개류와 러시아의 곡물을 교환하는 무대로서 여전히 중요했다.

2. 5. 부흥과 근대

1555년, 이반 4세 (뇌제)가 북동항로를 찾아 백해로 온 영국 상인들(모스크바 회사)에게 특권을 부여하자, 북드비나강 하구에 매년 영국 선박이 보내지게 되었다. 이어서 네덜란드 상인들도 백해에서의 활동을 시작했고, 1584년 이반 4세는 홀모고리의 하류에 도시를 건설했다. 처음에는 '''노보 홀모고리''' (신 홀모고리의 뜻)라고 불렸으나, 1613년 인근의 수도원에 연유하여 '''아르한겔스크'''로 개칭되었다.[17] 발트해의 통항이 한자동맹과 이를 대체한 발트 제국에 의해 지배되던 시대, 아르한겔스크는 겨울철 5개월 동안은 결빙되어 사용할 수 없었지만, 러시아의 유일한 해항이었으며, 네덜란드 및 영국 (모스크바 회사) 상인과의 백해를 경유한 해상 교역으로 번성했다.

1693년, 해군의 중요성을 인식한 표트르 1세에 의해 아르한겔스크에 조선소가 건설되었다. 이후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1703년 핀란드만에 면한 상트페테르부르크가 개항했다. 외국 무역의 전부를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집중시키는 칙령이 내려진 후에도 아르한겔스크를 경유한 무역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지만, 점차 아르한겔스크의 중요성은 감소해갔다.[17]

발트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아르한겔스크는 쇠퇴했지만, 노르웨이 북부의 어개류와 러시아의 곡물을 교환하는 무대로서 여전히 중요했다. 19세기모스크바철도로 연결되면서 주요 수출품인 목재 수출항으로서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러시아 내전 시기인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이 도시는 볼셰비키에 저항하는 반혁명 정부, 백군의 거점이 되었으며, 1918년 8월에는 공산 혁명의 붕괴를 꾀한 영국과 미국이 잠시 점령했다. 혁명 후 포몰 무역은 중단되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국 측의 보급 중계 기지로서 기능하여, 막대한 군수 지원 물자가 아르한겔스크를 통해 독소 전선으로 운반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독소전 "동부 전선의 입장과 원조" 항목 참조)

제2차 세계 대전 후, 아르한겔스크주의 광대한 토지는 핵실험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아르한겔스크 남쪽에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발사장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참조)이 건설되었다. 외항인 세베로드빈스크러시아원자력 잠수함 제조 계획의 중심지이다.

2. 6. 현대

오늘날 아르한겔스크는 주요 항구로 남아 있으며, 쇄빙선의 개선으로 인해 현재 연중 개방되어 있다. 이 도시는 주로 목재 및 어업 산업의 중심지이다.

2004년 3월 16일, 도시의 한 아파트 건물에서 발생한 폭발로 58명이 사망했다.

3. 행정 구역

아르한겔스크는 의 행정 중심지이며,[20] 행정 구역의 틀 내에서, 비록 그 일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프리모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도 한다.[21] 행정 구역으로서, 5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별도로 '''주 중요 도시 아르한겔스크'''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20] 지방 자치체로서, 주 중요 도시인 아르한겔스크는 '''아르한겔스크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22]

행정 목적으로, 이 도시는 9개의 구역(오크루크)으로 나뉜다.[23]

번호구역 이름
1이사코고르스키(Isakogorsky)
2로모노소프스키(Lomonosovsky)
3마이막산스키(Maymaksansky)
4마이스카야 고르카(Mayskaya Gorka)
5옥탸브르스키(Oktyabrsky)
6세베르니(Severny)
7솔롬발스키(Solombalsky)
8치글로멘스키(Tsiglomensky)
9바라비노-파크토리야(Varavino-Faktoriya)


4. 경제

아르한겔스크는 중요한 항만 도시이다. 쇄빙선의 발달로 일년 내내 항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목재 가공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5. 인구

아르한겔스크 인구 변화[1]
연도1897년1926년1939년1959년1970년1979년1989년2002년2010년2021년
인구20,40075,474284,570256,309342,590385,028415,921356,051348,783301,199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르한겔스크의 인구는 301,199명으로 러시아에서 68번째로 큰 도시이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민족 집단이 나열되었다.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330,65694.19%
우크라이나인4,4041.25%
벨라루스인1,5810.45%
기타5,3121.52%


6. 기후

아르한겔스크는 아극 기후(Dfc)를 보이며, 길고 매우 추운 겨울(11월~3월)과 짧고 온화한 여름(6월~8월)이 나타난다. 알래스카페어뱅크스사하 공화국오이먀콘과 같이 고위도 지역은 아르한겔스크보다 훨씬 더 추운 겨울을 보이는데, 이는 대서양의 영향으로 아르한겔스크의 겨울이 비교적 온화하기 때문이다.[55]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리고, 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린다. 강수량은 연중 매우 일정하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2°C-7.7°C-1.2°C5.4°C12.5°C18.7°C21.8°C18°C12.2°C4.8°C-2.5°C-6.4°C5.5°C
평균 최저 기온 (°C)-16.5°C-15.2°C-9.4°C-3.9°C2.2°C7.7°C11.3°C8.9°C5.1°C0.1°C-7.7°C-13.4°C-2.6°C
강수량 (mm)382930304961737061665346606
비 오는 날2241017171819221994143
눈 오는 날272623136100.031132528163
상대 습도 (%)85848072686975818588898780
일조 시간1356117193262298301203116591961643

[55][56]

7. 문화

아르한겔스크의 수호성인으로 묘사된 대천사 미카엘 이콘


아르한겔스크의 문장은 대천사 미카엘이 악마를 물리치는 모습을 묘사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 승리는 도시가 세워진 인근에서 일어났으며, 도시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미카엘은 악마의 재림을 막기 위해 여전히 도시를 지킨다고 한다.[12]

러시아 북부, 특히 아르한겔스크 지역은 민속학으로 유명하다. 20세기 중반까지 전문 연주가들이 동화와 빌리나를 공연했다. 1890년대부터 포모르 방언으로 이야기와 빌리나를 기록하기 위한 민속 탐험대가 조직되었다. 1920년대 안나 아스타호바의 노력으로 체계적인 탐험이 이루어졌으나, 1960년대에 공연 예술은 거의 사라졌다. 이러한 민속적 동기와 동화는 스테판 피사호프와 보리스 셰르긴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8세기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인근 마을 출신이다. 아르한겔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АГ투, 1929년 개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 및 전문대학이 통합되어 2011년에 로모노소프 명칭의 북방(북극) 연방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아르한겔스크의 활주로는 1997년 게임 ''골든 아이 007(GoldenEye 007)''의 한 레벨의 가상 배경이었다.[39]

드비나 강을 따라 있는 산책로

7. 1. 문화 시설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포모르인 마을 근처 홀모고리 출신이었다.[26] 그를 기리는 기념비는 1829년 이반 마르토스의 디자인으로 설치되었다. 표트르 대제의 기념비는 1872년 마르크 안토콜스키가 디자인하고 1914년에 설치되었다.[27]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시대에 역사적인 교회들이 파괴된 후, 도시의 주요 현존 랜드마크는 요새와 같은 상인 마당(1668–1684)과 뉴드비나 요새(1701–1705)이다.[28] 드비나 제방의 성모 승천 교회(1742–1744)는 2004년에 재건되었다.

2008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치하에서 파괴된 도시의 대성당을 재건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대성당은 대천사 미카엘에게 헌정된 것이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구조물은 1964년에 건설된 FM/TV 방송용 151m 높이의 굴뚝형 강철 텔레비전 송신탑인 아르한겔스크 TV 타워이다. 이 튜브형 강철 타워에는 중앙 타워 구조에서 각 세 개의 가이로 이어지는 두 개의 레벨로 작동하는 통로가 장착된 여섯 개의 크로스바가 있다. 이 크로스바에는 또한 여러 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31]

지역 "토착 건축"의 특이한 예는 이른바 수탸긴 하우스(Sutyagin House)였다. 이 13층, 44m 높이의[33][32] 지역 사업가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수탸긴의 거주지는 세계에서, 또는 적어도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목조 주택으로 알려졌다.

아르한겔스크의 주요 문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아르한겔스크 로모노소프 드라마 극장
  • 아르한겔스크 필하모니아
  • 아르한겔스크 청소년 극장
  • 아르한겔스크 주 박물관
  • 아르한겔스크 미술관
  • 스테판 피사호프 박물관
  • 미르 영화관


7. 2. 건축물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시대에 역사적인 교회들이 파괴된 후, 도시의 주요 현존 랜드마크는 요새와 같은 상인 마당(1668–1684)과
아르한겔스크의 뉴드비나 요새 계획도
뉴드비나 요새(1701–1705)이다.[28] 드비나 제방의 성모 승천 교회(1742–1744)는 2004년에 재건되었다.

2008년에는 소비에트 연방 치하에서 파괴된 도시의 대성당을 재건하기로 결정했는데, 이 대성당은 대천사 미카엘에게 헌정된 것이다. 2008년 11월에 지역 주교 티콘이 초석을 놓았다.[29] 도시의 주요 버스 터미널과 강 항구 근처에 위치한 대성당은 2019년에 완공되어 봉헌될 예정이다.[30]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구조물은 1964년에 건설된 FM/TV 방송용 151m 높이의 굴뚝형 강철 텔레비전 송신탑인 아르한겔스크 TV 타워이다. 이 튜브형 강철 타워에는 중앙 타워 구조에서 각 세 개의 가이로 이어지는 두 개의 레벨로 작동하는 통로가 장착된 여섯 개의 크로스바가 있다. 이 크로스바에는 또한 여러 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31]

지역 "토착 건축"의 특이한 예는 이른바 수탸긴 하우스(Sutyagin House)였다. -- 이 44m 높이의[33][32] 13층 건물은 지역 사업가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수탸긴의 거주지로, 세계에서, 또는 적어도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목조 주택으로 알려졌다. 수탸긴과 그의 가족이 15년 동안(1992년부터) 계획이나 건축 허가 없이 건설한 이 구조물은 수탸긴이 조직 범죄 혐의로 몇 년 동안 감옥에 있는 동안 악화되었다. 2008년, 지역 당국은 화재 위험을 이유로 이 건물을 규제했으며, 법원은 2009년 2월 1일까지 철거하라고 명령했다.[33][34] 2008년 12월 26일, 타워가 철거되었고,[35][36] 2009년 2월 초까지 건물의 나머지 부분은 수작업으로 해체되었다.[37][38]

7. 3. 민속

러시아 북부, 특히 아르한겔스크 지역은 민속학으로 유명하다. 20세기 중반까지, 동화와 ''빌리나''는 전문 연주가들에 의해 일상적으로 공연되었다. 1890년대부터 백해 지역과 이후 아르한겔스크 현의 다른 지역에서 특히 포모르 방언으로 이야기와 ''빌리나''를 기록하기 위한 민속 탐험대가 조직되었다.

1920년대에는 안나 아스타호바의 노력으로 이러한 탐험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1960년대까지 공연 예술은 기본적으로 사라졌다. 이러한 민속적 동기와 동화는 아르한겔스크 출신인 스테판 피사호프와 보리스 셰르긴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8. 교육

아르한겔스크에는 포모리 국립 대학교와 아르한겔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가 있었으며, 2010년 여러 고등 교육 기관과 통합되어 북극 연방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아르한겔스크에는 북부 국립 의과 대학교, 마카로프 국립 해양 아카데미, 그리고 전 러시아 원격 금융 경제 연구소 분교가 있다. 18세기의 러시아 과학자 미하일 로모노소프는 인근 마을 출신이다.

아르한겔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1929년 개교)는 다른 대학 및 전문대학을 통합하여 2011년에 로모노소프 명칭의 북방(북극) 연방 대학교 (연방 대학교)로 설립되었다.

9. 교통

오늘날 아르한겔스크는 주요 항구로 남아 있으며, 쇄빙선의 개선으로 인해 현재 연중 개방되어 있다. 이 도시는 주로 목재 및 어업 산업의 중심지이다.

아르한겔스크는 북부 철도의 종착역이다. 또한 이 도시는 바스코보 공항과 탈라기 공항 두 개의 공항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제2 아르한겔스크 연합 항공 사단과 스마트아비아 항공이 운행하고 있다.[24] M8 고속도로는 모스크바, 야로슬라블, 그리고 주의 행정 중심지인 세베로드빈스크로 직접 연결된다. 지역 대중교통은 버스와 ''마르슈루트카''라고 불리는 미니버스가 제공한다. 2004년까지는 트램이 있었고, 2008년까지는 Архангельский троллейбус|아르한겔스크의 트롤리버스ru가 있었다.

아르한겔스크 시의 노면 전차


1916년부터 2004년까지 운행되었던 아르한겔스크 시의 노면 전차는 세계 최북단에서 운행되는 노면 전차였다.[54]

교외에는 아르한겔스크 탈라기 공항이 있으며, 모스크바 등 주요 도시와 연락이 가능하다.

10. 스포츠

밴디는 아르한겔스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러시아의 국기(國技)로 여겨진다.[42] 지역 팀인 보드니크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그리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총 9번 러시아 챔피언이 되었다. 보드니크의 홈 경기장은 10,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43]

보드니크의 홈구장 트루드, 2011–2012 시즌 결승전 경기장


아르한겔스크는 1999년과 2003년에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44] 2011–2012 시즌 러시아 밴디 리그 결승전은 2012년 3월 25일에 이곳에서 열렸다.[45][46] 2016년 유스-17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는 1월 28일부터 31일까지 아르한겔스크에서 개최되었다.[47]

11. 자매 도시

아르한겔스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8]

국가도시체결 날짜
United States|미국영어포틀랜드1988년 11월 18일
Norge|노르웨이no바르되1989년 2월 23일
Deutschland|독일de엠덴1989년 11월 22일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조지아ka수후미2011년 6월 6일
ישראל|이스라엘he아슈도드2012년
Հայաստան|아르메니아hy제르무크2018년



과거 자매 도시:

국가도시체결 날짜종료 날짜 및 사유
Polska|폴란드pl스웁스크1989년 6월 26일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관계 종료[49]
Norge|노르웨이no트롬쇠2011년 7월 7일2022년
Suomi|핀란드fi오울루1993년 6월 3일2022년[50]
Sverige|스웨덴sv키루나1999년 8월 9일2022년[51]


12. 저명한 출신 인물


  • 미하일 로모노소프(1711–1765), 러시아의 박식가[1]
  • 피테르 푈(1760–1837), 네덜란드 외교관이자 출판인[1]
  • 요한 아브라함 뉘스케(1796–1865), 독일계 영국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1]
  • 일리야 슈모프(1819–1881), 러시아 체스 마스터이자 러시아 해군 장교[1]
  • 빌헬름 그라이펜하겐(1821–1890), 발트 독일 기자이자 정치인[1]
  • 에두아르트 셴스노비치(1852–1911), 러시아 제국 해군의 폴란드 제독[1]
  • 스테판 피사호프(1879–1960), 러시아 및 소련 작가[1]
  • 스테판 발마쇼프(1882–1902), 러시아 학생이자 암살자[1]
  • 보리스 셰르긴(1896–1973), 러시아 및 소련 작가[1]
  • 브와디스와프 포보그-말리노프스키(1899–1962), 폴란드 군인이자 역사가[1]
  • 몬자 다니셰프스키(1911–1994), 영국 영화 제작자[1]
  • 보리스 루코슈코프(1922–1989), 러시아 화가[1]
  • 티무르 가이다르(1926–1999), 소련 및 러시아 제독[1]
  • 미하일 칼리크(1927–2017), 소련 및 이스라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1]
  • 블라디미르 타라소프(1939년 출생), 러시아 타악기 연주자이자 별자리 예술가[1]
  • 보리스 스크린니크(1948년 출생), 국제 밴디 연맹 및 러시아 밴디 연맹 회장[1]
  • 슬라바 폴루닌(1950년 출생), 러시아 광대[1]
  • 블라디미르 말라니우크(1957–2017), 우크라이나 체스 선수(GM)[1]
  • 미하일 플레트네프(1957년 출생), 러시아 피아니스트이자 지휘자[1]
  • 알렉산드르 도브루노프(1959–2006), 러시아 유도 선수[1]
  • 빅토르 페린(1969년 출생), 러시아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1]
  • 알렉산드르 크라브첸코(1971년 출생), 러시아 포커 선수[1]
  • 아나톨리 테블로예프(1974년 출생), 러시아 축구 선수[1]
  • 율리야 포멘코(1979년 출생), 러시아 육상 선수(중거리 달리기 선수)[1]
  • 일리야 할리우자(1979년 출생), 우크라이나 축구 선수[1]
  • 세르게이 비코프(1983년 출생), 러시아 농구 선수[1]
  • 나데즈다 코신체바(1985년 출생), 러시아 체스 선수(GM)[1]
  • 안드레이 페르비신(1985년 출생), 러시아 아이스하키 선수[1]
  • 타티야나 코신체바(1986년 출생), 러시아 체스 선수(GM)[1]
  • 알렉스 길버트(1992년 출생), 러시아 출생 뉴질랜드 입양 옹호자[1]

참조

[1] 웹사이트 www.arhcity.ru http://www.arhcity.r[...] Мэрия Архангельска 2012-05-31
[2] 간행물 OKATO reference
[3]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мэре города http://www.arhcity.r[...] Мэрия Архангельска 2012-05-31
[4] 웹사이트 Паспорт города http://www.arhcity.r[...] Мэрия Архангельска 2012-05-31
[5] 간행물 ru-pop-ref
[6]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муниципальным образованиям на 1 января 2013 года. — М.: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Росстат, 2013. — 528 с. (Табл. 33.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городских округов, муниципальных районов, городских и сельских поселений, городских населенных пунктов, сельских населенных пунктов) https://web.archive.[...] 2014-02-08
[7]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8] 웹사이트 List of postal codes https://web.archive.[...] Russian Post 2011-07-23
[9] 웹사이트 Коды областных центров https://web.archive.[...] Beeline 2011-08-26
[10]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1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12] 웹사이트 Archangel: Heraldic Argument in Russia https://web.archive.[...] The Baronage Press 2015-08-01
[13] 웹사이트 Mythical Lands of Russia, Part 2: Bjarmia http://russia-ic.com[...] 2023-04-09
[14] 웹사이트 THE ARKHANGELSK HOARD http://www.sarks.fi/[...] 1992
[15] 웹사이트 Крайний север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http://www.kolamap.r[...] Кольские карты 2013-01-24
[16] 웹사이트 Сообщение о Земле Лопий: Русские в Лапландии в XVI веке. https://www.kolamap.[...] 1591
[17] 논문 Russian and Soviet Naval Power and the Arctic from the XVI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Great Patriotic War
[18] 뉴스 Detroit's Polar Bears and their confusing war https://archive.toda[...] 2007-07-12
[19] 뉴스 'Death Island': Britain's 'concentration camp' in Russia https://www.bbc.com/[...] 2024-07-17
[20] 문서 Oblast Law #65-5-OZ
[21] 간행물 OKATO reference
[22] 문서 Oblast Law #258-vneoch.-OZ
[23] 문서
[24] 웹사이트 Contact Us http://www.nordavia.[...] 2010-06-29
[25] 웹사이트 The 500-ruble Bank of Russia note http://www.cbr.ru/En[...] 2015-12-01
[26] 백과사전 Mikhail Lomonosov {{!}}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2-21
[27] 백과사전 Peter the Great, Monuments to http://www.encspb.ru[...] 2023-02-21
[28] 웹사이트 Новодвинская крепость http://www.fortifica[...]
[29] 웹사이트 Archangelsk invests in new cathedral http://barentsobserv[...] 2015-01-20
[30] 웹사이트 Archangel Mikhail Cathedral https://www.lonelypl[...] 2019-01-28
[31] 이미지 image https://web.archive.[...]
[32] 문서 According to other sources, twelve stories, {{convert|38|m|sp=us}}
[33] 웹사이트 Sutyagin House, Arkhangelsk, Russia: Standing tall http://www.worldarch[...] 2016-07-19
[34] 웹사이트 http://www.rg.ru/200[...] 2009-08-15
[35] 웹사이트 http://realty.newsru[...] 2009-08-15
[36] 웹사이트 https://www.youtube.[...] YouTube 2009-08-15
[37] 웹사이트 http://realty.newsru[...] 2009-08-15
[38] 웹사이트 http://www.1tv.ru/ne[...] Web-службой Первого канала 2009-12-29
[39] 웹사이트 GoldenEye 007 N64 - Facility - 00 Agent https://www.youtube.[...] 2019-11-12
[40]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Arkhangel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21-11-08
[41] 웹사이트 Arhangelsk (Arkhangelsk)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08
[42] 웹사이트 Russian bandy players blessed for victory at world championship in Kazan https://web.archive.[...] Tatar-Inform 2009-08-31
[43] 웹사이트 http://www.rusbandy.[...]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2012-12-01
[44] Youtube Video from a home game against Baykal-Energiya from [[Irkutsk]] https://www.youtube.[...]
[45]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хоккейного клуба "Кузбасс" (Кемерово) — www.kuzbassbandyclub.ru http://www.kuzbassba[...] Kuzbassbandyclub.ru 2012-08-15
[46] 비디오 Video from the final of the Russian Championships in 2012 http://www.bandynet.[...] 2012-06-16
[47] 웹사이트 Состав юношеской сборной России (U-17) на ЧМ-2016 http://www.rusbandy.[...] Russian Bandy Federation 2016-01-20
[48]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Архангельска http://m.arhcity.ru/[...] Arkhangelsk 2020-02-04
[49] 웹사이트 Słupsk zakończył współpracę z rosyjskim Archangielskiem i białoruskim Grodnem https://www.portalsa[...] 2022-03-09
[50] 웹사이트 Oulun kaupunki lähettää tänään kirjeet Venäjän Arkangeliin ja Kronstadtiin, joissa ilmoitetaan ystävyyskaupunkitoiminnan keskeyttämisestä https://yle.fi/a/3-1[...] 2023-08-25
[51] 웹사이트 Kiruna säger upp vänortsavtal med Arkhangelsk https://kiruna.se/ar[...] 2023-08-25
[52]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5
[53] 웹사이트 Pogoda.ru.net http://pogoda.ru.net[...] 2007-09-08
[54] 웹사이트 Советские трамваи http://back-in-ussr.[...] 2018-07-06
[55] 웹인용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Arkhangel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15-05-13
[56] 웹인용 Arhangelsk (Arkhangelsk)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