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1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으며, 1999년 남미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시작으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올림픽에는 2016년, 2020년 두 차례 출전했으며, 세계 선수권, 월드컵 등에서 꾸준히 경쟁했다.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하며,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컵 등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여자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 첫 경기를 시작으로 남미 선수권 우승, 월드컵 및 올림픽 참가, 그리고 월드컵 첫 승점 획득 등 아르헨티나를 대표하여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팀이다. - 아르헨티나의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배구 국가대표팀은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으로, 1980년대 전성기를 거쳐 올림픽 동메달 2회, 남미 선수권 대회 2회 우승을 기록했다. - 아르헨티나의 국가대표팀 - 아르헨티나 핸드볼 국가대표팀
아르헨티나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아르헨티나 핸드볼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남자 핸드볼 팀 중 하나로, 올림픽 4회 출전 및 팬아메리카 게임 3회 우승, 팬아메리카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7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별 | 여자 |
연맹 | FeVA |
웹사이트 | https://feva.org.ar/selecciones-nacionales/seleccion-nacional-femenina/ |
대륙 연맹 | CSV |
매니저 | 파울라 파리시 |
감독 | 다니엘 카스텔라니 |
FIVB 랭킹 | 17위 (2024년 3월 기준) |
올림픽 | |
올림픽 출전 횟수 | 2회 |
올림픽 첫 출전 | 2016년 |
올림픽 최고 성적 | 9위 (2016) |
세계 선수권 | |
세계 선수권 출전 횟수 | 5회 |
세계 선수권 첫 출전 | 1960년 |
세계 선수권 최고 성적 | 8위 (1960년) |
월드컵 | |
월드컵 출전 횟수 | 6회 |
월드컵 첫 출전 | 1973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8위 (1973년, 2015년) |
남미 선수권 대회 | |
남미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31회 |
남미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준우승 (1999년, 2001년, 2003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23년) |
주요 대회 성적 | |
남미 선수권 대회 | |
남미 게임 | |
팬아메리칸 컵 |
2. 역사
1951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다.[3] 1990년대까지는 국제 대회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1999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같은 해 월드컵에 1973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세계 최종 예선,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2003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하며 남미 2위 자리를 굳건히 했다. 같은 해 월드컵에도 출전했지만, 아테네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페루가 부활하면서 세계 선수권, 월드컵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2009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4회 만에 준우승을 차지하며 서서히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고,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 처음 출전하여, 대회에서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를 꺾는 등 선전했다. 같은 해 남미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브라질에 패했지만, 라이벌 페루를 꺾고 2회 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 월드컵 출전권 획득 규정인 세계 랭킹이 최하위였지만,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추천으로 2회 만에 월드컵 출전을 결정했다.
2. 1. 올림픽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다.[4]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4]
2. 2. 세계선수권
1960년에 처음 출전하여 8위를 기록했다.[1] 이후 여러 차례 세계선수권에 참가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16위를 기록했다.[1] 2025년 대회 출전권을 확보했다.[1]다음은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세계선수권 대회 성적이다.
대회 | 결과 |
---|---|
1952년 | 불참 |
1956년 | 불출전 |
1960년 | 8위 |
1962년 | 불출전 |
1967년 | 불출전 |
1970년 | 불출전 |
1974년 | 불출전 |
1978년 | 불출전 |
1982년 | 18위 |
1986년 | 불출전 |
1990년 | 15위 |
1994년 | 불출전 |
1998년 | 남미 예선 탈락 |
2002년 | 17위 |
2006년 | 남미 예선 탈락 |
2010년 | 남미 예선 탈락 |
2014년 | 17위 |
2018년 | 19위 |
2022년 | 16위 |
2025년 | 출전 확정 |
2. 3. 월드컵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73년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8위를 기록했다.[3] 이후 1999년, 2003년, 2011년, 2015년, 2019년 대회에 참가했다. 1999년 대회에는 1973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고, 2003년 대회에서도 11위를 기록했다. 2011년 대회에는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추천으로 출전하여 10위를 기록했고, 2015년 대회에서는 8위, 2019년 대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대회 | 순위 |
---|---|
1973년 | 8위 |
1999년 | 11위 |
2003년 | 11위 |
2011년 | 10위 |
2015년 | 8위 |
2019년 | 10위 |
2. 4. 기타 국제 대회
1999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같은 해 월드컵에 1973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3] 2003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하며 남미 2위 자리를 굳건히 했다.[3]2009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4회 만에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 처음 출전하여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를 꺾는 등 선전했다.[3] 같은 해 2011년 남미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브라질에 패했지만, 라이벌 페루를 꺾고 2회 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3] 2011년 월드컵 출전권은 세계 랭킹이 최하위여서 획득하지 못했지만,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추천으로 2회 만에 월드컵에 출전했다.[3]
3. 선수 명단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서 다양한 선수 구성을 보여주었다. 2018년 FIVB 배구 네이션스 리그와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2018년 배구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기예르모 오르두냐 감독이 파울라 니세티치, 후리에타 라스카노, 타티아나 리조, 안토넬라 포르투나 등을 이끌었다.[5][6]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에르난 페라로 감독 아래 야밀라 니제티치, 훌리에타 라스카노, 타티아나 리조, 안토넬라 포르투나 등이 다시 대표팀에 합류했다.[1]
3. 1. 2020 도쿄 올림픽 대표팀 명단
감독은 에르난 페라로이다.[1]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키 | 몸무게 | 스파이크 | 블로킹 | 2021-22 소속팀 |
---|---|---|---|---|---|---|---|
1 | 엘리나 로드리게스 | 1997년 11월 2일 | 1.89m | 72kg | 300cm | 284cm | 파리 생클라우 |
2 | 사브리나 게르마니에 | 1999년 7월 6일 | 1.73m | 55kg | 250cm | 272cm | SRD 상 디에데보주 |
3 | 야밀라 니제티치 | 1989년 1월 27일 | 1.82m | 79kg | 298cm | 285cm | 트렌티노 로사 |
4 | 다니엘라 불라이치 | 1997년 9월 5일 | 1.72m | 53kg | 273cm | 263cm | 리지티 카타니아 |
6 | 에우헤니아 노사크 | 1993년 3월 31일 | 1.82m | 68kg | 307cm | 296cm | 보카 주니어스 |
11 | 훌리에타 라스카노 (주장) | 1989년 6월 25일 | 1.9m | 74kg | 312cm | 293cm | 플루미넨세 |
12 | 타티아나 리조 | 1986년 12월 30일 | 1.78m | 64kg | 280cm | 268cm | 보카 주니어스 |
13 | 비앙카 파리올 | 2001년 12월 18일 | 1.8m | 68kg | 290cm | 270cm | 베지에 볼리 |
14 | 빅토리아 마이어 | 2001년 6월 19일 | 1.77m | 66kg | 289cm | 270cm | 파리 생클라우 |
15 | 안토넬라 포르투나 | 1995년 5월 10일 | 1.75m | 61kg | 285cm | 275cm | 볼레로 르 칸네 |
16 | 에리카 메르카도 | 1992년 2월 27일 | 1.84m | 82kg | 302cm | 298cm | 아리스 테살로니키 |
17 | 칸델라리아 에레라 | 1999년 1월 28일 | 1.82m | 71kg | 290cm | 275cm |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
3. 2. 2018 FIVB 네이션스 리그 대표팀 명단
감독 | 기예르모 오르두냐 | |||||
---|---|---|---|---|---|---|
No. | 선수명 | 영문 이름 | 신장 | 소속 | P | 비고 |
1 | 프리실라 보시오 | Bosio | 182cm | Club Náutico Esportiv Avellane | OP | |
2 | 타니아 아코스타 | Acosta | 182cm | Pinheiros | WS | |
3 | 파울라 니세티치 | Nizetich | 181cm | NIlufer | WS | |
6 | 에리나 로드리게스 | Rodriguez | 189cm | San Lorenzo | WS | |
7 | 나탈리아 아이스푸루아 | Aispurua | 192cm | Boca Juniors | MB | |
8 | 솔 피콜로 | Piccolo | 184cm | Velez Sarsfield | WS | |
9 | 클라리사 사가르디아 | Sagardia | 174cm | Makedones | S | |
10 | 아나이 토시 | Tosi | 181cm | 9 de Julio - Freyrel | WS | |
11 | 후리에타 라스카노 | Lazcano | 190cm | 파리 | MB | -- |
12 | 타티아나 리조 | Rizzo | 178cm | Rio Do Soul | L | |
15 | 안토넬라 포르투나 | Fortuna | 175cm | San Lorenzo | L | |
16 | 플로렌시아 부스케츠 | Busquets | 192cm | Hotel VFM | MB | |
17 | 엘레나 비달 | Vidal | 186cm | Lugano | S | |
18 | 비토리아 마예르 | Mayer | 180cm | Regatas - Santa Fe | S | |
19 | 모레나 마르티네스 | Martinez | 164cm | Budowlani Torum | L | |
22 | 카밀라 이에를라 | Hiruela | 176cm | River Plate | WS | |
23 | 아그네스 미첼 | Michel Tosi | 182cm | ECHAGUE - PARANA | MB | |
24 | 비토리아 사발라 | Zabala | 180cm | Boca Juniors | MB | |
25 | 블랑카 파리오르 | Farriol | 180cm | Universidad La Matanza | MB | |
26 | 아고스티나 소리아 | Soria | 179cm | VELEZ SARSFIELD | WS | |
27 | 칸델라 살리나스 | Salinas | 183cm | Boca Juniors | OP | |
4. 역대 성적
1951년 국제 배구 연맹(FIVB)에 가입했다.[3]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세계선수권, 월드컵, 월드 그랑프리, 네이션스리그, 챌린저컵,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컵, 파이널 포 컵, 남미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 '''올림픽''': 2016년 대회에서 9위, 2020년 대회에서 11위를 기록했다.
- '''세계선수권''': 1960년 대회에서 8위를 기록한 이후, 1982년 18위, 1990년 15위, 2002년 17위, 2014년 17위, 2018년 19위, 2022년 16위를 기록했다. 2025년 대회에 출전할 예정이다.
- '''월드컵''': 1973년 대회에서 8위를 기록한 이후, 1999년과 2003년에 11위, 2011년 10위, 2015년 8위, 2019년 10위를 기록했다.[3]
- '''월드 그랑프리''': 2011년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2017년까지 7회 연속 참가했다. 최고 성적은 2011년의 14위이다.
- '''네이션스리그''': 2018년 대회에서 16위를 기록했다.
- '''챌린저컵''': 2019년 대회에서 -- 3위, 2024년 대회에서 8위를 기록했다.
- '''팬아메리칸 게임''': 1983년과 1991년 대회에서 6위, 1995년 4위, 2015년 6위, 2019년 대회에서 -- 3위, 2023년 4위를 기록했다.
- '''팬아메리칸 컵''': 2008년, 2013년, 2015년 대회에서 -- 3위를 차지했고, 2023년 대회에서는 -- 1위를 차지했다.
- '''파이널 포 컵''': 2008년과 2010년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 '''남미 선수권 대회''': 1951년부터 꾸준히 참가하여 3위 11회, 2위 8회를 기록했다. 특히 1999년부터 2003년까지 3회 연속 2위를 차지했고, 2009년, 2011년, 2013년, 2023년에도 2위를 차지하며 남미의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 처음 출전하여,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를 꺾는 등 선전했다. 이후 페루가 부활하면서 세계 선수권, 월드컵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 한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4. 1. 올림픽
4. 2. 세계선수권
대회 | 결과 |
---|---|
1952년 | 불참 |
1956년 | 불출전 |
1960년 | 8위 |
1962년 | 불출전 |
1967년 | 불출전 |
1970년 | 불출전 |
1974년 | 불출전 |
1978년 | 불출전 |
1982년 | 18위 |
1986년 | 불출전 |
1990년 | 15위 |
1994년 | 불출전 |
1998년 | 남미 예선 탈락 |
2002년 | 17위 |
2006년 | 남미 예선 탈락 |
2010년 | 남미 예선 탈락 |
2014년 | 17위 |
2018년 | 19위 |
2022년 | 16위 |
2025년 | 출전 확정 |
4. 3. 월드컵
1999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같은 해 월드컵에 1973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
2003년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하며 남미 2위 자리를 굳건히 했다. 같은 해 월드컵에도 출전했다.
2011년 남미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브라질에 패했지만, 라이벌 페루를 꺾고 2회 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 월드컵 출전권 획득 규정인 세계 랭킹이 최하위였지만, 국제 배구 연맹(FIVB)의 추천으로 2회 만에 월드컵 출전을 결정했다.
4. 4. 월드 그랑프리
연도 | 순위 |
---|---|
2011년 | 14위 |
2012년 | 15위 |
2013년 | 16위 |
2014년 | 17위 |
2015년 | 19위 |
2016년 | 17위 |
2017년 | 22위 |
4. 5. 네이션스리그
- 2018년 — 16위
4. 6. 챌린저컵
- 2019년 — 3위 -- '''동메달'''
- 2024년 — 8위
4. 7. 팬아메리칸 게임
연도 | 순위 |
---|---|
1983년 | 6위 |
1991년 | 6위 |
1995년 | 4위 |
2015년 | 6위 |
2019년 | 3위 -- |
2023년 | 4위 |
4. 8. 팬아메리칸 컵
대회 | 결과 |
---|---|
2002년 | 5위 |
2004년 | 8위 |
2005년 | 9위 |
2006년 | 10위 |
2007년 | 6위 |
2008년 | -- 3위 |
2009년 | 6위 |
2010년 | 5위 |
2011년 | 6위 |
2012년 | 5위 |
2013년 | -- 3위 |
2014년 | 4위 |
2015년 | -- 3위 |
2016년 | 5위 |
2017년 | 8위 |
2018년 | 9위 |
2023년 | -- 1위 |
4. 9. 파이널 포 컵
- 2008년 — 3위
- 2010년 — 3위
4. 10. 남미 선수권 대회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1년부터 남미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왔다. 다음은 아르헨티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남미 선수권 대회 역대 성적이다.대회 | 성적 |
---|---|
1951 | 4위 |
1958 | 5위 |
1961 | -- 3위 |
1962 | -- 3위 |
1964 | -- 3위 |
1969 | 5위 |
1971 | 6위 |
1973 | 6위 |
1975 | -- 3위 |
1977 | -- 3위 |
1979 | -- 3위 |
1981 | -- 3위 |
1983 | -- 3위 |
1987 | 4위 |
1989 | -- 3위 |
1991 | 4위 |
1995 | -- 3위 |
1997 | -- 3위 |
1999 | -- 2위 |
2001 | -- 2위 |
2003 | -- 2위 |
2005 | -- 3위 |
2007 | 5위 |
2009 | -- 2위 |
2011 | -- 2위 |
2013 | -- 2위 |
2015 | 4위 |
2017 | 4위 |
2019 | 4위 |
2021 | -- 3위 |
2023 | -- 2위 |
1999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 아르헨티나는 2003년까지 3회 연속 준우승을 차지하며 남미 여자 배구의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2009년 대회에서 다시 한번 준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고, 2011년에는 브라질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며 페루를 제치고 남미 2위 자리를 확고히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as Panteras tienen equipo confirmado para los Juegos Olímpicos
https://www.rionegro[...]
2021-08-03
[2]
웹사이트
FIVB Women’s Volleyball World Ranking
https://en.volleybal[...]
2024-03-04
[3]
웹사이트
Confederación Sudamericana de Voleibol (CSV)
http://www.fivb.org/[...]
FIVB
2010-08-03
[4]
뉴스
サンスポ
http://www.sanspo.co[...]
[5]
웹사이트
TEAM ROSTER
http://www.volleybal[...]
[6]
간행물
FIVBバレーボール・ネーションズリーグ2018 女子豊田大会 オフィシャルプログラム 26ペー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 여자배구, '하크 34점' 스웨덴에 3대 1 역전패
'강소휘 15점' 한국 여자배구, 진주 국제대회서 프랑스에 석패
한국 여자배구, 코리아인비테이셔널 개막전서 아르헨에 패배
한국 여자배구, 안방 대회서 아르헨티나에 1-3 패배
일본 여자배구, 코리아인비테이셔널 개막전서 프랑스 꺾고 첫 승
여자배구 대표팀, 세계 정상급 참가 '코리아인비테이셔널' 출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