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A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 3A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지구 관측 위성으로, 서브미터급 광학 카메라와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탑재하여 주야간 정밀 관측이 가능하다. 2015년 3월 26일에 발사되었으며, 한국 민간 기업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개발을 주도했다. 위성 영상의 상용 판매는 쎄트렉아이의 자회사인 SIIS가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드네프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과학기술위성 3호
과학기술위성 3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의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을 주탑재체로 사용하여 우리은하 및 지구 관측, 우주 기술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위성이다. - 2015년 발사한 우주선 - 창정 6호
창정 6호는 중국에서 개발한 친환경적인 액체 추진 로켓으로, 소형 위성을 대량으로 발사할 수 있으며, 창정 6호 A는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한 파생형 로켓이다. - 2015년 발사한 우주선 - 리사 패스파인더
리사 패스파인더는 유럽 우주국 주도로 2035년 발사 예정인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 임무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주 공간에서 두 개의 시험 질량을 중력 자유 낙하 상태로 유지하고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중력파 관측 기술 검증 임무로, LISA 임무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검증하고 우주 기반 중력파 관측소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준 후 2017년 6월 30일에 비활성화되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아리랑 3A호 | |
---|---|
우주선 정보 | |
이름 | 아리랑 3A호 (KOMPSAT-3A) |
그림 | G_SA_KOMPSAT-3A_01.jpg |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임무 유형 | 지구관측위성 정찰위성 |
발사일 | 2015년 3월 26일 오전 7시 8분 경(한국시간) |
발사체 | 드네프르 |
발사장소 |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 |
중량 | 1100kg |
크기 | 직경 2.0m, 높이 3.8m, 폭 6.3m (태양전지판 전개 후) |
출력 | 4.5W |
궤도요소 | 있음 |
궤도 | 528km 태양동기궤도 |
탑재체 | 광학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 |
해상도 | 광학(흑백 0.55m, 칼라 2.2m), 적외선(5.5m) |
2. 개발
아리랑 3A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AP우주항공, 대한항공, 한화, 두원중공업, 삼성탈레스 등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여 개발되었다. 한국산 기술 자립도는 시스템 및 본체 88.9%, 광학탑재체 83.1%로 나타났다.[5] 독일항공우주센터(DLR)와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EADS Astrium)가 광학 장비 개발에 기술 지원을 했다.[6][7][8][9]
2. 1. 기술 사양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6년부터 8년 간 개발한 서브미터급 광학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동시에 탑재하였다. 고성능 적외선(IR: Infra Red)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도시 열섬 현상 등 기후 변화 분석, 산불 감지 및 화산 폭발 감시 등 재해, 재난 감시에 적외선 영상 활용이 가능하다. 아리랑 3A호가 운용되면 현재 운용 중인 고해상도 광학 관측 위성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와 합성개구레이다(SAR)를 탑재한 아리랑 5호와 함께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어 주야간은 물론 보다 정밀한 지구 관측이 가능해진다.가시광선 분해능은 55cm, 적외선 분해능은 5.5m인 광학 위성으로, 2006년부터 2373억원(약 260억엔)을 들여 개발되었다.[2]
한국 공공위성으로는 최초로 한국 민간 기업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지원을 받아 개발을 주도한 위성이다.[3]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AP우주항공 컨소시엄이 위성 본체를, 대한항공, 한화, 두원중공업, 삼성탈레스가 부품 단위로 제작에 참여했으며, 이 개발 참여 기업들은 아리랑 5호 개발 당시와 동일하다.[4] 한국산 기술 자립도는 시스템 및 본체 88.9%, 광학탑재체 83.1%로 나타났다.[5] 독일항공우주센터(DLR)와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EADS Astrium)가 광학 장비 개발에 기술 지원을 했다.[6][7][8][9]
3. 발사
아리랑 3A호는 2015년 3월 26일 오전 7시 8분경에 발사되었다.
4. 상용화
아리랑 3A호 위성영상의 상용판매는 SIIS(에스아이아이에스)가 담당하며 국내 및 전 세계에 판매하고 있다. SIIS는 쎄트렉아이의 자회사로 위성영상 전문업체이다. 쎄트렉아이는 2000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우리별 개발 연구팀을 중심으로 최순달 장관이 설립한 우주산업 관련 벤처기업이다.
참조
[1]
뉴스
韓国多目的衛星「アリラン3A号」打ち上げ成功…初交信も成功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15-03-26
[2]
뉴스
韓国の実用衛星「アリラン3A号」打ち上げ ロシアから
http://japanese.yonh[...]
連合ニュース
2015-03-26
[3]
뉴스
민간 주도 개발 위성 '아리랑 3A호' 내년초 우주로
http://www.yonhapnew[...]
連合ニュース
2014-11-21
[4]
뉴스
「アリラン5号」打ち上げ成功、5年間韓半島の全天候を観測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3-08-24
[5]
뉴스
다목적실용위성 3A 마무리 현장 가보니
http://www.etnews.co[...]
etnews
2014-09-22
[6]
웹사이트
KompSat-3A
http://www.dlr.de/os[...]
[7]
웹사이트
High Resoluti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http://www.dlr.de/os[...]
[8]
웹사이트
KOMPSat 3, 3A (Arirang 3, 3A)
http://space.skyrock[...]
[9]
간행물
Astrium First ELIXIR School (pdf p34)
http://www.iap.fr/el[...]
EADS 아스트리움
[10]
뉴스
다목적실용위성 3A 마무리 현장 가보니
http://www.etnews.co[...]
etnews
[11]
웹사이트
KompSat-3A
http://www.dlr.de/os[...]
[12]
웹사이트
High Resoluti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http://www.dlr.de/os[...]
[13]
웹사이트
KOMPSat 3, 3A (Arirang 3, 3A)
http://space.skyrock[...]
[14]
간행물
Astrium First ELIXIR School (pdf p34)
http://www.iap.fr/el[...]
EADS 아스트리움
[15]
웹인용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http://www.msip.go.k[...]
2017-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