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우스 논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우스 논쟁은 4세기 기독교에서 발생한 주요 신학적 논쟁으로, 아리우스가 주장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이견에서 시작되었다. 아리우스는 예수가 성부에게 창조된 존재라고 주장한 반면,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를 비롯한 반대자들은 예수와 성부가 동일한 본질을 지닌다고 주장했다. 이 논쟁은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어 공공 질서를 위협했고,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니케아 공의회(325년)를 소집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와 성부의 '동일 본질'을 선언하는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논쟁은 공의회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다양한 신학적 입장이 대립하며 여러 차례의 공의회와 분열을 겪었다. 아리우스 논쟁은 기독교 교리의 정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삼위일체 교리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리우스파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 논쟁 해결, 부활절 날짜 확정, 교회 규율 문제 논의를 위해 개최되었으며, 특히 니케아 신경 채택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 확립에 기여했다. - 아리우스파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는 4세기 카파도키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 주교, 시인으로, 대 바실리오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와 함께 카파도키아 교부 중 한 명이며 삼위일체 교리 발전에 기여,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역임했고, 동방 정교회에서 '신학자'로 존경받는다.
아리우스 논쟁 | |
---|---|
분쟁 개요 | |
분쟁 명칭 | 아리우스 논쟁 |
분쟁 시기 | 4세기 |
분쟁 장소 | 로마 제국 |
분쟁 원인 | 아리우스의 삼위일체에 대한 도전 |
주요 쟁점 | 예수의 본질과 하느님과의 관계 |
결과 |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주의 이단 판정, 니케아 신경 채택 |
관련 인물 | 아리우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콘스탄티누스 1세 |
배경 | |
4세기 기독교 |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
알렉산드리아 교회 | 아리우스의 등장과 그의 주장에 대한 논쟁 시작 |
주요 주장 | |
아리우스주의 | 예수는 하느님에 의해 창조된 존재이며, 영원하지 않다고 주장 |
정통 기독교 | 예수는 하느님과 동일한 본질을 가지며, 영원하다고 주장 |
니케아 공의회 | |
개최 |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 (325년) |
주요 결정 | 아리우스주의 이단으로 판정, 니케아 신경 채택 |
니케아 신경 | 예수는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빛에서 나신 빛, 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으로서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아버지와 한 본질이시다."라고 선언 |
논쟁의 지속 | |
공의회 이후 | 아리우스주의 지지자들의 반발과 정치적 영향력 행사로 논쟁 지속 |
황제의 개입 | 콘스탄티누스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의 종교 정책 변화에 따라 아리우스주의가 부상하기도 함 |
주요 인물들의 역할 |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등의 정통 기독교 지도자들이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싸움 |
결과 및 영향 | |
기독교 교리 발전 | 삼위일체 교리 확립에 기여 |
교회 분열 |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분열 심화 |
정치적 영향 | 로마 제국의 정치적 불안정 야기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호모우시오스 호모이우시오스 |
참고 문헌 | Kelly, J.N.D. Early Christian Doctrines. San Francisco: Harper & Row, 1978. Hanson, R.P.C. The Search for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The Arian Controversy 318-381. Edinburgh: T & T Clark, 1988. |
2. 초기 논쟁 (318년-325년)
아리우스 논쟁의 초기 역사는 약 35개의 문서를 통해 재구성해야 한다. 삼위일체론 역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는 아리우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와 논쟁을 벌였다고 기록했다.[6][7] 알렉산데르 주교는 아리우스에 대한 느린 대응으로 비판받았으며, 전임자 디오니시우스처럼 우유부단하다는 비난을 받았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의 저서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에 따르면, 이 논쟁은 알렉산드리아에서 거의 모든 아프리카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로마 제국은 공공 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으로 간주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와 알렉산데르 주교에게 편지를 보내 논쟁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8]
2. 1. 아리우스와 알렉산데르의 충돌
삼위일체론 역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는 아리우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 아래에서 처음 논란이 되었으며, 아리우스가 다음과 같은 삼단논법을 제시했다고 보고한다.> "만약 아버지가 아들을 낳았다면, 낳아진 자는 존재의 시작을 가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들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필연적으로 무에서 존재를 갖게 되었다."[6][7]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는 아리우스에 대한 느린 대응으로 비판을 받았다. 그의 전임자 디오니시우스처럼, 그는 우유부단함으로 비난을 받았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의 저서인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에 따르면, 이 논쟁은 알렉산드리아에서 거의 모든 아프리카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로마 제국에 의해 공공 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와 알렉산데르 주교에게 두 통의 편지를 보내 종교 지도자들에게 논쟁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8]
2. 2. 논쟁의 확산과 콘스탄티누스의 개입
삼위일체론 역사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는 아리우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 아래에서 처음 논란이 되었으며, 아리우스가 다음과 같은 삼단논법을 제시했다고 보고한다."만약 아버지가 아들을 낳았다면, 낳아진 자는 존재의 시작을 가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들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필연적으로 무에서 존재를 갖게 되었다."[6][7]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는 아리우스에 대한 느린 대응으로 비판을 받았다. 그의 전임자 디오니시우스처럼, 그는 우유부단함으로 비난을 받았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의 저서 ''콘스탄티누스의 생애''에 따르면, 이 논쟁은 알렉산드리아에서 거의 모든 아프리카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로마 제국에 의해 공공 질서를 어지럽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와 알렉산데르 주교에게 두 통의 편지를 보내 종교 지도자들에게 논쟁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8] 계속된 논쟁은 콘스탄티누스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주재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3. 니케아 공의회 (325년)
아리우스주의는 알렉산드리아 교구 내에만 머물지 않고 교회 전체로 퍼져나가 논쟁과 혼란을 야기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합법화한 후, 교회가 제국의 사회적, 도덕적 힘에 기여하기를 바랐기에 종교적 분열을 공공 복지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9] 황제는 도나투스파 논쟁에 이어 아리우스 논쟁도 종식시키고자 했다.
황제는 코르도바의 호시우스 주교를 보내 논쟁을 조사하고 해결하도록 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325년, 콘스탄티누스는 전례 없는 조치로 제국 전역의 교회 고위 성직자들을 니케아에 소집하여 공의회를 열었다. 이는 호시우스의 권고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10]
공의회에는 동방 출신 주교들이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서방에서는 소수의 주교들만이 파견되었다.[11]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고령으로 인해 두 명의 사제를 대표로 보냈다. 아리우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의 조력자 자격으로 참석한 아타나시우스와 함께 참석했는데, 아타나시우스는 훗날 니케아 신경의 옹호자가 되었다.[12]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와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도 참석했다.
공의회는 황제가 직접 주재했으며, 회의에 참여하고 일부 토론을 이끌었다.[10] 그리스도가 성부와 공동 영원하고 본질이 같다는 견해는 아타나시우스가 이끌었고, 하나님의 아들이 하나님 아버지보다 시간과 본질 면에서 먼저 존재한다는 주장은 아리우스가 이끌었다. 약 두 달 동안 양측은 논쟁과 토론을 벌였고,[14] 각자 성경을 인용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했다.
성 니콜라스의 성인전에 따르면, 공의회에서의 논쟁이 너무 격렬해져서 한 순간에 그가 아리우스의 뺨을 때렸다고 한다.[16] 결국 대다수 주교들은 니케아 신경으로 알려진 신조에 동의했는데, 여기에는 "동일 본질"을 의미하는 ''호모우시오스''가 포함되어 아리우스의 믿음과 양립할 수 없었다.[19]
325년 6월 19일, 공의회와 황제는 알렉산드리아와 그 주변 교회에 회람 서한을 보냈다. 아리우스와 그의 확고한 지지자 두 명(테오나스와 세쿤두스)은 폐위되어 일리리쿰으로 추방되었고, 다른 세 명의 지지자(니케아의 테오그니스,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칼케돈의 마리스)는 황제에 대한 존경심에서 서명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는 곧 이 세 사람의 진정성을 의심하여 아리우스에게 내려진 형벌에 이들을 포함시켰다.
3. 1. 공의회 소집 배경과 참석자
아리우스주의는 알렉산드리아 교구 내에만 머물지 않고 교회 전체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합법화하고, 교회가 제국의 사회적, 도덕적 힘에 기여하기를 바랐기에 종교적 분열은 공공 복지에 위협이 된다고 여겼다.[9] 황제는 316년 도나투스파 논쟁에 이어 아리우스 논쟁도 종식시키기를 원했다.황제는 코르도바의 호시우스 주교를 파견하여 논쟁을 조사하고 해결하려 했으나 실패하자, 325년에 제국 전역의 교회 고위 성직자들을 니케아로 소집하여 에큐메니컬 공의회를 열었다.[10]
참석자 수는 자료에 따라 250~318명으로 추정되며, 대다수는 동방 출신이었다. 이탈리아, 스페인, 골, 북아프리카, 페르시아, 스키티아에서도 각각 한 명의 주교가 파견되었다.[11]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고령으로 인해 두 명의 사제를 대표로 보냈다. 아리우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의 조력자 자격으로 참석한 아타나시우스와 함께 참석했는데, 아타나시우스는 훗날 니케아 신경의 옹호자가 되었다.[12]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와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도 참석했다. 주요 회의가 소집되기 전에 호시우스는 니코메디아에서 알렉산데르와 그의 지지자들을 만났다.[13] 공의회는 황제가 직접 주재하고 회의에 참여하여 일부 토론을 이끌었다.[10]
3. 2. 아리우스파와 아타나시우스파의 주장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는 아리우스가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 주교 아래에서 처음 논란이 되었으며, 아리우스가 다음과 같은 삼단논법을 제시했다고 보고한다."만약 아버지가 아들을 낳았다면, 낳아진 자는 존재의 시작을 가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들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필연적으로 무에서 존재를 갖게 되었다."[6][7]
아타나시우스는 그리스도가 성부와 공동 영원하고 본질이 같다는 견해를 옹호하였다. 반면에 아리우스는 하나님의 아들이 하나님 아버지보다 시간과 본질 면에서 먼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약 두 달 동안, 양측은 논쟁과 토론을 벌였고,[14] 각자 성경을 인용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당화했다. 아리우스는 하나님의 아들이 창조된 피조물이며, 무에서 만들어졌고, 모든 시대 이전에 하나님의 첫 번째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는 다른 모든 것은 아들을 통해 창조되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아리우스는 오직 아들만이 직접 창조되었고 하나님에게서 났으며, 그에게는 존재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자유 의지를 가질 수 있었고, 따라서 "그가 진실로 아들이었다면, 그는 아버지보다 먼저 왔어야 했고, 그러므로 그가 존재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으며, 따라서 그는 유한한 존재였다."[15]
3. 3. 니케아 신경의 채택과 아리우스 파문
니케아 공의회에서의 논쟁은 매우 격렬했으며, 성 니콜라스가 아리우스의 뺨을 때렸다는 이야기가 성인전에 전해질 정도였다.[16] 공의회에 참석한 대다수의 주교들은 결국 니케아 신경으로 알려진 신조에 동의했다. 이 신경에는 "동일 본질" 또는 "본질이 같음[17][18]"을 의미하는 '호모우시오스'라는 단어가 포함되었는데, 이는 아리우스의 믿음과 양립할 수 없었다.[19]325년 6월 19일, 공의회와 황제는 알렉산드리아와 그 주변 교회에 회람 서한을 보냈다. 이 서한에는 아리우스와 그의 확고한 지지자 2명(테오나스와 세쿤두스)[19]이 파문되어 일리리쿰으로 추방되었고, 다른 세 명의 지지자(니케아의 테오그니스,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칼케돈의 마리스)는 황제에 대한 존경심에서만 서명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는 곧 이 세 사람의 진정성을 의심하여, 아리우스에게 내려진 형벌에 이들을 포함시켰다.
4.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논쟁 (325년-360년)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가 단죄되었지만, 논쟁은 쉽게 끝나지 않았다. 콘스탄티우스 2세는 아리우스파를 지지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리우스파와 니케아파 사이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
4. 1. 아리미눔, 셀레우키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58년-360년)
358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는 서방 주교들을 위한 아리미눔(현재 이탈리아 북부의 리미니) 공의회와 동방 주교들을 위한 니코메디아 공의회, 이렇게 두 개의 공의회를 요청했다.[20][21]그러나 359년에 니코메디아 지진으로 인해 동방 공의회는 셀레우키아 이사우리아에서 열리게 되었다. 아리미눔과 셀레우키아에서 열린 두 공의회는 서로 다른 결론을 내렸고, 콘스탄티우스 2세는 이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360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동방과 서방 주교 모두가 참석하는 세 번째 공의회를 소집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는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는 호모이안 견해, "유사한 본질"을 가졌다는 호모이우시안 견해, "다른 본질"을 가졌다는 아노모이안 견해 등 세 가지 견해가 대립했다. 초기에는 아노모이안파가 우세했지만, 콘스탄티우스 황제가 개입하여 결국 아리미눔에서 이미 합의된 호모이안 견해를 약간 수정하여 채택했다.
이후 호모이안 주교 카이사레아의 아카키우스는 자신의 견해에 반대하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케도니우스 1세를 비롯한 여러 호모이우시안 주교들을 폐위하고 추방했으며,[26][27] 아노모이안파인 안티오키아의 아에티우스도 폐위했다.[26] 360년에 아카키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유독시우스를 마케도니우스의 후임으로, 안키라의 아타나시우스를 바실의 후임으로 임명했으며, 니코메디아의 오네시무스를 니코메디아 지진으로 사망한 케크로피우스의 후임으로 임명했다.[26]
4. 1. 1. 아리미눔 공의회 (359년)
359년, 서방 주교들은 아리미눔(이탈리아 북부 리미니)에서 공의회를 열었다.[20][21] 싱기두눔의 우르사키우스와 무르사의 발렌스는 시르미움(359)에서 초안된 새로운 신조를 따라 "성경에 따르면"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고 제안했다. 이는 아들이 아버지와 같은 본질을 가졌는지 성경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그런 것에 대해 추측해서는 안 된다는 호모이안의 견해였다. 이 견해는 니케아 신조의 "''같은 본질''" (호모우시오스) 견해와 반대되었다. 일부 이전 신조 지지자들을 포함한 공의회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20][21] 공의회 이후, 교황 리베리우스는 아리미눔 신조를 비난했고, 그의 경쟁자인 교황 펠릭스 2세는 이를 지지했다.[22]4. 1. 2. 셀레우키아 공의회 (359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는 358년에 두 개의 공의회를 요청했는데, 하나는 서방 주교들을 위한 아리미눔 공의회였고, 다른 하나는 동방 주교들을 위한 니코메디아 공의회였다.[20][21]359년, 니코메디아 지진으로 인해 동방 공의회는 셀레우키아 이사우리아에서 열렸다. 공의회는 심하게 분열되었고, 두 파벌은 따로 모여 서로 다른 결정을 내렸다. 카이사레아의 아카키우스는 호모이안 견해에 따라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고 선언했다.[22][23] 그러나 안키라의 바실과 그의 지지자들은 341년 안티오키아에서 온 신조(호모이우시안)를 따라 아들이 아버지와 "'''''유사한 본질'''''"을 가졌다고 선언했다. 셀레우키아의 대다수는 "''유사한 본질''" 견해를 받아들이고 반대파를 폐위시켰다.
4. 1. 3.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60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는 359년 아리미눔과 셀레우키아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하자, 360년 동서방 주교들이 모두 참석하는 공의회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소집했다.[24]카이사레아의 아카키우스는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는 호모이안 견해를, 안키라의 바실은 아들이 아버지와 "유사한 본질"을 가졌다는 호모이우시안 견해를 주장했다.[24][25] 반면 칼케돈의 마리스, 안티오키아의 유독시우스, 안티오키아의 아에티우스, 키지쿠스의 에우노미우스는 아들이 아버지와 "다른 본질"을 가졌다는 아노모이안 견해를 제시했다.[24][25]
초기에는 아노모이안파가 우세했지만, 콘스탄티우스 황제는 아에티우스를 추방하고,[24] 결국 공의회는 아리미눔에서 이미 합의된 호모이안 견해를 약간 수정하여 채택했다.[24][25]
이후 호모이안 주교 아카키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케도니우스 1세를 비롯한 여러 호모이우시안 주교들을 폐위하고 추방했으며,[26][27] 아노모이안파인 아에티우스도 폐위했다.[26]
4. 2. 360년대의 논쟁 지속
361년에 콘스탄티우스 2세가 사망하고 율리아누스가 로마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율리아누스는 기독교인들이 점령하거나 파괴한 여러 이교 사원의 복원을 요구했다.[28] 필로스토르기우스에 따르면, 이교도들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인 라오디게아의 게오르기우스를 살해했고, 이로 인해 아타나시우스가 '교구', 즉 교회 관할권을 되찾을 수 있었다.[29]5. 아리우스 논쟁 관련 주요 인물
아리우스 논쟁은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논쟁으로, 성부와 성자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대립했다. 이와 관련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호모우시오스 (동일본질)'''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데르와 그의 조력자 아타나시우스는 성자(예수)가 성부(하느님)와 동일한 본질(호모우시오스)을 가졌다고 주장했다.[12] 니케아 공의회는 이들의 주장을 지지하여 니케아 신경을 채택했다.
'''헤테로우시오스 (다른 본질)'''
아리우스는 성자가 성부와 다른 본질을 가졌으며, 성자는 창조된 존재라고 주장했다.[15] 아에티우스는 아리우스의 주장을 발전시켜 아노모이아주의를 창시했다.
'''기타'''
니케아 신경에 대한 기타 비판가들 중 대표적인 인물은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가 있으며, 아리우스를 지지하였다.[84][86] 그 외 호모이우시오스(유사본질), 호모이안등 다양한 주장을 펼친 인물들이 존재한다.
'''논쟁의 확산과 공의회'''
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 코르도바의 호시우스를 파견했지만, 논쟁은 계속되었다.[10] 결국 콘스탄티누스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를 다루었다.
5. 1. 호모우시오스 (Homoousian)
알렉산데르[32], 아타나시우스[36] 등은 성자가 성부와 동일한 본질(호모우시오스)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성부와 성자 모두 창조되지 않았다고 보았다.[30] 38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아타나시우스주의는 정통으로 선언되었으며, 현대 삼위일체론의 기초가 되었다.[31]'''호모우시오스파 주요 인물'''
이름 | 직책 | 기타 |
---|---|---|
알렉산데르 | 알렉산드리아 주교 (313-326) | [32] |
호시우스 | 코르도바 주교 (?-359) | [33] |
에우세비우스 | 카이사레아 마리티마 주교 (c. 313-339) | [34] |
에우스타티우스 | 안티오크 주교 (c. 325-330) | 사벨리우스주의자일 가능성 있음[35] |
키루스 | 베로에 주교 | 사벨리우스주의자일 가능성 있음[35] |
아타나시우스 | 알렉산드리아 주교 (326-373) | 아타나시우스주의자, 카파도키아의 그레고리우스 및 라오디게아의 게오르기우스와 경쟁[36] |
바울 |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 (336-351) |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및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케도니우스 1세와 경쟁[37] |
율리우스 | 로마 주교 (337-352) | [38] |
아스클레파스 | 가자 시 주교 | [39] |
루키우스 | 아드리아노플 주교 (?-351) | [40] |
막시무스 | 예루살렘 주교 (333-350) | [41] |
파울리누스 | 트리어 주교 | 밀라노에서 아타나시우스를 지지[42] |
디오니시우스 | 알바 주교 | 밀라노에서 아타나시우스를 지지[42] |
에우세비우스 | 베르첼리 주교 (340-371) | 밀라노에서 아타나시우스를 지지[42] |
안젤리우스 |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 | 노바티아누스파[43]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 | ||
엘비라의 그레고리우스 | ||
루시퍼 | 칼리아리 주교 | |
힐라리 | 푸아티에 주교 (c. 353-367) | |
세르바티우스 | 통게렌 주교 |
5. 2. 마르켈루스와 포티누스 (Marcellus and Photinus)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의 기록에 따르면, 앙키라의 마르켈루스와 포티누스는 "그리스도는 단순한 인간이었다"고 가르쳤다.[44] 그들의 반대자들은 앙키라의 마르켈루스와 시르미움의 포티누스의 가르침을 논란 이전에 널리 거부되었던 사벨리우스와 사모사타의 바울로스의 가르침과 연관시켰다.[45]- 앙키라의 주교인 마르켈루스(?-336, c. 343-c. 374)는 아스테리우스의 비판가였다.[46]
- 시르미움의 주교 포티누스(?-351)는 유배 생활을 했다(351-376).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와 소조멘에 따르면, 포티누스는 마르켈루스의 추종자였다.[47]
연도 | 사건 |
---|---|
336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교회 재판에서 마르켈루스는 해임되었고 그의 교리는 단죄되었다.[48] |
342년 또는 343년 | 서방 교회가 주도한 사르디카 공의회는 마르켈루스를 복직시킨 반면, 동방 교회가 주도한 필리포폴리스 공의회는 그의 해임을 지지했다.[49] |
351년 | 제2차 시르미움 공의회에서 열린 교회 재판은 포티누스를 해임하고 그의 가르침을 단죄했다.[51] |
교황 율리우스 1세는 마르켈루스를 지지하며 그의 복직을 요구했다.[38] 공동 황제인 콘스탄스의 압력으로 콘스탄티우스 2세는 처음에는 사르디카의 결정을 지지했지만, 콘스탄스가 죽은 후 입장을 바꿨다.[50] 마크로스티치는 마르켈루스와 포티누스의 가르침을 단죄했다.[52]
5. 3. 호모이우시오스 (Homoiousian)
358년,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는 서방과 동방 주교들을 위한 두 개의 공의회를 요청했다.[20][21] 359년, 동방 공의회는 니코메디아 지진으로 인해 셀레우키아 이사우리아에서 열렸다. 공의회는 분열되었고, 카이사레아의 아카키우스는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고 선언한 반면, 안키라의 바실과 그의 측근은 아들이 아버지와 "'''''유사한 본질'''''"을 가졌다고 선언했다. 셀레우키아의 다수는 "''유사한 본질''" 견해를 받아들였다.[22][23][24][25]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후, 호모이안 주교 아카키우스는 여러 호모이우시안 주교를 폐위시키고 추방했다.[26][27]
호모이우시오스 학파는 성자가 아버지와 본질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고 가르쳤다.[53][54]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직책 | 비고 |
---|---|---|
안키라의 바실 | 안키라의 주교 (336-360) | [55][56] |
마케도니우스 1세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 (342-346 및 351-360) | [57][58] |
게오르기우스 |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356-361) | 아타나시우스의 경쟁자[55][59] |
에우독시우스 | 게르마니키아 주교 (?-358), 안티오키아 주교 (358-359),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 (360-370) | 마크로스티크 지지[60][61] |
마르티리우스 | 마크로스티크 지지[52] | |
마케도니우스 | Mopsuestia의 주교 | 마크로스티크 지지[52] |
마르쿠스 | 아레투사의 주교 | 351년 시르미움 신조 작성[62] |
키릴로스 | 예루살렘의 주교 (350-386) | [63] |
마라토니우스 | 니코메디아의 주교 (c. 351-?) | [64] |
엘레우시우스 | 키지쿠스의 주교 (c. 351-360) | [55][65] |
소프로니우스 | 폼페이오폴리스의 주교 (?-360) | [66] |
드라콘티우스 | 페르가뭄의 주교 (?-360) | [27] |
네오나스 | 셀레우키아 이사우리아의 주교 (?-360) | [27] |
엘피디우스 | 사탈라의 주교 (?-360) | [27] |
에우스타티우스 | 세바스티아의 주교 | [55][67] |
안니아누스 | [23] | |
사비누스 | 헤라클레아 신티카의 마케도니아 주교 | [68] |
5. 4. 호모이안 (Homoian)
359년 아리미눔 공의회에서 싱기두눔의 우르사키우스와 무르사의 발렌스는 시르미움(359)에서 초안된 새로운 신조를 따라 "성경에 따르면" 아들이 "'''''아버지와 같'''''"다고 제안했다. 이는 아들이 아버지와 같은 본질을 가졌는지 성경에 나타나지 않으므로 그런 것에 대해 추측해서는 안 된다는 호모이안의 견해로 알려져 있다.[20][21] 이 견해는 니케아 신경의 "''같은 본질''" (호모우시오스) 견해와 반대된다.호모이안은 성자가 아버지와 "모든 면에서" 또는 "성경에 따라" 유사하다고 가르쳤으며, 실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54]
호모이안의 견해를 지지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설명 |
---|---|
싱기두눔의 우르사키우스 | 싱기두눔의 주교[70] |
무르사의 발렌스 | 무르사의 주교[70] |
게르미니우스 | [21] |
밀라노의 아욱센티우스 | 밀라노의 주교 (374년 사망)[21] |
데모필루스 | 베레아의 주교 (?-370) 및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 (370-380)[71][72] |
가이우스 | [21] |
카이사레아의 아카키우스 | 카이사레아의 주교 (340-366)[73] |
5. 5. 헤테로우시오스 (Heteroousian)
헤테로우시안들은 성자(예수)가 성부(하느님)와 다른 본질을 가졌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성자가 창조되었음을 의미한다.[74][75] 아리우스는 논쟁 초기에 이러한 주장을 펼쳤으며, 아에티우스는 이후 아노모이아주의라는 형태로 발전시켰다.[74][75]헤테로우시오스(Heteroousian)를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아리우스 | 알렉산드리아의 사제.[76] |
인도의 테오필루스 | 나중에 아에티우스를 지지함.[77] |
아에티우스 | 아노모이아주의 전통을 창시, 후에 주교(361-?)가 됨.[78][79] |
테오둘루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카에레타파의 주교 (?-c. 363)와 팔레스타인의 주교 (c. 363-c. 379).[22][80] |
에우노미우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키지쿠스의 주교 (360-361)와 추방된 주교 (361-c. 393).[79][81] |
파에메니우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 (c. 363, 안티오키아의 유독시우스와 동시대).[82] |
칸디두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리디아의 주교 (c. 363-?).[82] |
아리아누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이오니아의 주교 (c. 363-?).[82] |
플로렌티우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 (c. 363-?, 안티오키아의 유독시우스와 동시대).[82] |
탈루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레스보스의 주교 (c. 363-?, 안티오키아의 유독시우스와 동시대).[82] |
에우프로니우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갈라티아, 흑해, 카파도키아의 주교 (c. 363-?).[82] |
율리아누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킬리키아의 주교 (c. 363-?).[82] |
세라스, 스테파노, 헬리오도루스 | 아노모이아주의자. 이집트의 주교 (c. 363-?).[82] |
필로스토르기우스 | 아노모이아주의 역사가. |
5. 6. 니케아 신경에 대한 기타 비판가
인물 | 직책 및 활동 | 니케아 공의회 지지 여부 | 기타 |
---|---|---|---|
세쿤두스 | 프톨레마이스 주교 | 아리우스 지지[83][84][85] | |
테오누스 | 마르마리카 주교 | 아리우스 지지[83][84][85] | |
에우세비우스 | 베리투스, 니코메디아 (?-325 및 328-338), 콘스탄티노폴리스 (338-341,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울루스 1세의 경쟁자) 주교 | 아리우스 지지[84][86] | |
테오그니스 | 니케아 주교 | 아리우스 지지[84][87] | |
마리스 | 칼케돈 주교 | 아리우스 지지[83][88] | |
에우세비우스 | 에메사 주교 (약 339 또는 341) | 호모우시안 또는 사벨리우스주의 가능성[89] | |
카파도키아의 그레고리우스 | 알렉산드리아 주교 (339-346,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경쟁자)[90] | ||
나르키소스 | 네로니아스 주교[91] | ||
스테파누스 | 안티오키아 주교 (342-344)[91] | ||
레온티우스 | 안티오키아 주교 (344-358), 아에티우스를 가르침[92][93] | ||
파트라필루스 | [43] | ||
아스테리우스 | (사망 c. 341),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예수를 하나님의 능력의 예로 여김, 필로스토르기우스에 따르면, 호모우시안 전통 옹호[94][95] | ||
아나자르부스의 아타나시우스 | 아에티우스를 가르침[96] | ||
불필라 | 고트족의 첫 번째 주교 (341?-c.383)이자 성경 번역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호모이안 공식 동의[25][97] | ||
웨레카와 배트윈 | 각각 고트족의 "파파"와 "빌라이프", 순교자 | ||
두로스토룸의 아욱센티우스 | 밀라노 주교, 불필라의 양아들[98] | ||
팔라디우스 | 라티아리아 주교[98] | ||
세쿤디아누스 | 싱기두눔 주교[98] |
5. 7. 분류되지 않음 (Unclassified)
아리미눔 공의회Council of Ariminum영어, 셀레우키아 공의회Council of Seleucia영어,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60)Council at Constantinople (360)영어에서 신학적 입장이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이름 | 직책 | 활동 시기 | 비고 |
---|---|---|---|
유조이우스 | 안티오크의 호모이안 주교[85][99] | 361년 ~ 378년 | 아리우스의 지지자이자 집사, 다른 세 명과 동시대에 역임 |
도테오스 (Dotheus of Antioch영어) | 헤라클레아의 호모이안 주교,[100][101] 이후 안티오크 주교 | ? ~ 378년, 378년 ~ 381년 | 호모이우시안, 다른 세 명과 동시대에 역임, 테오도로스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 |
우라니우스 (Uranius of Tyre영어) | 티레의 주교[102] | ||
오네시무스 (Onesimus of Nicomedia영어) | 니코메디아의 주교[26] | 359년 ~ ? | 니코메디아 지진으로 사망한 케크로피우스의 후임 |
아타나시우스 (Athanasius of Ancyra영어) | 안키라의 주교[26] | 359년 ~ ? | 안키라의 바실과 동시대에 역임 |
아카키우스 (Acacius of Tarsus영어) | 타르수스의 주교[26] | 359년 ~ ? | 타르수스의 실바누스와 동시대에 역임 |
실바누스 (Silvanus of Tarsus영어) | 타르수스의 주교[103] | ||
히파티우스 (Hypatius of Cyrus영어) | 니케아의 주교[71] | ? ~ 380년 | |
레온티우스 (Leontius of Tripoli영어) | 트리폴리의 주교[22][78] | ||
테오도시우스 (Theodosius of Philadelphia영어) | 리디아의 필라델피아 주교[22][104] | ||
요한 (John of Palestine영어) | 팔레스타인의 아노메안 주교[105] | 379년경 ~ ? | |
에바그리우스 (Evagrius of Mytilene영어) | 미틸레네의 주교[22] | ||
아스테리우스 (Asterius of Antioch영어) | 안티오크의 사제[22][106] | 셀레우키아에서 아카키우스를 지지했던 아스테리우스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음 |
참조
[1]
서적
Reading the Early Church Fathers: From the Didache to Nicaea
https://books.google[...]
[2]
서적
Rethinking Constantine: History, Theology, and Legacy
https://books.google[...]
2014-02-14
[3]
서적
Church and State Through the Centuries: A Collection of Historic Documents with Commentaries
[4]
서적
Handbook of world history: concepts and issues
[5]
서적
Christian Confessions: A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6]
서적
Documents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7]
서적
Turning Points: Decisive Moment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Baker Academic
2012
[8]
서적
Life of Constantine
Clarendon Press
1999
[9]
서적
The Ecclesiastical Edicts of the Theodosian Code
http://archive.org/d[...]
Columbia University Press
1905
[10]
서적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2012-05-02
[11]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Council of Nicae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07
[12]
간행물
Reconstructing the Council of Nicae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1-07
[13]
서적
Epitome of Book I
2012-05-02
[14]
학술지
Babylon the Great Has Fallen
https://archive.org/[...]
Watch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New York, Inc.
[15]
서적
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Literature
[16]
웹사이트
St. Nicholas Center ::: Bishop Nicholas Loses His Cool
https://www.stnichol[...]
2019-06-14
[17]
웹사이트
homoousios {{!}} Definition, History, & Importance
https://www.britanni[...]
2021-09-04
[18]
웹사이트
What is the meaning of homoousious?
https://www.gotquest[...]
2021-09-04
[19]
서적
History of Christendom, Volume II
[20]
문서
Philostorgius, in Photius,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book 4, chapter 10.
[21]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2, chapter 37.
[22]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2, chapter 40.
[23]
문서
Philostorgius, in Photius,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book 4, chapter 11.
[24]
문서
Philostorgius, in Photius,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book 4, chapter 12 and book 5, chapter 1.
[25]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2, chapter 41.
[26]
문서
Philostorgius, in Photius,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book 5, chapter 1.
[27]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2, chapter 42.
[28]
문서
Henry Chadwick, History of the Early Church, chapter 9
[29]
문서
Philostorgius, in Photius,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book 7, chapter 2.
[30]
웹사이트
Sabellianism {{!}} Christianity
https://www.britanni[...]
2020-03-03
[31]
문서
Bernhard Lohse,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pp. 56-59 & 63.
Peter Heather & John Matthews, Goths in the Fourth Century, pp. 127-128. This mainly discusses the later controversy and only mentions Athanasius' form.
[32]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1, chapters 5 & 6.
[33]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tinople, Church History, book 1, chapter 7 and book 2, chapter 31.
[34]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2, chapter 21.
[35]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1, chapter 25.
[36]
서적
Church History
[37]
서적
Church History
[38]
서적
Church History
[39]
서적
Church History
[40]
서적
Church History
[41]
서적
Church History
[42]
서적
Church History
[43]
서적
Church History
[44]
서적
Church History
[45]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First Apology
[46]
서적
Church History
[47]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48]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49]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50]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51]
서적
Church History, Church History
[52]
서적
Church History
[53]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54]
서적
Goths in the Fourth Century
[55]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56]
서적
Church History
[57]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58]
서적
Church History
[59]
서적
Church History
[60]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61]
서적
Church History
[62]
서적
Church History
[63]
서적
Church History
[64]
서적
Church History
[65]
서적
Church History
[66]
서적
Church History
[67]
서적
Church History
[68]
서적
Church History
[69]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70]
서적
Church History
[71]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72]
서적
Church History
[73]
서적
Church History
[74]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75]
서적
Goths in the Fourth Century
[76]
서적
Church History
[77]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78]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79]
서적
Church History
[80]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81]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82]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83]
서적
Church History
[84]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85]
서적
Church History
[86]
서적
Church History
[87]
서적
Church History
[88]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89]
서적
Church History
[90]
서적
Church History
[91]
서적
Church History
[92]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93]
서적
Church History
[94]
서적
Church History
[95]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96]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97]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98]
서적
Goths in the Fourth Century
[99]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100]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101]
서적
Church History
[102]
서적
Church History
[103]
서적
Church History
[104]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105]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106]
서적
Epitome of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Philostorgius
Photius
[107]
서적
Reading the Early Church Fathers: From the Didache to Nicaea
https://books.google[...]
[108]
서적
Rethinking Constantine: History, Theology, and Legacy
https://books.google[...]
2014-02-14
[109]
서적
Church and State Through the Centuries: A Collection of Historic Documents with Commentaries
[110]
서적
Handbook of world history: concepts and issues
https://archive.org/[...]
[111]
서적
Christian Confessions: A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