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리아 호드리게스는 포르투갈의 파두 가수로, 파두를 세계에 알린 인물이다. 리스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노래에 재능을 보였으며, 18세에 프로 가수로 데뷔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40년대에 포르투갈에서 유명 가수가 되었으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어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서 공연했다. 1970년대에는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고, 1999년 사망 이후에도 포르투갈을 대표하는 문화 아이콘으로 추앙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여자 배우 - 르오노어 발다쿼
    1998년 영화 《인헤르누》로 데뷔한 포르투갈 배우 르오노어 발다쿼는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감독과의 협업, 《나는 집에 간다》 출연 등으로 호평받으며 영화, 연극, TV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포르투갈 영화계에서 중요한 배우로 자리매김했고, 2011년 포르투갈 영화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수상 및 소피아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후보 지명 등의 이력을 가지고 있다.
  • 포르투갈의 여자 배우 - 이사벨 드 카스트로
    포르투갈 배우 이사벨 드 카스트로는 1946년 데뷔 후 영화, 연극,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진보적인 가치관을 가진 작가 집안 출신으로 1535년 암으로 사망했다.
  • 포르투갈의 여자 가수 - 마리자
    마리자는 2001년 데뷔 후 "뉴 파두" 운동의 선두주자로서 전통 파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포르투갈의 파두 가수이다.
  • 포르투갈의 여자 가수 -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
    마리아 드 메데이루스는 《헨리 & 준》, 《펄프 픽션》 등의 영화 출연과 《세 형제》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그리고 《4월의 대위들》 연출 및 출연, 음악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포르투갈의 배우, 영화 감독, 가수이다.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9년의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1969년의 호드리게스
본명아말리아 다 피에다드 헤보르당 호드리게스
별칭파두의 여왕 (Rainha do Fado)
출생일1920년 7월 23일
출생지리스본, 포르투갈
사망일1999년 10월 6일
사망지리스본, 포르투갈
악기보컬
포르투갈 기타
장르파두
직업가수, 배우
활동 기간1939년–1999년
레이블발렌팅 드 카르발류
웹사이트아말리아 호드리게스 공식 웹사이트
훈장
훈장GCSE
GCIH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pt-PT|ɐˈmaliɐ ʁuˈðɾiɣɨʃ

2. 초기 생애

공식 출생 기록에는 1920년 7월 23일로 나와 있으나, 아말리아는 7월 1일이 실제 생일이라고 주장했다.[5] 호드리게스의 세례 증명서는 푼당의 본당에 있으며, 이 문서는 가수 사망 후 살바두 J. 트라바소스의 조사에서 발견된 후 푼당 저널에 게재되었다. 그녀의 외가는 푼당의 한 교구인 소투 다 카사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호드리게스의 할아버지는 대장장이로 일했다. 호세 필리페 두아르테 곤칼베스의 증언에 따르면, 그녀의 여동생 셀레스트는 리스본에서 태어났다(사망한 다른 아이 외에도).

18세 때 일류 나이트클럽 "파두의 집"에 출연하여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2. 1. 어린 시절

공식 문서에는 그녀의 생일이 7월 23일로 기재되어 있지만, 아말리아 본인은 자신의 생일이 실제로는 1920년 7월 1일이라고 주장했다.[5] 그녀는 포르투갈 리스본의 페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카스텔루 브랑쿠 현 출신인 알베르티누 지 제수스 호드리게스였고, 어머니는 역시 카스텔루 브랑쿠 현에 속하는 포르투갈 푼당 출신인 루신다 다 피에다드 레보르당이었다. 호드리게스는 가난 속에서 자랐으며 리스본 부두에서 과일을 파는 등 허드렛일을 하며 지냈다. 어릴 적부터 노래를 잘 외우고 부르는 솜씨가 뛰어났다.

2. 2. 가수 경력의 시작

호드리게스는 1935년경부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1939년에는 리스본의 유명 파두 공연장인 '파두의 집'에서 첫 프로 데뷔를 하며 이름을 알렸다.[6] 이곳은 그녀가 파두 가수로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

그녀는 이 시기에 클래식 음악을 전공한 작곡가 페데리쿠 발레리우를 만났다. 발레리우는 아말리아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그녀를 위해 특별히 작곡한 많은 멜로디에 오케스트라 반주를 더했다. 'Fado do Ciúme', 'Ai Mouraria', 'Que Deus Me Perdoe', 'Não Sei Porque Te Foste Embora' 등이 그 예이다. 이 만남은 그녀의 음악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전성기

아말리아 호드리게스는 18세 때 일류 나이트클럽 "파두의 집(Casa do Fado)"에 출연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파두의 집"을 등용문 삼아, 당시 파디스타(파두 가수)의 활동 무대를 양분했던 뮤지컬 분야에서도 성공을 거두며 파두 가수로 인정받았다.

1958년 'Sangue Toureiro', 1964년 'Fado Corrido'와 같은 영화에 출연하며 배우 경력을 이어갔다. 허먼 멜빌의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한 카를루스 빌라르데보의 1964년 예술 영화 ''The Enchanted Islands''에도 출연했다. 1965년에 녹음한 16세기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시는 수많은 신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968년 싱글 "Vou dar de beber à dor"는 모든 판매 기록을 경신했고, 1970년 앨범 "Com que voz"는 여러 국제적인 상을 받았다.[11] 1947년 '파두'로 포르투갈 영화상 여우주연상을 받았으며, 1965년에는 노래를 부르지 않은 영화에서 다시 한번 포르투갈 최고의 영화 여배우로 선정되었다.

그 사이 오케스트라와 함께 자신의 옛 노래를 녹음하고, 재즈 색소폰 연주자 돈 바이어스와 함께 앨범 'Encontro'(1968)를 녹음했으며, 노리 파라모어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미국의 노래 앨범 'Amália On Broadway'를 녹음하는 등 다른 장르에서도 활동했다. 이 앨범에는 'Summertime', 'The Nearness of You'의 연주가 포함되어 있다.

1960년대의 중요한 앨범은 'Com Que Voz'(1969)로, 포르투갈어 시인들의 시에 알랭 올먼이 작곡한 곡들을 수록했다. 그녀의 많은 성공작들을 재수록하고 몇 곡을 더 추가했다.

3. 1. 국제적 명성

호드리게스는 1943년 스페인 마드리드 주재 페드루 테오토니우 페레이라 포르투갈 대사의 갈라 파티에서 처음으로 해외 공연을 했다. 그녀는 가수 줄리우 프루엔사와 음악가 아르만딩요 및 산투스 모레이라와 동행했다.[9] 1945년에는 브라질에서 공연하며 첫 음반을 녹음했고, 1950년에는 베를린, 멕시코, 프랑스에서도 공연했다. 1953년 미국 ABC 방송에 출연한 최초의 포르투갈 예술가였으며, 1954년에는 할리우드의 모캄보 클럽에서 노래했다.

1969년 네덜란드 '그랜드 갈라 뒤 디스크 포퓰레어'에서 공연하는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호드리게스는 앙리 베르누이유의 영화 ''리스본의 연인들''(Les Amants du Tage)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프랑스에서는 포르투갈만큼이나 인기가 많았고, 파리 올림피아 극장에서 공연하여 1957년에는 ''포르투갈의 위대한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 파리 올림피아 극장 라이브'' 앨범이 발매되었다.[10]

1950~1960년대 프랑스에서 그녀는 텔레비전에 출연하며 유명한 예술가가 되었다. 샤를 아즈나부르는 그녀를 위해 프랑스어 파두 'Aie Mourir Pour Toi'를 작곡했으며, 그녀는 자신의 노래를 프랑스어로 번안했다(예: 코임브라는 아브릴 오 포르투갈이 되었다). 그녀는 1956년부터 1992년까지 10시즌 동안 올림피아에서 공연했다.

1962년 그녀는 녹음에 집중하고 라이브 공연을 줄였다. 그녀의 컴백 앨범(1962년)은 프랑스 작곡가 알랭 울만과 함께 제작되었는데, 그는 그녀의 주요 작곡가이자 음악 프로듀서가 되었다. 그는 '부스토' (Busto)라고 알려진 파두 하위 장르를 만들기 위해 멜로디를 작곡했다.

1950년, 마셜 플랜 국제 자선 공연에서 그녀는 '포르투갈의 4월'을 불렀다.

1966년과 1968년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에서 공연을 재개하고, 할리우드 볼에서의 프로머네 콘서트와 뉴욕에서 안드레 코스텔라네츠와 함께 공연했다. 그녀는 또한 구소련과 루마니아에서도 노래했다.

1964년 암스테르담의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4. 후기 활동 및 유산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부터 마르셀루 카에타누 정권까지 이어지는 독재 정권이 1974년에 붕괴되면서, 국가적 가요로 옹호받던 파두는 침체기를 맞았다.[11] 국민적 인기를 누리던 아말리아 호드리게스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11]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호드리게스는 PIDE의 비밀 요원이라는 거짓 혐의를 받기도 했다.[12]

1970년대부터 호드리게스는 이탈리아와 일본에서 특히 성공을 거두었다. 그녀는 이탈리아 전통 노래 앨범 ''A Una Terra Che Amo''(1973)를 녹음했고, ''Amália in Italia''(1978) 앨범에 라이브 공연을 담았다. 1977년 ''Cantigas numa Língua Antiga''를 통해 포르투갈 음악으로 돌아왔다.

호드리게스는 신체 건강 문제로 잠시 무대에서 물러나야 했지만, ''Gostava de Ser Quem Era''(1980)와 ''Lágrima''(1983) 등 개인적인 앨범을 발표했다. 그녀는 프레데리쿠 발레리우의 노래를 다시 불러 ''Fado''(1982)라는 앨범을 발표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는 그녀를 살아있는 전설로 만들었다.

1999년 10월 6일, 호드리게스는 리스본 자택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총리가 이끄는 포르투갈 정부는 즉시 3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15][16] 그녀의 집(상 벤투 거리(Rua de São Bento) 소재)은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녀는 국립 판테온에 안장되었다.

리스본 국립 판테온에 있는 아말리아 호드리게스의 무덤


수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장이 거행되었으며, 2001년 국립 판테온으로 이장되었다. 의회에서 수여하는 특별한 영예로, 포르투갈의 가장 위대한 인물들 사이에 안장된 최초의 여성이다. 사후 엔히크, 바스쿠 다 가마 등과 함께 국민적 영웅 10인 중 한 명으로 추모받고 있다.

4. 1. 살라자르 정권과의 관계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에서 마르셀루 카에타누에 이르는 독재 정권이 1974년에 붕괴되자, 정권의 국가적 가요로 옹호되던 파두는 빙하기를 맞이했다.[11] 사람들의 마음은 파두에서 멀어졌고, 국민적인 카리스마로 추앙받던 아말리아 호드리게스조차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11]

4. 2. 민주화 이후의 활동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호드리게스는 PIDE의 비밀 요원이라는 거짓 혐의를 받았다.[12] 이 부당한 혐의는 그녀에게 심각한 우울증을 유발했다. 살라자르 총리 시절, 호드리게스는 포르투갈 공산당의 재정적 후원자였으며,[13] 때로는 살라자르에 대한 칭찬을 표명하고 1968년 그가 입원했을 때 연애 편지를 쓰기도 했다. 살라자르는 파두와 호드리게스를 싫어했고, '사우다드'를 반현대적이며 "포르투갈인의 성격을 부드럽게 만드는 영향"이라고 생각했다.[14]

1970년대부터 호드리게스는 이탈리아와 일본에서 특히 성공을 거두었다. 그녀는 이탈리아 전통 노래 앨범 ''A Una Terra Che Amo''(1973)를 녹음했고, ''Amália in Italia''(1978) 앨범에 라이브 공연을 담았다. 1977년 ''Cantigas numa Língua Antiga''를 통해 포르투갈 음악으로 돌아왔다.

호드리게스는 신체 건강 문제로 잠시 무대에서 물러나야 했지만, ''Gostava de Ser Quem Era''(1980)와 ''Lágrima''(1983) 등 개인적인 앨범을 발표했다. 그녀는 프레데리쿠 발레리우의 노래를 다시 불러 ''Fado''(1982)라는 앨범을 발표했다.

1980년대와 1990년대는 그녀를 살아있는 전설로 만들었다. 1983년 마지막 신곡 스튜디오 녹음 ''Lágrima''를 발매한 후, 분실되었거나 미발표된 녹음과 베스트 히트 컬렉션이 이어졌다.

4. 3. 사망과 유산

1999년 10월 6일, 호드리게스는 리스본 자택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당시 안토니우 구테흐스 총리가 이끄는 포르투갈 정부는 즉시 3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15][16] 그녀의 집(상 벤투 거리(Rua de São Bento) 소재)은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녀는 국립 판테온에 안장되었다.

수만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장이 거행되었으며, 2001년 국립 판테온으로 이장되었다. 의회에서 수여하는 특별한 영예로, 포르투갈의 가장 위대한 인물들 사이에 안장된 최초의 여성이다. 사후 엔히크, 바스쿠 다 가마 등과 함께 국민적 영웅 10인 중 한 명으로 추모받고 있다.

5. 주요 수상

훈장국가날짜
성 야고보 군사 훈장 여성 기사
포르투갈1958년 7월 16일[17]
성 야고보 군사 훈장 장교
포르투갈1971년 2월 16일[17]
엔히크 공 훈장 그랜드 오피서
포르투갈1981년 4월 9일[17]
성 야고보 군사 훈장 그랜드 크로스
포르투갈1990년 1월 4일[17]
엔히크 공 훈장 그랜드 크로스
포르투갈1998년 7월 27일[17]



아말리아 호드리게스는 포르투갈의 성 야고보 군사 훈장 (여성 기사, 장교, 그랜드 크로스) 및 엔히크 공 훈장 (그랜드 오피서, 그랜드 크로스)을 포함하여 40개 이상의 훈장 및 영예를 받았다. 2010년 10월에는 NPR 특별 기획 "50 great voices"에서 동시대와 후대의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 위대한 목소리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6. 음반

아말리아 호드리게스pt는 싱글, EP, LP, CD 등 다양한 형태로 방대한 양의 음반을 발매했다.

자세한 음반 목록은 하위 섹션에 정리되어 있다.

6. 1. 싱글

발매 연도앨범 제목
1945Perseguição
1945Tendinha
1945Fado do Ciúme
1945Mouraria
1945Los piconeros
1945Troca de olhares
1945Ai, Mouraria
1945Maria da Cruz
1951/52Ai, Mouraria
1951/52Sabe-se lá
1953Novo fado da Severa
1953Uma casa portuguesa
1953엘 네그로 줌본
1954Primavera
1955Tudo isto é fado
1956Foi Deus
1957올림피아의 아말리아
1968La, la, la


6. 2. EP


  • 1963: ''Povo que lavas no rio''
  • 1972: ''Cheira a Lisboa''

6. 3. LP 및 CD

아말리아 호드리게스pt의 LP 및 CD 목록은 다음과 같다.

발매 연도앨범 제목
1952Abbey Road 1952
1954Fados from Portugal/Flamengos from Spain (포르투갈의 파두/스페인의 플라멩코한국어)
1956Encores (앙코르한국어)
1957아말리아 올림피아
1958Fado and Flamenco Favorites (Angel Records) (파두와 플라멩코 즐겨듣기한국어)
1959La Fabulosa (Kapp Records) (라 파불로사한국어)
1962Busto
1965파두 포르투게스
1967파두스 67
1967fados a guitarradas au portugal (포르투갈의 기타다스와 함께하는 파두한국어)
1969Marchas de Lisboa (리스본의 마르차스한국어)
1969부 다르 드 베베르 아 도르
1970아말리아/비니시우스
1970콩 케 보즈
1971Oiça lá, ó Senhor Vinho (오이차 라, 오 센호르 비뇨한국어)
1971Amália no Japão (아말리아 노 자팡한국어)
1971Cantigas de amigos (칸티가스 드 아미고스한국어)
1972Folclore à guitarra e à viola (기타와 비올라의 민속 음악한국어)
1973A una terra che amo (아 우나 테라 케 아모한국어)
1973Encontro com Don Byas (돈 바이어스와의 만남한국어)
1974아말리아 인 이탈리아
1974Reine du fado (파두의 여왕한국어)
1976Amália no Caneção (아말리아 노 카네상한국어)
1976Cantigas da boa gente (칸티가스 다 보아 젠테한국어)
1977칸티가스 누마 링구아 안티가
1980Gostava de ser quem era (고스타바 드 세르 켕 에라한국어)
1983Lágrima
1984Amália na Broadway (아말리아 나 브로드웨이한국어)
1985O Melhor de Amália: Estranha forma de vida (아말리아의 베스트: 이상한 삶의 방식한국어)
1985O Melhor de Amália, vol. 2: Tudo isto é fado (아말리아의 베스트, 볼륨 2: 이 모든 것은 파두한국어)
1989Amália 50 anos: Rara e inédita (아말리아 50주년: 희귀하고 미발표된 곡들한국어)
1990Live in Japan (일본 라이브한국어)
1990Obsessão (강박한국어)
1990O fado (파두한국어)
1990Rainha do fado (파두의 여왕한국어)
1990Foi deus (포이 데우스한국어)
1990Sings Portugal (포르투갈을 노래하다한국어)
1991Amália (아말리아한국어)
1991Sucessos (성공한국어)
1992The Queen of Fado – Coimbra (파두의 여왕 – 코임브라한국어)
1992American Songs (Celluloid) (미국 노래한국어)
1994Ses plus belles chansons (가장 아름다운 그녀의 노래한국어)
1994O melhor dos melhores (최고 중의 최고한국어)
1996Fado lisboeta (리스보아의 파두한국어)
1997Segredo (세그레두한국어)
1998Semplicemente il meglio (심플리멘테 일 메글리오한국어)
1998The Art of Amália (아말리아의 예술한국어)
2000A dama do fado (파두의 여인한국어)
2000En español (에스파뇰어로한국어)
2004Amália: universal (아말리아: 유니버셜한국어)
2004Fados, poemas e flores, vol. 1 (파두, 시, 그리고 꽃, 볼륨 1한국어)
2004Fados, poemas e flores, vol. 2 (파두, 시, 그리고 꽃, 볼륨 2한국어)
2005The Art of Amália II (아말리아의 예술 II한국어)
2009Coração independente (독립적인 심장한국어)
2011The Queen of Fado (ARC Music) (파두의 여왕한국어)
2012The Queen of Fado, vol. 2 (파두의 여왕, 볼륨 2한국어)
2014De Porto em Porto (데 포르투 엠 포르투한국어)


7. 평가

아말리아 호드리게스는 파두의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린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녀의 멜리스마 창법은 사우다드를 표현하며, 듣는 이의 정서를 자극하여 놓아주지 않는다. 가사가 가진 감정을 소리로 이끄는 호드리게스의 노래는 세상을 떠난 지금도 살아 숨 쉬고 있다.[18]

2010년 10월, NPR 특별 기획 "50 great voices"에서 동시대와 후대의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 위대한 목소리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녀는 파두를 세계 무대에 음악 장르로 올렸고, 그녀의 작품들은 오늘날에도 많은 공연자와 가수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그들 중 다수는 그녀의 레퍼토리를 부른다.

호드리게스는 포르투갈에서 가장 유명한 예술가이자 가수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 그녀는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나 포르투갈 최고의 유명 인사이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예술가이자 가수가 되었다. 그녀의 경력은 55년에 걸쳐 이어졌으며 여러 언어(특히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로 노래를 녹음했다. 예를 들어 그녀의 노래 "코임브라" ("포르투갈의 4월")의 여러 버전은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스페인, 멕시코, 루마니아, 일본, 네덜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참조

[1] 서적 Obituaries in the Performing Ar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 웹사이트 Amália Rodrigues http://www.cinept.ub[...]
[3] 웹사이트 Amália Rodrigues – 14 anos de saudade http://www.portaldof[...]
[4] Youtube Fado de Amália Rodrigues continua conquistando fãs http://g1.globo.com/[...]
[5] 웹사이트 Biografia de Amalia Rodrigues http://www.attambur.[...] 2009-11-15
[6] 웹사이트 Amália Rodrigues http://www.rtp.pt/gd[...] 2009-11-15
[7] 간행물 The Suspended Voice of Amália Rodrigues
[8] 서적 Fado resounding : affective politics and urban life 2013-10-16
[9] 웹사이트 Amália Rodrigues http://www.portaldof[...]
[10] 문서 on Monitor Records (now under [[Smithsonian Folkways]]
[11] 웹사이트 Fado Portuguese Soul Music https://portugal.com[...] 2019-02-25
[12] 서적 The Early Years of Folk Music: Fifty Founders of the Tradi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13] 뉴스 Saramago desvela que Amália Rodrigues dio dinero a los comunistas http://elpais.com/di[...] 1999-10-08
[14] 뉴스 Tainted love https://www.theguard[...] 2007-04-27
[15] 뉴스 Amalia Rodrigues http://www.economist[...] 1999-10-14
[16] 웹사이트 O desaparecimento de Amália Rodrigues http://www.attambur.[...]
[17] 웹사이트 Cidadãos Nacionais Agraciados com Ordens Portuguesas http://www.ordens.pr[...] 2016-07-31
[18] 웹사이트 90 mais http://www.rtp.pt/wp[...] 2009-11-15
[19] 웹사이트 Amália – o filme http://www.portaldof[...] 2009-11-15
[20] 웹사이트 Amalia Rodrigues:The Voice Of Extreme Expression http://www.npr.org/t[...] 201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