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베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스 섬은 카리브해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아베스 해령의 일부이며, 베네수엘라에서 북쪽으로 약 547km 떨어져 있다. 길이는 약 375m, 폭은 50m를 넘지 않으며, 해수면과 가까워 허리케인 시 물에 잠기기도 한다. 바다새와 푸른바다거북의 서식지이며, 주변 해역은 수산 자원이 풍부하고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으로 인해 전략적 가치를 지닌다. 1584년 발견 이후 여러 국가가 영유권을 주장했으며, 현재는 베네수엘라가 실질적으로 점유하고 있으나 도미니카 연방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리브해의 섬 - 레돈다섬
    레돈다섬은 안티구아 바부다에 속한 작은 섬으로, 구아노 채굴로 한때 사람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무인도이며,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 보호와 '레돈다 왕국' 신화로 알려져 있다.
  • 카리브해의 섬 - 세라니야 환초
    세라니야 환초는 대부분 침수된 탄산염 플랫폼으로, 콜롬비아, 니카라과, 온두라스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콜롬비아가 해군 주둔 및 등대 설치로 관리하고 있고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 - 라 토르투가섬
    라 토르투가섬은 베네수엘라 북부 해안의 카리브해에 있는 무인도로, 1499년 발견되어 거북이를 의미하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한때 해적의 은신처였으나 현재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생태 관광의 중심지이자 바다거북의 중요한 서식지로 보호받고 있다.
  •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 - 브랑키야섬
    브랑키야섬은 아베스 해령에 위치한 흑산호가 특징인 섬으로, 다양한 야생동물과 조류가 서식하여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베네수엘라가 경제적 어려움으로 소유권을 중국에 넘기는 것을 고려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 베네수엘라의 섬 - 마르가리타섬
    마르가리타섬은 베네수엘라 누에바 에스파르타 주에 속한 카리브해의 섬으로,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된 후 진주 채취지로 중요했으며, 베네수엘라 독립 전쟁의 시발점이자 현재는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나 범죄 증가 문제를 안고 있다.
  • 베네수엘라의 섬 - 라 토르투가섬
    라 토르투가섬은 베네수엘라 북부 해안의 카리브해에 있는 무인도로, 1499년 발견되어 거북이를 의미하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한때 해적의 은신처였으나 현재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생태 관광의 중심지이자 바다거북의 중요한 서식지로 보호받고 있다.
아베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아베스 섬 우주 사진, 2001년
2001년 우주에서 촬영한 아베스 섬
일반 정보
이름이슬라 데 아베스 (Isla de Aves)
다른 이름아베스 섬
지리
위치카리브해
면적알려진 바 없음
길이376 m
너비50 m
최고 높이4 m
행정 구역
국가베네수엘라
행정 구역[[File:Bandera dep fede.png|15px]]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
인구
인구무인도
민족알려진 바 없음

2. 지리

아베스 섬은 아베스 해령의 일부이며, 윈드워드 제도 사슬의 서쪽에 위치한다. 길이는 약 375m이고 폭은 50m를 넘지 않으며, 잔잔한 날에는 해수면 위로 4m 솟아 있다. 대부분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부분에는 관목 식물이 있다. 허리케인 기간에는 때때로 완전히 물에 잠기기도 한다. 가장 가까운 육지인 몬트세랫에서 남서쪽으로 185km, 도미니카 연방에서 서쪽으로 225km, 베네수엘라 본토에서 북쪽으로 547km 떨어져있다.[2][3][4]

대부분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베스 섬의 작은 부분에는 관목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이곳은 바다새의 휴식 및 번식지이며 푸른바다거북의 둥지이기도 하다. 이 섬은 주변 해역과 함께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구역(IBA)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상당수의 검둥이 바다오리와 제비갈매기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5]

이 섬은 해수면과 가까워 항해에 위험하며, 이곳에서 많은 배가 난파되었다. 허리케인 기간에는 섬 전체가 물에 잠기기도 한다. 오랫동안 이 섬은 완전히 침식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베네수엘라 당국은 아베스 섬에서 뻗어 나가는 카리브해에 대한 영유권과 함께 이 섬을 보호할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허리케인 앨런의 영향으로 섬이 두 부분으로 나뉘었지만, 이후 산호의 부착으로 다시 합쳐졌다. 2007년 8월 17일, 허리케인 딘의 강한 바람으로 섬이 심하게 침식되었다.

베네수엘라 본토에서 약 500k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카리브해소앤틸리스 제도과들루프에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 도미니카 연방에서 서쪽으로 230km 떨어진 해상에 있는 산호초사주로 이루어진 작은 섬이다. 해발고도가 낮고, 길이 375m, 폭 50m의 매우 작은 섬이어서, 허리케인이 오면 가끔 해수면에 잠기기도 한다. 바닷새와 푸른바다거북의 휴식 장소이기도 하다.

2. 1. 환경 문제

이 섬은 해수면과 가까워 항해에 위험하며, 이곳에서 많은 배가 난파되었다. 허리케인 기간에는 섬 전체가 물에 잠기기도 한다. 오랫동안 이 섬은 완전히 침식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베네수엘라 당국은 아베스 섬에서 뻗어 나가는 카리브 해에 대한 영유권과 함께 이 섬을 보호할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허리케인 앨런(1980)의 영향으로 섬이 두 부분으로 나뉘었지만, 이후 산호의 부착으로 다시 합쳐졌다. 2007년 8월 17일, 허리케인 딘의 강한 바람으로 섬이 심하게 침식되었다.

3. 역사

아베스섬은 1584년 아바로 산제(스페인)가 발견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정착되지는 않았다.[6] 이후 대영 제국,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가 영유권을 주장했다.[6] 17, 18, 19세기 동안 신트외스타티우스와 사바 섬(네덜란드령) 주민들은 거북이와 새알을 채취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방문했다.[6]

1854년 미국 선장이 구아노를 발견한 후, 미국, 네덜란드, 베네수엘라 간의 분쟁이 발생했다.[7] 1857년, 구아노 아일랜드 법에 따라 미국인들이 섬을 "합병"하면서 베네수엘라와 다시 분쟁이 발생했다.[7] 퀴라소의 네덜란드 당국은 베네수엘라와 만나 아베스섬의 소유권을 결정할 상호 수용 가능한 군주를 찾기로 결정했다. 양측은 스페인의 여왕을 받아들였고, 1865년 이사벨 2세(스페인)가 이 문제에 대해 판결을 내렸으며 베네수엘라의 손을 들어주었다.

1878년부터 1912년까지 미국 구아노 광부들이 섬을 점령했다. 아베스섬은 1895년 호아킨 크레스포 대통령의 영토 재편에 포함되었다. 1905년까지 아베스 섬은 "오리엔탈 자치구"라는 이름의 자치구였으며, 콜론 연방 영토의 일부였다.

아베스섬은 1895년 호아킨 크레스포 대통령의 영토 재편에 포함되었다.


1950년 베네수엘라 해군이 섬을 장악했다. 1978년 시몬 볼리바르 과학 해군 기지가 건설되어 과학자와 군인들이 영구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아베스섬의 과학 해군 기지 ''시몬 볼리바르'' 베네수엘라

4. 영토 분쟁 및 국제 관계

도미니카 연방아베스섬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베네수엘라의 점령에 반대하고 있다.[8] 동카리브 국가 기구(OECS) 회원국들도 도미니카 연방과 함께 베네수엘라의 점령에 반발하고 있다.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아베스 섬이 베네수엘라 영토임을 주장하며, 2006년 6월 27일 문제 해결을 위해 도미니카 연방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리와 회담을 가졌다.

1978년 3월 28일, 베네수엘라는 미국-베네수엘라 해양 경계 조약을 통해 아베스 섬을 기준으로 미국과의 해양 경계를 합의했다. 이 조약은 1980년 11월 24일에 발효되었다. 아베스 섬은 미국령 세인트크로이 섬에서 약 163mi 떨어져 있으며, 미국과 가장 가까운 베네수엘라 영토이다.

1980년 6월 17일, 베네수엘라는 프랑스와 아베스 섬과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사이의 해양 경계를 서경 62°48′52″로 합의했다.

2006년 6월, 로즈벨트 스케릿 도미니카 총리는 베네수엘라 방문 중 아베스 섬이 베네수엘라에 속한다고 비공식적으로 밝혔다.[8]

2001년 도미니카 연방의 반발에도 베네수엘라 정부는 아베스 섬의 군사 기지를 확대했고, 2004년에는 해군 기지도 확장했다.

프랑스(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미국, 네덜란드도 아베스 섬 영토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섬 주변 해역에는 새우, 참치 등 수산 자원이 풍부하다.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 가능성으로 인해 베네수엘라 정부는 섬의 전략적 자원에 주목하고 있다. 도미니카 연방 어부들이 섬 주변에서 어업 활동을 하지만, 베네수엘라 해안 경비대의 순찰로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4. 1. 전략적 가치

섬 주변 해역에는 새우, 참치 등 수산 자원이 풍부하다.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 가능성으로 인해 베네수엘라 정부는 섬의 전략적 자원에 주목하고 있다. 도미니카 연방 어부들이 섬 주변에서 어업 활동을 하지만, 베네수엘라 해안 경비대의 순찰로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5. 기타

아베스 섬은 ITU 접두사 YV0을 사용하는 희귀한 아마추어 무선 "엔티티"이다.[9] 2006년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의 섬 원정에는 14년의 계획이 필요했다.[9] 이 과정에서 한 멤버가 치명적인 심장마비로 사망했지만, 일주일간의 체류 기간 동안 42,000건 이상의 교신이 이루어졌다.[9]

참조

[1] 간행물 Tratado de relimitación de áreas marinas y submarinas entre la República de Venezuela y República Dominicana Ministerio de la Defensa 1981
[2] 간행물 Aspectos geográficos de las Dependencias Federales Corporación Venezolana de Fomento 1967
[3] 간행물 Las Dependencias Federales Academia Nacional de la Historia 1995
[4] 서적 Gran Enciclopedia de Venezuela Editorial Globe, C.A. 1998
[5] 웹사이트 Refugio de Fauna Silvestre Isla de Ave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09-27
[6] 간행물 Historia de las fronteras de Venezuela Lagoven, S.A. 1989
[7] 뉴스 Our Claim Against Venezuela: Page 5 1857-06-26
[8] 웹사이트 Viceministerio de Gestión Comunicacional http://www.minci.gob[...] 2009-09-13
[9] 웹사이트 The ARRL Letter http://www.arrl.org/[...] 2006-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