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베 코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코보는 일본의 소설가,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연출가, 사진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예술가이다. 1924년 도쿄에서 태어나 만주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도쿄 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1947년 시집 『무명 시집』으로 데뷔하여, 소설 『모래의 여자』, 희곡 『친구』 등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초현실주의, 실존주의적 경향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존재론적 불안과 사회의 부조리를 날카롭게 파헤쳤으며, 테시가하라 히로시 감독과 협력하여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다. 아쿠타가와상, 요미우리 문학상,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 등을 수상했으며, 199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연출가 - 아사누마 신타로
    아사누마 신타로는 센다이 이쿠에이가쿠엔 고등학교와 다마미술대학을 졸업 후 극단 활동을 거쳐 2006년 성우 데뷔,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극본, 연출, 작사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일본의 성우이자 배우, 연출가이다.
  • 일본의 연출가 - 미타니 코키
    미타니 코키는 재치 있는 코미디와 패러디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들을 선보이는 일본의 극본가, 각본가, 연출가, 영화 감독, 배우이다.
  • 일본의 극작가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일본의 극작가 - 이쿠타 조코
    이쿠타 조코는 일본의 번역가, 문예 평론가, 소설가, 극작가로서, 서양 고전 및 철학 서적을 일본에 소개하고 여성 문학 운동을 지원했으며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사상에도 관심을 가졌다.
  • 히키아게샤 - 다이호 고키
    다이호 고키는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1세에 최연소 요코즈나에 등극, 마쿠우치 32회 우승 및 45연승 등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쇼와 시대의 다이요코즈나" 칭호를 얻고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은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 히키아게샤 - 아사오카 루리코
    아사오카 루리코는 만주국 출신으로 1954년 데뷔하여 닛카쓰 액션 영화의 대표적인 히로인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와 더불어 "사랑의 화석" 등의 히트곡을 남긴 가수 활동과 '남자는 힘들어' 시리즈의 '릴리' 역, 1980년대 이후 무대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아베 코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베 코보 (1967년)
본명아베 기미후사 (安部 公房)
출생1924년 3월 7일
출생지일본 도쿄도 기타구 니시가하라
사망1993년 1월 22일
사망지일본 도쿄도 다마시
묘소가미카와 영원
직업소설가
극작가
연출가
국적일본
언어일본어
교육학사 (의학)
모교도쿄 대학 의학부 졸업
활동 기간1948년 - 1993년
장르소설
희곡
사조제2차 전후파
초현실주의
배우자아베 마치 (1947년 - 1993년)
자녀아베 네리 (장녀)
작품
데뷔작『끝나는 길의 이정표에』 (1948년)
주요 작품『벽』 (1951년)
『짐승들은 고향을 향한다』 (1957년)
『제4간빙기』 (1959년)
모래의 여자』 (1962년)
『타인의 얼굴』 (1964년)
『불타버린 지도』 (1967년)
『친구』 (1967년, 희곡)
『상자 인간』 (1973년)
『밀회』 (1977년)
『방주 사쿠라 마루』 (1984년)
수상
수상 내역전후 문학상 (1950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상 (1951년)
기시다 희곡상 (1958년)
요미우리 문학상 (1963년, 1975년)
다니자키 준이치로상 (1967년)
프랑스 최우수 외국 문학상 (1968년)
예술 선장 (1972년)
영향 관계
영향을 준 인물프란츠 카프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에드거 앨런 포
장폴 사르트르
마르틴 하이데거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루이스 캐럴
이시카와 준
하나다 기요테루
영향을 받은 인물고지마 히데오
호시노 도모유키
엔조 도
나카가미 겐지

2. 생애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라이너 마리아 릴케마르틴 하이데거에 심취했지만, 전후 부흥기에 다양한 예술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르포르타주의 방법을 익히는 등 작품의 폭을 넓혔고,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혔다. 작품은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아,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아베 코보는 홋카이도 개척민의 부모를 둔 아베 아사키치와 이무라 요리미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1924년 3월 7일 도쿄 기타토시마군 다키노카와정(현 도쿄도 기타구 니시가하라)에서 태어났다.[1][7] 만주의과대학(현 중국 의과대학)의 의사였던 아버지 아사키치는 근무처인 봉천시로부터 잠시 떠나 1923년 도쿄에서 요리미와 결혼하였다. 1925년 생후 8개월이던 아베 코보는 가족과 함께 만주로 건너가 봉천의 일본인 지구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40년 중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여 구제 세이세이 고등학교(현 세이조 대학) 이과에 입학하였다. 1943년 도쿄제국대학 의학부 의학과에 입학하였으나, 1944년 대학을 떠나 만주로 돌아갔다. 1945년 종전을 맞이했고, 같은 해 겨울 아버지가 발진티푸스로 사망하였다. 1946년 인양선으로 귀국하여 도쿄로 돌아왔다.

1947년 여자미술전문학교(현 여자미술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하던 야마다 마치코와 결혼했다. 같은 해, 만주에서의 귀국 체험을 바탕으로 『무명 시집』을 자비 출판했다.[35] 1948년 도쿄대학 의학부를 졸업했지만, 의사 국가시험은 치르지 않았다. 같은 해, 처녀 장편 「점토 담」을 발표하였고, 『끝없는 길의 표지』로 출간되었다. 1949년 처음으로 초현실주의 기법을 채용한 단편 소설 『덴드로카카리아』를 발표했다.[41] 1950년 일본 공산당에 입당했다. 1951년 단편 "벽 - S・카르마 씨의 범죄"로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했다.

『마이니치 그래프』 1954년 9월 1일호

  • -|]]|thumb|left|아베가 교자(餃子)를 만들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벽 - S. 카르마 씨의 범죄』(아쿠타가와상 수상), 『모래의 여자』(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타인의 얼굴』, 『불탄 지도』, 『상자 남자』, 『밀회』 등이 있으며, 희곡으로는 『유령은 여기에 있다』, 『친구』, 『막대기가 된 남자』, 『녹색 스타킹』 등이 있다. 연극 집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고, 자신의 연출에 의한 무대에서도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1960년대에 테시가하라 히로시와 협력하여 ''함정'', ''모래의 여자'', ''타인의 얼굴'', ''지도의 없는 남자''를 영화로 각색했다. 1971년,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1970년대 말까지 배우들을 훈련시키고 연극을 연출했다.

2. 1. 유년기 및 학창 시절

1924년 3월 7일, 홋카이도 개척민의 부모를 둔 아버지 아베 아사키치와 어머니 이무라 요리미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도쿄부 기타토시마군 다키노카와정(현 도쿄도 기타구 니시가하라)에서 태어났다. 본적지는 홋카이도 가미카와군 히가시타카스정(현 아사히카와시)이었다.[29] 아베의 부모는 모두 구 히가시타카스 촌 출신이며, 아베 역시 초등학교 2학년부터 3학년까지 잠시 어머니의 친가에서 생활하며 히가시타카스 촌 깃분 제1초등학교(현 아사히카와 시립 깃분 제1초등학교)에 다녔다. 만주의과대학(현 중국 의과대학)의 의사였던 아버지 아사키치는 근무처인 봉천시에서 잠시 1923년 도쿄로 와 요리미와 결혼했다. 이듬해 어머니 요리미는 아베 코보를 임신했을 무렵 자신의 유일한 소설 <스핑크스는 웃는다> (이단사)[30]를 출간했으나, 이후 절필하였다.

1925년 생후 8개월이던 아베 코보는 가족과 함께 만주로 건너가 봉천의 일본인 지구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초등학교에서 받은 실험적인 영재교육, 오족협화의 이념은 훗날 아베의 작품과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37년 4월, 구제 봉천 제2 중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봉천의 친정에 있던 신초샤의 세계문학전집이나 제일서방의 근대극전집 등을 읽으며, 특히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에 감명을 받았다. 1940년 중학교를 4학년만 마치고 월반하여 졸업하고, 일본으로 귀국하여 구제 세이세이 고등학교(현 세이조 대학) 이과 을류에 입학하였다. 이 무렵 독일어 교사 아베 로쿠로(아베 지로의 친동생)의 영향으로 희곡이나 실존주의 문학을 탐독하였다. 재학 당시 다카기 데이지의 「해석개론」을 애독하며 세이세이 고교 개교 이래의 수학 천재로 불리기도 하였다.[31]

같은 해 겨울, 군사 교련의 영향으로 감기가 악화되어 폐침윤에 시달렸다. 잠시 휴학하고 봉천의 친정으로 돌아와 요양 생활을 하였다. 1942년 4월에 복학하여 동년 12월 9일 수필 『문제 하강에 의한 긍정의 비판』[32]을 썼으며, 이는 다음 해 2월에 발행된 고등학교의 교우회지 「성」의 제40호에 게재되었다. 이 수필은 바로 아베 코보의 첫 출간된 작품이 되었다.

1943년 3월, 전시 상황이라 조기졸업을 하였다. 이 무렵 자신의 첫 소설로 꼽히는 <(영매 이야기보다) 제목 미정>을 저술했다.[33] 같은 해 10월, 도쿄제국대학 의학부 의학과에 입학하였다. 1944년 자연계 학생의 징병유예가 취소되고 잇달아 학생들이 학도 출진으로 징집되면서, 이제는 자연계 학생들이 징병될 차례라는 생각과 패전이 가깝다는 소문으로, 가족들의 안부를 생각하며 그해 말 대학에 무단으로 만주로 돌아갔지만, 친구들이 대리 출석을 해주며 그를 도와주었다. 1945년 봉천에서 개업의를 하고 있던 아버지를 돕고 있던 무렵, 소집 영장이 발부되었는데, 입대 전 8월 15일에 종전을 맞이했다. 같은 해 겨울 발진티푸스가 대유행하여, 진료를 받던 아버지가 감염되어 사망하였다.

1946년 패전으로 집에서 쫓겨나 봉천 시내를 전전하며 사이다 제조 등으로 생활비를 벌었다. 동년 말에 인양선으로 귀국하였는데, 홋카이도의 조부모님 댁에 남은 가족들을 맡기고 도쿄로 돌아왔다. 이후 아베 코보는 중국을 다시 방문하지 않았고 소설가로서도 만주에서의 체험을 쓰지는 않았다.

2. 2. 작가 데뷔와 전후 활동

1947년 3월, 여자미술전문학교(현 여자미술대학)에서 일본화를 전공하던 야마다 마치코(후에 아베 마치라는 이름으로 아베의 저서 장정과 연극 무대 미술을 담당)와 결혼하여 동거 생활을 시작했다. 같은 해, 만주에서의 귀국 체험을 바탕으로 『무명 시집』을 등사판 인쇄로 자비 출판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마르틴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이 시집에는 잃어버린 청춘에 대한 고뇌와 현실과의 대결 의지가 강하게 담겨 있었다.[35]

1948년, 도쿄대학 의학부를 졸업했지만, 의사가 되지 않는 조건으로 졸업했다. 의사 국가시험은 치르지 않았다. 같은 해, 처녀 장편 「점토 담」을 세이조 고등학교 시절 독일어 교사 아베 로쿠로에게 가져갔다. 이 소설은 고향을 거부하고 방랑하다 만주 비적의 포로가 된 일본인 청년이 쓴 세 권의 노트 형식을 취했다. 아베 로쿠로는 이 작품을 문예지 『근대문학』 편집자 하니야 유타카에게 보냈다. 하니야는 아베의 재능을 즉시 인정했지만, 편집 동료인 히라노 겐이 각하할 것을 우려하여 다른 잡지에 추천했다. 그 결과 「점토 담」 중 「첫 번째 노트」가 『끝나버린 길의 이정표에』로 개제되어 「개성」 2월호에 실렸다. 이것이 아베의 첫 상업지 발표 작품이다. 이를 계기로 하니야, 하나다 기요테루, 오카모토 타로 등이 운영하는 「밤의 회」에 참가했다. 1948년 10월, 「점토 담」은 『끝없는 길의 표지』로 진선미사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1949년 4월, 처음으로 초현실주의 기법을 채용한 단편 소설 『덴드로카카리아』를 발표했다.[41]

1950년, 테시가하라 히로시, 세키 신이치 등과 함께 "세기의 모임"을 결성했다. 하니야에 따르면, 이 시기 아베는 극빈층으로 수혈을 하며 생활을 유지했고, 하니야가 여러 차례 생활비를 후원했다고 한다. 같은 해 여름, 일본 공산당에 입당했다. 1951년, "근대 문학" 2월호에 단편 "벽 - S・카르마 씨의 범죄"가 게재되었다.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만주에서의 체험과 하나다 기요테루의 광물주의 영향을 받은 초현실주의적인 내용이다.

"벽 - S・카르마 씨의 범죄"는 1951년 상반기 제25회 아쿠타가와상 후보가 되었고, 심사위원 우노 코지에게 혹평을 받았지만,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타키이 코사쿠의 강력한 추천으로 이시카와 토시미츠의 『봄의 풀』과 함께 수상했다. 가와바타는 『벽』과 같은 작품의 출현에 필연성을 느끼고, 신선함이 있다고 평가했다.[43] 같은 해 5월 28일, 이 단편은 "S・카르마 씨의 범죄"로 개제되었고, 단편 "바벨탑의 너구리"와 중편 "붉은 고치"를 더하여, 이시카와 준의 서문, 테시가하라 히로시의 장정, 카츠라가와 히로시의 삽화를 얻어 첫 단편집 『벽』이 간행되었다.

같은 해, 친구 아카츠카 토오루의 소개로 화가 쿠로사키 기스케가 코히나타에 소유한 창고를 빌려 개조하여 이사했다. 11월, 단편 소설 『침입자』를 발표했다. 1952년 5월, 에마 오사무, 토쿠나가 나오, 노마 히로시, 후지모리 세이키치 등과 함께 『인민 문학』에 참가했고, 『신일본 문학』과 합류한 후에는 신일본 문학회로 옮겼다. 6월, 단편 소설 『수중 도시』를 발표했다.

2. 3. 국제적 명성과 다양한 예술 활동

1960년대에 아베 코보는 일본의 영화 감독 테시가하라 히로시와 협력하여 ''함정'', ''모래의 여자'', ''타인의 얼굴'', ''지도의 없는 남자''를 영화로 각색했다. ''모래의 여자''는 평단의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으며, 아베가 일본 공산당에서 제명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개봉되었다.[15]

1971년, 아베 코보는 도쿄에 연기 스튜디오인 아베 스튜디오를 설립했다.[8] 1970년대 말까지 그는 배우들을 훈련시키고 연극을 연출했다. 1969년에 처음 자신의 작품을 연출한 지 2년 후에 스튜디오를 설립했는데, 그 작품은 ''막대기가 된 남자''였다. 이 작품의 세트는 아베의 아내가 디자인했으며, 이가와 히사시가 주연을 맡았다. 아베는 연극이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하는 능력에 불만을 느끼고 이를 수동적인 매체로 축소시켰다. 1979년까지 그는 아베 스튜디오에서 14편의 연극을 쓰고, 연출하고, 제작했다. 또한, 그는 소설 ''박스맨''(1973)과 ''비밀의 랑데부''(1977) 두 편을 출판했으며, 일련의 에세이, 악보, 사진 전시회도 발표했다.[8] 파르코 백화점에 있는 아방가르드 극장인 세이부 극장은 아베를 위해 1973년에 특별히 설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많은 예술가들에게도 그곳을 사용할 기회가 주어졌다. 아베 스튜디오의 ''사랑의 안경은 장밋빛'' (The Glasses of Love Are Rose Colored, 1973)이 그곳에서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이후 세이부 박물관 전체가 아베의 사진 작품 중 하나인 ''이미지 전시회: I''을 전시하는 데 사용되었다.[8]

아베 스튜디오는 일본 연극계의 많은 현대적 흐름에 대조를 이루며, 하이유자 극단의 전통적인 연출과 대조를 이루며, 신체적 표현이 아닌 드라마적 표현에 중점을 두는 것을 선택했다. 이곳은 아베가 가르쳤던 도쿄 외곽의 조후시에 있는 도호학원 전문학교에서 종종 모집했던 젊은 배우들에게 안전한 공간이었다. 스튜디오 배우들의 평균 연령은 1970년대 동안 약 27세였으며, 멤버들이 떠나고 새로운 얼굴들이 들어왔다. 아베는 무대 경험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능숙하게" 처리했다.[8]

1977년 아베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6]

2. 4. 만년과 사망

1980년 이후, 아베 코보는 문단과의 교류를 거의 끊고, 아내 마치와도 소원해지면서 하코네의 아시노코를 내려다보는 고지대에 지은 산장을 작업실로 삼아 독거 생활을 시작했다. 같은 해 1월부터 『예술신조』에 자신이 찍은 사진을 사용한 『포토&에세이 - 도시를 훔치다』[66]를 다음 해 12월까지 연재했다.

1982년 (쇼와 57년), 자신의 건강 악화를 이유로 아베 코보 스튜디오의 활동을 휴지한다. 1984년 (쇼와 59년) 11월, 쉘터 구상 등을 모티브로 워드 프로세서로 집필한 첫 소설 『방주 사쿠라 마루』를 발표한다. 1985년 (쇼와 60년) 1월, NHK 「방문 인터뷰」에 TV 출연한다. 방송에서는 하코네에서의 작업 모습이 소개되었으며, 이후에도 1987년까지 같은 방송국의 프로그램에 여러 차례 출연했다. 1986년 (쇼와 61년) 9월, 1980년대에 쓴 에세이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단행본 『죽음을 재촉하는 고래들』을 간행한다. 이후 몇몇 에세이와 기고를 남기고 80년대를 마무리한다.

1991년(헤이세이 3년), 기이한 병에 걸린 환자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 『캥거루 노트』를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아베 코보가 집필한 마지막 소설이 되었다. 이때 아베는 크리올에 강한 관심을 보였고, 그것을 주제로 한 장편 『나는 남자』를 집필하고 있었지만, 같은 해 12월 1일에 행해진 담화에서는 그것에 이어지는 새로운 구상으로 "미국론"을 언급하며, "촘스키식으로 말하면, 학습 무용의 보편 문화. 코카콜라나 청바지 등으로 대표되는, 반전통의 생명력과 매력을 다시 한번 재검토하고 싶다."[67]라고 말했다.

1992년(헤이세이 4년) 12월 25일 심야, 집필 중에 뇌출혈로 인한 의식 장애를 일으켜 도카이 대학 병원에 입원했다. 1993년 (헤이세이 5년) 1월 16일에는 경과가 양호하여 퇴원했지만, 자택 요양 중에 인플루엔자를 발병하여, 1월 20일에 다마시의 일본의과대학 다마 나가야마 병원에 입원했다. 1월 22일에는 해열되어 일시적으로 회복되었지만, 취침 중인 같은 날 7시 1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1992년 12월에 집필하고 있던 소설 『다양한 아버지』[68]가 미완인 채 절필이 되었다. 한편, 입원 시에 애인이자 배우인 야마구치 카린의 집에서 반출되었기 때문에 스캔들 취급을 받았지만, 마지막은 가족에게 간병을 받았다.

1월 23일, 자택에서 통야가 열리고, 다음 날 24일에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아베가 사용하던 워드프로세서의 플로피 디스크에서 집필 중이던 『나는 남자』 162매, 『두더지 일기』 240매 등이 발견되었다. 아내 마치는 아베의 사후에 암을 앓아, 같은 해 9월 22일에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70] . 장녀 아베 네리는 1997년 (헤이세이 9년)부터 2009년 (헤이세이 21년)에 걸쳐 간행된 전집의 편집에도 진력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에는, 아베 네리 명의로 『아베 코보 전』(신초샤)을 상재했다.

3. 작품 세계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낸 아베 코보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마르틴 하이데거에 심취했다. 전후 부흥기에 다양한 예술 운동에 참여하며 르포르타주의 방법을 익혔고,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힌다. 그의 작품은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될 정도로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1950년, 테시가하라 히로시, 세기 신이치 등과 함께 '세기의 모임'을 결성했다. 같은 해 일본 공산당에 입당했다. 1951년 단편 <벽 - S.카르마의 범죄>가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이 작품에 대해 "새로운 맛이 있어 호기심을 받았다"고 평했다.

그의 작품은 소설, 희곡, 시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실험적인 형식과 독특한 주제 의식을 보여준다.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에 자동차관의 싱크탱크로 참가했다. 1973년에는 극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1975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명예 인문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으로 추대되었다.


  • 사진작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시부야구 우다가와쵸에 있던 아베 코보 스튜디오의 연습장을 방문하여, 아베의 초상을[65] 촬영했다.
  • 카메라 실력은 취미의 영역을 넘어선 것이었다. 기무라 이헤이 사진상의 심사위원을 맡기도 했다.


그의 에세이와 전집은 다음과 같다.

  • 동유럽을 가다 헝가리 문제의 배경 (다이니혼 유벤카이코단샤, 1957년)
  • 맹수의 마음에 계산기의 손을 (헤이본샤, 1957년)
  • 심판받는 기록 영화 예술론 (고단샤 밀리언 북스, 1958년)
  • 사막의 사상 (고단샤, 1965년 / 고단샤 문예 문고, 1994년)
  • 내면의 변방 (신초샤, 1971년 / 뒤에 주오코론 문고)
  • 손에 대하여 (프레스·비브리오마누, 1973년)
  • 웃는 달 (신초샤, 1975년 / 뒤에 문고, 개정 2014년) - 창작 노트
  • 도시로의 회로 (주오코론샤, 1980년)- 신판 "내면의 변방 / 도시로의 회로" 주오코론 문고, 2019년
  • 죽음을 재촉하는 고래들 (신초샤, 1986년 / 신초 문고, 1991년, 신편·2024년)
  • 신초 일본 문학 46 안베 코보 작품집 (전 1권, 신초샤, 1970년 / 신장판 1981년) - 9편 수록
  • 안베 코보 전 작품 (전 15권, 신초샤, 1972년-1973년)
  • 안베 코보 전집 (전 30권, 신초샤, 1997년-2000년, 2009년)

3. 1. 주제와 특징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낸 아베 코보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마르틴 하이데거에 심취했다. 전후 부흥기에 다양한 예술 운동에 참여하며 르포르타주의 방법을 익혔고,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힌다. 그의 작품은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될 정도로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26]

주요 작품으로 소설 『벽 - S. 카르마 씨의 범죄』(아쿠타가와상 수상), 『모래의 여자』(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타인의 얼굴』, 『불탄 지도』, 『상자 남자』, 『밀회』 등이 있다. 희곡으로는 『유령은 여기에 있다』, 『친구』, 『막대기가 된 남자』, 『녹색 스타킹』 등이 있다. 연극 집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고, 자신의 연출에 의한 무대도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만년에는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27]

1962년 발표한 『모래의 여자』는 곤충 채집 중 길을 잃고 들어간 마을에 갇혀 탈출하려는 교사와 이를 막으려는 마을 사람들을 그린 작품이다. 이후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고독과 타인과의 통로 회복을 주제로 실험적인 작품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평가를 얻었다. 1964년 발표한 『타인의 얼굴』에서는 사고로 얼굴을 잃은 남자가 일으키는 소동을, 1967년의 『타버린 지도』에서는 실종자를 쫓는 흥신소 직원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들의 최후를 그렸다. 1973년에는 골판지 상자를 뒤집어쓰고 생활하는 남자를 그린 소설 『상자 남자』를 발표했다. 1977년에는 병원을 무대로 기묘한 병에 걸린 환자와 그 치료를 담당하는 기묘한 의사들을 그린 『밀회』를 발표했다.

  • 외국 문학의 영향에 대해 하니야 유타카는 "아베 코보는 하이데거로부터 출발했다. (중략) 그 후 그는 릴케를 거쳐 사르트르와 카프카, 그리고 쉬르뷔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지만, 그것은 보통 말하는 문학적인 영향과는 약간 다르다. 공간의 조형적 표현이 그의 소설의 방법론이 되었다."[114]라고 썼다.

  • 프란츠 카프카에 대해 아베는 1956년1964년 두 차례 동유럽 여행 중 그의 고향 프라하를 방문했다. 아베는 첫 방문 시에는 아직 공인 작가가 아니었던 카프카가, 재방문 시에는 재평가가 진행되어 생가터도 발견된 것을 알고, 프라하에서의 카프카의 위치에 대한 에세이를 썼다.[115] 1980년에는 "카프카는 세계 그 자체의 존재를 제시할 수 있었던 엄청난 작가였다고 생각한다."[116]라고 말했다.

  • 만년까지 하코네의 작업실에 놓여 있던 애독서[119]에는 이블린 워의 『가이아나와 브라질의 92일간』, 콘라트 로렌츠의 『거울의 뒷면』, 알랭 로브그리예의 『환영 도시의 토폴로지』, 클리퍼드 어빙의 『위작』 등이 있다.

3. 2. 대표작

만두를 요리하는 아베 코보(1954년)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라이너 마리아 릴케마르틴 하이데거에 심취했지만, 전후 부흥기에 다양한 예술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르포르타주의 방법을 익히는 등 작품의 폭을 넓혔고,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혔다. 작품은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아,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되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벽 - S. 카르마 씨의 범죄』(아쿠타가와상 수상), 『모래의 여자』(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타인의 얼굴』, 『불탄 지도』, 『상자 남자』, 『밀회』 등이 있으며, 희곡으로는 『유령은 여기에 있다』, 『친구』, 『막대기가 된 남자』, 『녹색 스타킹』 등이 있다. 연극 집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고, 자신의 연출에 의한 무대에서도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만년에는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26] . 노벨 문학상 위원회의 페르 베스트베리 위원장은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급사하지 않았다면 노벨 문학상을 받았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27] .

연도일본어 제목영어 제목번역비고
1948終りし道の標に|Owarishi michi no shirube ni일본어At the Guidepost at the End of the Road
1954飢餓同盟|Kiga doumei일본어Starving Unions
1957けものたちは故郷をめざす|Kemono tachi wa kokyou wo mezasu일본어Beasts Head for HomeRichard F. Calichman
1959第四間氷期|Dai-Yon Kampyōki일본어Inter Ice Age 4E. Dale Saunders[1] 아베 마치 삽화
1960石の眼|Ishi no me일본어Stony Eyes
1962砂の女|Suna no onna일본어모래의 여자E. Dale Saunders국제 영화로 각색[1]
1964他人の顔|Tanin no kao일본어The Face of AnotherE. Dale Saunders동명의 영화로 각색[1]
1964榎本武揚|Enomoto Takeaki일본어Takeaki Enomoto극단 쿠모에 의해 연극으로 의뢰되어 아쿠타가와 히로시가 연출. 호불호가 갈림: 킨은 연극보다 소설을 더 선호했고, 오에 겐자부로는 "진정으로 새롭다"고 평가[8]
1966人間そっくり|Ningen sokkuri일본어The Double of Human Being
1967燃えつきた地図|Moetsukita chizu일본어타버린 지도E. Dale Saunders[1]
1973箱男|Hako otoko일본어상자 남자E. Dale Saunders[1]
1977密会|Mikkai일본어밀회Juliet Winters Carpenter, 1979[1]
1984方舟さくら丸|Hakobune sakura maru일본어The Ark SakuraJuliet Winters Carpenter, 1988[1]
1991カンガルー・ノート|Kangaruu noto일본어캥거루 노트Maryellen Toman Mori
1994飛ぶ男|Tobu otoko일본어The Flying Man미완성



연도일본어 제목영어 제목번역비고
1949唖むすめ|오시무스메일본어"The Deaf Girl"앤드루 호르바트고보 아베의 『4개의 단편』 수록
1949デンドロカカリヤ|덴드로카카리야일본어"Dendrocacalia"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49夢の逃亡|유메노 토보일본어"The Dream Escape"
1950赤い繭|아카이 마유일본어"The Red Cocoon"레인 던롭고보 아베의 『늦은 국화: 일본 단편 21선』 수록
1950洪水|코우즈이일본어"The Flood"레인 던롭고보 아베의 『늦은 국화: 일본 단편 21선』 수록
1951魔法のチョーク|마호노 초크일본어"The Magic Chalk"앨리슨 키브릭고보 아베의 『쇼와 앤솔로지: 현대 일본 단편』 수록
1951壁―S・カルマ氏の犯罪|카베―S・카루마 시노 한자이일본어The Wall ― The Crime of S. Karma줄리엣 윈터스 카펜터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일부 발췌는 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에 수록
1951闖入者|친뉴샤일본어"Intruders"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1詩人の生涯|시진노 쇼가이일본어"The Life of a Poet"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1飢えた皮膚|우에타 히후일본어"The Starving Skin"
1952ノアの方舟|노아노 하코부네일본어"Noah's Ark"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2水中都市|스이추 토시일본어"The Underwater City"
1954犬|이누일본어"The Dog"앤드루 호르바트고보 아베의 『4개의 단편』 수록
1954変形の記録|헨케이노 키로쿠일본어"Record of a Transformation"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0棒|보일본어"The Stick"레인 던롭고보 아베의 『늦은 국화: 일본 단편 21선』 수록
1956R62号の発明|R62 고우노 하츠메이일본어"Inventions by No. R62"
1957誘惑者|유와쿠샤일본어"Beguiled"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7夢の兵士|유메노 헤이시일본어"The Dream Soldier"첫 번째 번역, 1973년 앤드루 호르바트
두 번째 번역, 1991년 줄리엣 윈터스 카펜터
첫 번째 번역은 고보 아베의 『4개의 단편』 수록
두 번째 번역은 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57鉛の卵|나마리노 타마고일본어"The Egg of Pb"
1958使者|시샤일본어"The Special Envoy"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60賭け|카케일본어"The Bet"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61無関係な死|무칸케이나 시일본어"An Irrelevant Death"줄리엣 윈터스 카펜터고보 아베의 『곡선 너머』 수록
1966カーブの向う|카부노 무코일본어"Beyond the Curve"줄리엣 윈터스 카펜터영어로 출판된 첫 번째 단편집[1]
1964時の崖|토키노 가케일본어"The Cliff of Time"앤드루 호르바트고보 아베의 『4개의 단편』 수록
19???"Hand"테드 맥컬럼비아: 문학과 예술 저널(Columbia: A Journal of Literature and Art), 27호 (1996–97년 겨울), 50–57쪽[20]



연도일본어 제목영어 제목번역비고
時間の崖|시간의 절벽일본어The Cliff of Time도널드 키인지팡이가 된 남자: 세 편의 연극에 수록
スーツケース|수트케이스일본어Suitcase도널드 키인지팡이가 된 남자: 세 편의 연극에 수록
1955制服|제복일본어Uniforms
1955どれい狩り|노예 사냥일본어Slave Hunting
1955快速船|쾌속선일본어The Speedy Ship
1957[21]棒になった男|지팡이가 된 남자일본어The Man Who Turned Into A Stick도널드 키인지팡이가 된 남자: 세 편의 연극에 수록. 1969년 작품은 아베 코보가 직접 연출한 첫 번째 작품이었다. 그의 아내가 무대 디자인을 맡았다.[8]
1958幽霊はここにいる|유령은 여기에 있다일본어The Ghost Is Here도널드 키인아베 코보의 세 편의 연극에 수록. 센다 코레야의 수상작. 동독에서 호평을 받음[8]
1965おまえにも罪がある|너에게도 죄가 있다일본어You, Too, Are Guilty테드 T. 타카야현대 일본 드라마: 선집에 수록
1967友達|친구일본어Friends도널드 키인호놀룰루에서 영어로 공연[1]
1967년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1967榎本武揚|에노모토 다케아키일본어Takeaki Enomoto대체 번역: 에노모토 부요[8]
1971未必の故意|미필적 고의일본어Involuntary Homicide도널드 키인아베 코보의 세 편의 연극에 수록
1971ガイド・ブック|가이드 북일본어Guide Book
1973愛の眼鏡は色ガラス|사랑의 안경은 색 유리일본어Loving Glasses Are Colored Ones
1974緑色のストッキング|녹색 스타킹일본어Green Stockings도널드 키인아베 코보의 세 편의 연극에 수록
1975ウエー(新どれい狩り)|우에 (새로운 노예 사냥)일본어Ue (Slave Hunting, New Version), The Animal Hunter제임스 R. 브랜든
1976案内人|안내인일본어 GUIDE BOOK IIThe Guide Man, GUIDE BOOK II
1977水中都市|수중 도시일본어 GUIDE BOOK IIIThe Underwater City, GUIDE BOOK III
1978S・カルマ氏の犯罪|S・카르마 씨의 범죄일본어The Crime of S. Karuma
1979仔象は死んだ|코조는 죽었다일본어An Elephant Calf Is Dead



연도일본어 제목영어 제목번역비고
1947無名詩集|무메이 시슈일본어Poems of an Unknown Poet
1978人さらい|히토 사라일본어Kidnap


4. 평가 및 수상

아베 코보는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냈다.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히며, 그의 작품은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될 정도로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26] 1951년 소설 《벽 - S. 카르마 씨의 범죄》로 아쿠타가와상을,[17] 1962년 소설 《모래의 여자》로 요미우리 문학상, 1967년 희곡 《친구》로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을 수상하였다. 연극 집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고, 자신의 연출에 의한 무대에서도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만년에는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26] 오에 겐자부로는 아베 코보를 비롯한 현대 일본 작가들이 "자신이 수상한 노벨 문학상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18][19]

4. 1. 국내외 평가

아베 코보는 도쿄부에서 태어나 만주국에서 소년 시절을 보냈다. 미시마 유키오 등과 함께 제2차 전후파 작가로 꼽혔으며, 그의 작품은 세계 30여 개국에서 번역 출판될 정도로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26]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벽 - S. 카르마 씨의 범죄』(아쿠타가와상 수상), 『모래의 여자』(요미우리 문학상 수상) 등이 있다. 연극 집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에 힘썼고, 자신의 연출에 의한 무대에서도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만년에는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으며,[26] 노벨 문학상 위원회 페르 베스트베리 위원장은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급사하지 않았다면 노벨 문학상을 받았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27]

그는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상 이름수상 연도
전후 문학상1950년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상1951년
키시다 희곡상1958년
요미우리 문학상1963년, 1975년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1967년
프랑스 최우수 외국 문학상1968년
예술선장1972년



하니야 유타카는 1951년 아쿠타가와 상 수상작 『벽』의 서평에서 아베가 자신의 후계자일 뿐만 아니라 자신을 넘어섰다고 평가했다. 아베 코보는 단순한 환상 문학을 넘어 슬립스트림이나 메타픽션과 같은 포스트모던 문학의 기법을 실천하고 진전시킨 전위 문학가로서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모래의 여자』는 세계 30여 개 국어로 번역되었으며, 『불타버린 지도』는 뉴욕 타임스의 외국 문학 베스트 5에 선정되었다.

아베의 작품은 특히 공산주의권인 동유럽에서 높이 평가받았으며, 서유럽을 중심으로 평가받았던 미시마 유키오와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미시마 또한 아베를 높이 평가하여 1967년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 심사에서 아베의 희곡 작품 『친구』를 열렬히 추천하여 수상을 이끌어냈다.

1975년 5월 13일, 아베는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 명예 인문 과학 박사 칭호를 받으며 "당신은 인간성이라는 보편적인 것을 가지고 있다"[130]라는 찬사를 받았다. 1979년 5월에 열린 아베 코보 스튜디오의 미국 공연은 호평을 받았으며, 뉴욕 타임스는 폴란드의 극작가 Tadeusz Kantor|타데우시 칸토르영어를 언급하며 아베 코보를 "연극에서의 위대한 퍼포머이자 디자이너"[132]라고 평가했다.

무라카미 하루키1996년 토론에서 아베 코보의 작품에 대해 "기묘함은 좋든 싫든 일관된 기묘함이지, '이상함'은 아니에요"[134]라고 말했다. 가르시아 마르케스1990년대오에 겐자부로와의 대화에서 "나에게는 아베 코보가 중요한 작가였다"[135]라고 언급했다.

오에 겐자부로는 아베 코보를 카프카포크너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최대의 작가로 평가하고 있다. 1999년 인터뷰에서 "정말 현대 작가로서 외국 지식인들에게 읽힌 작가는 아베 씨가 처음이었"고 "가장 강한 인상을 준 것이 아베 씨였다"고 말했다.[136] 또한 1994년 자신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을 때, 아베 코보가 더 오래 살았더라면 자신이 아니라 그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37]

2012년 3월 21일, 노벨 문학상 심사 위원회인 스웨덴 아카데미의 페르 웨스트베리 위원장은 요미우리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베 코보는) 급사하지 않았다면 노벨 문학상을 받았을 것입니다. 매우, 매우 근접했었습니다"[27]라고 밝혔다.

4. 2.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1950년「붉은 고치」로 전후 문학상 수상[26]
1951년「벽 - S・카르마 씨의 범죄」로 아쿠타가와상 수상[17]
1957년「막대기가 된 남자」 (분카 방송)로 예술제 장려상 수상[26]
1958년희곡 「유령은 여기에 있다」로 기시다 희곡상 수상[26]
1959년「일본의 일식」 (NHK 오사카)로 예술제 장려상 수상[26]
1960년「연옥」으로 예술제 장려상 수상[26]
1961년영화 「함정」으로 시나리오 작가 협회상 수상[26]
1962년「외쳐라!」 (아사히 방송)로 예술제상, 「소리의 물체시 챔피언」 (RKB 매일 방송)으로 민방제상 수상[26]
1963년소설 「모래의 여자」로 제14회 요미우리 문학상(소설상) 수상[138], 텔레비전 드라마 「벌레는 죽어라」 (홋카이도 방송)로 예술제 장려상 수상[26]
1964년영화 「모래의 여자」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26], 「목격자」 (RKB 매일 방송 킨테츠 금요 극장)로 예술제 장려상 수상[26]
1967년희곡 『친구』로 다니자키 준이치로 상 수상[18]
1968년모래의 여자」로 프랑스 최우수 외국 문학상 수상[26]
1972년희곡 「미필적 고의」로 예술선장 문부대신상 수상[26]
1975년희곡 「녹색 스타킹」으로 요미우리 문학상 수상[26], 5월 13일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명예 인문과학 박사 학위[26]
1977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16]
1986년간이 탈착형 타이어 체인 「체니지」로 「제10회 국제 발명가 엑스포 86」에서 동상 수상[26]
1992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서 정식으로 명예 회원[26]


5. 연극 활동

1953년 첫 희곡 작품 《소녀와 물고기》[44]를 발표한 이후, 아베 코보는 극작 활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희곡들은 퇴고와 개작을 거듭하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표되었다.[44] 1955년에는 희곡 《제복》[47]을 발표하고, 소설 《노예 사냥》[46]을 희곡화하여 극단 배우좌에서 상연하였다.[48] 같은 해, 소설 《침입자》를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하고, 단편 소설 《막대기》를 발표, 희곡 《쾌속선》[49]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55년, 극단 배우좌에 의한 『노예 사냥』공연. 오른쪽에 있는 사람은 각하를 연기한 하마다 토라히코


1958년 희곡 《유령은 여기에 있다》를 극단 배우좌에서 상연하였고,[54] 1959년 소설 《사자》를 희곡 《인간과 똑같아》로 각색하였다. 같은 해, 뮤지컬 《귀여운 여자》[56]가 센다 요시야 연출, 마유즈미 토시로 음악, 페기 하야마 출연으로 상연되었고, 라디오 드라마 《병사 탈주》를 와다 벤 연출로 텔레비전 드라마화한 《일본의 일식》[57]이 NHK에서 방송되었다.

1973년 아베 코보는 자신의 극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창단하여 본격적인 연극 활동에 매진하였다. 츠츠미 세이지의 후원을 받으며 세이부 극장을 거점으로 활동하였다. 1979년 5월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이끌고 미국 순회공연을 떠나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뉴욕, 시카고, 덴버에서 《코끼리는 죽었다》를 공연하여 참신한 연극 기법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아베 코보의 주요 희곡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출판년도비고
노예 사냥1955년아오키 서점
유령은 여기에 있다1959년신초샤
친구1967년카와데 쇼보 신샤
에노모토 다케아키1967년카와데 쇼보 신샤
막대기가 된 남자1969년신초샤
미필적 고의1971년신초샤
사랑의 안경은 색유리1973년신초샤
녹색 스타킹1974년신초샤
웨이 새로운 노예 사냥1975년신초샤


6. 미디어 및 기타 활동

아베 코보는 극작, 연극 연출, 영화 각본 등 다양한 미디어 활동을 펼쳤다.

1950년대부터 희곡 집필을 시작하여, 『소녀와 물고기』, 『제복』, 『노예 사냥』, 『유령은 여기에 있다』 등 다수의 희곡을 발표했다. 특히 『유령은 여기에 있다』는 극단 배우좌에 의해 상연되어 호평을 받았다.[58] 1960년에는 안보 투쟁을 테마로 한 희곡 『돌이 말하는 날』을 중국에서 시연하기도 했다.[60]

자신의 소설을 직접 각색하여 영화화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대표적으로 『모래의 여자』, 『타인의 얼굴』, 『불타버린 지도』는 테시가하라 히로시 감독과 협력하여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이들 작품은 모두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함정』은 텔레비전 드라마 『연옥』을 영화화한 작품이다.[175]

1973년에는 극단 '아베 코보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배우 양성과 연극 연출에도 힘썼다.[64] 세이부 극장을 거점으로 활동하며, 『코끼리는 죽었다』 등의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1984년에는 워드 프로세서로 집필한 첫 소설 『방주 사쿠라 마루』를 발표하며, 새로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94]

이외에도 라디오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 신시사이저를 활용한 효과음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예술적 재능을 발휘했다. 특히, 핑크 플로이드의 팬이자 일본 최초의 신시사이저 사용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122]

작품명(공개 연월)
소설라디오 드라마텔레비전 드라마희곡영화
사업 (1950년 10월)[139]대사업 (1961년 3월)[140]
붉은 누에고치 (1950년 12월)[141]붉은 누에고치 (1960년 10월)[142]붉은 누에고치 (1960년 12월)
마법의 초크 (1950년 12월)[143]마법의 초크 (1958년 5월)[144]
S・칼마 씨의 범죄 (1951년 2월)[145]S・칼마 씨의 범죄 (1978년 10월)[146]
공중 누각 (1951년 10월)[147]공중의 탑 (1961년 11월)[148]
침입자 (1951년 11월)[149]침입자 (1955년 7월)침입자 (1963년 2월)[150]친구 (1967년 3월[151], 1974년 5월 개정[152])
수중 도시 (1952년 6월)[153]수중 도시 (1977년 11월)
노예 사냥 (1954년 12월[154], 1955년 3월 미완)노예 사냥 (1975년 5월[155], 1967년 11월 개정[156]), 웨이 신 노예 사냥 (1975년 5월)[157]
맹장 (1955년 4월)[158]맹장 (1960년)양장 인류 (1962년 11월)녹색 스타킹 (1974년 10월)[159]
막대기 (1955년 7월)[160]막대기가 된 남자 (1957년 11월)[161]막대기가 된 남자 (1969년 11월)[162]
유혹자 (1957년 6월)[163]유리의 덫 (1964년 3월)[164]
꿈의 병사 (1957년 6월)[165]병사 탈주 (1958년 7월)[165]일본의 일식 (1959년 10월)[165]거인 전설 (1960년 3월)[165]
납의 알 (1957년 11월)[166]납의 알 (1957년 12월)[167]
거지의 노래 (1958년 2월)[168]걸인의 노래 (1957년 11월)[169]
제4간빙기 (1958년 7월 ~ 1959년 3월)[170]제4간빙기 (1965년 9월, 집필했으나 제작되지 않음)[172]
사자 (1958년 10월), 인간과 똑같음 (1966년 9~11월)인간과 똑같음 (1959년 3월)[173]
연옥 (1960년 10월)[174]구덩이 (1962년 7월)[175]
무관계한 죽음 (1961년 4월)[176]너에게도 죄가 있다 (1965년 1월[177], 1984년 6월 개정[178])
인명 구조법 (1961년 7월)[179]인명 구조법 (1978년 4월)[180]
모래의 여자 (1962년 6월)[181]모래의 여자 (1963년 3~4월)[182]모래의 여자 (1964년 2월)
시간의 절벽 (1964년 3월)[183]챔피언 (1963년 2월)시간의 절벽 (1969년 11월)[184]시간의 절벽 (1971년 7월)[185]
에노모토 다케아키 (1964년 1월 ~ 1965년 3월)[186]에노모토 다케아키 (1967년 9월)[187]
타인의 얼굴 (1964년 9월)[188]타인의 얼굴 (1966년 7월)
불타버린 지도 (1967년 9월)[189]불타버린 지도 (1968년 6월)[190]
남자들 (1968년 11월)[191]가방 (1969년 11월)[192]


참조

[1] encyclopedia Abe Kobo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 서적 The Columbia guide to modern Japanese history http://archive.org/d[...]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3] 서적 Sublime voices : the fictional science and scientific fiction of Abe Kōbō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9
[4] 웹사이트 "New York Times" https://web.archive.[...]
[5] 서적 Abe Kobo: an Exploration of his Prose, Drama, and Theatre EPAP
[6] 뉴스 Kobo Abe, 68, the Skeptical Poet Of an Uprooted Society, Is Dea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
[7]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1993–1996, vol. 11 https://archive.org/[...] Marquis Who's Who
[8] 서적 Fake Fish: The Theater of Kobo Abe https://archive.org/[...] Weatherhill
[9] 웹사이트 HORAGAI: Abe Kobo http://www.horagai.c[...] 2022-04-12
[10] 서적 Abe Kōbō, Literary Strategist: The Evolution of His Agenda and Rhetoric in the Context of Postwar Japanese Avant-garde and Communist Artists' Movements https://books.google[...] Iudicium
[11]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www.worldcat[...]
[12]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www.worldcat[...]
[13]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www.worldcat[...]
[14] 서적 Living Carelessly in Tokyo and Elsewhere: A Memoir Simon and Schuster
[15] 서적 A Collector's Guide to Books on Japan in English: A Select List of Over 2500 Titl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1
[1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3-18
[17] 서적 The Bedford Anthology of World Literature: The Twentieth Century, 1900-The Present https://archive.org/[...] Bedford/St. Martin's
[18] 뉴스 Nobel in Literature Goes to Kenzaburo Oe of Japan https://www.nytimes.[...] 1994-10-14
[19] 뉴스 Japanese Writer Oe Wins Nobel https://www.washingt[...] 1994-10-14
[20] 간행물 Hand https://www.jstor.or[...] 1996
[21]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world drama: an international reference work in 5 vol, Volume 1 https://books.google[...] VNR AG
[22] 뉴스 The Dark Side of the Cherry Blossoms https://www.washingt[...] 2022-10-15
[23] 문서 上田正昭、津田秀夫、永原慶二、藤井松一、藤原彰、『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株式会社三省堂、2009年 45頁。
[24] 문서 戸籍に振り仮名が存在しないため、後年は筆名をほとんど本名のように扱っていた。『群像』[[2009年]]9月号の[[加藤弘一]]によれば、本人のパスポートには〈KOBO〉と表記してあったという。
[25] 웹사이트 ノーベル文学賞に非常に近かった安部公房 {{!}} 「文藝春秋」写真資料部 {{!}} 文春写真館 https://books.bunshu[...] 2023-05-26
[26] 웹사이트 ノーベル文学賞に非常に近かった安部公房 {{!}} 「文藝春秋」写真資料部 {{!}} 文春写真館 https://books.bunshu[...] 2023-05-26
[27] 뉴스 安部作品 国際評価裏付け ノーベル委員長インタビュー 2012-03-23
[28] 문서 安部浅吉の両親は[[香川県]]出身、[[安部ヨリミ|井村よりみ]]の両親は[[徳島県]]出身であった。
[29] 뉴스 父母が出身、近文第一小に在籍…「安部公房と東鷹栖」PR 没後20年 文学愛好家ら 14日に講演会 記念碑建立へ募金 北海道新聞社 2013-09-07
[30] 문서 2012年に講談社文芸文庫から復刻。
[31] 문서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p.14
[32] 문서 『安部公房全集 <001>』p.11-16
[33] 문서 安部ねり『安部公房伝』p.45
[34] 문서 初出:『新潮日本文学46 安部公房集』月報 (新潮社、1970年) / 再録:『安部公房全作品 15』(同、1973年)、『安部公房全集 <023>』p.24-26
[35] 웹사이트 紀伊国屋 書評空間 Booklog "阿部公彦"2011年4月18日のブログ http://booklog.kinok[...]
[36] 서적 安部公房伝
[37] 문서 全集後半に何度か本人の弁がある
[38] 서적 小説を読みながら考えた
[39] 뉴스 顔に表れる歴史・伝統・文化 朝日新聞 2008-05-20
[40] 문서 錨なき方舟の時代
[41] 서적 安部公房伝
[42] 서적 安部公房レトリック事典
[43] 간행물 '「壁」を推す' 文藝春秋 1951-10
[44] 문서
[45] 웹사이트 安部ねりさんと語る http://www.horagai.c[...]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라디오
[51] 문서 安部公房全集 <007> 巻末作品ノート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서적
[65] 서적
[66] 문서
[67] 문서 われながら変な小説
[68] 문서
[69] 문서 安部公房全集 <029> 巻末作品ノート
[70] 웹사이트 『安部公房とわたし』 (山口果林 著) {{!}} 著者は語る http://gekkan.bunshu[...] 2013-10-08
[71] 문서
[72] 웹사이트 安部公房の未発表作発見 題名「天使」22歳で執筆か https://www.nikkei.c[...] 2012-11-07
[73] 서적 新潮第百九巻第十二号 新潮社 2012-12-07
[74] 뉴스 「新潮」12月号、6年ぶり増刷 安部公房の未発表作が好評 中日新聞社 2012-11-16
[75] 기타 ノーベル文学賞候補といわれた作家・安部公房の封印されてきた過去 https://ddnavi.com/n[...] ダ・ヴィンチ 2013-08-27
[76] 웹사이트 【書評】『安部公房とわたし』山口果林著 人生賭けた悲運の不倫劇 https://www.sankei.c[...] 2013-09-22
[77] 뉴스 安部公房、隠し通した「がん闘病」 山口果林さん、手記で語る 2013-07-25
[78] 뉴스 安部公房記念碑 近文第一小に建立 2〜3年時通学が縁 2014-10-21
[79] 뉴스 作家・安部公房氏の長女、安部ねりさん死去 64歳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8-08-20
[80] 웹사이트 死後、フロッピーディスクから見つかった安部公房の遺作『飛ぶ男』が2月28日に発売。 https://prtimes.jp/m[...] PR TIMES 2024-12-26
[81] 웹사이트 世界的な作家・安部公房が待望の電子書籍化。3月7日(木)より配信開始! https://prtimes.jp/m[...] PR TIMES 2024-12-26
[82] 웹사이트 幻の短編「天使」を含む、安部公房の初期作品をまとめた『(霊媒の話)題未定 安部公房初期短編集』が3月28日に発売。 https://prtimes.jp/m[...] PR TIMES 2024-12-26
[83] 웹사이트 世界的作家・安部公房が撮影した本格写真集が、本日発売!生誕100年を迎えた希代の表現者の全貌がついに明らかになる――。 https://prtimes.jp/m[...] PR TIMES 2024-12-26
[84] 웹사이트 世界的作家・安部公房の思索の数々が詰まった『死に急ぐ鯨たち・もぐら日記』(新潮文庫)が8月28日(水)に発売 https://prtimes.jp/m[...] PR TIMES 2024-12-26
[85] 웹사이트 仙川安部公房生誕100年祭 https://www.sengawa-[...] 2024-12-26
[86] 웹사이트 特別展「安部公房展――21世紀文学の基軸」 https://www.kanabun.[...] 神奈川近代文学館 2024-12-26
[87] 뉴스 安部公房の多才ぶり紹介 県立神奈川近代文学館で特別展 初公開、芥川賞の直筆原稿も /神奈川 https://mainichi.jp/[...] 2024-11-27
[88] 뉴스 安部公房展 多彩な創作をたどる https://www.kanaloco[...] 2024-11-18
[89] 뉴스 神奈川近代文学館「安部公房展」<上> https://www.kanaloco[...] 2024-11-08
[90] 서적 安部公房写真集
[91] 서적 安部公房写真集
[92] 문서
[93] 서적 安部公房伝
[94] 문서
[95] 웹사이트 文字とともに歩む――伊藤英俊氏に聞く http://www.horagai.c[...] 加藤弘一 2003-04-15
[96] 뉴스 ワープロで書く安部さん 1983-04-22
[97] 간행물 10人の作家が語る-「私のワープロ・パソコン」 朝日新聞出版 1991-01-15
[98] 간행물 ワープロで書かれた安部公房『方舟さくら丸』に選ばれた乗船者 新潮社 1984-12-06
[99] 서적 小説を読みながら考えた
[100] 문서
[101] 문서
[102] 서적 星新一 1001話をつくった人
[103] 서적 大江健三郎 作家自身を語る
[104] 문서
[105] 문서
[106] 서적 叙情と闘争
[107] 서적 時間の園丁
[108] 간행물 その説得力-司馬遼太郎「南蛮のみち」(安部による同賞の選評) 新潮 1984-08
[109] 서적 思い出の作家たち
[109] 서적 思い出の作家たち
[110] 간행물 境界を越えた世界 トーハン 1992-02
[110] 서적 こころの声を聴く - 河合隼雄対話集
[110] 서적 安部公房全集
[111] 간행물 迷路を縫って 新潮 1992-01
[111] 서적 安部公房全集
[112] 서적 安部公房全集
[112] 서적 安部公房伝
[113] 서적 安部公房とわたし
[114]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
[115] 간행물 負けるが勝ち カフカの生家を訪ねて 中央公論社
[115] 간행물 美しい石の都プラハ 世界文化社
[115] 서적 安部公房全集
[116] 서적 安部公房全集
[117] 간행물 地球儀に住むガルシア=マルケス
[117] 서적 死に急ぐ鯨たち
[117] 서적 安部公房全集
[118] 간행물 地球儀に住むガルシア=マルケス
[118] 서적 死に急ぐ鯨たち
[118] 서적 安部公房全集
[119] 서적 ダ・ヴィンチ解体全書vol.2 - 人気作家の人生と作品
[120]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
[121] 서적 安部公房全集
[122] 문서
[123]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
[124] 서적 安部公房伝
[125] 서적 安部公房とわたし
[126] 서적 反劇的人間
[127] 서적 友達・棒になった男 1987
[127] 서적 緑色のストッキング・未必の故意 1989
[128] 서적 安部公房全集
[129] 서적 死に急ぐ鯨たち
[130] 서적 新潮日本文学アルバム51 安部公房
[130] 서적 安部公房伝
[131] 간행물 安部公房スタジオ会員通信8
[131] 서적 安部公房全集
[132] 서적 安部公房全集
[133] 서적 時間の園丁
[134] 간행물 若い読者のための短編小説案内 第4回 小島信夫「馬」 文藝春秋 1996-04
[134] 서적 若い読者のための短編小説案内
[135] 서적 安部公房全集
[135] 서적 安部公房伝
[136] 서적 安部公房全集
[136] 서적 安部公房伝
[137] 서적 大江健三郎 作家自身を語る
[138] 서적 安部公房評伝年譜 新泉社 2002-07-15
[139] 서적 安部公房全集2巻 新潮社 2009
[140] 서적 安部公房全集15巻 新潮社 2009
[141] 서적 安部公房全集2巻 新潮社 2009-01-01
[142] 서적 安部公房全集12巻 新潮社 2009-01-01
[143] 서적 安部公房全集2巻 新潮社 2009-01-01
[144] 서적 安部公房全集8巻 新潮社 2009-01-01
[145] 서적 安部公房全集2巻 新潮社 2009-01-01
[146] 서적 安部公房全集26巻 新潮社 2009-01-01
[147] 서적 安部公房全集3巻 新潮社 2009-01-01
[148] 서적 安部公房全集15巻 新潮社 2009-01-01
[149] 서적 安部公房全集3巻 新潮社 2009-01-01
[150] 서적 安部公房全集17巻 新潮社 2009-01-01
[151] 서적 安部公房全集20巻 新潮社 2009-01-01
[152] 서적 安部公房全集25巻 新潮社 2009-01-01
[153] 서적 安部公房全集3巻 新潮社 2009-01-01
[154] 서적 安部公房全集4巻 新潮社 2009-01-01
[155] 서적 安部公房全集5巻 新潮社 2009-01-01
[156] 서적 安部公房全集21巻 新潮社 2009-01-01
[157] 서적 安部公房全集25巻 新潮社 2009-01-01
[158] 서적 安部公房全集5巻 新潮社 2009-01-01
[159] 서적 安部公房全集25巻 新潮社 2009-01-01
[160] 서적 安部公房全集5巻 新潮社 2009-01-01
[161] 서적 安部公房全集7巻 新潮社 2009-01-01
[162] 서적 安部公房全集22巻 新潮社 2009-01-01
[163] 서적 安部公房全集7巻 新潮社 2009-01-01
[164] 서적 安部公房全集18巻 新潮社 2009-01-01
[165] 서적 現代思想vol.52-15 11月臨時増刊号 青土社 2024-01-01
[166] 서적 安部公房全集7巻 新潮社 2009-01-01
[167] 서적 安部公房全集8巻 新潮社 2009-01-01
[168] 서적 安部公房全集8巻 新潮社 2009-01-01
[169] 서적 安部公房全集16巻 新潮社 2009-01-01
[170] 서적 安部公房全集9巻 新潮社 2009-01-01
[171] 서적 安部公房全集19巻 新潮社 2009-01-01
[172] 문서 神奈川近代文学館展示品解説(2024年11月3日時点)
[173] 서적 安部公房全集9巻 新潮社 2009-01-01
[174] 서적 安部公房全集12巻 新潮社 2009-01-01
[175] 서적 安部公房全集15巻 新潮社 2009-01-01
[176] 서적 安部公房全集15巻 新潮社 2009-01-01
[177] 서적 安部公房全集19巻 新潮社 2009-01-01
[178] 서적 安部公房全集27巻 新潮社 2009-01-01
[179] 서적 安部公房全集15巻 新潮社 2009-01-01
[180] 서적 安部公房全集26巻 新潮社 2009-01-01
[181] 서적 安部公房全集16巻 新潮社 2009-01-01
[182] 서적 安部公房全集17巻 新潮社 2009-01-01
[183] 서적 安部公房全集18巻 新潮社 2009-01-01
[184] 서적 安部公房全集22巻 新潮社 2009-01-01
[185] 서적 安部公房全集23巻 新潮社 2009-01-01
[186] 서적 安部公房全集18巻 新潮社 2009-01-01
[187] 서적 安部公房全集21巻 新潮社 2009-01-01
[188] 서적 安部公房全集18巻 新潮社 2009-01-01
[189] 서적 安部公房全集21巻 新潮社 2009-01-01
[190] 서적 安部公房全集22巻 新潮社 2009-01-01
[191] 서적 安部公房全集22巻 新潮社 2009-01-01
[192] 서적 安部公房全集22巻 新潮社 2009-01-01
[193] 문서 収録作品:『砂の女』 『他人の顔』 『燃えつきた地図』 『友達 (戯曲)』 『デンドロカカリヤ』 『棒』 『水中都市』 『時の崖』 / エッセイ『一寸先は闇』 (月報収録)
[194] 문서 資料編の最終30巻目のみ、刊行が大幅に遅れた。
[195] Movie 友達 mv142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