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돈 파미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돈 파미치는 이탈리아의 경보 선수이다. 1964년 도쿄 올림픽 5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8년, 1962년, 196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1958년에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1961년 IAAF 월드컵 경보 5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1965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6년부터 1972년까지 5번의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 개회식에서 이탈리아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그는 이탈리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40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계 이탈리아인 -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는 18세기 다방면에서 활동한 학자로, 천문학, 물리학, 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원자론과 힘 이론을 제시하여 현대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고, 예수회, 로마 대학교, 외교관, 파비아 대학교, 브레라 천문대 등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사상은 니체의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 - 크로아티아계 이탈리아인 - 디에고 시나그라
디에고 시나그라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아들로, 이탈리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활동하며, 선수 시절에는 여러 클럽에서, 감독으로는 나폴리 유나이티드 등을 거쳐 현재는 UD 이바라를 맡고 있다. - 이탈리아의 남자 경보 선수 - 미켈레 디도니
미켈레 디도니는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km 경보 우승, 올림픽 2회 출전, 이탈리아 선수권 6회 우승 등 뛰어난 경력을 가진 이탈리아 경보 선수이며 은퇴 후에는 알렉스 슈바처의 코치를 맡았다. - 이탈리아의 남자 경보 선수 - 알렉스 슈바처
이탈리아의 경보 선수 알렉스 슈바처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5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도핑 논란으로 선수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은퇴 후 미디어 활동을 했다. - 리예카 출신 - 다리오 크네제비치
다리오 크네제비치는 은퇴한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였으며, NK 리예카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유벤투스 등에서 활약했고,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에서 13경기에 출전하여 UEFA 유로 2008에 참가했다. - 리예카 출신 - 이비차 이부시치
이비차 이부시치는 파포스 FC의 골키퍼이며, 크로아티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2022년 FIFA 월드컵 3위, UEFA 네이션스 리그 준우승에 기여했고, FIFA 월드 시리즈 ACUD컵 2024에서 우승과 함께 대회 최고의 골키퍼로 선정되었다.
아브돈 파미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이탈리아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경보 |
출생일 | 1933년 10월 3일 |
출생지 | 크로아티아 프리모례고르스키코타르 주 리예카 |
거주지 | 제노바, 이탈리아 |
신장 | 1.84m |
체중 | 72kg |
클럽 | |
개인 최고 기록 | |
20km 경보 | 1시간 28분 06초 (1964년) |
50km 경보 | 4시간 03분 02초 (1960년) |
메달 기록 | |
올림픽 | 1964년 도쿄: 금메달 (50km 경보) 1960년 로마: 동메달 (50km 경보)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1962년 베오그라드: 금메달 (50km 경보) 1966년 부다페스트: 금메달 (50km 경보) 1958년 스톡홀름: 은메달 (50km 경보) |
지중해 게임 | 1955년 바르셀로나: 금메달 (50km) 1963년 나폴리: 금메달 (50km) 1971년 이즈미르: 금메달 (50km) |
IAAF 세계 경보 컵 | 1961년 루가노: 금메달 (50km) 1965년 페스카라: 동메달 (50km) |
2. 생애
아브돈 파미치는 1933년 10월 3일 당시 이탈리아령이었던 피우메(리예카, 현재의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났다.[2] 1947년 9월 24일, 그는 형과 함께 리예카를 떠나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먼저 이민을 간 아버지와 합류했다.[3]
아브돈 파미치는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경까지 세계적인 경보 선수로 활약하였다.[3] 1960년 10월 16일 폰테 산 피에트로에서 4시간 3분 2초의 50km 경보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3] 그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부터 1972년 뮌헨 올림픽까지 5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하였다.[3]
파미치는 1964년 도쿄 올림픽 50km 경보에서 4시간 11분 12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4시간 27분 55초의 기록으로 50km 경보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km 경보에서 은메달, 196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6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km 경보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1년 IAAF 월드컵 경보 50km 경보 금메달, 1965년 IAAF 월드컵 경보에서는 50km 경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3]
1972년 뮌헨 올림픽 개회식에서 이탈리아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3]
2. 1. 출생과 초기 이력
아브돈 파미치는 1933년 10월 3일 당시 이탈리아령이었던 피우메(리예카, 현재의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났다.[2] 1947년 9월 24일, 그는 형과 함께 리예카를 떠나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먼저 이민을 간 아버지와 합류했다.[3]2. 2. 선수 경력
아브돈 파미치는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경까지 세계적인 경보 선수로 활약하였다.[3] 1960년 10월 16일 폰테 산 피에트로에서 4시간 3분 2초의 50km 경보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3] 그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부터 1972년 뮌헨 올림픽까지 5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하였다.[3]파미치는 1964년 도쿄 올림픽 50km 경보에서 4시간 11분 12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4시간 27분 55초의 기록으로 50km 경보 동메달을 획득했다. 195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km 경보에서 은메달, 196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6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50km 경보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1961년 IAAF 월드컵 경보 50km 경보 금메달, 1965년 IAAF 월드컵 경보에서는 50km 경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3]
1972년 뮌헨 올림픽 개회식에서 이탈리아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3]
3. 국내 선수권
아브돈 파미치는 1956년, 1958년부터 1969년까지 10km 경보에서 13회, 1958년부터 1969년, 그리고 1971년에 20km 경보에서 13회, 1955년부터 1969년까지 50km 경보에서 14회 우승하는 등 총 40회의 이탈리아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 기록을 세웠다.[5]
4.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아브돈 파미치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 20km 경보에서 1시간 36분 03초로 11위,[3] 50km 경보에서 4시간 39분 00초로 4위를 기록했다.[3] 1960년 로마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4시간 27분 55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3] 1964년 도쿄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4시간 11분 12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3] 하지만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1972년 뮌헨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완주하지 못했다.[3]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시간 |
---|---|---|---|---|---|
1958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톡홀름/Stockholmsv (스웨덴) | 2위 | 50km 경보 | 4시간 18분 00초 |
1961 | IAAF 월드컵 경보 | 루가노/Luganode (스위스) | 1위 | 50km 경보 | 4시간 25분 38초 |
1962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베오그라드/Beogradsh (유고슬라비아) | 1위 | 50km 경보 | 4시간 19분 47초 |
1965 | IAAF 월드컵 경보 | 페스카라/Pescarait (이탈리아) | 3위 | 50km 경보 | 4시간 06분 41초 |
196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Budapesthu (헝가리) | 1위 | 50km 경보 | 4시간 18분 42초 |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시간 | 비고 |
---|---|---|---|---|---|---|
1956 | 올림픽 | 멜버른 | 11위 | 20 km | 1:36:03 | |
1956 | 올림픽 | 멜버른 | 4위 | 50 km | 4:39:00 | |
1960 | 올림픽 | 로마 | 3위 | 50 km | 4:27:55 | |
1964 | 올림픽 | 도쿄 | 1위 | 50 km | 4:11:12 | |
1968 | 올림픽 | 멕시코시티 | DNF | 50 km | DSQ | |
1972 | 올림픽 | 뮌헨 | DNF | 50 km | DSQ |
1961년과 1966년 유럽 챔피언, 1958년, 1963년, 1971년 지중해 게임 금메달리스트였다.[3]
4. 1. 올림픽
아브돈 파미치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 20km 경보에서 1시간 36분 03초로 11위, 50km 경보에서 4시간 39분 00초로 4위를 기록했다.[3] 1960년 로마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4시간 27분 55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3]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50km 경보에서 4시간 11분 12초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3] 이후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1972년 뮌헨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완주하지 못했다.[3]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시간 | 비고 |
---|---|---|---|---|---|---|
1956 | 올림픽 | 멜버른 | 11위 | 20 km | 1:36:03 | |
1956 | 올림픽 | 멜버른 | 4위 | 50 km | 4:39:00 | |
1960 | 올림픽 | 로마 | 3위 | 50 km | 4:27:55 | |
1964 | 올림픽 | 도쿄 | 1위 | 50 km | 4:11:12 | |
1968 | 올림픽 | 멕시코시티 | 50 km | DSQ | ||
1972 | 올림픽 | 뮌헨 | 50 km | DSQ |
4. 2. 기타 국제 대회
아브돈 파미치는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 20km 경보에서 11위,[3] 50km 경보에서 4위를 기록했다.[3] 1960년 로마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4시간 27분 55초의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3] 1964년 도쿄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4시간 11분 12초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3] 하지만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1972년 뮌헨 올림픽 50km 경보에서는 완주하지 못했다.[3]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종목 | 시간 | 비고 |
---|---|---|---|---|---|---|
1958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톡홀름/Stockholmsv (스웨덴) | 2위 | 50km 경보 | 4시간 18분 00초 | |
1961 | IAAF 월드컵 경보 | 루가노/Luganode (스위스) | 1위 | 50km 경보 | 4시간 25분 38초 | |
1962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베오그라드/Beogradsh (유고슬라비아) | 1위 | 50km 경보 | 4시간 19분 47초 | |
1965 | IAAF 월드컵 경보 | 페스카라/Pescarait (이탈리아) | 3위 | 50km 경보 | 4시간 06분 41초 | |
1966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Budapesthu (헝가리) | 1위 | 50km 경보 | 4시간 18분 42초 |
1961년과 1966년 유럽 챔피언, 1958년, 1963년, 1971년 지중해 게임 금메달리스트였다.[3]
참조
[1]
Sports-Reference
Abdon Pamich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Cerchi Azzurri: Abdon Pamich, la scheda
http://olimpiadi.blo[...]
olimpiadi.blogosfere.it
2012-05-12
[3]
웹사이트
Mulac s Brajde koji je pobjegao iz Rijeke 1947. Postao sportska legenda
http://www.novilist.[...]
2017-12-12
[4]
웹사이트
Abdon Pamich
http://www.fidal.it/[...]
[5]
웹사이트
'"CAMPIONATI "ASSOLUTI" ITALIANI SUL PODIO TRICOLORE – 1906 2012'
https://web.archive.[...]
sportolimpico.it
2013-02-09
[6]
문서
当時はイタリアが領有し、「フィウーメ」(Fiume)と呼ばれてい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