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카니오 스포르차는 1455년 이탈리아의 크레모나에서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484년 추기경이 되었으며, 1492년 콘클라베에서 로드리고 보르자와 제휴하여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선출에 기여하고 교황청 부상서원장에 임명되었다. 1494년 프랑스의 이탈리아 침공 이후 정치적 입지가 흔들렸고, 1500년에는 프랑스에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 이후 교황 선거에서 연이어 실패하며 영향력을 상실했고, 1505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레모나 출신 - 잔루카 비알리
    잔루카 비알리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크레모네세,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첼시에서 공격수로 활약하며 여러 클럽에서 우승을 경험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 감독과 해설가로 활동하다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 크레모나 출신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후기와 바로크 초기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오페라의 선구자로, 만토바 궁정 활동과 오페라 《오르페오》 초연을 통해 극적인 음악극 장르를 개척하고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악장으로 교회 음악을 개혁하며 오페라 발전에 기여, 모노디 양식 발전과 불협화음 활용, 악기 편성 혁신 등으로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55년 출생 - 폐비 윤씨
    조선 성종의 왕비였던 폐비 윤씨는 질투심과 후궁을 해하려 했다는 의혹 등으로 폐위되어 사사되었으며, 그녀의 죽음은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어 조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55년 출생 - 김응기
    김응기는 조선 시대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예조판서와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갑자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재등용되어 요직을 거치고 1519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문대이다.
  • 1505년 사망 - 에르콜레 1세 데스테
    에르콜레 1세 데스테는 1471년 페라라 공작이 되어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 이탈리아 전쟁 등에 연루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예술을 후원하고 도시 개발에 힘쓴 인물이다.
  • 1505년 사망 - 프랑스의 잔
    프랑스의 잔은 프랑스의 공주이자 성녀로, 정치적 목적으로 루이 12세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사후 시성되었다.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함추기경
직책부제 추기경
아스카니오 마리아 스포르차
아스카니오 마리아 스포르차
교회Ss. 비토 에 모데스토
교구9개 교구 관리자
출생일1455년 3월 3일
출생지크레모나, 롬바르디아
사망일1505년 5월 28일
사망 장소로마, 교황령
매장지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 로마
국적밀라노
거주지로마
부모프란체스코 스포르차, 밀라노 공작;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
직업궁정인
정치인
직무성직자
교육프란체스코 필엘포에게 가정 교육을 받음
직위
서임추기경
서임일1484년 3월 17일
서임자교황 식스토 4세

2. 생애

아스카니오 스포르차는 1455년 롬바르디아 크레모나에서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의 아들로 태어났다.[2]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루도비코 스포르차는 그의 형제였다.[2] 프란체스코 필레포는 아스카니오에게 정치와 문학을 가르쳤다.[2] 그의 가문에서는 귀도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디 산타 피오라,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페데리코 스포르차와 같은 추기경들이 배출되었다.[2] 아스카니오는 10살 때 키아라발레 수도원의 관장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추기경 문장


1479년 9월, 아스카니오는 파비아 교구장으로 서품되어 평생 이 직책을 유지했다.[5] 1484년 3월 17일, 교황 식스토 4세는 그를 성 비토와 모데스토의 추기경 부제로 임명했다.[6] 추기경으로서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와 스포르차 가문 간의 화해를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1486년 3월에는 장 발뤼 추기경과 나폴리 왕국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격렬하게 대립하기도 했다.

1492년, 아스카니오는 로드리고 보르자가 교황으로 선출되도록 돕고, 그 대가로 교황청 부상서원장 직위를 받았다.[16] 그는 교황령의 행정 총괄자 역할을 수행하며, 1493년에는 자신의 조카 조반니 스포르차와 교황의 사생아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결혼을 주선하여 스포르차 가문과 교황 가문의 결속을 강화했다.

1494년 프랑스이탈리아를 침공하면서 아스카니오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대립하게 되었고, 교황 퇴위를 요구하기도 했다.[20] 1500년에는 프랑스에 포로로 잡혀 리옹에 구금되기도 했으나, 1502년 석방되었다.[21] 이후 1503년 두 차례의 교황 선거에 참여하여 교황이 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21]

1505년 5월 28일, 아스카니오는 로마에서 역병으로 사망했다.[22]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에 안장되었고, 교황 율리오 2세는 안드레아 산소비노에게 그의 무덤 제작을 명했다.[23] [24] [26]

2. 1. 초기 생애

아스카니오 스포르차는 1455년 롬바르디아 크레모나에서 밀라노 공작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의 아들로 태어났다.[2]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루도비코 스포르차는 그의 형제였다.[2] 프란체스코 필레포는 아스카니오에게 정치와 문학을 가르쳤다.[2]

그의 가문에서는 귀도 아스카니오 스포르차 디 산타 피오라, 알레산드로 스포르차,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페데리코 스포르차와 같은 추기경들이 배출되었다.[2]

아스카니오는 10살 때 키아라발레 수도원의 관장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2] 청년 시절, 기욤 데스투트빌은 1471년 교황 선거에서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의 지지를 얻고자 아스카니오에게 추기경 자리를 약속했다. 그러나 프란체스코 델라 로베레(교황 식스토 4세)가 교황으로 선출되면서 아스카니오의 추기경 서임은 지연되었다.

2. 2. 주교 및 추기경 시절



아스카니오 스포르차는 1479년 9월 파비아 교구장으로 서품되었으며, 이후 평생 교구장직을 유지하였다.[5] 1484년 3월 17일, 교황 식스토 4세는 아스카니오를 성 비토와 모데스토의 추기경 부제로 임명하였다.[6] 같은 해 8월 23일, 교황 식스토 4세가 선종한 지 며칠 후 아스카니오는 로마에 들어왔다.[6] 정식 서임식은 열리지 않았고, 일부 추기경들은 곧 있을 콘클라베에 그가 참여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였다. 그러나 로드리고 보르자 추기경의 개입으로 아스카니오는 완전한 추기경 자격을 인정받았다.[7] 이후 아스카니오는 교황 인노첸시오 8세로 선출된 조반니 치보에게 투표하였다.

추기경으로서 아스카니오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와 스포르차 가문 간의 화해를 중재하는 것이었다. 1486년 3월, 아스카니오는 장 발뤼 추기경과 대립하였다. 발뤼 추기경은 교황이 르네 드 앙주에게 나폴리 왕위에 대한 권리를 되찾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아스카니오와 격렬한 싸움을 벌였고, 교황만이 이 싸움을 중단시킬 수 있었다.

아스카니오는 1486년 7월 28일 크레모나 교구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12] 1487년에는 페사로 교구의 행정관을 겸임하여 1491년 5월까지 유지하였다. 또한 1484년 10월 25일부터 1485년 4월 18일까지, 그리고 1505년 5월 27일 사망하기 며칠 전인 1505년 5월에 다시 노바라 교구의 행정관 직책을 맡았다.[10][11]

1492년 5월, 아스카니오는 나폴리밀라노의 동맹을 체결하기 위해 트라스테베레에 있는 자신의 궁전에서 페란테의 손자인 카푸아의 페르디난도를 맞이하였다. 스테파노 인페수라에 따르면, 나폴리 왕자를 위해 열린 만찬은 매우 호사스러웠다고 한다.[13]

2. 3. 교황청 부상서원장

1492년 콘클라베에서 아스카니오는 교황이 될 수 없음을 알고, 로드리고 보르자와 협력하여 그에게 표를 던지기로 약속했다. 그 대가로 보르자는 아스카니오에게 교황청 부상서원장 직위,[16] 보르자 궁, 네피의 성, 연간 10000두캇 수입의 에게르 주교령, 두 개의 교회 참사회직, 보르자가 소유했던 칼라오라 교구의 수도원 원장직을 약속받았다.[17]

아스카니오의 설득으로 다른 추기경들을 포섭하여 보르자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 선출될 수 있었다. 알렉산데르 6세는 약속대로 아스카니오를 교황청 부상서원장에 임명하여, 사실상 교황령의 행정 총괄자 역할을 맡게 하였다.[16] 1492년 8월 31일에는 에게르 수도대주교좌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어 1497년 6월까지 유지하였다.[18][19]

1493년, 아스카니오는 스포르차 가문과 교황 가문의 결속을 강화하고자 자신의 조카이자 페사로 백작인 조반니 스포르차와 교황의 사생아인 루크레치아 보르자의 결혼을 주선하였다.

2. 4. 프랑스 침공과 몰락

1494년 프랑스이탈리아를 침공했을 때, 루도비코 스포르차는 비밀리에 프랑스의 샤를 8세와 동맹을 맺었다. 이로 인해 아스카니오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와 대립하게 되었다. 아스카니오는 몇몇 추기경과 함께 교황을 배신하고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추기경의 영향을 받아 교황의 퇴위를 요구하기도 했다.[20] 그러나 교황이 프랑스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아스카니오는 다시 교황청에 복귀했다. 하지만 예전처럼 교황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못했다.[20]

1500년 프랑스가 이탈리아를 다시 침공하면서 루도비코 스포르차가 체포되고 밀라노 공국이 몰락하자, 아스카니오 역시 프랑스에 포로로 잡혔다.[21] 1500년 6월 15일 아스카니오는 프랑스로 호송되어 리옹에 구금되었다가, 나중에 투르드부르주로 옮겨졌다. 1502년 1월 3일, 아스카니오는 프랑스 국왕의 허가 없이는 프랑스를 떠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고 석방되었다.[21]

이후 아스카니오는 1503년 9월 교황 선거에 참여하여 교황이 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교황 비오 3세가 즉위한 지 26일 만에 선종하면서, 아스카니오는 1503년 10월 교황 선거에 다시 참여하였으나 줄리아노 델라 로베레에게 패배하였다.[21]

2. 5. 죽음

아스카니오 스포르차는 1505년 5월 28일 로마에서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역병(pestis inguinariala)으로 추정된다.[22] 그는 그날 저녁 산타 마리아 델 포폴로 성당의 마조레 경당(카펠라 마조레)에 안장되었는데, 추기경과 의전장은 역병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다.[22] 교황 율리우스 2세는 그의 무덤을 만들도록 명했으며,[23] [24] 무덤에는 "아스카니오의 가장 존경할 만한 덕을 기억하고 과거의 논쟁을 잊었다"는 비문이 새겨졌다.[25] 무덤은 안드레아 산소비노가 제작했다.[26]

참조

[1] 간행물 SFORZA, Ascanio Maria https://www.treccani[...]
[2] 웹사이트 Sforza Family https://www.britanni[...] 2019-07-19
[3] 서적 A Renaissance Architecture of Power: Princely Palaces in the Italian Quattrocento https://books.google[...] Brill
[4] 뉴스 Sixtus IV https://www.britanni[...] Britannica, The Editors of Encyclopaedia
[5] 문서 Eubel, II, p. 212; III, p. 269 note 2.
[6]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sive Summorum pontificum, S.R.E. cardinalium, ecclesiarum antistitum series https://archive.org/[...] Monasterii
[7] 문서 Conradus Eubel, II, p. 47 no. 502.
[8] 문서 Della Rovere and Cardinal Jean de Balue were the leaders of the French party at the Court of Innocent VIII. Balue arrived in Rome on 8 February 1485, and presented his credentials as Ambassador on 11 February. Tensions between them and Cardinal Ascanio were so strong that, at a Consistory on 5 March 1486, that an altercation broke out which the Pope had to settle by silencing them both. Pastor, V, p. 260.
[9] 서적 Diarum sine rerum urbanarum commentarii: 1483–1506 https://books.google[...] Leroux
[10] 문서 Eubel, II, p. 205. Cardinal Ascanio negotiated a handsome annual pension from Novara of 800 florins.
[11] 문서 Eubel, II, p. 205 note 6 (stating that the See had become vacant in 1503 due to the resignation of Bishop Pallavicini; III, p. 260 with note 2.
[12] 서적 Series critico-chronologica episcoporum Cremonensium, sub auspiciis praestantissimi antistitis Homoboni Offredi ex authenticis monumentis aucta et emendata suaeque integritati maxima ex parte restituta, auctore Henrico Sanclementio https://books.google[...] apud Josephum Feraboli
[13] 문서 Stefano Infessura, Diario della città di Roma (ed. O. Tommasini) nuova edizione (Roma 1890), pp. 273–274.
[14] 문서 Pastor, p. 285.
[15] 문서 Pastor, p. 287.
[16] 문서 In the Conclave of 1484 Borgia had promised the Vice-Chancellorship to Cardinal Giovanni d'Aragona, the son of Ferrante I of Naples. Pastor, p. 236.
[17] 문서 Pastor, V, pp. 382–383, with note.
[18] 문서 Eubel, Hierarchia catholica, p. 83.
[19] Webarchive Papal Genealog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3-08-20
[20] 서적 Gallia Christiana, In Provincias Ecclesiasticas Distributa https://books.google[...] Ex Typographia Regia
[21] Webarchive Sede Vacante 1503, II http://www.csun.edu/[...]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2015-09-23
[22] 문서 Burchard, Diarium III, p. 390-391. The circumstances are reported both by Joannes Burchard and by Paris de Grassis.
[23] 웹사이트 Tomb of Cardinal Ascanio https://collections.[...] 2019-07-19
[24] Youtube photo of tomb of Cardinal Sforza https://web.archiv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5] 서적 Iscrizioni delle Chiese e d'Altri Edificii https://books.google[...] Tipografia delle scienze mathematiche e fisiche
[26] 서적 Viewing Renaissance Ar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Josquin Compan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