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산림협력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는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를 목표로 하는 국제기구이다. 2009년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기구 설립이 제안되었고, 2012년 한-아세안 산림 협력 체제가 출범했으며, 2018년 설립 협정이 발효되었다. AFoCO는 UN 총회 옵저버 지위 획득 및 OECD DAC 적격기구 인증을 받았으며, 현재 15개국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산림 벌채 및 황폐화 방지, 기후 변화 대응, 산림 분야 역량 강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국제 기구 -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경제 성장과 협력 촉진을 목표로 1989년 설립된 21개 회원국 간 정부 간 협의체로서, 역내 무역 및 투자 자유화, 경제 기술 협력을 추구하며 매년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1994년 보고르 선언을 통해 무역 자유화를 추진,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 아시아의 국제 기구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2012년 설립된 단체 - 안사루
안사루는 보코하람에서 분리된 알카에다 추종 이슬람 무장 조직으로, 외국인 납치와 공격을 감행하며 나이지리아 북부를 근거지로 활동한다. - 2012년 설립된 단체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 |
---|---|
개요 | |
명칭 | 아시아 산림 협력 기구 |
약칭 | AFoCO |
기구 유형 | 정부간 기구 |
조직 | |
회원국 | 15개 당사국 |
회원국 목록 |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몽골 미얀마 필리핀 대한민국 타지키스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
옵서버 | 1개국 |
옵서버 목록 | 말레이시아 |
회원 가입 년도 | 2024년 |
본부 | 대한민국 서울 |
공용어 | 영어 |
사무총장 | 박종호 |
연혁 | |
설립일 | 2018년 4월 27일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http://www.afocosec.org |
2. 연혁
- 2009년 대한민국 제주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이 제안되었다.[22]
- 2012년 8월 5일 아시아산림협력기구 한-아세안산림협력 체제가 출범하고,[23]
- 2013년 2월 5일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사무국이 개소하였다.[24]
- 2018년 4월 27일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설립 협정이 발효되었다.[21]
- 2018년 11월 13일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25]
- 2020년 12월 UN총회 옵서버 지위를 획득하였다.
- 2021년 4월 OECD DAC 적격기구 인증을 받았다.
- 2021년 7월 대한민국 정부와 아시아산림협력기구 간의 본부협정이 발효되었다.
2. 1. 설립 배경
대한민국은 2009년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열린 ASEAN–대한민국 특별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을 제안했으며, 이는 모든 ASEAN 정상들의 환영을 받았다.[22]2. 2. 아세안-한국 산림 협력 (AFoCO 설립 이전)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의 초기 단계로서, 아세안 회원국 정부와 대한민국 정부 간의 산림 협력에 관한 협정은 2011년 11월 18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14차 ASEAN-ROK 정상 회담에서 서명되었으며[1][2][3][4][5][6][7][8], 2012년 8월 5일에 발효되었다.
2. 3. AFoCO 설립 과정
2009년 제주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이 제안되었다.[22] 2012년 8월 5일 아시아산림협력기구 한-아세안산림협력 체제가 출범하고,[23] 2013년 2월 5일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사무국이 개소하였다.[24]이후 다자간 플랫폼 하에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설립을 위한 새로운 대화가 부탄, 카자흐스탄, 몽골, 동티모르에 대한 초청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플랫폼은 해안 섬에서 빙하 산, 중앙 아시아 사막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지리적 다양성을 포괄했다.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설립 협정(이하 협정)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아세안 회원국, 대한민국, 그리고 잠재적 회원국 간의 6차례에 걸친 연속적인 대화를 통해 협상되었다. 협정은 2015년 9월 22일에 채택되었으며, 2018년 4월 27일에 발효되었다.[9] 2018년 11월 13일 창립총회가 개최되었다.[25]
2. 4. 설립 이후
2020년 12월 UN총회 옵서버 지위를 획득하였다. 2021년 4월에는 OECD DAC 적격기구 인증을 받았다. 2021년 7월 대한민국 정부와 아시아산림협력기구 간의 본부협정이 발효되었다.3. 목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의 맥락에서 입증된 기술과 정책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전환하여 산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
4. 회원국
2024년 10월 현재, 15개 국가가 각 문서 기탁을 완료하여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의 공식 당사국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가나다순으로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몽골, 미얀마, 필리핀, 대한민국, 타지키스탄,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이다. 말레이시아는 옵저버로 참여하고 있다.
5. 조직
총회는 각 당사국의 산림 분야 고위 관계자로 구성되며, 아시아산림협력기구의 의사 결정 기구이다.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사무국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활동의 이행, 조정, 모니터링 및 보고를 총회에서 지원한다. 사무국은 총회에서 위임한 대로 기구의 활동과 일상 운영을 관리하고 조정한다. 사무국은 집행이사가 이끌며, 집행이사는 총회가 임명하는 기구의 최고 행정 책임자이다.
No. | 이름 | 출신 국가 | 취임 - 퇴임 |
---|---|---|---|
0 | 하디 파사리부 | 인도네시아 | 2013년 1월 - 2016년 8월 |
1 | 첸초 노르부[11][12] | 부탄 |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
2 | 리카르도 L. 칼데론[13] | 필리핀 | 2021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
3 | 박종호[14] | 대한민국 | 2023년 1월 1일 (현직) |
5. 1. 총회
총회는 각 당사국의 산림 분야 고위 관계자로 구성되며, 아시아산림협력기구의 의사 결정 기구이다.5. 2. 사무국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사무국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활동의 이행, 조정, 모니터링 및 보고를 총회에서 지원한다. 사무국은 총회에서 위임한 대로 기구의 활동과 일상 운영을 관리하고 조정한다. 사무국은 집행이사가 이끌며, 집행이사는 총회가 임명하는 기구의 최고 행정 책임자이다.No. | 이름 | 출신 국가 | 취임 - 퇴임 |
---|---|---|---|
0 | 하디 파사리부 | 인도네시아 | 2013년 1월 - 2016년 8월 |
1 | 첸초 노르부[11][12] | 부탄 |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
2 | 리카르도 L. 칼데론[13] | 필리핀 | 2021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
3 | 박종호[14] | 대한민국 | 2023년 1월 1일 (현직) |
5. 3. 역대 집행 이사
6. 사업
6. 1. 협력 분야
AFoCO는 협정에 명시된 바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실질적인 사업을 장려하고 수행한다.-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증진
- 산림 벌채 및 산림 황폐화 방지
- 기후 변화 대응 및 생태 경제 측면에서의 산림 탄소 저장량 증진 및 관련 사업 지원
- 산림 분야의 역량 강화 및 연구 개발
6. 2. 주요 사업 내용
6. 2. 1. 지역협력사업
지역협력사업은 지역산림협력의 모델을 제시하고 아세안의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의 역량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26]- 시범사업, 전문기술공유, 능력배양을 통한 산림생태계 복원
- 산림자원평가 및 기후변화 대응 지역주민 참여 강화 사업
- 종자수급개선 모델림조성사업
-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지역주민 참여형 산림관리
- 지역주민 소득증진을 위한 고부가가치 수종 개발
- 훼손 산림생태계의 멸종위기 식물종 증식 보전
- 지속가능한 자연자원경영을 위한 경관복원접근 역량 강화
- 북부 산간지역 황폐지 조림을 위한 수종개선사업
- 소규모 사유림 등록 사업
- 산림복원을 위한 혼농임업 모델 개발
- 지속가능한 지역 기반 공동체 기업 조성사업
- 산림관리 지역 내 공동체를 통한 목재생산의 수직적 통합촉진사업
- 티크 조림지의 병해충 관리 및 산사태 방지 사업
- 마을기업과 산림보전을 통한 산촌주민 소득향상 모델숲 조성
- 지속가능한 개발에 따른 열대림 관리 및 생물다양성 보전 역량강화 추진 사업
- 카르티엔 국립공원 산림생태 다양성 자원의 보전 및 개발
- 침엽수림 Adelgid 해충 분포 및 재발방지 연구
- 혹병 매개충에 대한 Saxaul 저항성 조사
2011년부터 산림 분야의 아세안-대한민국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는 소지역 프로젝트와 개별 국가 주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는 정책 지원 활동에서부터 마을 주민의 산림 복원 및 재활 활동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지역 사회에 권한을 부여하는 참여적 접근 방식과 산불 및 재해 관리에 대한 활동은 산림 분야에서 직면하는 문제와 갈등을 줄이는 데 기여하기 위해 실행된다. 또한 지역 사회의 생계, 산림 복원, 유전자원의 연구 개발 등을 위한 활동도 수행된다.
6. 2. 2. 랜드마크 프로그램
랜드마크 프로그램은 아세안 국가 간의 자원적, 기술적, 자금의 불균형을 협력과 자원 분할로 대응하려는 시도이다. 프로그램들은 장기적인 효과를 위한 기술 이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4개의 사업으로 구성되며, 장기적인 비젼의 능력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27]- 지역교육 훈련센터(RETC) 건립(미얀마)
-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산림분야 역량강화
- 산림훼손지 복원 및 모델림 조성
- 홍보
6. 2. 3.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회원국의 산림 관리 지식 및 이해를 증진하고 관련 정보, 기술 및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훈련 과정이 실시되었다. 주요 내용 중 하나는 미얀마에 지역 교육 훈련 센터(RETC)를 설립한 것이다. 진행 중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는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해왔다. 회원국 정부 관계자들은 6개월에서 12개월 동안 사무국에서 근무하도록 매년 초청된다. 젊은 과학자와 연구원들도 매년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과학 기술 교류 파트너십(STEP)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초청된다.6. 2. 4. 소지역 및 국가 주도 프로젝트
2011년부터 산림 분야의 아세안-대한민국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아시아산림협력기구는 소지역 프로젝트와 개별 국가 주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는 정책 지원 활동에서부터 마을 주민의 산림 복원 및 재활 활동 참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지역 사회에 권한을 부여하는 참여적 접근 방식과 산불 및 재해 관리에 대한 활동은 산림 분야에서 직면하는 문제와 갈등을 줄이는 데 기여하기 위해 실행된다. 또한 지역 사회의 생계, 산림 복원, 유전자원의 연구 개발 등을 위한 활동도 수행된다.참조
[1]
웹사이트
ROK and ASEAN urge reinforced ties in economy,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http://un.mofa.go.kr[...]
2011-11-21
[2]
웹사이트
Advancing Forestry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Year of Forest 2011
http://www.asean.org[...]
Asean
2011-11-18
[3]
웹사이트
ASEAN, Republic of Korea Sign Asian Forest Cooperation Agreement -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 Practice
http://uncsd.iisd.or[...]
Uncsd.iisd.org
2011-11-18
[4]
웹사이트
ASEAN dan Korea Selatan
http://www.setneg.go[...]
2011-11-18
[5]
웹사이트
Korea, Asean creating regional forest agency - Yahoo News Philippines
http://ph.news.yahoo[...]
Ph.news.yahoo.com
2011-12-02
[6]
웹사이트
Menhut: AFoCo Dukung Upaya ASEAN Ciptakan Pengelolaan Hutan Berkelanjutan | Republika Online
http://www.republika[...]
Republika.co.id
2011-11-18
[7]
웹사이트
韓-아세안 산림협력조약 서명‥'AFoCO' 출범준비 :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
News.naver.com
2011-11-18
[8]
웹사이트
Press Releases : Prime Minister Yingluck attends the 14th ASEAN-Republic of Korea Summit in Bali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ingdom of Thailand
http://www.mfa.go.th[...]
Mfa.go.th
2011-11-18
[9]
웹사이트
Asian Forest Cooperation Organization to be launched with 14 nations
http://www.koreahera[...]
2018-04-23
[10]
웹사이트
UNTC
https://treaties.un.[...]
[11]
웹사이트
AFoCO envisions greener Asia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https://www.koreaher[...]
2019-06-18
[12]
웹사이트
AFoCO shares sustainable forest restoration commitment at APFW
https://www.koreaher[...]
2019-06-18
[13]
웹사이트
AFoCO chief strives for stronger regional forest cooperation in Asia
http://www.koreahera[...]
2021-01-21
[14]
웹사이트
AFoCO new leadership drives 100M USD action plan
http://www.naeil.com[...]
2023-04-13
[15]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중앙亞와도 산림협력 모색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11-09
[16]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9월 초 출범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8-28
[17]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설립 추진 설명회 개최
http://sanlim.kr/det[...]
산림신문
2010-06-03
[18]
뉴스
한국 산림청이 설립 주도한 '아시아산림협력기구' 내달 공식 출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8-28
[19]
뉴스
亞산림협력기구 조직·인력 ‘윤곽’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9-04
[20]
뉴스
아시아 ‘산림 녹색동맹’ 날개 달았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2-08-31
[21]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설립 협정 내달 27일 발효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4-06
[22]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9월 초 출범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8-28
[23]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출범
http://www.nongmin.c[...]
농민신문
2012-09-03
[24]
뉴스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사무국 서울서 개소식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3-02-05
[25]
뉴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8-11-14
[26]
웹사이트
Regional Projects
http://www.afocosec.[...]
아시아산림협력기구
2013-03-18
[27]
뉴스
산림청, 해외산림자원협력 성과창출 워크숍 - 한국건설신문
http://www.conslove.[...]
2018-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