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레슬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레슬링은 1954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는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이다. 2002년 부산 대회부터 여자 레슬링이 추가되었다. 일본, 이란, 대한민국이 레슬링 강국으로, 특히 일본은 역대 아시안 게임 레슬링에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대회부터 1998년 방콕 대회까지 4회 연속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는 여자 레슬링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레슬링 - 세계 레슬링 아시아 연합
    세계 레슬링 아시아 연합(AWF)은 아시아 지역 레슬링을 관장하는 국제 스포츠 기구로, 아시아 레슬링 연맹에 아프가니스탄, 중국, 인도, 이란, 일본, 대한민국 등 40개 이상의 국가가 가맹되어 있다.
  • 아시안 게임 레슬링 - 2018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2018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은 자카르타-팔렘방에서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총 1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나, 도핑 문제로 일부 메달이 박탈되기도 했다.
  • 아시안 게임 레슬링 - 2002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2002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은 대한민국 양산시에서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 총 18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24개국 19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대한민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레슬링
레슬링
영어 종목명Wrestling
픽토그램image_file: Wrestling pictogram.svg
경기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경기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11
남자 종목7
여자 종목4

2. 역대 대회

아시안 게임 레슬링은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현재까지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2. 1. 대회 목록

대회연도개최 도시최우수 국가남자 체급 수여자 체급 수
2회1954년마닐라, 필리핀7-
3회1958년도쿄, 일본8-
4회1962년자카르타, 인도네시아16-
5회1966년방콕, 태국8-
6회1970년방콕, 태국10-
7회1974년테헤란, 이란20-
8회1978년방콕, 태국10-
9회1982년뉴델리, 인도10-
10회1986년서울, 대한민국20-
11회1990년베이징, 중국20-
12회1994년히로시마, 일본20-
13회1998년방콕, 태국16-
14회2002년부산, 대한민국144
15회2006년도하, 카타르144
16회2010년광저우, 중국144
17회2014년인천, 대한민국164
18회2018년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19회2022년항저우, 중국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 레슬링이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2. 1. 1. 여자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 레슬링이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었다. 체급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2002–201020142018–2022
-48 kg-50 kg
48–55 kg
50–53 kg
53–57 kg
55–63 kg
57–62 kg
62–68 kg
63–72 kg63–75 kg
68–76 kg
 
 
446


3. 경기 종목

아시안 게임 레슬링은 남자 자유형, 남자 그레코로만형, 여자 자유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자유형


3. 1. 남자 자유형

195419581962–19661970–19821986–199419982002–201020142018–2022
−52 kg−48 kg−54 kg−55 kg−57 kg
48–52 kg
52–57 kg
54–58 kg
55–60 kg
57–62 kg57–63 kg57–62 kg57–61 kg57–65 kg
58–63 kg
60–66 kg
61–65 kg
62–67 kg62–68 kg
63–70 kg63–69 kg
65–70 kg65–74 kg
66–74 kg
67–73 kg
68–74 kg
69–76 kg
70–78 kg70–74 kg
73–79 kg
74–82 kg74–84 kg74–86 kg
76–85 kg
78–87 kg
rowspan=5 bgcolor=#DCDCDC|79–87 kg
82–90 kg
84–96 kg
85–97 kg
86–97 kg
+87 kg87–97 kg
90–100 kg
96–120 kg
+97 kg97–130 kg97–125 kg
+100 kg100–130 kg
rowspan=3 bgcolor=#DCDCDC|
colspan=2 rowspan=2 bgcolor=#DCDCDC|
colspan=2 bgcolor=#DCDCDC|
78810108786



아시안 게임 레슬링 남자 자유형은 1954년 아시안 게임부터 시작되었으며, 체급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3. 2. 여자 자유형

여자 자유형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4체급,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4체급,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부터 6체급으로 진행되고 있다.

2002년–2010년2014년2018년–2022년
-48kg-50kg
48–55kg
50–53kg
53–57kg
55–63kg
57–62kg
62–68kg
63–72kg63–75kg
68–76kg
rowspan="2" |
446


3. 2. 1. 현재 체급

남자 자유형남자 그레코로만형여자


4.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일본664741154
2 이란644033137
3 대한민국522852132
4 카자흐스탄11151945
5 몽골10172653
6 우즈베키스탄10131235
7 인도9143356
8 중국7202148
9 파키스탄6141434
10 북한591125
11 키르기스스탄171523
12 시리아0347
13 타지키스탄0325
14 아프가니스탄0224
이라크0224
필리핀0224
17 요르단0101
베트남0101
19 인도네시아0022
20 카타르0011
투르크메니스탄0011
합계241238293772


5. 참가국

국가19541958196219661970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참가 횟수
167X610XX8446313
142
X3X234
4445145
3X4XXX1014161718181813
4XX2232658
57X1014X10XXX616181718181812
1325XX421868
881019102020201614141414121215
12X5X11657
7812810181010XXX1617141818181816
22246
X161318181817188
11
X121318171513158
413
X313217
21
10X5XX911111112121211
61
3112347
5X9X76899889
41
588897X4XXX223344412
2322218
666X74X687422313
1183426
10X434
31
365X712X9XXX1617181818181815
113X2X1117
X5XX1071085229
65811997
X10X1415512119
X37811121098
222
X161214151515188
XX638739109
X2233418
참가 국가 수87810811121720242828302929
참가 선수 수324459616111370109175196236233239249247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