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도입되었고, 196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 등 7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기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강세를 보였으나, 1974년 중국의 참여 이후 아시아 배드민턴 판도에 변화가 생겼다. 1990년대 이후 중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경쟁하고 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안세영 선수가 여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대한민국 선수단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역대 대회 결과, 메달 집계, 역대 우승자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배드민턴 - 배드민턴 아시아 연맹
    배드민턴 아시아 연맹은 아시아 지역 배드민턴 발전을 위해 각 국가 배드민턴 협회를 회원으로 두고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5개 지역을 관할하는 기구이다.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2010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2010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중국 광저우에서 17개국 19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7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5개, 대한민국이 혼합 복식에서 금메달 1개를 획득하는 등 총 8개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2002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강서체육관에서 남자 단식, 복식, 단체, 여자 단식, 복식, 단체, 혼합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6개국 12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기본 정보
배드민턴 픽토그램
배드민턴 픽토그램
경기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7
남자 종목3
여자 종목3
혼합 종목1

2. 역사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196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이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의 역대 개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연도회차개최 도시개최국
199412히로시마일본
199813방콕태국
200214부산대한민국
200615도하카타르
201016광저우중화인민공화국
201417인천대한민국
201818자카르타인도네시아
202219항저우중화인민공화국


2. 1. 초기 (1958년 ~ 1970년)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도쿄, 일본)에서 시범 종목으로 아시안 게임에 처음 등장했으며, 196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1962년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등 6개 종목이 열렸다. 혼합 복식 종목은 1966년에 추가되었다. 1962년에는 두 준결승전 패자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동메달 단독 수상자를 결정했지만, 1974년을 제외하고 1966년부터는 각 종목에서 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었다.

연도회차개최 도시개최국
19624자카르타인도네시아
19665방콕태국
19706방콕태국


2. 2. 발전기 (1974년 ~ 1990년)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부터 중국이 참가하면서 아시아 배드민턴 판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1] 대한민국은 1980년대부터 박주봉, 김문수, 정명희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며 배드민턴 강국으로 부상했다.

1962년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등 6개 종목이 열렸고, 1966년에 혼합 복식 종목이 추가되었다.[1] 1962년에는 두 준결승전 패자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동메달 단독 수상자를 결정했지만, 1974년을 제외하고 1966년부터는 각 종목에서 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었다.[1]

연도회차개최 도시개최국
19747테헤란
19788방콕태국
19829뉴델리인도
198610서울대한민국
199011베이징중화인민공화국


2. 3. 경쟁 심화 및 현재 (1994년 ~ 현재)

1990년대 이후 중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다시 한번 배드민턴 강국의 입지를 다졌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홈 팬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안세영 선수가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새로운 스타 탄생을 알렸다.

3. 경기 종목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1962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부 종목으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이 있다.

3. 1. 남자 종목

탄 예 칸1966 앙 친 시앙 응 분 비
탄 예 칸1970 펀치 구날란 응 분 비
펀치 구날란1974 후 지아창 춘 춘
요한 와유디1978 리엠 스위 킹 아데 찬드라
크리스티안 하디나타1982 한 지앤 이축 수기아르토
크리스티안 하디나타1986 자오 지안화 박주봉
김문수1990 자오 지안화 리 용보
톈 빙이1994 하리얀토 아르비 렉시 마이나키
리키 수바자1998 둥 쭝 렉시 마이나키
리키 수바자2002 타우피크 히다야트 이동수
유용성2006 타우피크 히다야트 쿠 키엔 키앗
탄 분 헹2010 린 단 마르키스 키도
헨드라 세티아완2014 린 단 모하마드 아산
헨드라 세티아완2018 조나탄 크리스티 마르쿠스 페르날디 기데온
케빈 산자야 수카물조2022 리 시펑 사트위크사이라지 란키레디
치라그 셰티



순위국가남자 단식남자 복식남자 단체합계
1align="left" |81716
2align="left" |78520
3align="left" |0235
4align="left" |1405
5align="left" |0101
5align="left" |0011
합계16161648


3. 2. 여자 종목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여자 종목은 196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종목196219661970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여자 단식XXXXXXXXXXXXXXXX16
여자 복식XXXXXXXXXXXXXXXX16
여자 단체XXXXXXXXXXXXXXXX16


3. 3. 혼합 종목

종목1962196619701974197819821986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개최 횟수
혼합 복식미실시XXXXXXXXXXXXXXX15


4. 역대 대회 결과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시안 게임연도개최 도시최우수 국가
제4회1962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제5회1966방콕, 태국
제6회1970방콕, 태국
제7회1974테헤란, 이란
제8회1978방콕, 태국
제9회1982뉴델리, 인도
제10회1986서울, 대한민국
제11회1990베이징, 중국
제12회1994히로시마, 일본
제13회1998방콕, 태국
제14회2002부산, 대한민국
제15회2006도하, 카타르
제16회2010광저우, 중국
제17회2014인천, 대한민국
제18회2018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제19회2022항저우, 중국
제20회2026아이치현–나고야, 일본
제21회2030도하, 카타르
제22회2034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1962년 자카르타 대회에서 배드민턴이 아시안 게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인도네시아가 초반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후 중국이 급부상하여 현재는 최강국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민국은 1986년 서울 대회와 2002년 부산 대회에서 최우수 국가로 선정되었다.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 혼합 복식의 7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1962년 대회에서는 혼합 복식을 제외한 6개 종목이 개최되었고, 1966년 대회부터 현재와 같은 7개 종목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4. 1.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402833101
226254091
316173366
4782035
5672134
61111426
71157
80088
90044
100011
0011
0011
합계9797181375


4. 2. 역대 우승자

응 분 비 미나르니
레트노 쿠스티야1966 앙 틴 시앙 다카기 노리코 탄 예 칸
응 분 비 로잘린 싱가 앙
테 케우 산1970 펀치 구나라람 유키 히로에 펀치 구나라람
응 분 비 아이자와 마치코
다케나카 에츠코 실비아 응
응 분 비1974 후 자창 천위니앙 준 준
요한 와유디 량 추시아
천 후이셴 레지나 마슬리
크리스티안 하디나타1978 림 수이킨 량 추시아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아데 찬드라 베라와티 파지린
이멜다 위구노 링 창아이
후 탕시엔1982 한젠 장 아이링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이추크 수기아르토 황선애
강윤숙 이바나 리
크리스티안 하디나타1986 자오젠화 한 아이핑 박주봉
김문수 린잉
관웨이정 박주봉
정명희1990 자오젠화 탕지우훙 리 용보
톈 빙이 관웨이정
농 췬화 박주봉
정명희1994 헤리안토 아르비 방수현 리키 수바그자
레키시 마이나키 심은정
장혜옥 유용성
정소영1998 둥중 요네쿠라 가나코 리키 수바그자
레키시 마이나키 거 페이
구쥔 김동문
나경민2002 타우피크 히다야트 저우미 이동수
유용성 나경민
이경원 김동문
나경민2006 타우피크 히다야트 왕천 쿠 킨 킷
탄 분 훙 가오링
황쑤이 정보
가오링2010 린단 왕스시엔 마르키스 키도
헨드라 세티아완 톈칭
자오 윈레이 신백철
이효정2014 린단 왕이한 무하마드 아산
헨드라 세티아완 니티야 크리신다 마헤스와리
그레이시아 폴리 장난
자오 윈레이2018 조나탄 크리스티 다이쯔잉 마르쿠스 페르날디 기데온
케빈 산자야 수카물조 천칭천
자이판 정쓰웨이
황야충2022 리시펑 안세영 사트윅사이라지 란키레디
치라그 셰티 천칭천
자이판 정쓰웨이
황야충



연도남자 단체여자 단체
196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1966 태국 일본
1970 인도네시아 일본
1974 중국 중국
1978 인도네시아 중국
1982 중국 중국
1986 대한민국 중국
1990 중국 중국
1994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1998 인도네시아 중국
2002 대한민국 중국
2006 중국 중국
2010 중국 중국
2014 대한민국 중국
2018 중국 일본
2022 중국 대한민국


5. 대한민국 선수단의 활약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아시안 게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한국 배드민턴의 위상을 높였다.

참조

[1] 웹사이트 Badminton – History http://www.doha-2006[...] Wayback Machine 2011-07-12
[2] 웹사이트 Sports – Badminton https://web.archive.[...] Guangzhou Asian Games Organising Committee (GAGOC) 2009-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