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게임 육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육상은 아시안 게임에서 열리는 육상 경기를 의미한다. 1951년 뉴델리에서 열린 첫 대회를 시작으로, 2022년 항저우 대회까지 19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일본이 초반 7번의 대회에서 6번의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후 중국이 압도적인 성적으로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육상 경기는 남자와 여자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세부 종목으로는 100m, 200m, 400m, 800m, 1500m, 5000m, 10000m, 마라톤, 110m 허들, 400m 허들, 3000m 장애물, 높이뛰기, 장대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창던지기, 십종 경기, 10km 경보, 20km 경보, 50km 경보, 4 × 100m 릴레이, 4 × 400m 릴레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육상 -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02년 부산에서 개최되어 39개국 45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6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육상 -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육상은 인천에서 41개국 65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9개 세부 종목에서 메달 경쟁을 펼쳤으며, 대한민국은 은메달 4개와 동메달 6개로 종합 14위를 기록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육상 | |
---|---|
아시안 게임 육상 | |
종목 코드 | ATH |
스포츠 | 육상 |
세부 종목 | |
남자 | 24 |
여자 | 23 |
혼성 | 2 |
총 세부 종목 수 | 47 |
아시안 게임 | |
남자 | 23 |
여자 | 23 |
혼성 | 2 |
2. 역대 대회
회 | 연도 | 개최지 | 종목 수 | |
---|---|---|---|---|
남자 | 여자 | |||
1 | 1951 | 뉴델리 | 24 | 9 |
2 | 1954 | 마닐라 | 21 | 9 |
3 | 1958 | 도쿄 | 22 | 9 |
4 | 1962 | 자카르타 | 22 | 10 |
5 | 1966 | 방콕 | 22 | 12 |
6 | 1970 | 방콕 | 22 | 13 |
7 | 1974 | 테헤란 | 21 | 14 |
8 | 1978 | 방콕 | 23 | 16 |
9 | 1982 | 뉴델리 | 24 | 16 |
10 | 1986 | 서울 | 23 | 19 |
11 | 1990 | 베이징 | 24 | 19 |
12 | 1994 | 히로시마 | 24 | 19 |
13 | 1998 | 방콕 | 24 | 21 |
14 | 2002 | 부산 | 23 | 22 |
15 | 2006 | 도하 | 23 | 22 |
16 | 2010 | 광저우 | 24 | 23 |
17 | 2014 | 인천 | 24 | 23 |
18 | 2018 | 자카르타 | 24 | 23 |
2. 1. 대회 목록
경기 | 연도 | 개최 도시 | 최우수 국가 |
---|---|---|---|
I | 1951 | 뉴델리, 인도 | 일본일본어 |
II | 1954 | 마닐라, 필리핀 | 일본일본어 |
III | 1958 | 도쿄, 일본 | 일본일본어 |
IV | 1962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 일본일본어 |
V | 1966 | 방콕, 태국 | 일본일본어 |
VI | 1970 | 방콕, 태국 | 일본일본어 |
VII | 1974 | 테헤란, 이란 | 일본일본어 |
VIII | 1978 | 방콕, 태국 | 중국중국어 |
IX | 1982 | 뉴델리, 인도 | 일본일본어 |
X | 1986 | 서울, 대한민국 | 중국중국어 |
XI | 1990 | 베이징, 중국 | 중국중국어 |
XII | 1994 | 히로시마, 일본 | 중국중국어 |
XIII | 1998 | 방콕, 태국 | 중국중국어 |
XIV | 2002 | 부산, 대한민국 | 중국중국어 |
XV | 2006 | 도하, 카타르 | 중국중국어 |
XVI | 2010 | 광저우, 중국 | 중국중국어 |
XVII | 2014 | 인천, 대한민국 | 중국중국어 |
XVIII | 2018 | 자카르타–팔렘방, 인도네시아 | 중국중국어 |
XIX | 2022 | 항저우, 저장 성, 중국 | 중국중국어 |
회 | 연도 | 개최지 | 종목 수 | |
---|---|---|---|---|
남자 | 여자 | |||
1 | 1951 | 뉴델리 | 24 | 9 |
2 | 1954 | 마닐라 | 21 | 9 |
3 | 1958 | 도쿄 | 22 | 9 |
4 | 1962 | 자카르타 | 22 | 10 |
5 | 1966 | 방콕 | 22 | 12 |
6 | 1970 | 방콕 | 22 | 13 |
7 | 1974 | 테헤란 | 21 | 14 |
8 | 1978 | 방콕 | 23 | 16 |
9 | 1982 | 뉴델리 | 24 | 16 |
10 | 1986 | 서울 | 23 | 19 |
11 | 1990 | 베이징 | 24 | 19 |
12 | 1994 | 히로시마 | 24 | 19 |
13 | 1998 | 방콕 | 24 | 21 |
14 | 2002 | 부산 | 23 | 22 |
15 | 2006 | 도하 | 23 | 22 |
16 | 2010 | 광저우 | 24 | 23 |
17 | 2014 | 인천 | 24 | 23 |
18 | 2018 | 자카르타 | 24 | 23 |
2. 2. 주요 종목
아시안 게임 육상은 다양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자 종목과 여자 종목으로 나뉘며, 각 종목은 트랙 경기, 필드 경기, 도로 경기로 구분된다.남자 종목
종목 | 설명 |
---|---|
1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2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4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800m | 중거리 육상 종목 |
1500m | 중거리 육상 종목 |
5000m | 장거리 육상 종목 |
10000m | 장거리 육상 종목 |
마라톤 | 장거리 도로 경기 |
110m 허들 | 허들 경기 |
400m 허들 | 허들 경기 |
3000m 장애물 | 장애물 경기 |
높이뛰기 | 도약 경기 |
장대높이뛰기 | 도약 경기 |
멀리뛰기 | 도약 경기 |
세단뛰기 | 도약 경기 |
포환던지기 | 투척 경기 |
원반던지기 | 투척 경기 |
해머던지기 | 투척 경기 |
창던지기 | 투척 경기 |
십종 경기 | 혼성 경기 |
20km 경보 | 도로 경기 |
50km 경보 | 도로 경기 |
4 × 100m 릴레이 | 이어달리기 |
4 × 400m 릴레이 | 이어달리기 |
여자 종목
종목 | 설명 |
---|---|
1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2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400m | 단거리 육상 종목 |
800m | 중거리 육상 종목 |
1500m | 중거리 육상 종목 |
5000m | 장거리 육상 종목 |
10000m | 장거리 육상 종목 |
마라톤 | 장거리 도로 경기 |
100m 허들 | 허들 경기 |
400m 허들 | 허들 경기 |
3000m 장애물 | 장애물 경기 |
높이뛰기 | 도약 경기 |
장대높이뛰기 | 도약 경기 |
멀리뛰기 | 도약 경기 |
세단뛰기 | 도약 경기 |
포환던지기 | 투척 경기 |
원반던지기 | 투척 경기 |
해머던지기 | 투척 경기 |
창던지기 | 투척 경기 |
7종 경기 | 혼성 경기 |
20km 경보 | 도로 경기 |
4 × 100m 계주 | 이어달리기 |
4 × 400m 계주 | 이어달리기 |
3.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 중국 300 197 109 606 2 -- 일본 151 186 203 540 3 -- 인도 74 96 112 282 4 -- 카타르 61 32 37 130 5 -- 카자흐스탄 29 30 40 99 6 28 21 9 58 7 -- 대한민국 25 57 63 135 8 -- 타이 22 28 22 72 9 -- 바레인 21 20 12 53 10 18 13 19 50 11 -- 중화 타이베이 15 37 60 112 12 -- 우즈베키스탄 15 27 19 61 13 13 15 20 48 14 13 14 7 34 1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2 10 23 45 16 11 10 16 37 17 6 15 26 47 18 6 3 3 12 19 -- 키르기스스탄 6 2 4 12 20 -- 이라크 5 9 9 23 21 4 1 14 19 22 3 4 6 13 23 3 2 4 9 24 -- 타지키스탄 3 2 1 6 25 -- 이스라엘 3 1 4 8 26 -- 파키스탄 2 3 2 7 27 -- 시리아 2 2 5 9 28 -- 홍콩 1 3 0 4 29 1 2 2 5 30 -- 요르단 1 1 2 4 31 -- 아제르바이잔 1 1 1 3 32 -- 투르크메니스탄 1 1 0 2 33 0 8 5 13 34 0 2 2 4 35 0 1 0 1 36 -- 캄보디아 0 0 2 2 37 0 0 2 2 합계 862 863 857 2582
3. 1. 역대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300 | 197 | 109 | 606 | |
2 | 151 | 186 | 203 | 540 | |
3 | 74 | 96 | 112 | 282 | |
4 | 61 | 32 | 37 | 130 | |
5 | 29 | 30 | 40 | 99 | |
6 | 28 | 21 | 9 | 58 | |
7 | 25 | 57 | 63 | 135 | |
8 | 22 | 28 | 22 | 72 | |
9 | 21 | 20 | 12 | 53 | |
10 | 18 | 13 | 19 | 50 | |
11 | 15 | 37 | 60 | 112 | |
12 | 15 | 27 | 19 | 61 | |
13 | 13 | 15 | 20 | 48 | |
14 | 13 | 14 | 7 | 34 | |
15 | 12 | 10 | 23 | 45 | |
16 | 11 | 10 | 16 | 37 | |
17 | 6 | 15 | 26 | 47 | |
18 | 6 | 3 | 3 | 12 | |
19 | 6 | 2 | 4 | 12 | |
20 | 5 | 9 | 9 | 23 | |
21 | 4 | 1 | 14 | 19 | |
22 | 3 | 4 | 6 | 13 | |
23 | 3 | 2 | 4 | 9 | |
24 | 3 | 2 | 1 | 6 | |
25 | 3 | 1 | 4 | 8 | |
26 | 2 | 3 | 2 | 7 | |
27 | 2 | 2 | 5 | 9 | |
28 | 1 | 3 | 0 | 4 | |
29 | 1 | 2 | 2 | 5 | |
30 | 1 | 1 | 2 | 4 | |
31 | 1 | 1 | 1 | 3 | |
32 | 1 | 1 | 0 | 2 | |
33 | 0 | 8 | 5 | 13 | |
34 | 0 | 2 | 2 | 4 | |
35 | 0 | 1 | 0 | 1 | |
36 | 0 | 0 | 2 | 2 | |
37 | 0 | 0 | 2 | 2 | |
합계 | 862 | 863 | 857 | 2582 |
3. 2. 대한민국 메달 현황
대한민국은 아시안 게임 육상에서 금메달 34개, 은메달 37개, 동메달 60개를 획득하여 종합 5위를 기록하고 있다.메달 | 개수 |
---|---|
-- 금메달 | 34 |
-- 은메달 | 37 |
-- 동메달 | 60 |
대한민국 육상은 전통적으로 중장거리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마라톤에서 황영조, 이봉주 선수 등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민적인 영웅으로 떠올랐다. 최근에는 우상혁(높이뛰기), 김국영(100m)과 같이 단거리 및 도약 종목에서도 좋은 선수들이 나오면서 한국 육상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경기 종목
아시안 게임 육상에는 다양한 경기 종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공된 소스 자료가 없으므로, 현재로서는 경기 종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5. 같이 보기
- 아시안 게임
- 아시안 게임 육상 메달리스트 목록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