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리스 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리스 장은 1968년 미국에서 태어난 중국계 미국인 작가였다. 그녀는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작가로 활동하며, 중국인과 중국계 미국인의 경험을 다룬 세 권의 책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로는 《실크웜의 실》, 《난징 대학살》, 《미국의 중국인》 등이 있다. 특히 《난징 대학살》은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의 난징 대학살을 다룬 책으로, 널리 알려졌다. 2004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자살 - 사기사와 메구무
사기사와 메구무는 1987년 데뷔하여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오르는 등 활발히 활동한 일본의 소설가, 수필가, 아동 그림책 번역가, 극작가로, 젊은 세대의 고민과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발표했으며 한국계 재일 한국인으로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기도 했다. - 2004년 자살 - 제이슨 레이즈
제이슨 레이즈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라이온 킹》 오리지널 캐스트의 심바 역으로 성공한 미국의 배우 겸 가수로, 다양한 뮤지컬 투어 참여, 음반 발매, 디즈니 채널 출연, 《브라더 베어》 목소리 연기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으며, 그의 유산을 기리기 위한 장학금이 오르페우스 극장에서 수여되고 있다. - 섐페인 (일리노이주) 출신 - 에델 클레이턴
에델 클레이턴은 190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까지 뮤지컬과 영화에서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무성 영화와 유성 영화 시대 모두에서 활약했으며 사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섐페인 (일리노이주) 출신 - 메긴 켈리
메긴 켈리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변호사, 정치 평론가로서 폭스 뉴스, NBC 뉴스 앵커 및 토크쇼 진행자로 활동했으며 현재 시리우스 XM에서 팟캐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특히 폭스 뉴스 재직 시절 도널드 트럼프와의 설전으로 주목받았으나, NBC 뉴스에서는 블랙페이스 옹호 발언 논란으로 계약이 해지되는 등 논쟁적인 인물이다. - 난징 대학살 - 가네코 야스지
가네코 야스지는 일본군으로 복무하며 중국에서 전쟁 범죄를 저지른 사실을 증언한 일본인으로, 일본군의 콜레라 살포 작전 가담과 위안부 문제 등 전쟁 범죄를 폭로하며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정한 반성을 촉구했다. - 난징 대학살 - 일본의 전도와 역사 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
일본의 전도와 역사 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은 자민당 내 의원 연맹으로 역사 교과서, 위안부 문제, 난징 대학살 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며 역사 수정주의적 활동을 전개하고 역사 왜곡 시도와 한국과의 역사 갈등 조장 등의 논란으로 비판받고 있다.
아이리스 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이리스 슌루 장 |
출생지 | 미국 뉴저지주프린스턴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샌타클라라군 |
직업 | 작가, 언론인, 인권 운동가 |
활동 기간 | 1995–2004 |
주제 | 중국계 미국인, 난징 대학살, 첸쉐썬 |
모교 |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 (B.A.) 존스 홉킨스 대학교 (M.A.) |
자녀 | 1명 |
웹사이트 | 아이리스 장 공식 웹사이트 |
병음 | Zhāng Chúnrú |
웨이드-자일스 | Chang1 Ch'un2-ju2 |
영어 이름 | Iris Shun-Ru Chang |
한국어 이름 | 아이리스 챙 |
2. 생애
아이리스 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 이민 온 교수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작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 타임즈에서 프리랜서 작가로 일했다. AP와 시카고 트리뷴에서 잠시 동안 일한 뒤, 작가로서 경력을 시작하였고, 강의를 하거나, 다양한 잡지를 위해 기사를 작성하였다. 2004년 자가용 안에서 권총 자살했다.
2. 1. 출생과 성장
아이리스 장은 1968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중화민국계 미국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본토에서 난징 대학살을 피해 타이완으로 피신한 후, 1962년 미국에 정착한 대학교수였다.[3] 아버지 장샤오진은 이론물리학 박사였고, 어머니 장잉잉은 생물학 박사였다.[24] 아이리스 장은 일리노이주 어바나에서 성장하면서, 외조부모로부터 난징 대학살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랐다. 그녀는 샴페인 공공 도서관에서 이 주제에 대한 책을 찾으려 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3]2. 2. 학력 및 초기 경력
아이리스 장은 1985년 일리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신문방송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재학 중에는 ''뉴욕 타임스''의 통신원으로 활동했다. AP 통신과 ''시카고 트리뷴''에서 잠시 근무한 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작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24]2. 3. 결혼과 가정
1991년, 아이리스 장은 대학 시절에 만난 시스코 시스템즈의 설계 엔지니어 브레튼 더글러스와 결혼하여 아들 크리스토퍼를 낳았다.[5][6] 생애 말년에 아이리스 장은 가족과 함께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살았다.[5][6]3. 작품 활동
아이리스 장은 역사 분야에서 아시아인과 중국계 미국인들의 경험을 담은 세 권의 책을 펴냈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400731 중국 로켓의 아버지 첸쉐썬]》(1995): 매카시즘 광풍이 불던 시기, 첸쉐썬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 《난징의 강간》(1997): 난징 대학살 6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되었으며, 중일 전쟁 동안 일본군의 만행을 담고 있다.
- 《미국의 중국인》(2003): 중국계 미국인의 역사를 다루며, 그들이 미국 사회에서 이방인으로 취급당했다고 주장한다.
3. 1. 《중국 로켓의 아버지 첸쉐썬》 (1995)
1950년대 매카시즘 광풍(적색 공포) 시기, 중국으로 강제 송환된 중국인 과학자 첸쉐썬의 실제 이야기를 다룬다. 첸쉐썬은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 설립자 중 한 명이었으나, 스파이 혐의로 모함을 받고 가택 연금을 당했다.[7] 이 책은 매카시즘의 광기와 그로 인한 개인의 희생을 보여주는 동시에, 첸쉐썬이 중국으로 돌아가 둥펑 미사일과 실크웜 미사일을 개발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냉전 시대 미국과 중국의 관계를 조명한다.3. 2. 《난징의 강간》 (1997)
1997년 난징 대학살 6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된 아이리스 장의 두 번째 책 《난징의 강간》은 중일 전쟁 동안 일본군이 중국인에게 자행한 잔혹한 범죄 행위를 담고 있다.[8] 이 책은 난징 대학살을 처음으로 영어로 상세하게 기록한 논픽션 서적으로,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10주 동안 올랐다.[9]이 책의 출간 이후, 아이리스 장은 일본 우익 세력으로부터 역사 왜곡이라는 비난과 협박을 받기도 했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난징 대학살의 참상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2007년에는 이 책을 바탕으로 한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난징》이 발표되었다.
3. 3. 《미국의 중국인》 (2003)
아이리스 장의 세 번째 책인 《미국의 중국인》(2003년)은 중국계 미국인의 역사를 다룬다. 이 책에서 아이리스 장은 중국계 미국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영원한 이방인으로 취급당했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이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이 책은 개인적인 이야기에 크게 의존하며, 그들의 이야기에서 강렬한 감정적 내용을 이끌어낸다. 그녀는 "오늘날의 미국은 중국계 민족의 업적 없이는 같은 미국이 아니었을 것이다"라고 썼고, "중국계 혈통을 가진 모든 미국 유명인의 표면을 긁어보면, 그들의 업적이 아무리 훌륭하고, 미국 사회에 대한 기여가 아무리 크더라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한 시점 이상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라고 썼다.[11]4. 대중적 명성과 사회 활동
아이리스 장은 작가로 성공하면서 대중적인 인물로 인식되었다. 특히 《난징의 강간》은 그녀를 강연자이자 인터뷰 대상자로 만들었으며, 더 나아가 일본 정부가 중일전쟁 희생자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하지 않았다는 관점의 대변인으로서 큰 수요를 만들어냈다.[12] 그녀는 텔레비전에서 주미 일본 대사와 대면하여 사과를 요구했고, "정말로 불행한 일이 일어났고, 일본 군인들이 폭력 행위를 저질렀다"라는 그의 단순한 인정에 불만을 표했다. 그러면서 "나는 이런 종류의 표현과 그러한 표현의 모호함 때문에 중국인들이 분노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반응했다.[12]
미국에서 《난징의 강간》이 발간된 직후, 이 문제는 미국 내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아이리스 장은 1997년에 일본 정부가 전쟁 범죄에 사과를 하도록 요구하는 의회 결의안 채택을 위한 주요 홍보인 중 한 명이 되었고, 1999년 영부인인 힐러리 클린턴을 만나 그 문제를 상의하였다.
공인으로서 아이리스 장의 인지도는 그녀의 마지막 작품인 《미국 내 중국인》과 함께 증가했다. 그녀의 사후, 동료 작가들은 그녀에게 찬사를 보냈다. 모 헤이더는 그녀에게 소설을 헌정했다. 기자 리처드 롱스타드는 "아이리스 장은 불을 지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했고, 우리는 그 불꽃이 꺼지도록 내버려두지 말아야 한다"라고 칭송했다.
2007년, 다큐멘터리 ''난징''은 장과 난징의 중국인 희생자들에게 헌정되었다.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에 수록된 731 부대의 역사를 밝히는 이야기인 "역사를 끝낸 남자"는 장의 기억에 헌정되었다.[13]
R.F. 쾅의 데뷔 소설, 『양귀비 전쟁』은 아이리스 장에게 헌정되었다.[14]
2019년 11월 9일(아이리스 장 사망 15주년)에 개장한 아이리스 장 공원은 장에게 헌정된 공원이다.[15][16]
5. 우울증과 사망
아이리스 장은 《난징의 강간》 출간 이후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지속적인 협박과 괴롭힘을 당해 심각한 우울증과 정신 질환에 시달렸다.[32] 1999년경에는 양극성 장애로 우울증 징후를 보였다는 증언도 있다.[33] 불임 치료와 유산의 반복, 그리고 『The Chinese in America』 출판으로 인한 백인 사회의 위협도 그녀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34][36]
2004년 11월 19일, 아이리스 장의 장례식에는 친척, 지인 등 600명이 참석하여 그녀의 죽음을 애도했다.
5. 1. 사인과 논란
공식적으로 아이리스 장의 사인은 2004년 11월 9일 자살로 보도되었다.[32] 그러나 그녀의 죽음을 둘러싼 여러 의혹과 논란이 존재한다. 1996년 난징 대학살을 고발한 난징의 강간(The Rape of Nanking) 출간 이후,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과 시달림을 받아왔다.[32] 그녀는 여러 차례 협박을 받아 공포 속에서 생활했고, 심한 우울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다가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32]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포로가 된 미군 병사의 바탄 죽음의 행진에 관한 작품을 구상하던 중, 아이리스 장은 우울증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다.[32] 우울증의 요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 올리버 오거스트는 중국인이 피해를 입은 사진이 아이리스 장의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32] 아이리스 장의 친구이자 저널리스트 동료인 폴라 케이먼은 1999년경부터 그녀가 양극성 장애로 우울증 징후를 보였다고 전했다.[33]
아이리스 장의 가족들은 『난징 대학살』과 관련하여 총알이 배달되기도 했다고 한다.[35] 『난징 대학살』 출판 이후 그녀는 협박을 받았고, 『The Chinese in America』 출판 후에는 미국의 백인 사회에서 위협을 받기도 했다. 켄터키주에서 바탄 죽음의 행진 생존자를 인터뷰했을 때, 그녀의 피해망상은 급격히 악화되었다고 한다.[36]
2004년 11월 9일 오전 9시경, 아이리스 장은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카운티 국도 17호선에서 자동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38] 경찰은 그녀가 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쏜 것으로 결론 내렸다. 당시 구상 중이던 바탄 죽음의 행진은 학살과 고문 이야기가 수반되는 소재였기에 그녀의 정신이 더 이상 견딜 수 없었다는 설과, 바탄 죽음의 행진에서 피해를 입은 미군이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 정부로부터도 감시 대상이 되었다는 피해망상으로 인한 "자살"이라는 설[39]이 있다.
그녀의 부모는 아이리스 장의 자살 충동을 인정하면서도, 죽기 직전의 상황은 자살할 정도로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우울증 치료를 위해 처방된 약이 부작용을 일으켰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5]
6. 사후 추모와 유산
아이리스 장의 사후, 그녀는 동료 작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모 헤이더는 그녀에게 소설을 헌정했다. 기자 리처드 롱스타드는 "아이리스 장은 불을 지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했고, 우리는 그 불꽃이 꺼지도록 내버려두지 말아야 한다"라고 칭송했다.[12]
2007년 다큐멘터리 ''난징''은 장과 난징의 중국인 희생자들에게 헌정되었다.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에 수록된 731 부대의 역사를 밝히는 이야기인 "역사를 끝낸 남자"는 장의 기억에 헌정되었다.[13]
R.F. 쾅의 데뷔 소설 『양귀비 전쟁』은 아이리스 장에게 헌정되었다.[14]
2019년 11월 9일(아이리스 장 사망 15주년)에 개장한 아이리스 장 공원은 장에게 헌정된 공원이다.[15][16]
7. 저서 목록
- ''스레드 오브 더 실크웜(Thread of the Silkworm)'' (1995년)
- ''난징의 강간(The Rape of Nanking)'' (1997년)
- ''미국의 중국인(The Chinese in America)'' (2003년)
참조
[1]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Iris Chang?
https://chicagoreade[...]
Chicago Reader
2024-06-16
[2]
웹사이트
Synopsis
http://www.irischang[...]
Reel Iris Productions
2007-11-17
[3]
간행물
Nightmare in Nanking
http://pages.jh.edu/[...]
2018-11-24
[4]
Salon.com
How 'Iris Chang' became a verb: A eulogy
https://wayback.arch[...]
2004-11-30
[5]
웹사이트
Iris Chang
https://staff.washin[...]
2021-07-19
[6]
문서
EPILOGUE FOR THE 2011 EDITION -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7]
catalog
Thread of the Silkworm
https://books.google[...]
2008-08-06
[8]
서적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Basic Books
[9]
뉴스
Iris Chang, Who Chronicled Rape of Nanking, Dies at 36
https://www.nytimes.[...]
2007-11-26
[10]
서적
The Chinese in America: A Narrative History
Penguin
[11]
서적
The Chinese in America
Penguin Books
[12]
웹사이트
I'm Sorry?
https://www.pbs.org/[...]
1998-12-01
[13]
뉴스
Ken Liu's The Paper Menagerie, a dazzling collection
https://www.statesma[...]
Statesman
2021-04-24
[14]
문서
'The Poppy War'
Harper Collins Publishers
2018
[15]
뉴스
San Jose community briefs for the week of Nov. 8: Chang Park Opens
http://www.mercuryne[...]
The Mercury News
2019-11-03
[16]
뉴스
San Jose: Iris Chang Park finally set to open next month
https://sanjosespotl[...]
San José Spotlight
2019-11-03
[17]
서적
The Rape of Nanking: The Forgotten Holocaust of World War II
Basic Books
[18]
웹사이트
Historian Iris Chang won many battles / The war she lost raged within
https://www.sfgate.c[...]
2021-01-09
[19]
웹사이트
Historian Iris Chang won many battles/The war she lost raged within
http://www.sfgate.co[...]
2007-09-22
[20]
San Francisco Chronicle
Iris Chang's suicide stunned those she tried so hard to help
http://www.sfgate.co[...]
2004-11-20
[21]
웹사이트
Memorial hall to honor Iris Chang opens in Huai'an - China - Chinadaily.com.cn
http://www.chinadail[...]
2023-03-13
[22]
웹사이트
Rape of Nanking author Iris Chang honoured in new China museum
https://www.scmp.com[...]
2023-03-13
[23]
웹사이트
Iris Chang Park in San Jose ready for its unveiling: Pizarro
https://www.mercuryn[...]
2019-11-08
[24]
문서
チャンはイリノイ大学在学中から実習生として記者活動を行なっていた。
[25]
웹사이트
A Brief Biography of Iris Chang(世界抗日戦争史実維護連合会)
http://www.irischang[...]
2008-06-26
[26]
문서
北村稔『「南京事件」の探求 その実像をもとめて』文春新書、2001年。
[27]
문서
The Atlantic Monthly 281 (4): 110–116
[28]
journal
Book Review: The Rape of Nanking by Iris Chang
http://www.edogawa-u[...]
2020-05-18
[29]
웹사이트
The Chinese in America: A Narrative History ペーパーバック – イラスト付き, 2004/3/30
https://www.amazon.c[...]
amazon
2022-09-29
[30]
문서
『タイム (雑誌)|タイム』2003年8月11日号(アジア版)
[31]
문서
『タイム』2003年8月4日
http://www.time.com/[...]
[32]
문서
One final victim of the Rape of Nanking?
Times
2005-03-17
[33]
웹사이트
Iris Chang committed suicide. Now her mother aims to resurrect her reputation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Inc.
2022-10-01
[34]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Iris Chang?
https://chicagoreade[...]
Reader Institute for Community Journalism
2022-12-23
[35]
웹사이트
Pills linked to The Rape of Nanking author Iris Chang's death in her mother Ying-Ying's new book {{!}} Georgia Straight Vancouver's News & Entertainment Weekly
https://www.straight[...]
the Georgia Straight
2022-10-01
[36]
웹사이트
Memories of Iris Chang: From a Mother's Eyes {{!}} Psychology Today
https://www.psycholo[...]
Sussex Directories Inc
2022-10-01
[37]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Iris Chang? - Chicago Reader
https://chicagoreade[...]
the Chicago Reader
2022-10-01
[38]
블로그
'[橘玲の日々刻々]アイリス・チャンが死んだ日'
http://diamond.jp/ar[...]
[39]
웹사이트
Whatever Happened to Iris Chang? - CounterPunch.org
https://www.counterp[...]
CounterPunch
2022-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