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포덴타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토포덴타투스는 3m 정도의 몸길이를 가진 해양 파충류이다. 이름은 특이한 이빨의 형태와 배열에서 유래되었으며, 윗턱이 망치 모양으로 좌우로 넓게 벌어진 형태를 가진다. 해양 파충류 중 몇 안 되는 초식 동물이며, 훼두목에 속하는 안킬로스페노돈 다음으로 오래된 초식성 해양 파충류로 추정된다. 좌우로 넓게 벌어진 입으로 해저의 조류를 걸러 먹고 살았을 것으로 보이며, 약 8백만 년 전부터 알려진 가장 오래된 초식성 해양 파충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라이아스기 중기 아시아의 파충류 - 믹소사우루스
믹소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몸길이 73cm에서 2m의 비교적 작은 어룡으로, 좁은 턱과 날카로운 이빨, 노와 비슷한 지느러미, 긴 꼬리를 가지고 있어 얕은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Mixosaurus cornalianus, Mixosaurus panxianesis, Mixosaurus kuhnschnyderi 등이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 트라이아스기 중기 아시아의 파충류 - 샤로빕테릭스
샤로빕테릭스는 초기 주룡형류에 속하는 멸종된 파충류로, 뒷다리와 꼬리 사이에 날개막을 가져 활공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과거에는 포도프테릭스로 알려졌고, 원시도마뱀류에 속한다. - 20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나누크사우루스
나누크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 알래스카 북극 지역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육식 공룡으로, 타르보사우루스와 유사하며 북극 환경에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2014년에 "북극곰 도마뱀"이라는 학명이 붙여졌다. - 2014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첸저우사우루스
첸저우사우루스는 약 6670만 년 전 후기 백악기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중국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쭉한 주둥이를 가진 것이 특징이고 알리오라무스와 함께 알리오라미니 분기군을 형성한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스켈로코무스
스켈로코무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동남아시아 서부 태평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좁고 긴 몸통, 작은 머리, 뾰족한 이빨을 지녔으며 흡입 섭식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코부리류 어룡이다. - 아시아의 고대 파충류 - 필리드로사우루스
필리드로사우루스는 백악기 초 중국에서 서식했던 멸종된 초리스토데란의 한 속으로, 두개골 융기와 뼈로 닫힌 하측 측두 페네스트라가 특징이며, 부모 양육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아토포덴타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아토포덴타투스 |
명명자 | Cheng et al., 2014 |
모식종 | †Atopodentatus unicus |
모식종 명명자 | Cheng et al., 2014 |
생물학적 분류 | |
도메인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상강 | 사지상강 |
강 | 파충강 |
상목 | 기룡상목? |
지질 시대 | |
화석 범위 | 아니시아기 |
2. 어원
아토포덴타투스(''Atopodentatus'')라는 속명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괴상한, 말도 안 되는, 기괴한, 불편한"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아토포스(atopos|άτοποςgrc)'[13]와 "이빨을 가진"이라는 뜻의 라틴어 '덴타투스(dentatus)'를 합쳐 만든 것으로, 발견된 표본 이빨의 특이한 형태와 배열을 가리킨다. 종명인 "우니쿠스(unicus)"는 이러한 독특한 형태를 더욱 강조한 것이다.[12]
아토포덴타투스는 몸길이가 약 3m이다.[12][14] 화석이 발견된 지층과 아토포덴타투스의 긴 몸, 짧은 목, 튼튼한 다리와 골반을 보면 이 동물은 아마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12][14]
아토포덴타투스는 해양 파충류 중 몇 안 되는 초식 동물이며, 훼두목에 속하는 안킬로스페노돈(''Ankylosphenodon'') 다음으로 제일 오래된 초식성 해양 파충류인 것으로 보인다. 좌우로 넓게 벌어진 입으로 바닷속의 식물을 걸러 먹고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15] 아토포덴타투스의 해부학적 특징이 자세히 밝혀짐에 따라, 아토포덴타투스처럼 이빨이 작고 주둥이가 넓적한 판치목 파충류인 헤노두스(''Henodus'') 또한 초식 동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6]
속명 ''아토포덴타투스''는 "특이한"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άτοπος|atoposgrc와 "이빨이 있는"을 의미하는 라틴어 dentatusla의 합성어로, 이빨의 특이한 배열과 모양을 가리킨다.[2] 종명 "유니쿠스(unicus)" 또한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낸다.
[1]
논문
A new marine reptile from the Triassic of China, with a highly specialized feeding adaptation
3. 형태
처음 화석 표본이 보고되었을 때, 표본에 보존되어 있던 두개골은 상당히 찌그러져 있었다. 이 표본에서 윗턱 부분은 "작은 이빨을 가지고 웃는 지퍼" 형태로 보존되어 있었다. 그러나 2016년 5월 새로 발견된 화석 표본에 의하면, 아토포덴타투스의 머리는 지퍼 모양이 아니었고, 주둥이의 양옆이 좌우로 넓게 벌어진, "망치"를 연상시키는 형태였다.[15] 작은 크기의 이빨은 넓게 펴진 주둥이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4. 생태
저자들은 골격의 모양으로 보건대 아토포덴타투스는 땅 위나 조간대와 모래사장을 걸어다닐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1]
''아토포덴타투스''는 길이가 약 2.75m인 중형 파충류였다.[1] 화석이 발견된 지층, 길쭉한 몸체, 짧은 목, 튼튼한 부속지, 그리고 엉덩이뼈 등을 볼 때 ''아토포덴타투스''는 반수생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6]
원래, ''아토포덴타투스''의 위턱은 턱선을 따라 작은 이빨들이 나 있고, 위턱 중간의 수직 갈라진 틈을 따라 위로 뻗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위턱은 "작은 이빨들의 지퍼 미소"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위턱은 아래로 구부러진 것으로 추정되었다.[6] 그러나 2016년에 발견된 사실은 이러한 발견을 뒤집었고, ''아토포덴타투스''가 실제로 망치 모양의 머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끌 모양의 이빨이 촘촘하게 박혀 있어, 먹이를 찾기 위해 해저를 파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밝혀냈다.[7][8]
기이한 이빨 때문에, ''아토포덴타투스''는 이전에 해저에서 무척추동물을 먹는 여과 섭식 동물로 여겨졌다.[6] 그러나 2016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토포덴타투스''는 실제로 해저의 조류를 먹었으며, 이는 스페노돈티아인 ''안킬로스페노돈''에 이어 두 번째로 알려진 중생대 초식동물 해양 파충류였다.[9] ''아토포덴타투스''는 약 8백만 년 전부터 알려진 가장 오래된 초식성 해양 파충류이다.[3]
5. 발견
참조
[2]
웹사이트
Atopodentatus unicus: Bizarre New Fossil Reptile Discovered in China
http://www.sci-news.[...]
2014-02-17
[3]
웹사이트
Fearsome Dinosaur-Age "Hammerhead" Reptile Ate... Plants?
http://www.scientifi[...]
2016-05-10
[4]
웹사이트
Ancient Reptile Ate Like an Underwater Lawn Mower
http://news.national[...]
2016-05-06
[5]
웹사이트
Atopodentatus was a hammerheaded herbivore, new fossil find shows
https://www.theguard[...]
2016-05-06
[6]
웹사이트
Atopodentatus Will Blow Your Mind
http://phenomena.na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4-02-05
[7]
뉴스
Ancient hammerhead creature may have been world’s first vegetarian sea reptile
https://www.science.[...]
Science
2016-05-06
[8]
뉴스
Nailing the reconstruction of a hammerhead reptile
Toronto Star
2016-05-14
[9]
논문
An unusual aquatic sphenodontian (Reptilia: Diapsida) from the Tlayua Formation (Albian), central Mexico
[10]
논문
The earliest herbivorous marine reptile and its remarkable jaw apparatus
[11]
저널
A new marine reptile from the Triassic of China, with a highly specialized feeding adaptation
[12]
웹인용
Atopodentatus unicus: Bizarre New Fossil Reptile Discovered in China
http://www.sci-news.[...]
2014-03-02
[13]
문서
atopic
http://en.wiktionary[...]
[14]
웹인용
Atopodentatus Will Blow Your Mind
http://phenomena.na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4-03-02
[15]
저널
Ancient hammerhead creature may have been world’s first vegetarian sea reptile
http://www.sciencema[...]
null
2016-05-06
[16]
저널
The earliest herbivorous marine reptile and its remarkable jaw apparatus
null
null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