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훼두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훼두목은 린코세팔리아목에 속하는 파충류의 일종으로, 트라이아스기에 분화하여 쥐라기에 번성했으나 백악기부터 감소하여 현재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투아타라만이 살아남았다. 훼두목은 머리 꼭대기에 두정안을 가지고 있으며, 치아는 턱뼈에 부착된 첨단치 형태를 보인다. 과거에는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으며, 육식, 잡식, 초식 등 다양한 식성을 가진 종이 존재했다. 분류학적으로 스페노돈티아에 속하며, 멸종된 종과 현존하는 투아타라를 포함한 다양한 하위 분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훼두목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훼두목 - 옛도마뱀과
    옛도마뱀과는 뱀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인룡상목의 도마뱀 분류군으로, 다양한 도마뱀 분류군과의 계통 발생적 관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 알베르트 귄터가 명명한 분류군 - 가는장어속
    가는장어속은 뱀장어목 곰치아목에 속하는 어류 속으로, 붉은장어와 오렌지장어 등 6종이 속해 있으며 진흙장어과에 속한다.
훼두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훼두류
학명Rhynchocephalia
명명자귄터, 1867
어원부리-머리
모식종스페노돈 푼크타투스
모식종 명명자그레이, 1842
화석 범위중기 트라이아스기 - 홀로세 (~2억 4천만 년 전-현재)
[[무카시도마뱀|투아타라]] ([[스페노돈 푼크타투스]])
투아타라 (스페노돈 푼크타투스), 현존하는 유일한 훼두류
[[바다사우루스]] 화석
바다사우루스, 독일 후기 쥐라기 훼두류 화석
하위 분류
아목본문 참조
게피로사우루스과
플레우로사우루스과
무카시도마뱀과

2. 역사

투아타라는 1831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처음 아가마 도마뱀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1867년 대영 박물관의 알버트 귄터가 조류, 거북, 악어와 유사한 특징을 발견하고, 투아타라와 그 화석 친척들을 포함하는 린코세팔리아목(Rhynchocephalia, "부리 머리"라는 의미)을 제안했다.[49]

1925년, 사무엘 웬델 윌리스톤은 투아타라와 가장 가까운 화석 친척들만을 포함하는 스페노돈티아(Sphenodontia, "쐐기 이빨"이라는 의미)를 제안했다.[3] 스페노돈티아는 σφήν|sphḗn|쐐기el와 ὀδούς|odoús|이el에서 유래했다.[4][5][6] 그러나 이후 관련 없는 종들이 린코세팔리아목에 추가되면서 "쓰레기통 분류군"이라 불리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연구를 통해 린코사우루스가 훼두목과 관련이 없음이 밝혀졌다.[7]

훼두목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다양하게 분화하여 판게아 전역에 분포했으며,[49] 쥐라기에는 형태학적 다양성의 정점에 도달했다.[49] 후기 트라이아스기-초기 쥐라기 속인 ''클레보사우루스''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10종이 발견되었다.[46]

초기 백악기부터 훼두목의 다양성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후기 백악기에는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사라졌다.[51] 훼두목의 감소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진화된 도마뱀 및 포유류와의 경쟁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57]

3. 해부학적 특징

훼두목과 뱀목은 상목 렙토사우루스(Lepidosauria)에 속하며, 렙토사우로모르파 내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분류군이다. 훼두목은 뱀목과 마찬가지로 미부 자절, 가로 총배설강 틈새, 갑상선 창, 사지 뼈 골화 중심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8]

훼두목은 머리 꼭대기에 두정안(제3의 눈)을 가지고 있어 빛을 감지하고 주야간 및 계절 주기를 모니터링한다.[9][10][11][12][13] 훼두목은 위복판(복부 갈비뼈)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원시적인 특징이다.[14] 수컷 생식기인 펜스가 없는데, 이는 2차적인 손실로 여겨진다.[15]

훼두목의 치아는 첨단치로, 턱뼈의 융기에 부착되어 치아 교체가 없다. 구개 치아(입천장 치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독특한 특징이다. 훼두목의 척추골은 양쪽 모두 오목한 '''양오목형'''이며, 척삭이 남아있다.

코르크머리류의 체구는 매우 다양하다. 훼두목 암컷과 수컷의 평균 전체 길이는 각각 34.8cm와 42.7cm이다.[24] ''클레보사우루스 섹툼세페르''의 추정 전체 길이는 12cm이고,[25] 가장 큰 육상 스페노돈티아인 ''프리오스페노돈 아벨라시''는 전체 길이가 100cm를 약간 넘었다.[26] 수생 플레우로사우루스는 최대 150cm의 길이에 도달했다.[27]

4. 생태

독일 후기 쥐라기에서 발견된 수생 적응형 스페노돈티아 플레우로사우루스(Pleurosaurus)의 골격.


훼두목 화석 기록을 보면 이들이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49][21] 초기 훼두목은 찌르기에 적합한 작고 타원형 이빨을 가져 곤충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9] 현존하는 투아타라처럼, 멸종된 스페노돈티나과의 구성원들은 육식/곤충식을 하는 잡식성이었을 것이다.[40]

에일레노돈티네는 식물 재료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두꺼운 에나멜을 가진 넓은 이빨 덩어리를 가지고 있어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42] 유럽 후기 쥐라기의 ''오에노사우루스''(Oenosaurus)와 ''사페오사우루스''(Sapheosaurus)와 같은 사페오사우루스는 사지류 중에서 독특한 넓은 치판을 가지고 있으며, 치판을 사용하여 단단한 껍질을 가진 유기체를 부수는 경식성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43][33]

가장 뚜렷한 훼두목 중에는 유럽의 쥐라기에서 알려진 플레우로사우루스가 있는데, 이들은 해양 생활에 적응하여 사지와 몸이 뱀처럼 길어졌으며, 후기 쥐라기의 특수한 속인 ''플레우로사우루스''(Pleurosaurus)는 다른 훼두목과는 매우 다른 길고 삼각형의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플레우로사우루스는 어식성(물고기를 소비)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7] 훼두목의 다른 여러 계통도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1]

멕시코의 쥐라기에서 발견된 ''스페노비페라''(Sphenovipera)는 하악 앞쪽에 있는 두 개의 커다란 이빨에 홈이 있는 것으로 보아 독성을 띠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44] 이러한 해석에 대해 다른 저자들은 이의를 제기했다.[44] 멕시코 전기 백악기의 ''파미진사우루스''(Pamizinsaurus)의 몸은 골편으로 덮여 있었는데, 이는 힐라몬스터와 같은 힐로데르마 도마뱀과 유사하며, 이는 알려진 스페노돈티아 중 독특하며, 아마도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45]

많은 훼두목은 척추골이 '''양오목형'''이며, 척삭이 잔존한다. 척추골의 전단·후단 양쪽이 컵 모양으로 움푹 들어간 양오목형 척추골은, 양막류가 처음 나타났을 때 가졌던 척추골의 형태이다.

5. 분류

훼두목(Rhynchocephalia)의 분류는 명확하지만, 여러 분류군 사이의 관계는 연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32] 현대 분지학에서는 스페노돈티아 (Sphenodontia)라는 분류군이 훼두목 내에서 투아타라와 그 친척들을 포함하는 주요 그룹으로 사용된다.[32]

1925년, 사무엘 웬델 윌리스톤은 투아타라와 가장 가까운 화석 친척들만을 포함하는 스페노돈티아(Sphenodontia)를 제안했다.[3] ''스페노돈''(Sphenodon)은 고대 그리스어 σφήν|sphḗnel '쐐기'와 ὀδούς|odoúsel '이'에서 유래되었다.[4][5][6] 스페노돈티아 내에는 유스페노돈티아(Eusphenodontia), 네오스페노돈티아(Neosphenodontia), 아크로스페노돈티아(Acrosphenodontia) 등의 하위 분류군이 있다.[35][36]

2022년에는 멸종된 클레이드인 렙토린키아(Leptorhynchia)가 정의되었는데, 이들은 다양한 네오스페노돈티아를 포함하며, 일부는 수생 생활에 적응했다. 렙토린키아는 넷째 손바닥뼈의 연장, 궁둥뼈의 후방 돌기 존재, 그리고 두개골의 안와 전방 부위가 전체 두개골 길이의 1/3에서 1/4 사이라는 특징을 갖는다.[37]

훼두목에는 멸종된 게피로사우루스과, 플레우로사우루스과, 현존하는 훼두목과 등이 있다. 스페노돈티스과는 투아타라와 훼두목 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을 포함하는 그룹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 그룹은 형식적인 정의가 부족하여 포함되는 분류군이 분석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33]

5. 1. 하위 분류


  • † 게피로사우루스속( ''Gephyrosaurus'')
  • '''옛도마뱀목''' (Sphenodontia) Williston, 1925
  • * † ''클레보사우루스''
  • * † ''브라키리노돈''
  • * † ''디피돈토사우루스''
  • * † ''호메오사우루스''
  • * † ''칼리모돈''
  • * † ''플라노케팔로사우루스''
  • * † ''사페오사우루스''
  • * † ''Opisthodontia''
  • * † 플레우로사우루스과
  • * 옛도마뱀과
  • †''뷔르템베르기아''
  • †게피로사우루스과?
  • * †''델타데크테스''
  • * †''게피로사우루스''
  • * †''페네게피로사우루스''
  • †''바라타가마''?
  • '''스페노돈티아'''
  • * †''디피돈토사우루스''
  • * †''마이크로메노돈''
  • * †''팔레올라노사우루스''?
  • * †''펠레시말라''
  • * †''위타케르사우루스''
  • * †''파르보사우루스''
  • * '''아크로스페노돈티아'''
  • ** †''고다바리스사우루스''
  • ** †''플라노케팔로사우루스''
  • ** †''테레타이루스''
  • ** †''스페노콘도르''
  • ** †''레바나사우루스''
  • ** '''유스페노돈티아'''

†''오피스티아미무스''
†''브라키리노돈''
†''콜로봅스''?
†''란케이로스페노돈''
†''폴리스페노돈''
클레보사우루스과
* †''클레보사우루스''
* †''브라키리노돈''?
* †''폴리스페노돈''?
†''시그말라''
†''마이크로스페노돈''
†''트룰리덴스''
'''네오스페노돈티아'''
* †''라마르케사우루스''
* †''파미진사우루스''
* †''팅기타나''
* †''안킬로스페노돈''
* †''데라스모사우루스''
* †오피스토돈티아
** †에일레노돈아과
* 스페노돈과
** †에일레노돈아과?
** 스페노돈아과
* †'''렙토린키아'''
** †''렙토사우루스''
** †''칼리모돈''
** †''호메오사우루스''
** †''바다사우루스''
** †사페오사우루스과
** †플레우로사우루스과

5. 1. 1. 게피로사우루스과 (Gephyrosauridae)

†게피로사우루스과(Gephyrosauridae)는 아래쪽 측두궁이 불완전하며, 누골이 존재한다. 이들은 훼두목류와 유린목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 게피로사우루스(''Gephyrosaurus'')
  • † 디피돈토사우루스(''Diphydontosaurus'')
  • † 플라노케팔로사우루스(''Planocephalosaurus'')

5. 1. 2. 플레우로사우루스과 (Pleurosauridae)

쥐라기 후기에 나타나, 완전한 해양 생활에 적응한 그룹이다. 몸은 유영에 적합하도록 가늘고 길게 늘어져 있으며, 매우 긴 몸통과 그보다 더 길게 뻗은 꼬리를 갖는다. 꼬리에는 자절면이 없다. 사지는 몸통과 반대로 단축되었지만, 골격 구성 자체는 정상이어서 다른 해양 파충류에서 흔히 보이는 손가락뼈의 퇴화 및 비정상적인 증가는 보이지 않는다. 외비공은 가늘고 길게 늘어져 안와 바로 앞의 상당히 높은 위치까지 도달해 있는데, 여기에서도 수생 생활에 대한 적응을 볼 수 있다. 추진력은 사지가 아닌 가늘고 긴 몸의 굴곡으로 얻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류:옛도마뱀목

5. 1. 3. 훼두목과 (Sphenodontidae)

옛도마뱀목의 가장 큰 그룹으로, 현생종인 투아타라를 포함한다.[1] 대체로 소형・중형의 육생 파충류로, 현생 도마뱀류와 비슷한 생태적 지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 기본적으로 곤충을 먹는 육식성이었지만, 에일레노돈아과는 이빨 구조로 보아 식물성 먹이를 먹었을 가능성이 높다.[1]

다음은 훼두목과의 하위 분류군이다.

이름기타
Colognathus
데라스모사우루스 (Derasmosaurus)--
Godavarisaurus
Kawasphenodon
Leptosaurus
Pelecymela
Piocormus
Sigmala
Theretairus
Tingitana
Rebbanasaurus
클레보사우루스아과 (Clevosaurinae) Clevosaurinae|클레보사우리나이영어
Polysphenodon
브라키리노돈(Brachyrhinodon)
클레보사우루스 (Clevosaurus)
옛도마뱀아과 (Sphenodontinae) Sphenodontinae|스페노돈티나이영어
호메오사우루스 (Homoeosaurus)--
Kallimodon
Sapheosaurus
Ankylosphenodon
Pamizinsaurus
Zapatadon
Cynosphenodon
Sphenodon
Opisthias
에일레노돈아과 (Eilenodontinae) Eilenodontinae|에일레노돈티나이영어
Toxolophosaurus
Priosphenodon
에일레노돈 (Eilenodon)


참조

[1] 논문 Integration of molecules and new fossils supports a Triassic origin for Lepidosauria (lizards, snakes, and tuatara) 2013-09
[2] 논문 An unusual aquatic sphenodontian (Reptilia: Diapsida) from the Tlayua Formation (Albian), central Mexico
[3] 서적 '"Phylogeny" In the Shadow of the Dinosaurs: Early Mesozoic Tetrap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Rhynchocephalians (Diapsida: Lepidosauria) from the Jurassic Kota Formation of India. 2001-11
[5] 웹사이트 Sphenodon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Inc. 2007-01-08
[6] 논문 A small lepidosauromorph reptile from the Early Triassic of Poland http://palaeontologi[...]
[7] 문서 A phylogenetic analysis of Lepidosauromorpha. https://repository.s[...]
[8] 웹사이트 Rhynchocephalians https://www.ucl.ac.u[...] 2022-08-09
[9] 논문 VI. On the structure,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ineal organs and adjacent parts of the brain in the tuatara ( sphenodon punctatus ) 1911
[10] 논문 The only known jawed vertebrate with four eyes and the bauplan of the pineal complex 2018-04-02
[11] 논문 The sixth sense in mammalians forerunners: variability of the parietal foramen and the evolution of the pineal eye in South African Permo-Triassic eutheriodont therapsids http://www.app.pan.p[...] 2016
[12] 논문 A Look in to the Neurocranium of Living and Extinct Lepidosauria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12-08
[13] 논문 Tuatara https://linkinghub.e[...] 2012-12
[14] 서적 Herpetology Elsevier 2014
[15] 논문 Resurrecting embryos of the tuatara, Sphenodon punctatus, to resolve vertebrate phallus evolution 2015-10
[16] 서적 New Aspects of Mesozoic Biodiversit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
[17] 논문 An exceptionally preserved Sphenodon-like sphenodontian reveals deep time conservation of the tuatara skeleton and ontogeny 2022-03
[18] 논문 The Lepidosaurian Ear: Variations on a Theme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1-08
[19] 논문 A reassessment of the enigmatic diapsid Paliguana whitei and the early history of Lepidosauromorpha 2021-08-25
[20] 논문 A Review of Tooth Implantation Among Rhynchocephalians (Lepidosauria) 2017-09
[21] 논문 Skull shape and feeding strategy in Sphenodon and other Rhynchocephalia (Diapsida: Lepidosauria) 2008-08
[22] 논문 The palatal dentition of tetrapods and its functional significance 2017-01
[23] 논문 Shearing mechanics and the influence of a flexible symphysis during oral food processing in Sphenodon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2012-07
[24] 논문 Sexual dimorphism, body size, bite force and male mating success in tuatara: SEXUAL DIMORPHISM IN TUATARA 2010-05-19
[25] 논문 The terrestrial fauna of the Late Triassic Pant-y-ffynnon Quarry fissures, South Wales, UK and a new species of Clevosaurus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https://linkinghub.e[...] 2018-04
[26] 논문 Large Cretaceous sphenodontian from Patagonia provides insight into lepidosaur evolution in Gondwana 2003-10-09
[27] 논문 Microanatomy and life history in Palaeopleurosaurus (Rhynchocephalia: Pleurosauridae) from the Early Jurassic of Germany 2017-02
[28] 논문 An exploration of differences in the scaling of life history traits with body mass within reptiles and between amniotes 2018-06
[29] 논문 Evidence of predation on a young tuatara, ''Sphenodon punctatus'', by kiore, ''Rattus exulans'', on Lady Alice Island 1988-07
[30] 논문 Male-biased sex ratio in a small tuatara population https://onlinelibrar[...] 2002-05
[31] 논문 Bone microstructure of Priosphenodon avelasi (Rhynchocephalia: Sphenodontia):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https://www.app.pan.[...] 2024
[32] 논문 A New Rhynchocephalian from the Lat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Enhances Eusphenodontian Diversity 2020-07-02
[33] 논문 Sphenodontian phylogeny and the impact of model choice in Bayesian morphological clock estimates of divergence times and evolutionary rates 2020-12
[34] 논문 The oldest known rhynchocephalian reptile from the Middle Triassic (Ladinian) of Germany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among Lepidosauromorpha https://anatomypubs.[...] 2023-11-07
[35] 논문 Taxonomic reassessment of Clevosaurus latidens Fraser, 1993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and rhynchocephalian phylogeny based on parsimony and Bayesian inference 2018-04-06
[36] 논문 The diversity of Triassic South American sphenodontians: a new basal form, clevosaurs, and a revision of rhynchocephalian phylogeny https://www.tandfonl[...] 2021-06-03
[37] 논문 A nearly complete skeleton of a new eusphenodontian from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Wyoming, USA, provides insight into the evolution and diversity of Rhynchocephalia (Reptilia: Lepidosauria) https://www.tandfonl[...] 2022-12-31
[38] 논문 Large Cretaceous sphenodontian from Patagonia provides insight into lepidosaur evolution in Gondwana https://www.nature.c[...] 2003-10-09
[39] 논문 Dentary Tooth Shape in Sphenodon and Its Fossil Relatives (Diapsida: Lepidosauria: Rhynchocephalia) Karger 2009
[40] 논문 Sphenofontis velserae gen. et sp. nov., a new rhynchocephalian from the Late Jurassic of Brunn (Solnhofen Archipelago, southern Germany) 2021-05-03
[41] 논문 A new rhynchocephalian (Reptilia: Lepidosauria) from the Late Jurassic of Solnhofen (Germany) and the origin of the marine Pleurosauridae 2017-11
[42] 논문 Neutron scanning reveals unexpected complexity in the enamel thickness of an herbivorous Jurassic reptile 2018-06
[43] 논문 A new rhynchocephalian from the late jurassic of Germany with a dentition that is unique amongst tetrapods
[44] 논문 Canine grooves: morphology, function, and relevance to venom http://www.tandfonli[...] 2007-06-12
[45] 논문 A "beaded" sphenodontian (Diapsida: Lepidosauria) from the Early Cretaceous of central Mexico https://www.research[...] 1997-04-16
[46] 논문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jaws of two species of Clevosaurus and a reanalysis of rhynchocephalian dentary morphospace 2020-11
[47] 논문 Slow and fast evolutionary rates in the history of lepidosaurs
[48] 논문 Evolutionary origins of the prolonged extant squamate radiation 2022-11-29
[49] 논문 Macroevolutionary patterns in Rhynchocephalia: is the tuatara (Sphenodon punctatus) a living fossil? 2017
[50] 논문 The Early Jurassic clevosaurs from China (Diapsida: Lepidosauria). https://www.research[...] 2006
[51] 논문 Lepidosaurian diversity in the Mesozoic-Palaeogene: the potential roles of sampling biases and environmental drivers 2018-03
[52] 논문 A stem acrodontan lizard in the Cretaceous of Brazil revises early lizard evolution in Gondwana 2015-08
[53] 논문 The first iguanian lizard from the Mesozoic of Africa 2016-09
[54] 논문 New small reptile remain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increase morphological diversity of sphenodontids (Lepidosauria) https://linkinghub.e[...] 2023-10
[55] 논문 First rhynchocephalian (Reptilia, Lepidosauria) from the Cretaceous–Paleogene of India 2022-06-30
[56] 논문 The youngest South American rhynchocephalian, a survivor of the K/Pg extinction 2014-10
[57] 논문 A sphenodontine (Rhynchocephalia) from the Miocene of New Zealand and palaeobiogeography of the tuatara (Sphenodon) 20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