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라스장수풍뎅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칼코소마속에 속한다. 몸길이가 수컷은 60~120mm, 암컷은 25~60mm로, 수컷은 머리와 가슴에 뿔이 발달해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유충은 다 자라면 10cm에 달하며, 성격이 사나운 편이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거대한 스콜리아 말벌인 Megascolia procer의 기생 숙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딱정벌레목 - 폭탄먼지벌레
폭탄먼지벌레는 황색 바탕에 갈색 무늬와 세로줄이 있는 큰 딱정벌레로, 100℃ 이상의 고온 가스를 폭발적으로 분출하여 적을 공격하며, 습한 평지에서 야행성으로 활동하고 동물성 먹이를 섭취하며, 가스 분출 능력은 진화론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아시아의 딱정벌레목 - 장수풍뎅이
장수풍뎅이는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풍뎅이과의 곤충으로, 수컷은 Y자 뿔을 가지며 유충은 부엽토를 만들지만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고, 애완곤충이나 약재, 식용으로도 활용된다. - 장수풍뎅이아과 -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
악타이온코끼리장수풍뎅이는 몸길이가 최대 12cm에 달하는 대형 종으로,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수컷은 머리에 뿔이 있고, 유충 기간이 약 3년으로 긴 특징을 가진다. - 장수풍뎅이아과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의 곤충으로, 수컷은 뿔이 있고 180mm 이상으로 가장 긴 종이며, 13개의 아종으로 나뉘고 열대 우림의 수액이나 과즙을 먹으며 썩은 나무를 먹는 유충은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 1758년 기재된 곤충 - 말벌
말벌은 사회성 곤충으로 종이 펄프로 둥지를 만들고 애벌레에게 먹이를 주며, 붉은 주황색 날개와 갈색, 노란색 줄무늬 배를 가지고 암컷만 독침이 있으며, 유라시아 원산으로 북미 등에도 유입되어 꿀벌을 사냥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로 보호받는다. - 1758년 기재된 곤충 - 제왕나비
제왕나비는 네발나비과에 속하며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서식하는 나비로, 장거리 이동, 협죽도과 식물 섭취를 통한 독성 축적, 경계색을 띠는 날개, 개체수 감소 문제가 특징이며, 보호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halcosoma atla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Atlas beetl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딱정벌레목 |
과 | 풍뎅이과 |
아과 | 장수풍뎅이아과 |
족 | 카부토무시족 (Dynastini) |
속 | 칼코소마속 (Chalcosoma) |
종 | 아틀라스장수풍뎅이 (C. atlas) |
아종 | |
아종 목록 | Chalcosoma atlas atlas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섬, 자바 섬) Chalcosoma atlas butonensis (부톤 섬) Chalcosoma atlas hesperus (서티모르 섬) Chalcosoma atlas keyboh (카이 제도) Chalcosoma atlas manlanae (탈라우 제도) Chalcosoma atlas simeuluensis (시므루에 섬) Chalcosoma atlas sintjangensis (상기헤 제도) |
기타 | |
참고 문헌 | Piek, Tom (2013년 10월 22일). Venoms of the Hymenoptera: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Behavioural Aspects. Elsevier. p. 173. ISBN 978-1-4832-6370-0. |
2. 특징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딱정벌레목(—目, Coleoptera) 사슴벌레과(—科, Lucan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칼코소마속(Chalcosoma)에 속한다. 크기가 매우 큰 종으로, 암컷은 몸길이가 25~60mm, 수컷은 60~120mm에 달한다. 수컷은 머리와 가슴에 뿔이 발달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다른 수컷과 격렬하게 싸운다. 특히 머리뿔은 키론장수풍뎅이와 달리 중간에 뾰족한 부분이 없는 특징을 보인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 유충은 성격이 사나워서, 좁은 공간이나 먹이가 부족할 경우 서로 싸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3. 분포
필리핀에서는 *Chalcosoma atlas hesperus* 아종이 루손섬, 마린두케섬, 민도로섬, 롬블론섬, 레이테섬, 사마르섬, 네그로스섬, 파나온섬, 디나가트섬, 민다나오섬, 팔라완섬에 걸쳐 서식한다. 특히 민다나오섬 개체는 뿔의 굽이가 강하고, 체장도 11cm로 가장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아틀라스장수풍뎅이의 아종 중 하나인 *Chalcosoma atlas sintae*는 펠렝섬에 서식한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시멜루에섬에는 *Chalcosoma atlas simeuluensis* 아종이 서식한다.
4. 아종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 '''Chalcosoma atlas hesperus'''는 필리핀의 루손섬, 마린두케섬, 민도로섬, 롬블론섬, 레이테섬, 사마르섬, 네그로스섬, 파나온섬, 디나가트섬, 민다나오섬, 팔라완섬에 서식한다. 특히 민다나오섬 개체는 뿔의 만곡이 강하고, 체장도 11cm로 가장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 '''Chalcosoma atlas keyboh'''는 말레이 반도, 싱가포르섬, 싱케프섬, 보르네오섬, 라우트섬, 수마트라섬, 웨섬, 투앙쿠섬, 시베루트섬, 시포라섬, 니아스섬, 파가이우타라섬, 타나마사섬, 링가섬 등지에 분포한다.
- '''Chalcosoma atlas mantetsu'''는 미얀마, 태국, 라오스, 인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 '''Chalcosoma atlas sintae'''는 펠렝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Chalcosoma atlas butonensis'''는 부톤섬에 서식하는 아종이다.
- '''Chalcosoma atlas simeuluensis'''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시멜루에섬에 서식한다.
4. 1. Chalcosoma atlas atlas
술라웨시 섬, 상히에 섬, 시아우 섬, 그리고 토기안 제도에서 *Chalcosoma atlas atlas* 아종이 발견된다. 롬포바탄 산 주변에서는 소형 개체가 발견되며, 북쪽 지역에서는 대형 개체가 서식한다.4. 2. Chalcosoma atlas hesperus
필리핀의 루손섬, 마린두케섬, 민도로섬, 롬블론섬, 레이테섬, 사마르섬, 네그로스섬, 파나온섬, 디나가트섬, 민다나오섬, 팔라완섬에 서식한다. 특히 민다나오섬 개체는 뿔의 만곡이 강하고, 체장도 11cm로 가장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4. 3. Chalcosoma atlas keyboh
말레이 반도, 싱가포르섬, 싱케프섬, 보르네오섬, 라우트섬, 수마트라섬, 웨섬, 투앙쿠섬, 시베루트섬, 시포라섬, 니아스섬, 파가이우타라섬, 타나마사섬, 링가섬 등지에 분포한다.4. 4. Chalcosoma atlas mantetsu
미얀마, 태국, 라오스, 인도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4. 5. Chalcosoma atlas sintae
아틀라스장수풍뎅이의 아종 중 하나인 Chalcosoma atlas sintae는, 펠렝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6. Chalcosoma atlas butonensis
부톤섬에 서식하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의 아종이다.4. 7. Chalcosoma atlas simeuluensis
Chalcosoma atlas simeuluensis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시멜루에섬에 서식하는 아틀라스장수풍뎅이의 아종이다.5. 유충
아틀라스장수풍뎅이의 유충은 다 자라면 몸길이가 10cm에 달하며, 만지면 물기도 하는 등 사나운 행동을 보인다. 확인되지 않은 보고에 따르면 유충은 공간이나 먹이가 부족할 경우 서로 싸우다가 죽음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6. 기생
아틀라스장수풍뎅이는 거대한 스콜리아 말벌인 Megascolia procer의 기생 숙주이다.
7. 갤러리
참조
[1]
서적
Venoms of the Hymenoptera: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Behavioural Aspect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2]
서적
Venoms of the Hymenoptera: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Behavioural Aspect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3-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