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섬은 인도네시아 아체 주에 속한 섬으로, 안다만 해에 위치하며 수마트라에서 북쪽으로 뻗어 있다. 면적 121km²의 산악 지형으로, 최고봉은 푸마롤 화산이며, 주변에는 여러 작은 섬들이 있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어업이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자유 무역 지대 및 자유 항구로 지정되어 경제가 다변화되었다. 스쿠버 다이빙, 화산 등산, 해변 리조트 등 생태 관광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로 인해 생태계에 피해를 입었으며, 멸종 위기종인 두꺼비의 고유종 서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성층 화산 - 아궁산
아궁산은 발리 섬에 있는 원추형 활화산으로, 1963년 대분화로 큰 피해를 야기했으며 현재도 분화 활동을 지속하고 있고, 발리 힌두교에서는 신성한 산으로 여겨 부사키 사원이 위치한다. - 인도네시아의 성층 화산 - 게데산
- 화산섬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화산섬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인도네시아의 섬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섬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웨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위치 | 안다만해 |
군도 | 말레이 군도 |
면적 | 122.13 km² |
최고봉 | 코트 쿨람산 |
해발고도 | 630 m |
좌표 | 5.82° N 95.28° E |
지도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벵골만 |
일반 정보 | |
이름 | 웨섬 (풀로 웨) |
현지 이름 (아체어) | 풀로 웨 |
유형 | 성층 화산 |
마지막 분화 | 플라이스토세 |
행정 구역 | |
국가 | 인도네시아 |
지역 | 수마트라 |
주 | 아체 주 |
도시 | 사방시 |
인구 정보 | |
인구 (2023년 추정치) | 43,527명 |
인구 밀도 | 356.4명/km² |
민족 | 아체족 |
2. 지리
웨섬은 안다만 해에 위치하며, 이 해역은 니코바르 제도와 안다만 제도 두 섬 무리가 수마트라에서 북쪽 버마판까지 이어지는 곳이다. 안다만 해는 활발하게 움직이는 작은 지각판(미세판)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지각판의 움직임으로 인해 복잡한 지질 단층 시스템과 화산 호 섬들이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었다.[6]
이 섬은 수마트라 최북단에서 약 15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121km2로 비교적 작지만 산악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617m 높이의 푸마롤 화산이다.[1] 이 화산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마지막으로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분화로 산의 일부가 붕괴되어 바다로 채워지면서 현재와 같이 수마트라 본토와 분리된 섬이 형성되었다고 전해진다. 정글에서는 화산 원뿔이 발견되며, 섬에는 세 개의 설파타라(유황 분기공) 지대가 있다. 하나는 정상에서 남동쪽으로 750m 떨어져 있고, 다른 두 곳은 정상에서 북서쪽으로 각각 5km 및 11.5km 떨어진 르호 페리아코트 만의 서쪽 해안에 위치한다.
웨섬 주변에는 클라, 루비아, 설라코, 론도 등 네 개의 작은 섬이 있다.[8]
웨섬의 이름은 아체어로 "옮기다", "분리되다"를 의미하는 '웨'(weh)에서 유래했다. 이는 과거 수마트라 섬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화산 폭발로 분리되었다는 지역 전설과 관련이 있다.
섬의 사방 시는 인도네시아의 가장 서쪽 끝에 위치한 도시로, 인도네시아의 광활함을 나타내는 "사방에서 메라우케까지"라는 표현에 등장한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사방에는 거리 측정의 시작점을 상징하는 '제로 킬로미터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아름다운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웨섬 주변의 육지와 해역 약 60km2를 야생 생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2. 1. 수중 환경
사방 시 근처, 수심 9m 지점에는 해저에서 솟아오르는 수중 푸마롤이 있다.[7] 발로한 항구에서 서쪽으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가팡 해변(가팡은 나무의 종류를 의미함) 인근에도 다이빙에 적합한 수중 푸마롤이 있으며, 이곳은 수열구(Hydrothermal Point)라고 불린다.[5]웨섬 주변에는 클라, 루비아, 설라코, 론도 등 네 개의 작은 섬이 있는데, 이 중 루비아 섬은 풍부한 산호초 덕분에 수중 다이빙 관광으로 잘 알려져 있다.[8] 과거 사우디 아라비아로의 해상 이동만 가능했던 시절, 루비아 섬은 인도네시아 무슬림들이 하지 순례 기간 동안 머무는 검역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8]
3. 역사
웨섬의 이름은 아체어에서 "이동하다", "이사하다"를 의미하는 "웨"에서 유래했다. 과거 수마트라 섬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화산 폭발로 분리되어 섬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섬에 처음 사람이 정착한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199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 수는 24,700명이었다.[9] 인구의 대다수는 아체인이며, 미낭카바우인, 자바인, 바탁족, 화교 등도 거주한다.[10]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이며, 아체 주는 샤리아 율법이 적용되는 특별 지역이다. 섬에는 기독교와 불교 신자도 일부 있으며, 이들은 주로 자바인, 바탁족, 화교이다.
웨섬의 사방은 인도네시아 최서단에 위치한 도시로, "사방에서 메라우케까지"라는 표현은 인도네시아의 광활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인도네시아 최서단이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거리 측정의 기준점이 되는 '제로 킬로미터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3. 1.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04년 12월 26일, 안다만 해에서 규모 9.1~9.3의 해저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여러 차례의 쓰나미를 일으켰고, 인도네시아에서만 최소 130,000명의 사망자를 냈다.[11] 웨섬이 받은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았지만,[12] 이 사건으로 섬 주민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망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4. 경제
전통적으로 웨 섬의 경제는 농업이 중심이었으며, 주요 생산물은 정향과 코코넛이었다.[10] 소규모 어업도 이루어졌으나, 과거에는 어부들이 폭발물 사용이나 청산가리를 이용한 어업 방식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방식은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1982년, 섬 내륙 34km2와 주변 해역 26km2를 포함하는 지역을 야생 동물 보호 구역(''수아카 알람'')으로 지정하여 환경 보호에 나섰다.[9]
2021년 기준으로 사방 시의 경제는 건설, 무역, 서비스 부문 중심으로 다변화되었다.[13] 말라카 해협은 매년 약 50,000척의 선박이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이다.[14]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자 2000년에 사방을 자유 무역 지대 및 자유 항구로 지정했다.[15] 이를 통해 국제 선박을 위한 물류 허브로 발전시키기 위해 심해 항구, 항만 시설, 창고, 급유 시설 등의 인프라 개발을 추진했다.
섬에는 사방에 위치한 마이문 살레 공항이 있지만, 현재 이 공항을 운항하는 정기 항공편은 없다. 따라서 웨 섬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다아체에 있는 술탄 이스칸다르무다 공항을 이용해야 한다. 이 공항에서 페리 선착장까지 이동한 후, 페리를 타고 웨 섬의 발로한 항구로 들어갈 수 있다.
웨 섬은 생태 관광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스쿠버 다이빙, 화산 등산, 해변 리조트 등이 주요 관광 활동이다. 특히 작은 마을인 이보이는 스쿠버 다이빙 장소로 인기가 높으며, 이보이 근처의 루비아 섬은 아름다운 산호초로 유명하다.[16] 가팡 지역에도 여러 다이빙 업체들이 있다.
5. 생태계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국제보존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가 이 지역의 산호초를 조사했다.[9] 조사 결과, 산호의 다양성은 비교적 낮지만 어종의 다양성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발견된 주요 어종으로는 ''Pogonoperca ocellata'', ''Chaetodon gardneri'', ''Chaetodon xanthocephalus'', ''Centropyge flavipectoralis'', ''Genicanthus caudovittatus'', ''Halichoeres cosmetus'', ''Stethojulis albovittatus'', ''Scarus enneacanthus'', ''Scarus scaber'', ''Zebrasoma desjardinii'' 등이 있다.[9] 웨섬 주변의 작은 섬 중 하나인 루비아 섬은 산호초로 인해 수중 다이빙 관광으로 잘 알려져 있다.[8]
2004년 3월 13일에는 희귀종인 큰입상어 한 마리가 가팡 해변으로 밀려왔다.[17] 이 상어는 1976년 처음 발견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21번째[17](일부 기록에는 23번째[18])로 확인된 개체였다. 발견된 수컷 상어는 길이 1.7m, 무게 13.82kg이었으며, 추가 연구를 위해 냉동되어 인도네시아 과학원(LIPI)으로 보내졌다.[17] 2006년까지 태평양, 인도양 및 대서양에서 큰입상어는 총 36번 발견되었다.[19]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섬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특히 이보이 마을에서는 넓은 범위의 맹그로브 숲이 파괴되었고, 육지에서 밀려온 잔해들이 인근 산호초에 쌓였다. 이에 따라 2005년에는 파괴된 맹그로브 숲을 복원하기 위해 약 14,400개의 맹그로브 묘목을 다시 심는 노력이 이루어졌다.[21]
수중 생태계 외에도, 웨섬은 멸종 위기종인 두꺼비 ''Duttaphrynus valhallae''의 유일한 고유종 서식지이다. 이 종은 섬의 정기준표본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으며, 섬의 심각한 삼림 벌채로 인해 생존이 불확실한 상태이다.[22]
인도네시아 정부는 웨섬의 독특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섬 주변 60km2의 육지와 해역을 야생 생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했다.
6. 관광
웨 섬은 규모가 작아 렌터카를 이용하면 하루 만에 주요 해변들을 둘러볼 수 있다. 섬 내 대중교통은 운행되지 않는다.
- 아노이 이탐 해변: 검은 모래 해변으로 유명하며, 발로한 항구에서 자동차로 약 30분 거리에 위치한다. 소정의 요금을 지불하면 아노이 이탐 리조트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 가팡 해변: 사방에서 약 약 27.36km 떨어져 있으며, 자동차로 45분 정도 소요된다. 흰 모래 해변과 함께 소박한 분위기의 음식점 및 숙박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배낭여행객들이 선호하는 곳이다. 여러 다이빙 리조트도 자리 잡고 있다.[24]
- 이보이 해변: 가팡 해변에서 5km 거리에 있으며 웨 섬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찾는 해변 중 하나이다. 길이는 약 150m 정도의 흰 모래 해변이며, 바로 앞바다에 루비아 섬이 있어 스쿠버 다이빙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25][26]
7. 사방 국제 레가타
사방 국제 레가타는 2011년 9월 13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영국,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홍콩 등 여러 국가에서 참가자들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23]
참조
[1]
간행물
Pulau Weh
2006-11-16
[2]
웹사이트
Geografis
http://www.sabangkot[...]
2020-07-03
[3]
웹사이트
Pulau Weh - Cot Kulam {{!}} Gunung Bagging
https://www.gunungba[...]
2018-02-17
[4]
간행물
Kota Sabang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02-28
[5]
웹사이트
April 11, 2012 - Pesona surga nan indah di ujung barat Indonesia
http://lifestyle.kon[...]
2012-04-11
[6]
논문
Tectonics and history of the Andaman Sea region
[7]
웹사이트
Pulau Weh Volcano, Indonesia
http://www.volcano.c[...]
John Seach
2006-11-23
[8]
웹사이트
Weh Island, a piece of land from heaven
http://kepulauan.ine[...]
Aceh Tourism Office
2006-11-30
[9]
논문
Coral Reef Fish Assessment in the 'Coral Triangle' of Southeastern Asia
[10]
웹사이트
The people of Weh Island
http://kepulauan.ine[...]
Aceh Tourism Office
2006-11-30
[11]
보도자료
The Human Toll
http://www.tsunamisp[...]
UN Office of the Special Envoy for Tsunami Recovery
2006-11-23
[12]
뉴스
Waves of Mercy Says Goodbye to Pulau Weh
http://www.indonesia[...]
Indonesia Relief
2005-06-11
[13]
웹사이트
Kota Sabang Dalam Angka 2022
https://sabangkota.b[...]
2022-06-24
[14]
뉴스
IMO to take Straits initiative
http://www.imo.org/C[...]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06-11-24
[15]
보도자료
Free Trade Zone and Free Port of Sabang
http://www.dprin.go.[...]
Government of Indonesia
2000-09-01
[16]
웹사이트
Pulau Weh
http://www.asiadives[...]
Asia Dive Site
2006-11-21
[17]
논문
A Juvenile Megamouth Shark ''Megachasma Pelagios'' (Lamniformes: Megachasmidae) From Northern Sumatra, Indonesia
http://rmbr.nus.edu.[...]
2006-11-21
[18]
뉴스
Megamouth Shark #23 Washes Up in Sumatra, Indonesia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4-03-13
[19]
웹사이트
Distribution Table of Confirmed Megamouth Shark Sightings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11-21
[20]
뉴스
USGS Scientists in Sumatra Studying Recent Tsunamis: Leg 2 Reports, 12 April to 30 April 2005
http://walrus.wr.usg[...]
USGS
2006-11-23
[21]
뉴스
Seacology News
http://www.seacology[...]
Seacology
2005-07-09
[22]
간행물
Duttaphrynus valhallae
2004
[23]
뉴스
Ministry to organize Sabang international regatta to attract tourist
http://waspada.co.id[...]
2011-05-13
[24]
웹사이트
Gapang Beach, The Beauty in The Edge of Indonesia's Archipelago
http://www.thepresid[...]
2015-02-17
[25]
웹사이트
Pantai di Pulau Weh
http://www.pergidulu[...]
2015-02-18
[26]
웹사이트
Pantai Iboih, Surga Tersembunyi
http://liburan.info/[...]
2015-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