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는 고대 비티니아 지역에 있던 도시로, 현재 터키의 게믈리크만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원래 미를레이아로 불렸으나, 비티니아의 프루시아스 1세가 재건하면서 그의 아내 아파마 3세의 이름을 따 아파메이아로 개칭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콜로니아로 지정되었으며, 초기에는 '아파메아 미를레이온'으로, 로마 시대에는 'C.I.C.A.'로 표기되었다. 4세기 말에는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으며, 869년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전 자치 대교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가톨릭 교회에서는 명목상 대교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사주의 지리 - 니카이아
니카이아는 고대 도시 안코레에서 시작하여 헬레니즘 시대에 재건, 비티니아 왕국과 로마 및 비잔티움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제1, 2차 니케아 공의회 개최, 니케아 제국 수도로서 기독교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이즈니크로 개명되었다. - 부르사주의 건축물 - 니카이아
니카이아는 고대 도시 안코레에서 시작하여 헬레니즘 시대에 재건, 비티니아 왕국과 로마 및 비잔티움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제1, 2차 니케아 공의회 개최, 니케아 제국 수도로서 기독교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이즈니크로 개명되었다.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 |
로마자 표기 | Apamea Mireulreia |
그리스어 | Απάμεια Μύρλεια |
지리 | |
위치 | 튀르키예 |
지역 | 부르사 주 |
상세 정보 | |
유형 | 인간 정착지 |
2. 명칭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라는 지명은 아파메이아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많은 지역들과 이곳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1][16][12] 이 지명은 이곳이 중요한 도시로 재개발될 때 부여받은 '아파메이아'라는 이름에, 과거 소도시 시절에 지녔던 '미를레이아'라는 이름을 합쳐 만든 것이다.[13] '미를레이아의 아파메이아'라는 뜻의 아파메이아 미를레온이라고도 불린다.[14]
아파메이아는 본래 콜로폰인들이 건설한 그리스 식민도시 미를레이아였다. 이후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다.
3. 역사
3. 1. 헬레니즘 시대
콜로폰인들이 식민지로 세운 곳으로 미를레이아(Μύρλεια)라고 불렸다.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5세는 페르가몬과의 전쟁 중에 이곳을 점령하여 그의 동맹인 비티니아의 프루시아스 1세에게 넘겨주었다. 프루시아스 1세는 기원전 202년경 이곳을 요새화하고 확장하여 거의 재건하다시피 하였고,[15] 자신의 부인 아파마 3세의 이름을 따서 아파메이아(Ἀπάμεια)로 개칭하였다.[16]
아파메이아는 게믈리크만 서쪽 해안가에 위치하였고, 당시 프루사라고 불리던 부르사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항구 역할을 수행했다.[11]
3. 2. 로마 제국 시대
로마 제국은 아우구스투스나 율리우스 카이사르 시대에 아파메이아를 콜로니아(식민도시)로 삼았다.[16] 초기 주화에는 '아파메아 미를레이온'(Ἀπαμέων Μυρλεάνωνgrc)이라는 글자가 새겨졌으나, 로마 시대에는 'C.I.C.A.' (Colonia Iulia Concordia Apamea, 율리아 콩코르디아 아파메이아 식민도시)라는 문구가 새겨졌다.[17] 이는 아파메이아가 율리아 가문과 연관이 있으며, 콩코르디아(화합)를 중시하는 도시였음을 시사한다.
소 플리니우스가 비티니아 총독 시절, 아파메이아는 로마 총독에게 수입과 지출에 관한 장부 검사를 받지 않겠다고 주장하여 트라야누스 황제와 논의한 기록이 있다.[16] 이는 당시 아파메이아가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아파메이아의 형용사 형태는 'Apamenus'였다.[16]
3. 3. 중세 시대
4세기 말, 아파메이아는 비티니아 속주의 기독교 주교구가 되었고, 처음에는 니카이아의 부주교구였다. 869년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로마 가톨릭) 이전에 자치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당시 대주교였던 파울루스가 공의회에 참석했다.[18][19][8][9]
4. 교회사
아파메이아는 로마 말기부터 비티니아 지역의 중요한 기독교 중심지였다. 4세기에 니카이아의 부주교구가 되었고, 869년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전 어느 시점에 독립 대교구가 되었다. 대주교 파울루스가 이 공의회에 참가했다.[18][19]
4. 1. 가톨릭 교회
아파메이아는 더 이상 상설 교구가 아니며, 현재 가톨릭 교회에서 중간 대교구급의 명목상 대교구로 지정되어 있다.[20][10]1633년경부터 라틴 가톨릭 대교구가 명목상으로 복구된 이래, 여러 명의 명목상 대주교들이 임명되었으나, 현재는 수십 년간 공석이다.
명목상 대주교 | 재임 기간 | 기타 경력 |
---|---|---|
베네딕토회의 니콜라 마리아 테데스키 (Nicola Maria Tedeschi, O.S.B.) | 1722년 3월 2일 – 1741년 9월 29일 | 리파리 (이탈리아) 주교 (1710년 3월 10일 – 1722년 2월 28일) |
스테파노 에보디오 아세마니 (Stefano Evodio Assemani) | 1736년 – 1782년 11월 24일 | 실제 공직에 기록되지는 않음 |
루이지 루포 스킬라 | 1785년 4월 11일 – 1801년 2월 23일 |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교황 대사 (1793년 8월 23일 – 1802년 8월 9일), 이후 나폴리 대주교 (1802년 8월 9일 – 1832년 11월 17일), 산 마르티노 아이 몬티의 사제 추기경 (1802년 8월 9일 – 1832년 11월 17일), 추기경 회의 대사제 (1830년 1월 24일 – 1832년 11월 17일) |
데이비드 매슈 (David Mathew) | 1946년 2월 20일 – 1975년 12월 12일 | 영국령 동아프리카와 영국령 서아프리카의 교황 대사 (1946년 2월 20일 – 1953년), 영국 군종교구 대리 (1954년 4월 16일 – 1963년 3월 23일), 웨스트민스터 (잉글랜드) 보좌 주교 (1938년 12월 3일 – 1946년 2월 20일), 아일라이 명목상 주교 (1938년 12월 3일 – 1946년 2월 20일) |
참조
[1]
EB1911
[2]
문서
Apamea (disambiguation)
[3]
웹사이트
'Ăpămēa'
https://www.perseus.[...]
[4]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babel.hathitr[...]
[5]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babel.hathitr[...]
[6]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Little, Brown and Company
1854
[7]
웹사이트
Asia Minor Coins – ancient coins of Apamea
http://www.asiaminor[...]
[8]
간행물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books.google[...]
Paris
1740
[9]
서적
Dizionario di erudizione storico-ecclesiastica
https://books.google[...]
[10]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11]
EB1911
[12]
문서
Apamea (disambiguation)
[13]
웹사이트
'Ăpămēa'
http://www.perseus.t[...]
[14]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babel.hathitr[...]
[15]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babel.hathitr[...]
[16]
웹사이트
Apameia
http://www.perseus.t[...]
1854
[17]
웹사이트
Asia Minor Coins – ancient coins of Apamea
http://www.asiaminor[...]
[18]
간행물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books.google[...]
Paris
1740
[19]
서적
Dizionario di erudizione storico-ecclesiastica
https://books.google[...]
[20]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