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파치 카산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파치 카산드라는 아마존의 다이나모DB와 구글 빅테이블의 영향을 받아 개발된 오픈 소스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2008년 페이스북에서 공개되어 2010년 아파치 최상위 프로젝트로 승격되었다. 카산드라는 가용성과 파티션 허용을 중시하며, 선형 확장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다. 로그 구조 병합 트리(LSM 트리)를 사용하여 쓰기 성능을 최적화하고, Cassandra Query Language (CQL)을 통해 데이터에 접근한다. 분산 아키텍처, 시드 노드, Phi 누적 장애 감지기를 통해 내결함성을 제공하며, JMX를 통해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빅 데이터 제품 - 빅쿼리
    빅쿼리는 구글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드레멜을 기반으로 수조 행의 데이터에 대한 빠른 쿼리를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관리, 쿼리 실행, 서비스 통합, 접근 제어, 기계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 빅 데이터 제품 - SAP HANA
    SAP HANA는 SAP SE에서 개발한 인메모리, 컬럼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를 기반으로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와 온라인 분석 처리를 단일 플랫폼에서 지원하며, SAP S/4HANA 등 다양한 SAP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사용되고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 배포 가능하다.
  • NoSQL - 몽고DB
    몽고DB는 2007년 개발되어 2009년 오픈 소스로 전환된 문서 지향적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다양한 데이터 쿼리, 인덱싱, 고가용성, 수평적 확장 기능을 제공하며, 2018년부터 멀티 도큐먼트 ACID 트랜잭션을 지원하고 다양한 에디션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
  • NoSQL - 아파치 드루이드
    아파치 드루이드는 실시간 분석을 위한 오픈 소스 분산형 데이터 저장소로서, 낮은 지연 시간의 스트리밍 데이터 수집, 임의의 데이터 탐색, 빠른 분석 쿼리 등의 특징을 가지며 아파치 주키퍼를 사용하여 클러스터를 관리한다.
  • 자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PostgreSQL
    PostgreSQL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분교의 Ingres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개발자들의 협력을 통해 발전해온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RDBMS)이다.
  • 자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SQLite
    SQLite는 D. 리처드 히프가 설계한 서버리스 구조의 임베디드 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별도의 DBMS 없이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작동하며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단일 파일로 저장하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운영체제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아파치 카산드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카산드라 로고
카산드라 로고
유형NoSQL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저장소
개발자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
최초 출시2008년 7월
최신 안정화 버전4.0.7
최신 안정화 버전 출시일2022년 10월 24일
프로그래밍 언어자바
운영 체제크로스 플랫폼
지원 언어영어
라이선스아파치 라이선스 2.0
웹사이트아파치 카산드라 공식 웹사이트
개발
저자Avinash Lakshman, Prashant Malik / 페이스북

2. 역사

카산드라아마존의 다이나모DB 설계에 참여한 아비나쉬 락슈만과 페이스북의 프라샨트 말릭이 최초로 개발했다. 아마존 다이나모DB의 분산 디자인과 구글 빅테이블의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페이스북은 2008년 7월 카산드라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공개했으며,[4] 2009년 3월에는 아파치 인큐베이터 프로젝트가 되었고,[5] 2010년 2월 17일에는 최상위 프로젝트로 승격되었다.[6]

페이스북 개발자들은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트로이의 예언자 카산드라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 이는 그녀가 예언을 했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는 저주를 받았다는 것을 암시한다.[7]

2. 1. 버전 역사

wikitext

버전원래 출시일최신 버전출시일상태
0.62010-04-120.6.132011-04-18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0.72011-01-100.7.102011-10-31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0.82011-06-030.8.102012-02-13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1.02011-10-181.0.122012-10-04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1.12012-04-241.1.122013-05-27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1.22013-01-021.2.192014-09-18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2.02013-09-032.0.172015-09-21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2.12014-09-162.1.222020-08-31더 이상 지원하지 않음
2.22015-07-202.2.192020-11-04critical fixes only[23]
3.02015-11-093.0.292023-05-15더 이상 유지 보수되지 않음[20]
3.112017-06-233.11.152023-05-05더 이상 유지 보수되지 않음[20]
4.02021-07-264.0.132023-05-205.1.0 릴리스까지 유지 보수[20]
4.12022-06-174.1.62024-08-195.2.0 릴리스까지 유지 보수[20]
5.02024-09-055.0.22024-10-19최신 릴리스. 5.3.0 릴리스까지 유지 보수[20]


3. 특징 및 제한 사항

카산드라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분산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단일 실패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을 제거한다. 구성 가능한 복제 전략을 사용하여 클러스터 전체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중복성과 재해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선형 확장이 가능하여 새 노드를 추가하면서 지속적인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읽기 및 쓰기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1]

카산드라는 AP(가용성 및 파티션 허용) 시스템으로 분류되며, 일관성보다 가용성과 파티션 허용을 강조한다. 읽기 및 쓰기 작업 모두에 대해 조정 가능한 일관성 수준을 제공하지만, 아키텍처상 엄격한 일관성 보장을 요구하는 사용 사례에는 적합하지 않다.[1] 하둡과 같은 빅 데이터 처리 도구와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툼스톤을 사용하여 읽기, 업서트, 삭제를 관리함으로써 결과적 일관성을 유지한다.

카산드라는 여러 테이블 JOIN, 임시 집계 또는 복잡한 쿼리와 같은 고급 쿼리 패턴을 지원하지 않는다.[1]

4. 데이터 모델

와이드 칼럼 저장소인 카산드라는 키-값 및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을 결합한다. 이는 조정 가능한 일관성 수준을 갖춘 분할된 행 저장소 모델을 구현한다.[8] 카산드라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 모델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모델 비교: 카산드라 vs RDBMS
기능카산드라RDBMS
구성키스페이스 → 테이블 → 행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 행
행 구조동적 열고정 스키마
열 데이터이름, 유형, 값, 타임스탬프이름, 유형, 값
스키마 변경런타임 수정일반적으로 가동 중지 시간이 필요함
데이터 모델비정규화JOIN을 통한 정규화



카산드라는 결과적 일관성을 통해 구조화된 키-값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한다. 키는 여러 값에 매핑되며, 이는 ''컬럼 패밀리''로 그룹화된다. 컬럼 패밀리는 카산드라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때 고정되지만, 나중에 패밀리에 열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은 특정 키에만 추가되므로, 어떤 패밀리에서도 서로 다른 키는 임의의 열 수를 가질 수 있다. 각 키에 해당하는 컬럼 패밀리의 값은 연속적으로 기록되며, 이로 인해 카산드라는 컬럼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행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복합형이라고 할 수 있다.

4. 1. 구성 요소

와이드 칼럼 저장소인 카산드라는 키-값 및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을 결합하며, 조정 가능한 일관성 수준을 갖춘 분할된 행 저장소 모델을 구현한다.[8] 카산드라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모델 비교: 카산드라 vs RDBMS
기능카산드라RDBMS
구성키스페이스 → 테이블 → 행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 행
행 구조동적 열고정 스키마
열 데이터이름, 유형, 값, 타임스탬프이름, 유형, 값
스키마 변경런타임 수정일반적으로 가동 중지 시간이 필요함
데이터 모델비정규화JOIN을 통한 정규화


  • 키스페이스(Keyspace): 관계형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하다. 키스페이스는 여러 개의 테이블을 포함하며 복제 전략 및 사용자 정의 유형(UDT)을 포함한 구성 정보를 관리한다.[1]
  • 테이블(Tables): CQL 3 이전에는 컬럼 패밀리라고 불렸으며, 데이터 행을 담는 컨테이너다. 각 테이블은 이름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구성 정보를 가지고 있다. 테이블은 업데이트 및 쿼리를 차단하지 않고 런타임에 생성,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9]
  • 행(Rows): 각 행은 기본 키로 식별되며 열을 포함한다. 테이블의 기본 키의 첫 번째 구성 요소는 파티션 키이며, 파티션 내에서 행은 키의 나머지 열에 의해 클러스터링된다.[10]
  • 열(Columns): 행에 속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름, 유형, 값, 타임스탬프 메타데이터 ("최종 쓰기 승리"를 통한 쓰기 충돌 해결에 사용)로 구성된다.


전통적인 RDBMS 테이블과 달리 동일한 테이블 내의 행은 다양한 열을 가질 수 있어 유연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모든 열이 각 행에 대해 지정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카산드라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구별한다.[1] 다른 열은 기본 키와 별도로 인덱싱될 수 있다.[11]

4.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카산드라는 키-값 및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을 결합한 와이드 칼럼 저장소이다. 이는 조정 가능한 일관성 수준을 갖춘 분할된 행 저장소 모델을 구현한다.[8] 카산드라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 모델 비교는 아래 표와 같다.

데이터 모델 비교: 카산드라 vs RDBMS
기능카산드라RDBMS
구성키스페이스 → 테이블 → 행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 행
행 구조동적 열고정 스키마
열 데이터이름, 유형, 값, 타임스탬프이름, 유형, 값
스키마 변경런타임 수정일반적으로 가동 중지 시간이 필요함
데이터 모델비정규화JOIN을 통한 정규화



데이터 모델은 여러 계층적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각 행은 기본 키로 식별되며 열을 포함한다. 테이블의 기본 키의 첫 번째 구성 요소는 파티션 키이며, 파티션 내에서 행은 키의 나머지 열에 의해 클러스터링된다.[10]

열은 행에 속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름, 유형, 값, 타임스탬프 메타데이터("최종 쓰기 승리"를 통한 쓰기 충돌 해결에 사용)로 구성된다.

전통적인 RDBMS 테이블과 달리 동일한 테이블 내의 행은 다양한 열을 가질 수 있어 유연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연성은 모든 열이 각 행에 대해 지정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카산드라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구별한다.[1] 다른 열은 기본 키와 별도로 인덱싱될 수 있다.[11]

5. 저장소 모델

카산드라는 결과적 일관성을 통해 구조화된 키-값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한다. 키는 여러 값에 매핑되며, 이는 ''컬럼 패밀리''로 그룹화된다. 컬럼 패밀리는 카산드라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때 고정되지만, 나중에 패밀리에 열을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열은 특정 키에만 추가되므로, 어떤 패밀리에서도 서로 다른 키는 임의의 열 개수를 가질 수 있다. 각 키에 해당하는 컬럼 패밀리의 값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데, 이 때문에 카산드라는 컬럼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행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복합형이라고 할 수 있다.

5. 1. 구성 요소

카산드라는 B-트리 인덱스와는 대조적으로, 쓰기 처리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로그 구조 병합 트리(LSM 트리) 인덱스를 사용한다.[1]

스토리지 모델 비교: 카산드라 v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카산드라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구조LSM 트리B-트리
쓰기 프로세스멤테이블을 사용한 추가 전용제자리 업데이트
스토리지 구성 요소커밋 로그, 멤테이블, SSTable데이터 파일, 트랜잭션 로그
업데이트 전략각 변경에 대한 새로운 항목기존 데이터 수정
삭제 처리툼스톤 마커직접 제거
읽기 최적화보조 인덱스기본 인덱스
쓰기 최적화기본 인덱스보조 인덱스



스토리지 아키텍처는 다음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1]


  • '''커밋 로그''': 쓰기 내구성을 보장하는 선 기록 로그이다.
  • '''멤테이블''': 쓰기를 저장하는 인 메모리 데이터 구조로, 기본 키로 정렬된다.
  • '''SSTable''' (정렬된 문자열 테이블): 멤테이블에서 플러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불변 파일이다.

5. 2. 쓰기 및 읽기 프로세스

쓰기 작업은 다음 2단계 프로세스를 따른다.

1. 쓰기 작업은 커밋 로그에 기록되고 멤테이블(Memtable)에 추가된다.

2. 멤테이블이 크기 또는 시간 임계값에 도달하면 SSTable로 플러시된다.

읽기 작업:

1. 최신 데이터를 위해 멤테이블을 확인한다.

2. 효율성을 위해 블룸 필터를 사용하여 가장 최신 SSTable부터 가장 오래된 SSTable 순으로 검색한다.

5. 3. 데이터 관리

카산드라에서 모든 작업(생성, 수정, 삭제)은 새로운 항목을 생성하며, 삭제는 툼스톤을 통해 처리된다. 툼스톤은 많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삭제 작업이 많은 워크로드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12]

컴팩션은 여러 SSTable을 통합하여 다음을 수행한다.

  • 저장 공간 사용량 감소
  • 삭제된 행의 툼스톤 제거
  • 읽기 성능 향상


카산드라는 결과적 일관성을 통해 구조화된 키-값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한다. 키는 여러 값에 매핑되며, 이 값들은 ''컬럼 패밀리''로 그룹화된다. 컬럼 패밀리는 카산드라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때 고정되지만, 나중에 패밀리에 열을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열은 특정 키에만 추가되므로, 어떤 패밀리에서도 서로 다른 키는 임의의 열 개수를 가질 수 있다. 각 키에 해당하는 컬럼 패밀리의 값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데, 이 때문에 카산드라는 컬럼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행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복합형이라고 할 수 있다.

5.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스토리지 모델 비교: 카산드라 v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기능카산드라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구조LSM 트리B-트리
쓰기 프로세스멤테이블을 사용한 추가 전용제자리 업데이트
스토리지 구성 요소커밋 로그, 멤테이블, SSTable데이터 파일, 트랜잭션 로그
업데이트 전략각 변경에 대한 새로운 항목기존 데이터 수정
삭제 처리툼스톤 마커직접 제거
읽기 최적화보조 인덱스기본 인덱스
쓰기 최적화기본 인덱스보조 인덱스

[1]

6. Cassandra Query Language (CQL)

CQL은 SQL을 대체하여 카산드라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CQL은 추상화 계층을 추가하여 구현 세부 사항을 숨기고, 컬렉션 및 기타 일반적인 인코딩에 대한 네이티브 구문을 제공한다. 자바(JDBC), 파이썬(DBAPI2), Node.JS(DataStax), Go(gocql) 및 C++ 등 다양한 언어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13]

카산드라의 키 스페이스는 노드 간의 데이터 복제를 정의하는 네임스페이스이다. 복제는 키 스페이스 수준에서 정의된다. 다음은 CQL 3.0에서 컬럼 패밀리를 포함하는 키 스페이스 생성 예제이다:[14]

```sql

CREATE KEYSPACE MyKeySpace

WITH REPLICATION = { 'class' : 'SimpleStrategy', 'replication_factor' : 3 };

USE MyKeySpace;

CREATE COLUMNFAMILY MyColumns (id text, lastName text, firstName text, PRIMARY KEY(id));

INSERT INTO MyColumns (id, lastName, firstName) VALUES ('1', 'Doe', 'John');

SELECT * FROM MyColumns;

```

결과는 다음과 같다:

```text

id | lastName | firstName


  • ---+----------+----------

1 | Doe | John

(1 rows)

```

카산드라는 결과적 일관성을 통해 구조화된 키-값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한다. 키는 여러 값에 매핑되며, 이는 '컬럼 패밀리'로 그룹화된다. 컬럼 패밀리는 카산드라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때 고정되지만, 나중에 패밀리에 열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은 특정 키에만 추가되므로, 어떤 패밀리에서도 서로 다른 키는 임의의 열 수를 가질 수 있다. 각 키에 해당하는 컬럼 패밀리의 값은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6. 1. JSON 지원

JSON 지원은 2015년에 출시된 아파치 카산드라 2.2 버전부터이다.

카산드라 2.2는 자체 쿼리 언어인 "Cassandra Query Language (CQL) 3"에서 "SELECT JSON" 및 "INSERT JSON"을 지원하며, `toJson()` 및 `fromJson()` 함수를 통해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1]

7. 분산 아키텍처

카산드라는 클러스터 통신을 위해 피어 투 피어 가십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노드들은 정기적으로 클러스터 상태 정보를 교환하며, 여기에는 노드 가용성 상태, 스키마 버전, 생성 타임스탬프(노드 부트스트랩 시간), 버전 번호(논리적 시계 값)가 포함된다. 이 시스템은 벡터 시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최신성을 추적하고 오래된 상태 데이터는 무시한다.[1]

7. 1. 시드 노드(Seed Nodes)

아파치 카산드라 아키텍처는 특정 노드를 "시드" 노드로 지정하여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1]

  • 클러스터 부트스트랩
  • 가십 통신 지점 역할 보장
  • 클러스터 단편화 방지
  • 서비스 검색을 통한 검색 가능 상태 유지


이러한 설계는 운영 지식의 클러스터 전체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단일 실패 지점을 제거한다.[1]

7. 2. 내결함성(Fault Tolerance)

카산드라는 클러스터 운영 중 노드 실패를 관리하기 위해 Phi 누적 장애 감지기를 사용한다.[15] 이 시스템을 통해 각 노드는 가십 통신 중에 다른 노드의 가용성을 독립적으로 평가한다. 노드가 응답하지 않으면 "유죄 판결"을 받고 쓰기 작업에서 제거되지만, 하트비트 신호를 재개하면 클러스터에 다시 참여할 수 있다.[1]

노드 중단 시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카산드라는 "힌트 핸드오프"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오프라인 노드에 쓸 때는 조정자 노드가 쓰기 데이터를 "힌트"로 임시 저장한다. 오프라인 노드가 다시 서비스를 시작하면 이러한 힌트가 전달되어 데이터 일관성을 복원한다. 특히 카산드라는 명시적인 관리적 폐기 또는 재구성을 통해서만 노드를 영구적으로 제거하여 임시 통신 오류나 재시작으로 불필요한 데이터 재분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1]

8. 관리 및 모니터링

카산드라는 자바 관리 확장(JMX)을 통해 관리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바 기반 시스템이다. JMX 호환 'Nodetool' 유틸리티는 카산드라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6] Nodetool은 디스크 사용량, 지연 시간, 압축, 가비지 수집 등에 관한 카산드라 메트릭을 반환하는 다양한 명령을 제공한다.[17]

2013년 카산드라 2.0.2 버전 출시 이후, 여러 메트릭의 측정값은 Dropwizard 메트릭 프레임워크를 통해 생성되며,[18] JConsole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JMX를 통해 쿼리하거나 Dropwizard 호환 리포터 플러그인을 통해 외부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19]

참조

[1] 서적 Cassandra: The Definitive Guide O'Reilly Media
[2] 웹사이트 Multi-datacenter Replication in Cassandra http://www.datastax.[...] DataStax 2013-07-25
[3] 웹사이트 Apache Cassandra Documentation Overview https://cassandra.ap[...] 2021-01-21
[4] 웹사이트 Facebook Releases Cassandra as Open Source http://perspectives.[...] 2009-06-04
[5] 웹사이트 Is this the new hotness now? http://www.mail-arch[...] Mail-archive.com 2010-03-29
[6] 웹사이트 Cassandra is an Apache top level project http://www.mail-arch[...] Mail-archive.com 2010-03-29
[7] 웹사이트 The meaning behind the name of Apache Cassandra http://kellabyte.com[...] 2016-07-19
[8] 웹사이트 About data consistency http://www.datastax.[...] 2013-07-25
[9] 웹사이트 The Schema Management Renaissance in Cassandra 1.1 http://www.datastax.[...] DataStax 2013-07-25
[10] 웹사이트 Schema in Cassandra 1.1 http://www.datastax.[...] DataStax 2013-07-25
[11] 웹사이트 What's new in Cassandra 0.7: Secondary indexes http://www.datastax.[...] DataStax 2013-07-25
[12] 웹사이트 About Deletes and Tombstones in Cassandra https://thelastpickl[...] 2016-07-27
[13] 웹사이트 DataStax C/C++ Driver for Apache Cassandra https://github.com/d[...] 2014-12-15
[14] 웹사이트 CQL https://cassandra.ap[...] 2016-01-05
[15] 간행물 The Φ Accrual Failure Detector
[16] 웹사이트 NodeTool https://wiki.apache.[...] 2016-01-05
[17] 웹사이트 How to monitor Cassandra performance metrics https://www.datadogh[...] Datadog 2016-01-05
[18] 웹사이트 Metrics https://wiki.apache.[...] 2016-01-05
[19] 웹사이트 Monitoring http://cassandra.apa[...] 2018-02-01
[20] 웹사이트 Cassandra Server Releases http://cassandra.apa[...] 2015-12-15
[21] 웹인용 Multi-datacenter Replication in Cassandra http://www.datastax.[...] DataStax 2013-07-25
[22] 웹인용 Solving Big Data Challenges for Enterprise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http://vldb.org/pvld[...] VLDB 2013-07-25
[23] 웹인용 Cassandra Server Releases http://cassandra.apa[...] 2015-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