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페피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페피 1세는 힉소스 시대에 활동한 파라오로, 그의 상 이집트 통치 여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룩소르에서 발견된 유물과 게벨레인에서 발견된 블록을 통해 상 이집트에서의 활동 흔적이 발견되지만, 학자들 사이에서는 힉소스 수도 약탈 이후 유물이 이동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상 이집트 통치에 대한 증거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아페피 1세는 네브케페쉬레, 아아케넨레, 아아우세르레 등 여러 프레노멘을 사용했으며, 그의 가족으로는 자매 타니와 지와트, 아들로 추정되는 왕자, 딸 헤리트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5왕조의 파라오 - 에파포스
    에파포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와 이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멤피스 시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파에톤과 경쟁했으며, 그의 가계는 리비아, 벨루스, 아게노르 등으로 이어지고, 현대적 해석에서는 불평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 이집트 제15왕조의 파라오 - 사키르-하르
    사키르-하르는 텔 엘-다바에서 발견된 문설주 비문을 통해 알려진 제15왕조 힉소스 왕 중 한 명으로, 이집트식 칭호와 힉소스 칭호를 함께 사용했으며 왕조 내 위치는 불분명하지만 키안의 후계자로 추정되기도 한다.
  • 기원전 16세기 파라오 - 에파포스
    에파포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와 이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멤피스 시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파에톤과 경쟁했으며, 그의 가계는 리비아, 벨루스, 아게노르 등으로 이어지고, 현대적 해석에서는 불평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6세기 파라오 -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1세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멘호테프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누비아와 시리아로의 군사 원정으로 이집트의 영향력을 확장하고 카르나크 신전 등 대규모 건축 사업을 통해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으며, 왕들의 계곡에 묻힌 최초의 파라오로 여겨진다.
아페피 1세
기본 정보
다른 이름이페피, 아포피스
아페피의 이름을 새긴 스카라베
아페피의 마지막 즉위명을 새긴 스카라베
통치 기간기원전 1575년경 – 기원전 1540년경 (35~40년)
왕조제15왕조
선임자키얀 또는 야나시
후임자카무디
배우자타니 (추정)
이름
호루스 이름세헤테프타위 (두 땅을 평정하는 자)
즉위명네브케페슈레 (힘의 주 라), 아켄엔레 (라의 힘은 위대하다), 아우세레 (라의 권능은 위대하다)
개인 이름이페피
가족 관계
자녀아페피 (왕자), 헤리트

2. 통치

아페피가 상 이집트를 통치했는지에 대해서는 이집트학에서 논란이 있다. 룩소르의 예술 시장에서 구입한 왕의 이름이 새겨진 단검과 출처가 불분명한 도끼에는 왕이 "수메누의 주, 소베크의 사랑을 받는 자"라고 불리고 있는데, 수메누는 오늘날 테베에서 남쪽으로 약 24km 떨어진 마하미드 키블리로 확인되며, 테베 묘에서 발견된 돌 그릇 조각도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상 이집트로 거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9]

게벨레인에서 발견된 왕의 이름이 새겨진 블록은 왕이 상 이집트에서 건축 활동을 했다는 증거로 힉소스가 상 이집트도 통치했다는 증거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블록은 크기가 크지 않으며, 많은 학자들은 오늘날 힉소스 수도 약탈 이후 게벨레인에 도달했을 수 있으며, 상 이집트에서의 힉소스 통치에 대한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19] 실제로 토착 이집트인에 의한 제17왕조가 다스리던 테베 주변 지역에서도 힉소스에 의한 건축 활동의 흔적이 보이며, 아페피의 이름을 새긴 인장은 멀리 누비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전기 금속(Electrum) 단검 손잡이로, 짧은 활과 칼로 사냥하는 병사를 묘사한 힉소스 파라오 아페피의 병사. 비문: "완벽한 신, 두 땅의 주, 네브케페쉬레 아페피"와 "그의 주 네헤멘의 추종자", 사카라의 매장에서 발견. 현재는 룩소르 박물관에 소장.


린드 수학 파피루스는 아페피 또는 아포피스 통치 33년에 해당하며, 토리노 왕 목록은 아포피스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힉소스 통치자에게 40년 이상을 할당하지만, 그의 이름은 누락되어 있다.[20]

2. 1. 상 이집트 통치 논란

아페피가 상 이집트를 통치했는지에 대해서는 이집트학에서 논란이 있다. 룩소르의 예술 시장에서 구입한 왕의 이름이 새겨진 단검과 출처가 불분명한 도끼에는 왕이 "수메누의 주, 소베크의 사랑을 받는 자"라고 불리고 있는데, 수메누는 오늘날 테베에서 남쪽으로 약 24km 떨어진 마하미드 키블리로 확인되며, 테베 묘에서 발견된 돌 그릇 조각도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상 이집트로 거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9]

린드 수학 파피루스는 아페피 또는 아포피스 통치 33년에 해당하며, 토리노 왕 목록은 아포피스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힉소스 통치자에게 40년 이상을 할당하지만, 그의 이름은 누락되어 있다.[20]

전기 금속(Electrum) 단검 손잡이로, 짧은 활과 칼로 사냥하는 병사를 묘사한 힉소스 파라오 아페피의 병사. 비문: "완벽한 신, 두 땅의 주, 네브케페쉬레 아페피"와 "그의 주 네헤멘의 추종자", 사카라의 매장에서 발견. 현재는 룩소르 박물관에 소장.[13][14]]]

게벨레인에서 발견된 왕의 이름이 새겨진 블록은 왕이 상 이집트에서 건축 활동을 했다는 증거로 힉소스가 상 이집트도 통치했다는 증거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블록은 크기가 크지 않으며, 많은 학자들은 오늘날 힉소스 수도 약탈 이후 게벨레인에 도달했을 수 있으며, 상 이집트에서의 힉소스 통치에 대한 증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19] 실제로 토착 이집트인에 의한 제17왕조가 다스리던 테베 주변 지역에서도 힉소스에 의한 건축 활동의 흔적이 보이며, 아페피의 이름을 새긴 인장은 멀리 누비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3. 이름

''네브케페쉬레''(nb ḫpš rˁ), ''아아케넨레''(ˁ3 ḳn n rˁ), 그리고 ''아아우세르레''(ˁ3 wsr rˁ)는 아페피 1세가 통치 기간 동안 사용한 세 개의 프레노멘 (왕위명)이다.[7]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한때 아페피라는 이름을 가진 두 명의 다른 왕이 있었다고 믿었지만, 현재는 카무디가 아바리스에서 아페피의 뒤를 이었고 아페피 또는 아포피스라는 이름을 가진 왕은 한 명뿐이었다는 것이 인정되었다.[8][9]

네브케페쉬레("레는 힘의 주인이시다")는 아페피의 첫 번째 프레노멘이었다. 통치 중반 무렵에 이 힉소스 통치자는 새로운 프레노멘인 아아케넨레("레의 힘은 위대하다")를 채택했다.[10] 아페피는 통치의 마지막 10년 동안 아아우세르레를 마지막 프레노멘으로 선택했다. 그의 호루스 이름인 ''세텝타위''는 두 번만 증명되었는데, 한번은 ''아-케넨-레''와 함께였다. 이 이름은 제물상[11]부바스티스에서 발견된 블록에 나타난다.[12]

아페피라는 탄생명에 수여된 즉위명에는 네브케페르라, 아켄엔라, 아우세르라의 3가지가 있다. 아우세르라 아페피는 아켄엔라 아페피 1세와는 다른 인물이며, 그 사후 왕위를 계승한 아페피 2세라고 가정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이 두 이름은 모두 한 인물이 사용한 이름이며, 아페피 왕의 후계자는 캄디라는 이름의 왕이었다는 설이 주류가 되어가고 있다.

4. 가족

아페피에게는 타니와 지와트라는 두 명의 자매가 있었다. 타니는 아바리스의 신전 문과 제물 테이블(베를린 22487)에 왕의 여동생으로 언급되어 있다. 지와트는 스페인에서 발견된 그릇에 언급되어 있다.[22]

베를린에 있는 봉인에 이름이 언급된 '아페피 왕자'는 그의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아페피에게는 헤리트라는 딸도 있었는데, 그녀의 것으로 추정되는 꽃병이 테베의 한 무덤(때때로 아멘호테프 1세의 무덤으로 여겨짐)에서 발견되었다.[23] 이는 헤리트가 테베의 왕과 결혼했을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이 꽃병은 아흐모세 1세가 힉소스를 최종적으로 몰아낸 후 아바리스에서 약탈한 물건일 수도 있다.

5. 종교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Chronology https://www.scribd.c[...]
[2]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4] 문서 Grimal, p.189
[5] 문서 Grimal, p.194
[6]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 1800-1550 B.C.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1997
[7] 웹사이트 Apophis: Titulary http://www.ancient-e[...] 2008-06-02
[8]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c.1800-1550 B.C. Museum Tusculanum Press
[9] 웹사이트 Kings of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http://www.digitaleg[...] University College London
[10] 웹사이트 Apophis:Titulary http://www.ancient-e[...] 2008-06-02
[11] 문서 Cairo Catalogue Generale 23073; Kamal, Tables d'offrandes I'', 61
[12] 문서 London BM 339
[13] 서적 Lives of the Ancient Egyptians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Limited 2013
[14] 서적 Annales du Service des antiquités de l'Egypte https://archive.org/[...] Le Caire : Impr. de l'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1900
[15] 문서 Grimal, p.193
[16] 문서 Ryholt, p.256
[17] 서적 Late-Egyptian Stories Fondation Egyptologique Reine Elisabeth
[18] 서적 Imagining the Past: Historical Fiction in New Kingdom Egyp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1
[19] 서적 Timelines, Studies in Honour of Manfred Bietak
[20] 웹사이트 Ryholt https://books.google[...]
[21] 서적 Ancient Gaza Chapter III: Scarabs Tell El Ajjul (London, 1933) London 1933
[22] 문서 Ryholt, p.256-267
[23] 간행물 Report on the tomb of Zeser-ka-ra Amenhetep I, discovered by the Earl of Carnavon in 1914
[24] 문서 "[[#クレイトン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