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폴로 소행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폴로 소행성군은 지구 궤도를 교차하는 소행성군으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 궤도와 교차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소행성군에 속하는 소행성들은 다양한 크기와 궤도를 가지며, 1932년 카를 라인무트가 발견한 아폴로가 최초로 발견된 소행성이다. 아폴로 소행성군에는 시시푸스, 이카루스, 토타티스, 벤누, 류구 등 주목할 만한 소행성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근지구천체 탐사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소행성들이 발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행성 목록 - 소행성 위성
    소행성 위성은 소행성 주변을 공전하는 천체로 이중, 삼중, 쌍 소행성 등으로 불리며, 2024년 7월 기준 545개가 등재되어 있고,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충돌 파편 형성, 중력 포획 등의 가설이 존재한다.
  • 소행성 목록 - 아티라 소행성군
    아티라 소행성군은 지구 궤도 안쪽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소행성 집단으로, 궤도 안정성은 코자이-리도프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으며, 수성이나 금성과의 근접으로 궤도가 섭동될 가능성이 있고, 금성 궤도 안쪽에서 공전하는 ꞌAylóꞌchaxnim 소행성군을 하위 분류로 갖는다.
  • 아폴로 소행성군 - 469219 카모오알레와
    469219 카모오알레와는 2016년 발견된 지구 근접 천체이자 준위성으로, 지구와의 특이한 궤도 관계와 달의 분출물 가능성 등으로 기원에 대한 연구 및 탐사 임무가 제안되고 있다.
  • 아폴로 소행성군 - 101955 베누
    101955 베누는 링컨 근지구 소행성 탐사에 의해 발견된 탄소질 근지구 소행성으로,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의 목표 천체였으며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험 천체로 분류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아폴로 소행성군
개요
종류지구 근접 천체
특징궤도가 지구 궤도와 교차
근일점 거리가 1.0167 천문단위 (au) 미만
궤도 특성
궤도 교차지구
근일점 거리 (q)< 1.0167 천문단위 (au)
관련 천체
관련 천체군지구 근접 소행성

2. 주요 아폴로 소행성 목록


2. 1. 초기 발견된 소행성

1862 아폴로와 2101 아도니스는 1930년대, 1685 토로와 1566 이카루스는 1940년대에 발견되었다. 1950년대에는 (29075) 1950 DA, 1620 지오그래포스, 4183 쿠노가 발견되었고, 1970년대에는 1866 시시포스, 2063 바쿠스, 4015 윌슨-해링턴이 발견되었다.

소행성 명칭발견 연도발견자/최초 관측 위치
1862 아폴로1932카를 라인무트
2101 아도니스1936외젠 조제프 델포르트
1685 토로1948칼 A. 비르타넨
1566 이카루스1949발터 바데
(29075) 1950 DA1950칼 A. 비르타넨
1620 지오그래포스1951앨버트 조지 윌슨, 루돌프 민코프스키
4183 쿠노1959쿠노 호프마이스터
1866 시시포스1972파울 빌트
2063 바쿠스1977찰스 T. 코왈
4015 윌슨-해링턴1979엘리너 F. 헬린


2. 1. 1. 1862 아폴로

1932년 카를 라인무트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아폴로 소행성군에서 최초로 발견된 소행성이다.[3] 지름은 약 1.5 ~ 1.7 km이다.

이름발견년도발견자지름
(추정: km)
1862 아폴로1932년카를 라인무트1.5 - 1.7


2. 1. 2. 1566 이카루스

1566 이카루스1949년 발터 바데가 발견한 소행성으로, 지름은 약 1km이다. 이 소행성은 태양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2. 1. 3. 1685 토로

1685 토로는 1948년 칼 A. 비르타넨이 발견한 소행성이다. 토로는 지구와 8:5 궤도 공명 관계에 있다.[3]

2. 1. 4. 1866 시시푸스

1866 시시포스는 지름이 약 8.5km로, 알려진 아폴로 소행성군 중 가장 큰 소행성 중 하나이다.[5] 1972년 파울 빌트가 발견했다.

2. 2. 최근 발견된 소행성

1980년대 이후,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근지구천체 탐사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많은 아폴로 소행성들이 발견되었다. 주요 발견 프로그램으로는 LINEAR, CSS, 스페이스워치 등이 있다.

다음은 최근에 발견된 주요 아폴로 소행성들이다.

이름발견 연도발견자
1566 이카루스1949년월터 바데
1620 지오그라포스1951년앨버트 윌슨, 루돌프 민코프스키
1685 토로1948년칼 와르타넨
1862 아폴로1932년칼 라인무트
1866 시시포스1972년파울 빌트
2063 바쿠스1977년찰스 토마스 코왈
2101 아도니스1936년외젠 조제프 델포르트
3200 파에톤1983년사이먼 그린, 존 K. 데이비스 / IRAS
윌슨-해링턴1949년앨버트 윌슨, 로버트 해링턴
4183 쿠노1959년쿠노 호프마이스터
4486 미트라1987년에릭 엘스트, 블라디미르 슈코도로프
4581 아스클레피우스1989년헨리 홀트, 노먼 G. 토마스
4660 네레우스1982년엘리너 F. 헬린
4769 카스탈리아1989년엘리너 F. 헬린
6489 고레브카1991년엘리너 F. 헬린
(20826) 2000 UV132000년미세이 우주 가드 센터
(29075) 1950 DA1950년칼 와르타넨
54509 YORP2000년LINEAR
69230 헤르메스1937년칼 라인무트
(343158) 2009 HC822009년카탈리나 천체 탐사
(367789) 2011 AG52011년레몬 산 천체 탐사
1998 KY261998년스페이스워치
1999 XS351999년LONEOS
(612901) 2004 XP142004년LINEAR
2005 HC42005년LONEOS
2007 VK1842007년카탈리나 천체 탐사
2008 TC32008년카탈리나 천체 탐사
2010 JL882010년사이딩 스프링 천체 탐사
2011 CQ12011년카탈리나 천체 탐사
2011 MD2011년LINEAR
2012 DA142012년라 사그라 천문대
2014 AA2014년레몬 산 천체 탐사
(488453) 2015 TB1452015년팬스타즈
(541294) 2024 PT52024ATLAS-SAAO
(529336) 2019 SU32019ATLAS-HKO
2016 WF92016NEOWISE
(671294) 2014 JO252014CSS
2013 FW132013CSS
2013 RH742013CSS
2011 EO402011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2010 AL302010LINEAR
(529366) 2009 WM12009CSS
2009 DD452009호주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
(386454) 2008 XM2008LINEAR
2008 FF52008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2007 TU242007CSS
2007 WD52007CSS
2007 OX2007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277810) 2006 FV352006스페이스워치
(394130) 2006 HY512006LINEAR
(292220) 2006 SU492006스페이스워치
(308635) 2005 YU552005R. S. 맥밀런, 스튜어드 천문대, 키트 피크, 미국
2005 WY552005마운트 레몬 관측소
(374158) 2004 UL2004LINEAR
(357439) 2004 BL862004LINEAR
(444004) 2004 AS12004LINEAR
2003 RW112003제임스 휘트니 영
2003 BV352003제임스 휘트니 영
(89958) 2002 LY452002LINEAR
(179806) 2002 TD662002LINEAR
(433953) 1997 XR21997LINEAR
(53319) 1999 JM81999LINEAR
(52760) 1998 ML141998LINEAR
(35396) 1997 XF111997스페이스워치
(175706) 1996 FG31996R. H. 맥노트,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 호주


2. 2. 1. 4179 토타티스

4179 토타티스는 불규칙한 모양과 복잡한 자전으로 유명한 소행성이다.[3] 1989년 크리스티앙 폴라스가 발견했으며, 크기는 4.26km × 2.03km × 1.7km이다.

2. 2. 2. 25143 이토카와

25143 이토카와는 1998년 LINEAR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이다. 하야부사 탐사선이 이 소행성을 탐사했으며, 한국 과학자들도 데이터 분석에 참여했다.[3] 이토카와의 지름은 0.33km이다.

2. 2. 3. 101955 베누

101955 베누는 1999년에 LINEAR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OSIRIS-REx 탐사선의 탐사 대상이었다.[3]

2. 2. 4. 162173 류구

162173 류구1999년 LINEAR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이다.

일본의 하야부사2 탐사선이 류구를 탐사했으며, 이 국제 협력에는 한국 연구진도 참여하고 있다.

2. 3. 주목할 만한 소행성

1866 시시푸스는 지름이 약 8.5km로 가장 큰 아폴로 소행성이다.[3] 그 외에 주목할 만한 아폴로 소행성은 다음과 같다.

소행성 명칭발견 연도발견자/최초 관측자 (A)비고
1862 아폴로1932카를 라인무트아폴로 소행성군의 이름이 붙여진 최초의 소행성
1566 이카루스1949발터 바데
1620 지오그래포스1951앨버트 조지 윌슨, 루돌프 민코프스키
1685 토로1948칼 A. 비르타넨
2063 바쿠스1977찰스 T. 코왈
2101 아도니스1936외젠 조제프 델포르트
3200 파에톤1983사이먼 F. 그린, 존 K. 데이비스 / IRAS
4015 윌슨-해링턴1979엘리너 F. 헬린
4179 토우타티스1989크리스티앙 폴라스
4183 쿠노1959쿠노 호프마이스터
4486 미트라1987에릭 엘스트, 블라디미르 시코드르프
4581 아스클레피우스1989헨리 E. 홀트, 노먼 G. 토마스
4660 네레우스1982엘리너 F. 헬린
4769 카스탈리아1989엘리너 F. 헬린
6489 골레프카1991엘리너 F. 헬린야르코프스키 효과가 처음 확인된 소행성
(136617) 1994 CC1994스페이스워치
(175706) 1996 FG31996R. H. 맥노트,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 호주
65803 디디모스1996스페이스워치
(433953) 1997 XR21997LINEAR
(35396) 1997 XF111997스페이스워치
25143 이토카와1998LINEAR탐사선이 착륙한 가장 작은 천체
(52760) 1998 ML141998LINEAR
1998 KY261998스페이스워치
101955 벤누1999LINEAROSIRIS-REx 임무의 목표
(137108) 1999 AN101999LINEAR
162173 류구1999LINEAR
(53319) 1999 JM81999LINEAR
1999 XS351999LONEOS원일점이 해왕성보다 바깥에 있으며, 다모클레스족으로도 분류
54509 YORP2000LINEARYORP 효과가 처음 확인된 천체
(179806) 2002 TD662002LINEAR
(89958) 2002 LY452002LINEAR
2003 RW112003제임스 휘트니 영
2003 BV352003제임스 휘트니 영
(143649) 2003 QQ472003LINEAR
(444004) 2004 AS12004LINEAR
(357439) 2004 BL862004LINEAR
(374158) 2004 UL2004LINEAR
(612901) 2004 XP142004LINEAR
2005 HC42005LONEOS가장 근일점이 태양에 가까운 소행성
2005 WY552005마운트 레몬 관측소
(308635) 2005 YU552005R. S. 맥밀런, 스튜어드 천문대, 키트 피크, 미국
(292220) 2006 SU492006스페이스워치
(394130) 2006 HY512006LINEAR
(277810) 2006 FV352006스페이스워치
2007 OX2007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2007 TU242007CSS
2007 WD52007CSS
2007 VK1842007CSS2014년 4월까지 토리노 척도 1로 판정되었으며, 당시 유일하게 레벨 0 이상인 천체
2008 FF52008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386454) 2008 XM2008LINEAR
2009 DD452009호주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
(529366) 2009 WM12009CSS
(343158) 2009 HC822009카탈리나 천체 탐사지구에 대한 상대 속도가 최대 81.05km/s로 가장 빠른 소행성
2010 AL302010LINEAR
2010 JL882010사이딩 스프링 천체 탐사가장 자전 주기가 짧은 소행성
2011 EO402011CSS–마운트 레몬 관측소
2011 MD2011LINEAR
(367789) 2011 AG52011레몬 산 천체 탐사발견 당시 토리노 척도 1로 판정
2012 DA142012라 사그라 천문대2013년에 지구의 정지 궤도 안쪽까지 들어온 소행성
2013 FW132013CSS
2013 RH742013CSS
2014 AA2014레몬 산 천체 탐사자동 감지로 발견되었지만, 이후 지구 대기권에 돌입하여 소멸한 것으로 추정
(671294) 2014 JO252014CSS
2015 TB1452015팬스타즈2015년 10월 31일에 지구에 0.00325AU까지 접근한 소행성
2016 WF92016NEOWISE
2019 SU32019ATLAS-HKO
2024 PT52024ATLAS-SAAO
(A)발견자:


2. 3. 1. (29075) 1950 DA

(29075) 1950 DA는 1950년 칼 A. 비르타넨이 발견한 소행성이다. 지름은 약 1.1km이며,[3] 2880년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3. 2. 2008 TC3

2008 TC3영어은 2008년에 발견되었으며,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기 전에 발견된 최초의 소행성이다.[5]

2. 3. 3. 2011 CQ1

은 2011년에 발견된 소행성으로, 지구에 매우 가까이 접근하여 궤도가 크게 변한 소행성이다. 이 소행성은 지구에 접근하면서 아텐군으로 궤도가 변경되었다.[3]

3. 한국의 소행성 연구 및 우주 감시 활동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어진 요약("한국은 소행성 연구와 우주 감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만을 바탕으로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가 있어야만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아무런 출력도 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즉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mall-Body Database Query https://ssd.jpl.nasa[...] NASA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24-10-11
[2] 웹사이트 List of Apollo Minor Planets https://minorplanetc[...] Center for Astrophysics 2024-10-11
[3] 간행물 The Spacewatch Project http://spacewatch.lp[...] Arizona Board of Regents 2010
[4] 웹인용 JPL Small-Body Database Search Engine https://ssd.jpl.nasa[...] JPL/NASA 2018-12-04
[5] 간행물 The Spacewatch Project http://spacewatch.lp[...] Arizona Board of Regent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