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피아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피아노스는 2세기 중반에 활동한 로마의 역사가이다.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저서 《로마사》는 로마의 역사를 다룬다. 이 책은 원래 24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절반 정도만 남아있다. 특히 로마의 내전을 다룬 부분과, 로마가 다른 국가들과의 전쟁을 기록한 《외국 전쟁사》가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아피아노스의 저작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으며, 로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이집트 사람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이집트 사람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2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그리스계 이집트인으로, 천문학, 지리학, 점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대표 저서로는 《알마게스트》, 《지리학》, 《테트라비블로스》 등이 있다. - 2세기 역사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역사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에퀴테스 - 가이우스 마리우스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기원전 157년경 아르피눔 출신의 로마 장군이자 정치가로, 군사 개혁과 전쟁 승리로 명성을 얻었지만 권력 투쟁으로 로마 내전을 촉발하는 등 논란이 많은 인물이다. - 고대 로마의 에퀴테스 -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는 1세기 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로마의 지배를 확장하고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서 칼레도니아인들을 격파했으며, 93년에 사망했다.
아피아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아피아누스 알렉산드리누스 |
출생 | 기원후 95년경 |
출생지 | 로마령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사망 | 기원후 165년경 (약 70세) |
사망지 | 로마 |
직업 | 역사학자, 변호사 |
이름 | |
그리스어 | Ἀππιανὸς Ἀλεξανδρεύς (Appianòs Alexandreús) |
라틴어 | Appianus Alexandrinus |
2. 생애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아피아노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자서전을 썼지만 거의 완전히 유실되었다.[3] 아피아노스에 대한 정보는 그의 저술과 친구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의 편지에서 추출되었다.[4] 그러나 아피아노스가 서기 95년경 로마 이집트의 수도인 알렉산드리아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의 부모가 아들의 교육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로마 시민이었으므로, 아피아노스는 부유한 상류층에 속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아피아노스는 120년에 로마로 이주하여 변호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저서 《로마사》의 서문에서 그는 "황제 앞에서 로마에서 변론했다"고 자랑한다. 그가 연설했다고 주장하는 황제는 하드리아누스 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였을 것이고, 확실히 안토니누스 피우스였을 것이다. 왜냐하면 아피아노스는 트라야누스 통치 말기(117년)까지는 이집트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의 편지에서, 147년부터 161년 사이에 공동 통치 기간 동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그의 형제 루키우스 베루스를 대신하여 아피아노스가 속주 총독 직위를 받는 요청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피아노스가 이 직위를 얻었지만, 그것이 실제 직업이었는지 명예 칭호였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른 확실한 생애 관련 자료는 아피아노스의 《로마사》가 162년 이전에 출판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 시대에 대한 몇 안 되는 주요 역사적 자료 중 하나이다.
3. 저작
아피아노스는 2세기 중반 무렵에 그의 역사서를 쓰기 시작했다. 그의 저작은 크게 『로마사』와 『외국 전쟁사』로 나뉜다.
『로마사』는 원래 24권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역사서였으나, 현재는 절반 가량만이 남아있다. 6~7권, 8권의 대부분, 9권, 11권, 그리고 12~17권이 남아있고, 나머지는 단편만 보존되어 있거나 완전히 유실되었다.[5]
『외국 전쟁사』는 로마가 역사 전반에 걸쳐 다른 문화와 벌인 전쟁을 다룬 역사서이다. 이 책은 민족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독자들이 로마와의 관계에 의해서만 연결된 사건들의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5]
3. 1. 로마사
아피아노스는 2세기 중반 무렵에 그의 역사서인 『로마사』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원래 24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분량이었으나, 현재는 절반 가량만이 남아있다. 남아있는 부분은 6~7권, 8권의 대부분, 9권, 11권, 12~17권이다. 1~5권, 8권과 9권의 나머지 부분은 단편만 보존되어 있으며, 10권과 18~24권은 완전히 유실되었다.[5]
3. 1. 1. 내란기
『내란기』는 원래 『로마사』 24권 중 13~17권에 해당한다. 이 역사서는 그라쿠스파의 호민관 시대부터 마리우스, 술라,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내전을 거쳐 제2차 삼두정치 시대까지의 로마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이 다섯 권은 로마 국가가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그 뒤에 벌어진 내전과 군사적 갈등에 대한 몇 안 되는 포괄적인 역사서 중 하나라는 점에서 두드러진다.[5]
아피아노스 외에도 이 시기는 다양한 세부 사항과 관점을 가진 소수의 고대 작가들에 의해서도 다루어졌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는 그의 개인적인 관찰, 주로 군사적인 면을 기록하고 있다. 플루타르코스의 로마 전기들은 후기 공화정 시대의 주요 지도자들의 삶을 스케치하고 있으며, 플루타르코스가 흥미롭게 생각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서는 피상적인 설명만 제공한다. 로마 작가 벨레이우스의 역사는 로마 건국부터 서기 29년까지의 로마 역사를 다룬다. 이 역사는 후기 공화정과 초기 제정 시대에 더 상세하며, 그 이전의 역사는 요약되어 있다. 플로루스의 《로마사 요약》 역시 신화 시대부터 서기 5세기까지의 로마 역사를 매우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역사도 갈리아 전쟁까지의 로마 역사를 다루지만, 기원전 300년경 이후 그의 역사는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
3. 1. 2. 외국 전쟁사
아피아노스의 역사서 중 대부분이 남아 있는 또 다른 작품은 ''외국 전쟁사''이다. 이 역사서는 로마가 역사 전반에 걸쳐 다른 문화와 벌인 전쟁을 묘사하고 있다. 주로 남아있는 이 작품은 다음의 내용을 담고 있다.[5]
또한, 다음의 내용을 다루는 몇몇 작은 단편도 남아있다.[5]
특히 이 작품의 민족지학적 구조가 눈에 띈다. 아피아노스는 독자들이 로마와의 관계에 의해서만 연결된 사건들의 순서를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 관한 장에서는 로마가 한니발과의 전쟁 중 스페인에 처음 개입한 사건부터 시작하여 스페인에서의 로마 역사를 연대기순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책은 이어서 스페인의 여러 지역에 대한 로마의 정복, 스페인 부족과의 전쟁, 그리고 누만티아 전쟁에 대해 서술한다. 스페인에 관한 장은 대략 기원전 61년 세르토리우스와의 전쟁으로 끝을 맺는다. 마찬가지로 한니발 전쟁에 관한 장에서는 제2차 포에니 전쟁 동안 이탈리아 반도에서 벌어진 전투만을 서술하는 반면, 포에니 전쟁에 관한 장에서는 제1차 및 제2차 포에니 전쟁 동안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난 모든 사건을 서술한다.
현재 완전히 유실된 책들 중에는 다음의 내용을 다룬 책들이 있었다.[5]3. 2. 다른 관점
아피아노스 외에도, 이 시기는 다양한 세부 사항과 관점을 가진 소수의 고대 작가들에 의해서도 다루어졌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는 그의 개인적인 관찰, 주로 군사적인 면을 기록하고 있다. 플루타르코스의 로마 전기들은 후기 공화정 시대의 주요 지도자들의 삶을 스케치하고 있으며, 플루타르코스가 흥미롭게 생각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서는 피상적인 설명만 제공한다. 로마 작가 벨레이우스의 역사는 로마 건국부터 서기 29년까지의 로마 역사를 다룬다. 이 역사는 후기 공화정과 초기 제정 시대에 더 상세하며, 그 이전의 역사는 요약되어 있다. 플로루스의 《로마사 요약》 역시 신화 시대부터 서기 5세기까지의 로마 역사를 매우 간략하게 다루고 있다. 디오도로스의 역사도 갈리아 전쟁까지의 로마 역사를 다루지만, 기원전 300년경 이후 그의 역사는 단편적으로 남아 있다.[5]
4. 판본
Appiani Alexandrini Historia Publio Candido interprete Ac praeterea Anonymi Compendium historiae ab excessu Constantini usque ad Ioannem XXIIIla 세계 디지털 도서관 (아피아노스의 역사를 라틴어로 번역)[1]
; 판본
- ''초판본'', 1551년
- 슈바이거이저, 1785년
- 베커, 1852년
- 루드비히 멘델스존, 1878–1905년, ''Appiani Historia Romana'', 로이프니츠 테우브네리아나
- 폴 구코프스키, 1997–, ''Appien. Histoire romaine'' (그리스어 원문, 프랑스어 번역, 주석), 콜렉션 뷔데
- 카르사나, 키아라 (ed.). ''Commento storico al libro II delle Guerre Civili di Appiano (parte I)''. 피사: Edizioni ETS, 2007. 309 pp. (파비아 대학교 문학부 출판물, 116).
; 영어 번역
- W. B., 1578년 (고딕체) – 아마도 윌리엄 바커 – 셰익스피어가 사용
- J. D[avies], 1679년
- 호레이스 화이트, 1899년 (본의 고전 라이브러리);
- 제임스 레이 스트라찬-데이비슨, 1902년, 제1권 편집.
- 존 카터 번역, 도서 XIII–XVII (내전), 펭귄, Harmondsworth, 1996년
참조
[1]
서적
Appian's Roman History
https://archive.org/[...]
The Loeb Classical Library
[2]
백과사전
[3]
문서
Appian Proem. 62
[4]
서적
"A Commentary on the Letters of M. Cornelius Fronto"
Brill
[5]
백과사전
Appian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