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는 16세기 종교 개혁 시기에 활동한 신학자이자 성경 번역가이다. 뉘른베르크에서 루터교 신앙을 선언하고 종교 개혁에 참여했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저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의 출판을 감독하며 서문을 추가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칭의론에서 그리스도의 신성이 인간에게 주입됨으로써 의롭게 된다는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하여 마르틴 루터, 장 칼뱅 등과 대립했다. 오시안더는 기독교 신비주의 전통에 속하며, 신자가 의롭게 되는 것은 그리스도가 그 안에 거주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크리스티안 골트바흐
    크리스티안 골트바흐는 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 출신의 수학자로, 당대 수학자들과 교류하며 수학 연구에 기여했고, 특히 골드바흐 추측으로 유명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에서 활동하고 러시아 정부에서 공헌했다.
  • 프로이센 공국 출신 - 프리드리히 1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1세는 호엔촐레른 가문 출신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군사 지원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프로이센 왕국을 건국하고 초대 국왕이 되었으며, 예술과 학문을 후원하여 프로이센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498년 출생 - 정언각
    정언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33년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정미사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여러 도의 관찰사를 지냈다.
  • 1498년 출생 - 미라 바이
    미라 바이는 크리슈나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을 노래한 인도의 시인이자 성자로, 라지푸트 왕족 출신으로 메와르 왕가의 며느리가 되었으나 남편과 시아버지의 죽음 후 크리슈나 신앙에 귀의하여 시를 짓고 노래하며 바크티 운동의 정신을 보여주었다.
  • 16세기 독일 작가 - 요하네스 브렌츠
    요하네스 브렌츠는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에 참여하여 슈바비슈 할에서 종교 개혁을 주도하고, 독일 농민 전쟁 당시 질서를 옹호했으며, 《뷔르템베르크 신앙 고백》 준비, 성경 주해, 회의 참여, 칼뱅주의와의 논쟁, 편재설 옹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종교 개혁 확산에 기여하고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교회 및 교육 재조직에 헌신한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이다.
  • 16세기 독일 작가 - 요한 피스카토르
    요한 피스카토르는 독일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라무스주의 교육자로,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카시미리아눔 노이슈타트 등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헤르보른 아카데미에서 라무스주의 교육학을 발전시키고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반박했으며 성경 번역 및 주석 작업에도 기여했다.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기본 정보
안드레아스 오시안더
출생일1498년 12월 19일
출생지군첸하우젠, 안스바흐 공국
사망일1552년 10월 17일
사망지쾨니히스베르크, 프로이센 공국
교단루터교
교육잉골슈타트 대학교 (학위 없음)
서품1520년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정보 없음
부모정보 없음
상세 정보
다른 이름정보 없음
저서정보 없음
소속 교회정보 없음
직위정보 없음
직함정보 없음
주석정보 없음

2. 생애

오시안더는 프랑켄 지역 안스바흐 공국 군젠하우젠에서 태어나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520년 뉘른베르크에서 가톨릭 사제 서품을 받았다.[1] 그는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녀원에서 히브리어를 가르쳤으며, 1522년에는 성 로렌츠 교회에 임명되어 루터교 신자임을 공개적으로 밝혔다.[1] 제1차 뉘른베르크 제국 회의에서 프로이센의 알브레히트를 루터교로 개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525년에는 뉘른베르크 시가 종교 개혁을 받아들이는 데 기여했고, 같은 해 결혼했다.[1]

마르부르크 회담(1529),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1530), 슈말칼덴 조항 서명(1531)에 참여했다.[1]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정(1548) 이후 뉘른베르크를 떠나 브로츠와프(브레슬라우)를 거쳐 1549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칼리닌그라드(쾨니히스베르크)에서 1552년 사망할 때까지 생활했다.[1]

아들 루카스(1534–1604)와 두 손자 안드레아스(1562–1617), 루카스(1571–1638)는 신학자로 활동했다.[1] 조카 마르가레테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와 결혼했다.[1]

2. 1. 초기 생애와 활동

프랑켄 지역 안스바흐 공국 군젠하우젠에서 태어난 오시안더는 잉골슈타트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520년 뉘른베르크에서 가톨릭 사제 서품을 받았다.[1] 같은 해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녀원에서 히브리어 교사로 일하기 시작했다.[1] 1522년, 뉘른베르크의 성 로렌츠 교회에 임명되었으며 동시에 공개적으로 자신이 루터교도임을 선언했다.[1] 제1차 뉘른베르크 제국 회의 (1522) 동안 프로이센의 알브레히트를 만나 그를 루터교로 개종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525년 뉘른베르크시가 종교 개혁을 채택하게 된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같은 해 결혼했다.[1]

2. 2. 종교 개혁 활동

오시안더는 마르부르크 회담 (1529),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 (1530), 슈말칼덴 조항 서명 (1531)에 참석했다.[1] 1548년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정으로 인해 뉘른베르크를 떠나 브로츠와프(브레슬라우)에 정착했고, 1549년 프로이센의 알브레히트에 의해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어 칼리닌그라드(쾨니히스베르크)에 정착했다.[1] 그는 1552년 사망할 때까지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생활하고 일했다.[1]

2. 3. 가족 관계

오시안더의 아들 루카스 (1534–1604)와 손자 안드레아스 (1562–1617) 및 루카스 (1571–1638)도 신학자로 활동했다. 그의 조카 마르가레테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와 결혼했다.[1]

3. 주요 저작 및 활동

오시안더는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서 다양한 저술과 활동을 통해 16세기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불가타 성경 편집 및 출판''': 1522년, 주석을 추가한 수정 불가타 성경을 출판했다.
  • '''브란덴부르크-뉘른베르크 교회 규정 참여''': 1533년, 브란덴부르크-뉘른베르크 교회 규정 출판에 참여하여 자료 제공과 최종 편집을 담당했다. 이 규정집은 루터의 소 교리문답의 열쇠 부분을 포함한 최초의 작품으로, 오시안더가 저자로 추정된다.
  • '''복음 조화(Harmoniae Evangelicae) 저술''': 1537년, 복음서 간의 내용 차이를 조화시키기 위해 복음 조화를 저술했다.
  •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서문 추가''': 1543년,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출판을 감독하면서, 책 내용이 반드시 참이 아니며 계산 목적으로 유용하다는 서문을 추가했다. 이는 코페르니쿠스의 생각과 달랐으며, 익명으로 추가되었기 때문에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 '''칭의론 논쟁''': 1550년, ''De Lege et Evangelio''와 ''De Justificatione''라는 두 논문을 통해 칭의가 그리스도의 신성이 인간에게 주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독자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는 마르틴 루터장 칼뱅의 칭의론과 다른 견해였다.

3. 1. [[성경]] 번역 및 편집

오시안더는 1522년 주석을 추가한 수정 불가타 성경을 출판했다.[2] 1533년에는 브란덴부르크-뉘른베르크 교회 규정(Brandenburg-Nuernbergische Kirchenordnung vom Jahre 1533) 출판에 참여했는데, 자료 제공과 최종 편집을 담당했다.[2] 이 규정집은 루터의 소 교리문답의 열쇠 부분을 포함한 최초의 작품으로, 오시안더가 저자로 추정된다.[2]

1523년판 불가타 성경 표지


1537년에는 복음 조화(Harmoniae Evangelicae)를 저술하여 복음서 간의 차이를 조화시키려 했다.[2] 그는 성경의 영감에 대한 견해 때문에, 유사한 사건이 여러 번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복음서 간의 거의 모든 차이를 다루었다.[2] 예를 들어, 여리고에서 맹인들을 치유하는 네 개의 별개의 사건, 베드로가 불을 쬔 것 네 번, 야이로의 딸이 죽었다가 살아난 사건 두 번, 예수께서 재판에서 가시 면류관을 쓰신 일 두 번 등이 있었다고 주장한다.[2]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은 이러한 오시안더의 접근 방식에 동의하지 않았다.[2]

3. 2.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서문 추가 논란

1543년, 오시안더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쓴 책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의 출판을 감독하면서, 책에 묘사된 모델이 반드시 참이거나 심지어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것도 아니고, 계산 목적으로 유용하다고 제안하는 서문을 추가했다. 이것은 코페르니쿠스의 생각과는 분명히 달랐으며, 그는 이 추가 사항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3] 오시안더는 서문에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이 코페르니쿠스 자신이 자신의 가설이 실제로 참이라고 믿지 않았다고 생각했다.[3][4]

3. 3. 칭의론 논쟁

오시안더는 1550년에 ''De Lege et Evangelio''와 ''De Justificatione''라는 두 논문을 출판하여 칭의론 논쟁을 일으켰다.[5] 그는 이 논문들에서 칭의가 그리스도의 신성이 인간에게 주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독자적인 주장을 펼쳤다.[5] 이는 마르틴 루터장 칼뱅의 칭의론과는 상반되는 것이었다. 루터는 칭의를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에게 전가(轉嫁)되는 것으로 보았고, 칼뱅은 믿음으로 말미암는 칭의를 주장했다.

오시안더의 주장은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루터교의 근본적인 반대에는 동의하는 것이었지만, 구체적인 칭의 방식에 있어서는 루터나 칼뱅과 다른 견해를 보였다. 그의 칭의론은 사후 그의 사위인 요한 푼크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1566년 이후로는 사라졌다.[6]

일부 학자들은 오시안더의 칭의론이 동방 정교회의 신격화 교리와 유사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6][7] 투오모 마네르마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루터 자신의 초기 칭의론이 후기 루터교의 입장보다 오시안더의 견해에 더 가까웠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

4. 신학

그의 신학은 기독교 신비주의의 하나로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말씀의 신비적 연합과 관련이 있다. 그는 신자의 칭의가 그 사람 안에 그리스도가 거함으로 인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8] 루터가 칭의에 대해 하나님의 은혜가 전가된 것이라는 주장에 반하여, 오시안더는 신자의 의로움은 하나님의 내주함으로 인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칼뱅기독교 강요 3권 11장 6에서, 멜란히톤도 오시안더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였다.[8]

4. 1. 기독교 신비주의

오시안더의 신학은 기독교 신비주의 전통에 속하며,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말씀과의 신비적 연합을 강조했다.[8] 그는 신자의 칭의가 그 사람 안에 그리스도가 거함으로 인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8] 루터와 달리, 오시안더는 신자의 의로움은 하나님의 내주함으로 인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8] 칼뱅기독교 강요 3권 11장에서, 멜란히톤도 오시안더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였다.[8] 플라키우스는 하나님이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순종 행위로 우리를 의롭게 하시는 것이지, 우리 안에 계심으로써가 아니라는 반대 견해를 제시하였다.[9]

4. 2. 칭의론

오시안더는 신자의 칭의가 그리스도가 그 사람 안에 내주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가 전가됨으로써 칭의가 이루어진다는 마르틴 루터의 견해와 대립했다.[8] 장 칼뱅기독교 강요 3권 11장 6에서 오시안더의 칭의론을 비판했다. 필리프 멜란히톤마티아스 플라키우스도 오시안더의 견해에 반대했다.[9] 플라키우스는 하나님이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순종 행위로 우리를 의롭게 하시는 것이지, 우리 안에 계심으로써가 아니라고 주장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Religious Encyclopedia, "Andreas Osiander" http://www.ccel.org/[...]
[2] 서적 The Synoptic Problem: An Introduction Baker Book House 1992
[3] 서적 Cosmos: An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서적 A Short History of Scientific Thought Palgarve Macmillan 2012
[5] 웹사이트 Calvin, John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http://www.ccel.org/[...]
[6] 웹사이트 Union With Christ: The New Finnish Interpretation of Luther http://www.firstthin[...] 2014-05-02
[7] 웹사이트 What Luther Didn't Mean https://www.academia[...] 2014-05-02
[8]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Abingdon Press 1975
[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Abingdon Press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