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는 185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볼로스코에서 태어난 크로아티아의 과학자이다. 그는 기상학 및 지진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지진파의 굴절과 반사를 연구하여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구분하는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지진파 속도를 계산하는 모호로비치치 법칙을 제안하고, 내진 설계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는 등 지진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분화구, 소행성 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과학자 - 블라디미르 바리차크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쌍곡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하고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속도 조합을 쌍곡 공간에서 재해석하여 상대성 이론의 기하학적 해석에 기여했으며, 루제르 보슈코비치의 삶과 업적을 연구한 크로아티아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초상화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초상화
출생일1857년 1월 23일
출생지오파티야, 오스트리아 해안 지방, 오스트리아 제국
사망일1936년 12월 18일
사망지자그레브, 사바 관구, 유고슬라비아 왕국
로마자 표기Andrija Mohorovičić
학력
모교프라하 대학교
경력
직업지구물리학
근무 기관자그레브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발견
영향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의 에포님

2. 생애 초기

모호로비치치의 출생지인 볼로스코 집


1880년경의 모호로비치치


체코 프라하 클레멘티눔에 있는 모호로비치치 기념 명판의 세부 모습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는 1857년 오파티야의 볼로스코에서 닻을 만드는 대장장이였던 아버지 안드리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고향에서 초등 교육을 받은 후, 인근 리예카의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 1875년 프라하의 철학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에른스트 마흐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5세에 이탈리아어, 영어, 프랑스어를 구사했으며, 이후 독일어,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를 배웠다. 젊은 시절 바다를 사랑했던 그는 선장의 딸 실비야 베르니치와 결혼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3. 교육 경력

모호로비치치는 먼저 자그레브의 고등학교에서 1879년부터 1880년까지 가르쳤고, 그 다음에는 오시예크의 중등학교에서 가르쳤다. 1882년부터 9년 동안 리예카 근처 바카르의 왕립 해사 학교에서 가르쳤는데, 그곳에서의 작업은 그의 이후 과학 경력에 중요했다. 1893년부터 자그레브 대학교 철학부의 통신 회원이 되었고, 1917년부터 1918년까지 지구물리학천문학 분야를 가르쳤다. 1898년에는 당시 자그레브에 있던 유고슬라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정회원이 되었고, 그곳에서 개인 강사로 활동했다. 1910년에는 정식 부교수가 되었다.

4. 기상학 분야 활동

모호로비치치는 바카르에서 왕립 항해 학교에서 기상학을 가르치면서 처음으로 기상학을 접했다. 1887년 지역 기상 관측소를 설립했고,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에서 강수량을 관측하기 위한 기기를 발명하고 제작했다. 1891년 본인의 요청으로 자그레브의 중등학교로 전근되었고, 1892년 그리치의 기상 관측소장이 되어 크로아티아 전역의 기상 서비스를 구축하는 동시에 대학교에서 지구물리학천문학을 가르쳤다.

1892년 3월 13일, 노브스카에서 50명의 승객이 탄 13톤의 철도 차량을 30m나 날려 보낸 토네이도를 관측했다. 1898년 차즈마 근처에서 "비호르"(회오리 바람)를 관측하고 자그레브의 기후를 연구했다. 모호로비치치는 북부 아드리아 해에서 보라 바람이 불 때 수평축을 가진 대기 회전을 처음으로 묘사했다.[4] 1901년 마지막 기상학 논문에서 고도에 따른 대기 온도 감소에 대해 논의했다. 구름 관찰은 자그레브 대학교에 제출되어 1893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은 그의 박사 학위 논문 ''구름 관찰, 바카르의 일일 및 연간 구름 주기''의 기초가 되었다.

5. 지진학 분야 활동

1909년 포쿠플레 지진을 계기로 모호로비치치는 지진파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각과 맨틀 사이에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모호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지진파 속도 변화를 설명하는 모호로비치치 법칙을 제시하고, 지진 진앙 결정 방법을 개발했다.[8] 또한, 지진파 이동 시간 곡선을 만들었으며,[9][10] 새로운 지진계 제작을 제안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11]

5. 1.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발견

1909년 10월 8일, 자그레브에서 남동쪽으로 39km 떨어진 포쿠플레 지역에서 진앙을 둔 지진이 발생했다. 모호로비치치는 여러 지진계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진파가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처럼 반사 및 굴절되며, 종파횡파가 서로 다른 속도로 지구 내부를 통과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지진파 자료를 분석하여 지구가 핵 위에 여러 층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지각과 맨틀을 구분하는 불연속면을 최초로 규명했다. 이 경계면은 현재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또는 줄여서 '모호면')이라고 불린다.[5]

모호로비치치는 층상 구조가 지진파 속도가 변하는 깊이와 지각 및 맨틀 암석 간의 화학적 조성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이 데이터를 통해 상부층(지각)의 두께를 54km로 추정했다.[5] 이후 지구물리학자들은 지각의 두께가 해저 아래에서는 5~9km, 판 위에 놓인 대륙 아래에서는 25~60km라는 것을 밝혀냈다.

지구 내부 구조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모든 대륙과 해양 아래에서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5. 2. 모호로비치치 법칙

1909년 10월 8일, 자그레브에서 남동쪽으로 39km 떨어진 포쿠플레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과 여러 지진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호로비치치는 지진파가 지구 내부의 서로 다른 물질 경계에서 반사 및 굴절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종파횡파가 서로 다른 속도로 지구를 통과하며, 지구가 핵 위에 여러 층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통해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구분하는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모호면)을 처음으로 규명했다.[5]

모호로비치치는 지진파의 속도가 깊이에 따라 증가한다고 보았으며, 그가 지진파의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제안한 함수를 모호로비치치 법칙이라고 한다.[6][7]

6. 내진 설계 연구

모호로비치치는 1909년 건축가와 건설업자에게 내진 설계 표준을 따를 것을 권장하는 강의를 했다. 그는 내진 설계의 기본 원칙을 설정하는 데 있어 시대를 앞서갔다.[12] 그의 이론은 선구적이었으며, 지진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 심발 지진, 지진 진앙 위치, 지구 모델, 지진계, 풍력 에너지 활용, 우박 방어 및 지구과학과 관련된 기타 요소에 대한 상세한 관찰을 통해 수년이 지난 후에야 진정으로 이해되었다.

7. 업적 및 영향

모호로비치치는 지구과학, 특히 지진학기상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과학자이다. 1909년 10월 8일, 포쿠플레 지역 지진의 지진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진파가 서로 다른 물질 경계에서 반사 및 굴절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구분하는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모호면)을 최초로 규명했다.[5] 그는 지진파 속도 계산 함수(모호로비치치 법칙)를 제안하고,[6][7] 지진 진앙 결정 방법을 개발했다.[8] 또한 지면 수평 운동 기록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지진계 제작을 제안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11]

모호로비치치는 내진 설계의 기본 원칙을 설정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12] 그의 이론은 지진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 심발 지진, 지구 내부 구조 등에 대한 상세한 관찰을 통해 후대에 와서야 진정으로 이해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달의 뒷면에 있는 모호로비치치 분화구, 크로아티아 해군의 학교 배, 리예카의 체육관, 소행성 8422 모호로비치치가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roatian earthquakes – Discovery of the Mohorovičić (Moho) discontinuity https://geoera.eu/bl[...] 2022-11-04
[2] 웹사이트 Andrya (Andrija) Mohorovicic https://www.e-educat[...] Penn State 2021-01-30
[3] 웹사이트 Mohorovičić, Andrija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2021-01-30
[4] 간행물 Early Observations of Rotor Clouds by Andrija Mohorovičić
[5] 간행물 Das Beben vom 8. X. 1909 https://archive.org/[...] 1910
[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Seismology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7] 웹사이트 Discontinuity http://www.gfz.hr/so[...] 2015-01-20
[8] 뉴스 Die Bestimmung des Epizentrums eines Nahbebens
[9] 뉴스 Hodograph der normalen P-Wellen fur eine mittlere Herdtiefe
[10] 뉴스 Hodograph der ersten longitudinalen Wellen eines Bebens (emersio undarum primarum)
[11] 뉴스 Principles and construction of a seismograph, and a proposal for construction of a new seismograph for recording of horizontal component of ground motion (Principi konstrukcije sismografa i prijedlog za konstrukciju nova sismografa za horizontalne komponente gibanja zemlje)
[12] 뉴스 The effects of earthquakes on buildings (Djelovanje potresa na zgra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