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바리차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1865년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난 세르비아인으로,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수학 교수로 재직하며 1942년 사망했다. 그는 쌍곡선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했으며, 아인슈타인과 길이 수축에 대한 해석 차이로 서신을 주고받았다. 또한 비유클리드 기하학적 해석을 통해 상대성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루제르 보슈코비치의 삶과 작품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물리학자 -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는 18세기 다방면에서 활동한 학자로, 천문학, 물리학, 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원자론과 힘 이론을 제시하여 현대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고, 예수회, 로마 대학교, 외교관, 파비아 대학교, 브레라 천문대 등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사상은 니체의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
  • 유고슬라비아의 과학자 -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크로아티아의 지진학자이자 기상학자인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는 지진파 분석을 통해 지각과 맨틀 사이의 불연속면인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을 발견하고 내진 설계 표준을 제시하는 등 지구과학 분야에 기여했다.
  • 크로아티아의 수학자 -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
    루제르 요시프 보슈코비치는 18세기 다방면에서 활동한 학자로, 천문학, 물리학, 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원자론과 힘 이론을 제시하여 현대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고, 예수회, 로마 대학교, 외교관, 파비아 대학교, 브레라 천문대 등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사상은 니체의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
  • 크로아티아의 수학자 - 즈보니미르 얀코
    즈보니미르 얀코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수학자이며, 얀코 군 J1, J2, J3, J4를 발견했다.
블라디미르 바리차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블라디미르 바리차크
출생일1865년 3월 1일
출생지오토차크, 오스트리아 제국
사망일1942년 1월 17일
사망지자그레브, NDH
직업수학자
물리학자

2. 생애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1865년 3월 1일 오스트리아 제국(현재의 크로아티아) 오토차크 근처 슈비차 마을에서 세르비아인으로 태어났다. 1883년부터 1887년까지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물리학수학을 공부했다. 1889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95년에 교수 자격 심사를 통과했다. 1899년 자그레브에서 수학 교수가 되어 1942년 사망할 때까지 강의했다.[3]

1903년부터 1908년까지 쌍곡선 기하학(또는 볼리아이로바쳅스키 기하학)에 관해 글을 썼고, 1910년에는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4]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길이 수축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바리차크는 길이 수축을 객관적인 현상으로 본 반면, 아인슈타인은 "겉보기" 현상(심리적 현상)으로 보았다.[7]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해석이 로런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고 반박했다.[8]

바리차크는 루제르 보슈코비치의 삶과 작품에 학술적으로 기여했으며, 특히 보슈코비치의 논문 "공간과 시간"을 편집하여 출판했다. 그는 이 논문이 공간, 시간, 운동의 상대성에 관한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11]

그는 유고슬라비아 과학예술아카데미, 체코 과학아카데미, 세르비아 과학예술아카데미 등 여러 학회의 회원이었다. 또한 주로 쿠레파의 대학교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1865년 3월 1일 오스트리아 제국(현재의 크로아티아) 오토차크 근처 슈비차 마을에서 세르비아인으로 태어났다.[3] 1883년부터 1887년까지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물리학수학을 공부했다. 1889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95년에 교수 자격 심사를 통과했다. 1899년 자그레브에서 수학 교수가 되어 1942년 사망할 때까지 강의했다.[3]

2. 2. 학문 경력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1883년부터 1887년까지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물리학수학을 공부했다. 1889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95년에 하빌리타치온을 받았다. 1899년 자그레브에서 수학 교수가 되어 1942년 사망할 때까지 강의를 했다.[14]

1903년부터 1908년까지 그는 쌍곡선 기하학(또는 BolyaiLobachevskian 기하학)에 관해 글을 썼다. 1909년 좀머펠트의 출판에 이어 1910년에 그는 쌍곡선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15] 좀머펠트는 1909년 논문[16]에서 민코프스키 공간의 가상 형식을 사용하여 속도 조합에 대한 아인슈타인 공식이 가상 반지름 구 표면의 삼각형 추가 공식으로 가장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바리차크는 이 결과를 쌍곡선 공간에서 삼각형 법칙에 의해 신속도가 결합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해석했다. 이것은 나중에 로브(1911)와 보렐(1913)의 다른 접근법에 의해 입증된 쌍곡선 이론의 근본적인 결과이다. 또한 1910년의 논문에서는 쌍곡선 이론을 광학에 적용한 몇 가지를 다루었다. 1911년에 바리차크는 칼스루어에 있는 독일 수학회(Deutsche Mathematiker-Vereinigung)에서 그의 연구 결과에 대해 연설하도록 초대되었다. 그는 1924년 교과서 《Darstellung der Relativitätstheorie im drei-dimensionalen Lobatschefskijschen Raume》(Relativity in Three-Dimensional Lobachevski Space )에서 자신의 결과를 수집하여 아인슈타인 이론의 쌍곡선 재해석을 계속 개발했으며 현재 영어로 제공된다.

1909년에서 1913년 사이에 바리차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7]과 회전 및 길이 수축에 대해 서신을 주고 받았는데 여기서 바리차크의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해석과 달랐다. 길이 수축에 대해 바리차크는 아인슈타인의 해석에서 수축은 시계 측정의 관례로 인해 "명백한" 또는 "심리적" 현상일 뿐인 반면 로렌츠 이론에서는 객관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18] 아인슈타인은 수축에 대한 자신의 해석이 로렌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고 짧은 반박문을 발표했다.[19]

월터(1999)는 민코프스키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재검토했다. 그는 "4차원 속도 벡터의 끝"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하고 "두 초표면 모두 헬름홀츠에 의해 대중화된 일정한 음의 곡률의 비유클리드 공간의 잘 알려진 모델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민코프스키의 방정식에 주목한다. 사실 그것은 쌍곡선 기하학의 쌍곡면 모델로 알려져 있다.[20]

월터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다른 어떤 수학자보다 바리차크는 [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 스타일의 개발에 전념했으며, 쌍곡선 공간에서 속도-벡터 관계에 대한 민코프스키의 이미지를 펼치고 쌍곡선 함수 측면에서 다양한 결과를 요약했다. 쌍곡선 삼각법의 사용은 바리차크에 의해 상당한 표기법의 이점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로렌츠 변환에 대한 헤르글로츠와 클라인의 해석을 쌍곡선 공간에서의 변위로 중계하고, 고유시와 빛의 수차에 대한 간단한 표현을 쌍곡선 논증으로 나타내었다.

2. 3. 밀레바 마리치, 밀루틴 밀란코비치와의 관계

바리차크는 밀루틴 밀란코비치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첫 번째 부인인 밀레바 마리치의 고등학교 교사였다.[21]

3. 상대성 이론 연구

1903년부터 1908년까지 바리차크쌍곡기하학(볼리아이-로바쳅스키 기하학)에 관한 글을 썼다. 1910년에는 좀머펠트1909년 논문[16]을 바탕으로 쌍곡선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15]

바리차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길이 수축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로렌츠 이론에서 길이 수축은 객관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 반면, 아인슈타인의 해석에서는 시계 측정의 관례로 인한 "겉보기" 현상 또는 "심리적"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18]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길이 수축 해석이 로렌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는 짧은 반박문을 발표했다.[19]

월터(1999)는 민코프스키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재검토하면서, "4차원 속도 벡터의 끝"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두 초표면 모두 헬름홀츠에 의해 대중화된 일정한 음의 곡률의 비유클리드 공간의 잘 알려진 모델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민코프스키의 방정식에 주목하며, 이것이 쌍곡선 기하학의 쌍곡면 모델이라고 언급했다.[20]

월터는 바리차크가 다른 어떤 수학자보다 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 스타일 개발에 전념했으며, 쌍곡선 공간에서 속도-벡터 관계에 대한 민코프스키의 이미지를 펼치고, 쌍곡선 함수 측면에서 다양한 결과를 요약했다고 설명한다. 또한 쌍곡선 삼각법의 사용은 바리차크에 의해 상당한 표기법의 이점을 제공했으며, 로런츠 변환에 대한 헤르글로츠와 클라인의 해석을 쌍곡선 공간에서의 변위로 중계하고, 고유 시간과 빛의 수차에 대한 간단한 표현을 쌍곡선 논증으로 나타냈다고 덧붙였다.

3. 1. 쌍곡기하학의 적용

1910년, 좀머펠트가 1909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라, 바리차크쌍곡선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15] 좀머펠트는 민코프스키 공간의 허수 형식을 사용하여 1909년 논문[16]에서 속도의 조합에 대한 아인슈타인 공식이 허수 반경을 가진 구의 표면에서 삼각 덧셈을 위한 공식으로 가장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바리차크는 이 결과를 신속도가 쌍곡선 공간에서 삼각형 법칙에 의해 결합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해석했다. 이것은 나중에 로브(1911)와 보렐(1913)의 다른 접근법에 의해 입증된 쌍곡선 이론의 근본적인 결과이다.

1910년의 논문에서는 쌍곡선 이론을 광학에 적용한 몇 가지를 다루었다. 1911년에 바리차크는 칼스루어에 있는 독일 수학회(Deutsche Mathematiker-Vereinigung)에서 그의 연구 결과에 대해 연설하도록 초대되었다. 그는 1924년 교과서 《Darstellung der Relativitätstheorie im drei-dimensionalen Lobatschefskijschen Raume》(3차원 로바체프스키 공간에서의 상대성 이론)에서 자신의 결과를 수집하여 아인슈타인 이론의 쌍곡선 재해석을 계속 개발했으며 현재 영어로 제공된다.

1909년에서 1913년 사이에 바리차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7]과 회전 및 길이 수축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여기서 바리차크의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해석과 달랐다. 길이 수축에 대해 바리차크는 아인슈타인의 해석에서 수축은 시계 측정의 관례로 인해 "명백한" 또는 "심리적" 현상일 뿐인 반면 로런츠 이론에서는 객관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18] 아인슈타인은 수축에 대한 자신의 해석이 로런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고 짧은 반박문을 발표했다.[19]

월터(1999)는 민코프스키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재검토했다. 그는 "4차원 속도 벡터의 끝"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하고 "두 초표면 모두 헬름홀츠에 의해 대중화된 일정한 음의 곡률의 비유클리드 공간의 잘 알려진 모델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민코프스키의 방정식에 주목한다. 사실 그것은 쌍곡선 기하학의 쌍곡면 모델로 알려져 있다.[20]

월터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다른 어떤 수학자보다 바리차크는 [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 스타일의 개발에 전념했으며, 쌍곡선 공간에서 속도-벡터 관계에 대한 민코프스키의 이미지를 펼치고, 쌍곡선 함수 측면에서 다양한 결과를 요약했다. 쌍곡선 삼각법의 사용은 바리차크에 의해 상당한 표기법의 이점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그는 로런츠 변환에 대한 헤르글로츠와 클라인의 해석을 쌍곡선 공간에서의 변위로 중계하고, 고유 시간과 빛의 수차에 대한 간단한 표현을 쌍곡선 논증으로 나타내었다.

3. 2. 아인슈타인과의 서신 교환

1909년부터 1913년까지 바리차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17]과 회전 및 길이 수축에 대해 서신을 주고받았다. 바리차크는 아인슈타인의 해석과 달리, 로렌츠 이론에서 길이 수축은 객관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 반면, 아인슈타인의 해석에서는 시계 측정의 관례로 인한 "명백한" 또는 "심리적"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18] 이에 대해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길이 수축 해석이 로렌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는 짧은 반박문을 발표했다.[19]

3. 3. 비유클리드 기하학적 해석

1903년부터 1908년까지 바리차크는 쌍곡기하학(또는 볼리아이-로바쳅스키 기하학)에 관한 글을 썼다. 1909년 좀머펠트의 출판에 이어, 1910년에 그는 쌍곡선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15] 좀머펠트는 1909년 논문[16]에서 민코프스키 공간의 가상 형식을 사용하여 속도 조합에 대한 아인슈타인 공식이 가상 반지름 구 표면의 삼각형 추가 공식으로 가장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바리차크는 이 결과를 쌍곡선 공간에서 삼각형 법칙에 의해 신속도가 결합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해석했다. 이것은 나중에 로브(1911)와 보렐(1913)의 다른 접근법에 의해 입증된 쌍곡선 이론의 근본적인 결과이다. 또한 1910년의 논문에서는 쌍곡선 이론을 광학에 적용한 몇 가지를 다루었다. 1911년에 바리차크는 칼스루어에 있는 독일 수학회(Deutsche Mathematiker-Vereinigung)에서 그의 연구 결과에 대해 연설하도록 초대되었다. 그는 1924년 교과서 《Darstellung der Relativitätstheorie im drei-dimensionalen Lobatschefskijschen Raume》(3차원 로바체프스키 공간에서의 상대성 이론)에서 자신의 결과를 수집하여 아인슈타인 이론의 쌍곡선 재해석을 계속 개발했으며 현재 영어로 제공된다.

월터(1999)는 민코프스키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재검토했다. 그는 "4차원 속도 벡터의 끝"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하고 "두 초표면 모두 헬름홀츠에 의해 대중화된 일정한 음의 곡률의 비유클리드 공간의 잘 알려진 모델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민코프스키의 방정식에 주목한다. 사실 그것은 쌍곡선 기하학의 쌍곡면 모델로 알려져 있다.[20]

월터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다른 어떤 수학자보다 바리차크는 [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 스타일의 개발에 전념했으며, 쌍곡선 공간에서 속도-벡터 관계에 대한 민코프스키의 이미지를 펼치고, 쌍곡선 함수 측면에서 다양한 결과를 요약했다. 쌍곡선 삼각법의 사용은 바리차크에 의해 상당한 표기법의 이점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로렌츠 변환에 대한 헤르글로츠와 클라인의 해석을 쌍곡선 공간에서의 변위로 중계하고, 고유시와 빛의 수차에 대한 간단한 표현을 쌍곡선 논증으로 나타내었다.

4. 루제르 보슈코비치 연구

바리차크는 루제르 보슈코비치 (1711–1787)의 삶과 작품에 대해 학술적으로 기여했다. 특히, 상대성 이론의 역사에서 바리차크는 보슈코비치의 잘 알려지지 않은 라틴어 논문 "절대 운동에 관하여 – 상대 운동과 구별할 수 있다면"(" 공간과 시간에 관하여 ")을 편집하여 출판했다. 바리차크는 이 논문이 "공간, 시간 및 운동의 상대성에 관한 놀랍도록 명확하고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11]

정교회 신자이자 후에 그리스 가톨릭 신자였던 세르비아 출신 바리차크는 루제르 보슈코비치가 세르비아인이라는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거부했다.[22][23]

5. 유산

블라디미르 바리차크는 쌍곡 기하학(볼리아이–로바체프스키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한 연구로 유명하다.[4] 1910년, 조머펠트의 1909년 논문[5]을 바탕으로 쌍곡 기하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에 적용했다.[4] 속도가 쌍곡 공간에서 삼각 규칙에 의해 결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로브(1911)와 보렐(1913)에 의해 나중에 다른 접근법으로 입증된 쌍곡 이론의 기본 결과이다.

1911년 바리차크는 독일 수학자 협회에 초청되어 카를스루에에서 자신의 연구에 대한 강연을 했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대한 쌍곡 재해석을 계속 발전시켜 1924년 교과서인 ''3차원 로바체프스키 공간에서의 상대성 이론''을 출판했으며, 현재 영어로도 이용 가능하다.

바리차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6]길이 수축에 대한 서신을 주고받았는데, 바리차크는 길이 수축을 로렌츠 이론에서는 객관적인 현상으로, 아인슈타인의 해석에서는 "겉보기" 현상 또는 "심리적" 현상으로 보았다.[7]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해석이 로렌츠의 해석에 더 가깝다고 반박했다.[8]

월터(1999)는 민코프스키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재검토하면서, 민코프스키의 방정식을 언급하며 "두 초곡면은 헬름홀츠에 의해 대중화된 상수 음의 곡률을 가진 비유클리드 공간의 잘 알려진 모델의 기초를 제공한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쌍곡면 모델로 알려져 있다.[9]

월터는 바리차크가 비유클리드 스타일의 상대성 이론 발전에 헌신했으며, 쌍곡 공간에서 속도 벡터 관계에 대한 민코프스키의 이미지를 펼치고, 쌍곡 함수 측면에서 다양한 결과를 요약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바리차크가 로렌츠 변환을 쌍곡 공간에서의 변위로 해석한 헤르글로츠와 클라인의 해석을 전달했으며, 고유 시간과 빛의 수차에 대한 간단한 표현식을 쌍곡 인수로 나타냈다고 언급했다.

그는 밀루틴 밀란코비치와 아인슈타인의 첫 번째 부인인 마일바 마리치의 고등학교 교사였으며,[10] 주로 쿠레파의 대학교수로도 알려져 있다.

바리차크는 루제르 보스코비치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학술적인 공헌을 했다. 특히, 보스코비치의 1755년 라틴어 논문 "절대 운동 – 상대 운동과 구별할 수 있다면"을 편집하고 출판했는데, 이 논문이 "공간, 시간 및 운동의 상대성에 관한 놀랍도록 명확하고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11]

유고슬라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체코 과학 아카데미,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크로아티아 자연 과학 협회'', ''유고슬라비아 수학 학회''의 회원이었다.

6. 주요 저서

연도저서
1903Bemerkung zu einem Punkte in der Festrede L. Schlesingers über Johann Bolyai|L. Schlesinger의 요한 볼야이에 관한 기념 연설의 한 지점에 대한 고찰de
1908Beiträge zur nichteuklidischen Geometrie|비유클리드 기하학에 대한 기고de
1908"비유클리드 해석 기하학에 관하여", 국제 수학자 회의 회보, 제2권, 213–26쪽.
1910Anwendung der Lobatschefskijschen Geometrie in der Relativtheorie|상대성 이론에서 로바체프스키 기하학의 응용de[1]
1910Die Relativtheorie und die Lobatschefskijsche Geometrie|상대성 이론과 로바체프스키 기하학de[2]
1910Die Reflexion des Lichtes an bewegten Spiegeln|움직이는 거울에서의 빛의 반사de[3]
1911Die Interpretation der Relativtheorie in der Lobatschevkijschen Geometrie|로바체프스키 기하학에서의 상대성 이론의 해석sr
1911Zum Ehrenfestschen Paradoxon|에렌페스트의 역설에 관하여de[4]
1912Über die nichteuklidische Interpretation der Relativtheorie|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적 해석에 관하여de[5]
1914Bemerkungen zur Relativtheorie|상대성 이론에 대한 고찰de
1914Beitrag zur nichteuklidischen Interpretation der Relativtheorie|상대성 이론의 비유클리드적 해석에 대한 기고de
1915Über die Transformation des elektromagnetischen Feldes in der Relativtheorie|상대성 이론에서 전자기장의 변환에 관하여de
1915Eine Bemerkung zum Dopplerschen Effekt|도플러 효과에 대한 고찰de
1924Darstellung der Relativitatstheorie im drei=dimensionalen Lobatschefskijschen Raume|3차원 로바체프스키 공간에서의 상대성 이론의 표현de
1936Relativity theory and the Universe|상대성 이론과 우주영어



참조

[1] 간행물 Hrvatski matematički velikan koji je otkrio Ruđera Školske novine 2018-05-08
[2] 서적 Akademik Vladimir Varićak u hrvatskoj i svjetskoj znanosti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3] 서적 Lives and work of the Serbian scientists Serbian Academy of Sciencies and Arts
[4] 논문 Four papers in Physikalische Zeitschrift
[5] 논문 On the composition of velocities in the theory of relativity Phys. Z. 1909
[6] 서적 Proceedings of the Eleventh Marcel Grossmann Meeting on General Relativity World Scientific
[7] 서적 Albert Einstein's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Emergence (1905) and early interpretation (1905–1911)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8] 논문 The Einstein-Varicak Correspondence on Relativistic Rigid Rotation https://arxiv.org/ab[...]
[9] 서적 The Symbolic Universe: Geometry and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More on Croatian and Zagreb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2020-03
[11] 서적 The Theory of Relativity https://archive.org/[...]
[12] 간행물 Hrvatski matematički velikan koji je otkrio Ruđera Školske novine 2018-05-08
[13] 서적 Akademik Vladimir Varićak u hrvatskoj i svjetskoj znanosti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14] 서적 Lives and work of the Serbian scientists Serbian Academy of Sciencies and Arts
[15] 논문 Four papers in Physikalische Zeitschrift
[16] 논문 On the composition of velocities in the theory of relativity Phys. Z. 1909
[17] 서적 Proceedings of the Eleventh Marcel Grossmann Meeting on General Relativity World Scientific
[18] 서적 Albert Einstein's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Emergence (1905) and early interpretation (1905–1911)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19] 문서 The Einstein-Varicak Correspondence on Relativistic Rigid Rotation, Tilman Sauer
[20] 서적 The Symbolic Universe: Geometry and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5-07
[21] 간행물 More on Croatian and Zagreb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Springer 2020-03
[22] 간행물 Hrvatski matematički velikan koji je otkrio Ruđera Školske novine 2018-05-08
[23] 서적 Akademik Vladimir Varićak u hrvatskoj i svjetskoj znanosti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