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조성은 1440년 와다 지카히라가 축성한 미카와국의 성으로, 이후 마쓰다이라 씨, 오다 씨, 이마가와 씨 등의 손을 거치며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특히 도쿠가와 가문의 최선봉 가신단인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1562년 이마가와 요시모토 사후 폐성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유구만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조시의 건축물 - 미나미사쿠라이역 (아이치현)
    2008년 개업한 미나미사쿠라이역은 나고야 철도 니시오선에 위치한 아이치현 안조시의 역으로, 아이신 그룹 사업장 인근에 있어 주로 공장 근로자들이 이용하며, 2019년 급행 정차역으로 승격되었다.
  • 안조시의 건축물 - 호리우치코엔역
    호리우치코엔역은 아이치현 안조시에 있는 나고야 철도 니시오선의 역으로, 1926년 개업하여 2008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단선 1면 1선의 지상역에 무인역이다.
  • 미카와국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미카와국 - 니시오시
    아이치현 남부 미카와만 북쪽 해안에 위치한 니시오시는 야하기 강 동쪽 기슭의 미카와 지역에서 중요한 도시로, 도요하시, 오카자키와 함께 미카와 삼도로 불리며, 특히 니시오차로 유명한 일본 최대 덖음차 생산지이자 니시오성 등의 관광 명소를 갖춘 도시로, 2011년 하즈군 3정 편입으로 현재 행정구역이 되었다.
  • 안조시의 역사 - 메이지촌 (아이치현 헤키카이군)
    아이치현 헤키카이군의 메이지촌은 주변 촌들을 통합하여 1906년에 탄생했지만, 1955년에 안조시, 헤키난시, 니시오시로 분할 편입되어 소멸되었으며, 현재는 해당 시에 속하고 메이지 중학교가 있었다.
  • 안조시의 역사 - 헤키카이군
    아이치현 미카와국 서부에 위치했던 헤키카이군은 나라 시대에 "아오미"로 불렸으며, 에도 시대에는 가리야 번 등의 지배를 받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아이치현에 통합되었고, 1970년에 소멸되었지만 현재 헤키카이 5시로 불리는 도시들이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안조성
기본 정보
안조성 터
안조성 터
다른 이름안쇼모리성
안조고성
모리성
안성성
종류평산성
천수각 구조없음
축성자와다 지카히라
축성 연도에이쿄 12년 (1480년)
통치 가문와다 씨
마쓰다이라 씨
오다 씨
폐성 연도에이로쿠 5년 (1562년)
현재 상태절벽
해자
구루와
문화재 지정안조시 지정 사적
위치 정보

2. 역사

1440년 미카와국 헤키카이군을 지배하던 와다씨의 와다 지카히라가 안조성을 축성했다. 1471년 미카와국 이와즈 성주 마쓰다이라 노부미쓰가 계략을 써서 안조성을 무혈 점령, 이후 4대에 걸쳐 마쓰다이라 씨의 거성이 되었다.

도쿠가와 실기에 따르면, 1524년 4대 성주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오카자키성을 얻은 후에도 안조성을 중요 거점으로 삼아 '안조 마쓰다이라 씨'의 본거지가 되었고, 모리야마의 변으로 그가 죽을 때까지 유지되었다. 마쓰다이라 노부미쓰1479년 8월 2일 안조성을 공격할 당시 사카이씨의 시조인 사카이 지카키요에게 세 족도리 풀잎 가문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동조궁어실기 1권에는 하타케야마 가문의 가가국 아무개가 안조의 성을 점령했다고 기술되어 있다.

1540년, 마쓰다이라 씨의 약화를 틈타 오와리국고와타 성 성주 오다 노부히데가 안쇼 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성대에 오다 노부히로를 두었다(제1차 안조 전투). 덴분 9년(1540년)의 일이다. 또한, 노부히데의 공격은 실패했다고 하는 이설도 있으며, 그 설에 따르면 덴분 13년(1544년) 8월에도 다시 한번 오다 도시무네에게 공격하게 했지만 실패하고, 다음 달 오다 노부히데가 3번째 공격을 하여 함락시켰다고 한다(제2차 안조 전투). 이에 1545년 히로타다가 안조성을 탈환하기 위해 출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덴분 14년(1545년)의 일이다.

1549년 이마가와 요시모토다이겐 셋사이가 이끄는 약 1만 명의 군대를 보내 안조성을 공격했다. 같은 해 3월에 다이겐 셋사이가 이끄는 약 1만 명의 군세로 안쇼 성을 공격하여 함락 직전까지 몰아붙였지만, 성병의 분전으로 실패하지만(제4차 또는 제3차 안조 전투), 같은 해 11월 8일(11월 26일)부터 9일(11월 27일)에 걸쳐 다시 공격하여 함락시킨다. 몇 차례의 공격 끝에 11월 성을 점령하고, 성주였던 오다 노부히로를 포박하였다. (제4차 또는 제5차 안조 전투). 이마가와 씨는 포박한 오다 노부히로와 다케치요와 인질 교환을 하였다.

1562년이마가와 요시모토 사후, 마쓰다이라 씨(도쿠가와 씨)가 독립하고 오다 씨와 기요스 동맹을 체결하면서 안조성은 최전선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폐성되었다. 그 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때에도 병사가 배치되었다.

2. 1. 초기 역사 (와다, 마쓰다이라 시대)

1440년 미카와국 헤키카이군을 지배하던 와다씨의 와다 지카히라가 안조성을 축성했다. 1471년 미카와국 이와즈 성주 마쓰다이라 노부미쓰가 계략을 써서 안조성을 무혈 점령, 이후 4대에 걸쳐 마쓰다이라 씨의 거성이 되었다.

도쿠가와 실기에 따르면, 1524년 4대 성주 마쓰다이라 기요야스오카자키성을 얻은 후에도 안조성을 중요 거점으로 삼아 '안조 마쓰다이라 씨'의 본거지가 되었다. 마쓰다이라 노부미쓰1479년 8월 2일 안조성을 공격할 당시 사카이씨의 시조인 사카이 지카키요에게 세 족도리 풀잎 가문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2. 2. 오다, 이마가와 시대

1540년, 마쓰다이라 씨의 약화를 틈타 오와리국 후루와타리성주 오다 노부히데가 안조성을 공략하여 점령, 오다 노부히로를 성주로 두었다.(제1차 안조 전투). 이에 1545년 히로타다가 안조성을 탈환하기 위해 출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549년 이마가와 요시모토다이겐 셋사이가 이끄는 약 1만 명의 군대를 보내 안조성을 공격했다. 몇 차례의 공격 끝에 11월 성을 점령하고, 성주였던 오다 노부히로를 포박하였다. 이마가와 씨는 포박한 오다 노부히로와 다케치요와 인질 교환을 하였다. (제3차, 제4차 또는 제5차 안조 전투)

2. 3. 폐성

1562년이마가와 요시모토 사후, 마쓰다이라 씨(도쿠가와 씨)가 독립하고 오다 씨와 기요스 동맹을 체결하면서 안조성은 최전선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폐성되었다.[2][3] 고마키·나가쿠테 전투(1584년)에서 부대가 배치되기도 했다.

3. 성곽 구조

안조성은 선상지의 선단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주변은 숲과 깊은 논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 내부에는 토루와 해자가 있었지만, 천수각은 없었다.[1] 무로마치 시대 중기에 축성되어 오다 씨, 이마가와 씨, 마쓰다이라 씨 사이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오카자키 영주 고기』에는 안쇼 모리 성, 『미카와 국 이엽송』에는 안조 고성·운성 모리라는 기재가 있지만, 도쿠가와의 동시대 사료(『가타다 일기』나 오쿠보의 『미카와 이야기』)에는 별명인 모리 성이라는 기재는 없다. 『간세이 중수 제보』에는 안조 성으로 되어 있다.

도쿠가와 최선참의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란, 사카이자에몬노조·오쿠보, 혼다, 아베, 이시카와, 아오야마, 우에무라, 또는 사카이, 오쿠보, 혼다, 오스카, 사카키바라, 히라이와, 우에무라를 가리킨다(『류에이 비감』).

신장공기』에는 "미카와의 안성이라고 하는 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오다 씨가 보유하고 있던 시대에는 미카와 진출의 거점이 되었다.

현재는 지표상에 ··절벽, 해자, 일부 구루와 등이 남아 있을 뿐이다. 혼마루 터는 1792년(간세이 4년) 이후 다이죠지(료운인) 경내가 되었지만, 1988년(쇼와 63년)부터 몇 차례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고, 경내 지하에도 전국 시대의 유구가 남아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1] 니노마루는 하치만 신사, 산노마루는 다이죠지의 뒤편 부근이다.

4.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

안조성은 도쿠가와 가문의 최선참 가신단인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의 발상지이다.[1] 칠 어보대는 사카이, 오쿠보, 혼다, 아베, 이시카와, 아오야마, 우에무라 (또는 사카이, 오쿠보, 혼다, 오스카, 사카키바라, 히라이와, 우에무라)로 구성된다.[1]

선상지의 선단에 위치하고 주변은 숲과 깊은 논에 둘러싸여 있으며, 그 내부에 토루와 해자가 있는 천수각이 없는 평산성이었다.[1] 무로마치 시대 중기에 축성되었으며, 오다 씨, 이마가와 씨, 마쓰다이라 씨와의 사이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 『오카자키 영주 고기』에는 안쇼 모리 성, 『미카와 국 이엽송』에는 안조 고성·운성 모리라는 기재가 있지만, 도쿠가와의 동시대 사료(『가타다 일기』나 오쿠보의 『미카와 이야기』)에는 별명의 모리 성이라는 기재는 없다.[1] 『간세이 중수 제보』에서는 안조 성으로 되어 있다.[1]

신장공기』에 "미카와의 안성이라고 하는 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1] 오다 씨가 보유하고 있던 시대에는 미카와 진출의 거점이 되었다.[1]

현재는, 지표상에서는 ··절벽, 해자, 일부 구루와 등이 남아 있을 뿐이다.[1] 혼마루 터는 1792년 (간세이 4년) 이후, 다이죠지(료운인) 경내가 되었지만, 1988년(쇼와 63년)부터 몇 차례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고, 경내 지하에도 전국 시대의 유구가 남아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1] 니노마루는 하치만 신사, 산노마루는 다이죠지의 뒤편 부근.[1]

5. 현대

안조성은 선상지의 선단에 위치하며 주변은 숲과 깊은 논에 둘러싸여 있었다. 천수각이 없는 평산성으로, 무로마치 시대 중기에 축성되어 오다 씨, 이마가와 씨, 마쓰다이라 씨 사이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 『오카자키 영주 고기』에는 안쇼 모리 성, 『미카와 국 이엽송』에는 안조 고성·운성 모리라는 기재가 있지만, 도쿠가와의 동시대 사료(『가타다 일기』나 오쿠보의 『미카와 이야기』)에는 별명의 모리 성이라는 기재는 없다. 『간세이 중수 제보』에서는 안조 성으로 되어 있다.[1]

도쿠가와 최선참의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미카와 안쇼의 칠 어보대란, 사카이자에몬노조·오쿠보, 혼다, 아베, 이시카와, 아오야마, 우에무라, 또는 사카이, 오쿠보, 혼다, 오스카, 사카키바라, 히라이와, 우에무라를 가리킨다(『류에이 비감』).[1]

신장공기』에는 "미카와의 안성이라고 하는 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오다 씨가 보유하고 있던 시대에는 미카와 진출의 거점이 되었다.[1]

현재 성터에는 ··절벽, 해자, 일부 구루와 등이 남아 있다. 혼마루 터는 1792년 (간세이 4년) 이후, 다이죠지(료운인) 경내가 되었지만, 1988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되어, 경내 지하에 전국 시대 유구가 남아있음이 확인되었다.[1] 니노마루는 하치만 신사, 산노마루는 다이죠지의 뒤편 부근이다.

6. 교통

메이테츠 니시오 선 미나미안조 역에서 도보 12분 거리에 있다. 앙클 버스(시내 순환 버스) 1번 계통 안쇼 선(가와시마 행) "역사 박물관"에서 하차하면 된다. JR 안조 역에서는 10분, 메이테츠 미나미안조 역에서는 6분 소요된다.

참조

[1] 웹사이트 安祥城址(安城城跡) https://www.city.anj[...]
[2] 백과사전 松平清康 世界大百科事典第二版
[3] 백과사전 松平清康 日本大百科全書
[4] 서적 松平信定の事績 戦国期三河松平氏の研究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