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리투아니아 출신의 프랑스 기호학자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에 대한 불만을 바탕으로 '담론 기호학'이라는 독창적인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는 의미의 생성과 변환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사각형'을 개발했으며, 내러톨로지, 행위 기호학, 인지 기호학, 열정 기호학 등 다양한 이론을 발전시켰다. 또한, 리투아니아 신화 연구와 민족 정체성 연구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구조 의미론: 방법론 탐구》, 《의미에 관하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언어학자 - 요나스 바사나비추스
리투아니아의 의사이자 민족 부흥 운동가인 요나스 바사나비추스는 《아우슈라》 창간을 주도하고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서에 처음 서명했으며, 리투아니아 과학 협회를 설립하여 리투아니아 민족 의식 고취와 문화 발전에 헌신했다. - 리투아니아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에마뉘엘 레비나스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타자에 대한 윤리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유대교 사상에 기반한 철학을 펼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다. - 리투아니아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자크 세르나스
리투아니아 출신 배우 자크 세르나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활동과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 수감 경험을 갖고, 전쟁 후 배우로 데뷔하여 《트로이의 헬렌》, 《교황 요한 23세》 등 다양한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활동했다.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Algirdas Julius Greimas |
출생일 | 1917년 3월 9일 |
출생지 | 툴라,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92년 2월 27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시민권 | 리투아니아,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거주지 | 파리 |
학파 | 파리 학파 |
연구 분야 | 구조주의 언어학 기호학 |
알려진 업적 | 기호 사각형(Greimas Square) |
모교 |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 카우나스 그르노블 대학교 소르본, 파리 (박사, 1949) |
직장 | 사회과학고등연구원, 파리 |
배우자 | Teresa Mary Keane |
영향 받은 인물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페르디낭 드 소쉬르 조르주 뒤메질 루이 옐름슬레우 로만 야콥슨 |
학회 | 국제 기호론 학회 |
2. 생애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1917년 러시아 제국 투라에서 리투아니아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율리우스 그레이마스는 교사였고, 어머니 콘스탄치야 그레이미에네는 비서였다.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으로 가족과 함께 리투아니아로 귀환했다. 어린 시절 리투아니아에서 중등 교육을 받으며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배웠고, 부모의 전근으로 인해 여러 학교를 다녔다. 마리얌폴레의 김나지움을 졸업한 후, 카우나스의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1936년 프랑스로 유학하여 그르노블에 위치한 그르노블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하고, 프랑코-프로방스어 방언 연구로 1939년 학위를 받았다. 이후 리투아니아에서 징병되어 군 복무를 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소련과 나치 독일의 침공을 겪었다. 1944년 파리로 건너가 소르본 대학교에서 어휘론을 전공하여 194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취득 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의 연수생을 거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학교 강사로 부임했다. 이후 터키의 앙카라 대학교와 이스탄불 대학교, 프랑스 푸아티에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교원으로 재직했다. 알렉산드리아에서는 롤랑 바르트를 만나 깊은 친분을 맺었다.
모리스 메를로-퐁티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연구에 영향을 받은 그레마스는 의미를 구조적으로 파악하려 했다.[7] 또한 조르주 뒤메질, 루이 옐름슬레우, 로만 야콥슨,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이론도 수용했다. 1960년대에 다양한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여 점차 명성을 높였다. 1965년 파리에서 사회과학고등연구원의 교수로 부임했다. 1966년에는 롤랑 바르트, 베르나르 포티에와 함께 학술지 『랑가주』를 창간하기도 했다.
그레마스는 국제 기호학회를 창립하고 사무국장으로 선출되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 롤랑 바르트의 지원을 받아 고등연구실습원과 콜레주 드 프랑스에 기호 언어 연구회를 설립했다. 연구회 회원으로는 제라르 주네트, 줄리아 크리스테바, 크리스티앙 메츠, 츠베탕 토도로프 등이 있었다.
1992년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리투아니아 카우나스의 페트라시우나이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17-1944)
1917년 러시아 제국 투라에서 리투아니아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6] 아버지 율리우스 그레이마스(Julius Greimas)는 교사였고, 어머니 콘스탄치야 그레이미에네(Konstancija Greimienė)는 비서였다. 1918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으로 가족과 함께 리투아니아로 귀환했다. 당시 그레이마스는 2세였다. 리투아니아에서 중등 교육을 받으며 독일어와 프랑스어를 배웠다. 부모의 전근으로 인해 여러 학교를 다녔다. 마리얌폴레의 김나지움을 졸업한 후, 카우나스의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1936년 프랑스로 유학하여 그르노블에 위치한 그르노블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공부하고, 프로방스 방언 연구로 1939년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리투아니아로 돌아와 징병되었다.
2. 2. 리투아니아에서의 활동과 망명 (1939-1944)
1939년 7월, 전쟁이 임박하면서 리투아니아 정부는 그를 육군 사관학교에 징집했다. 소련의 최후 통첩으로 소련 점령 하 리투아니아에 새로운 "인민 정부"가 들어섰고, 그레이마스는 이에 동조했다. 1940년 7월, 그는 리투아니아인들에게 소련과의 합병에 찬성하는 지도자를 선출하라고 연설했다. 10월, 그는 예비역으로 전역했고, 샤울리아이의 학교에서 프랑스어, 독일어, 리투아니아어, 인문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는 사회주의자 하니아(오나) 루카우스카이테와 사랑에 빠졌는데, 그녀는 후에 요나스 노레이카와 함께 반소련 음모자가 되었고, 보르쿠타의 수용소에서 10년 동안 복역했으며, 반소련 반체제 인사들의 리투아니아 헬싱키 그룹의 창립 멤버였다.[2]1941년 3월, 그레이마스는 리투아니아 활동 전선에 가입했다. 이 지하 네트워크는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회복할 기회로 나치 독일의 침공을 준비하고 있었다. 1941년 6월 14일, 소련은 그의 부모를 구금하여 그의 아버지를 체포하고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으로 보냈고, 그는 1942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 그의 어머니는 알타이 지방으로 추방되었다. 한편, 이러한 추방 기간 동안, 그레이마스는 구금된 리투아니아인의 재산을 작성하기 위해 육군 장교로 동원되었다. 그레이마스는 반공주의자가 되었지만 평생 동안 마르크스주의, 좌익 및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친밀감을 유지했다.[2]
나치 독일의 침략군은 1941년 6월 26일 샤울리아이에 진입했다. 다음 날, 그레이마스는 다른 게릴라들과 만나 소대 지휘를 맡았다. 그는 독일 사령관의 명령에 따라 100명의 유대인을 거리 청소에 동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는 불편함을 느껴 다음 날 돌아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유대인의 리투아니아 추방을 촉구하는 주간지 Tėvynė|테비네lt의 편집자가 되었다.[3] 1942년, 카우나스에서 그레이마스는 나치가 1941년 12월에 금지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정당에서 파생된 지하 리투아니아 자유 투사 연합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1944년 그는 파리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에 등록하여 어휘론을 전공했다. 그는 패션의 어휘에 대한 논문을 썼고, 194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5]
2. 3. 학문 활동 (1944-1992)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연수 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학교 강사로 부임했다.[5] 이후 터키의 앙카라 대학교와 이스탄불 대학교, 프랑스의 푸아티에 대학교에서 교원으로 재직했다. 알렉산드리아에서 롤랑 바르트를 만나 깊은 친분을 맺었다.모리스 메를로-퐁티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연구에 감명을 받은 그레마스는 의미에서 구조화된 파악 가능한 세계를 상정했다.[7] 조르주 뒤메질, 루이 옐름슬레우, 로만 야콥슨,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이론도 수용했다. 1960년대 여러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며 명성을 높였고, 1965년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교수로 부임했다. 1966년 롤랑 바르트, 베르나르 포티에와 함께 학술지 『랑가주』를 창간했다.
국제 기호학회를 창립하고 사무국장으로 선출되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 롤랑 바르트의 지원을 받아 고등연구실습원과 콜레주 드 프랑스에 기호 언어 연구회를 설립했다. 제라르 주네트, 줄리아 크리스테바, 크리스티앙 메츠, 츠베탕 토도로프 등이 연구회 회원이었다.
3. 주요 이론 및 업적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20세기 중반 구조 언어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독자적인 담론 기호학 방법론을 제시했다.[1] 그는 내러톨로지(서사학)의 기술적 절차와 서사 개념을 발전시켜 담론 기호학의 핵심 토대를 마련했다.[1] 블라디미르 프로프, 조르주 뒤메질,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등의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리투아니아 신화를 연구하고 재구성하여 리투아니아 민족 정체성 연구에 기여했다.
3. 1. 담론 기호학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20세기 중반 구조 언어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독자적인 담론 기호학 방법론을 제시했다.[1] 그는 의미론적 우주, 의미론적 미시 우주, 담론 우주 개념을 도입하여 텍스트와 의미의 심층 구조를 분석했다.[1]3. 2. 서사 구조 분석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내러톨로지(서사학)의 기술적 절차와 서사 개념을 발전시켜 담론 기호학의 핵심 토대를 마련했다.[1] 그는 서사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제시했다.행위소 모델행위소 모델은 서사의 등장인물들이 수행하는 역할 관계를 분석하는 도구이다. 이 모델은 주체, 대상, 발신자, 수신자, 조력자, 반대자 등의 여섯 가지 행위소로 구성된다.[1]
- 주체: 서사에서 목표를 추구하는 행위소.
- 대상: 주체가 추구하는 가치 또는 목표.
- 발신자: 주체에게 목표를 부여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소.
- 수신자: 발신자로부터 가치를 부여받고 주체의 목표 달성을 통해 이익을 얻는 행위소.
- 조력자: 주체의 목표 달성을 돕는 행위소.
- 반대자: 주체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행위소.
이러한 행위소들의 관계를 통해 서사의 심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정형적 서사 도식정형적 서사 도식은 서사가 전개되는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는 개념이다.[1]
1. 위임: 발신자가 주체에게 대상을 획득하도록 명령하거나 설득하는 단계.
2. 행위: 주체가 대상을 획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련과 방해를 극복하고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목표를 달성하는 단계.
3. 평가: 주체의 행위에 대한 발신자의 최종 평가가 이루어지는 단계.
서사 프로그램서사 프로그램은 주체가 가치 있는 객체와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개념이다.[1] 주체는 대상을 획득하거나 상실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과 의미를 경험하게 된다.
3. 3. 기호 사각형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가 개발한 기호 사각형은 의미의 생성과 변환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이다. 이는 대립, 모순, 함의 관계를 통해 의미의 복잡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1]3. 4. 양상 기호학
알기르다스 줄리앙 그레마스는 주체의 능력과 행위를 설명하는 양상 문법을 개발했다. 양상(Modality)은 주체가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이나 조건을 의미한다. 그는 양상 문법을 통해 인지 기호학, 정념 기호학으로 연구를 확장하여 믿음, 지식, 감정이 주체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1]3. 5. 리투아니아 신화 연구
그는 블라디미르 프로프, 조르주 뒤메질,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마르셀 데티엔의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리투아니아 신화를 연구하고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1979년에는 Apie dievus ir žmones: lietuvių mitologijos studijoslt (''신들과 인간에 관하여: 리투아니아 신화 연구'')를, 1990년에는 Tautos atminties beieškantlt (''민족의 기억을 찾아서'')를 출판하여 리투아니아 민족 정체성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원시 인도유럽 종교에 관해서도 글을 썼다.4.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구조 의미론: 방법론 탐구》(Sémantique structurale : recherche de méthode) | 1966 | |
《14세기 중반까지의 고대 프랑스어 사전》(Dictionnaire de lancien français jusquau milieu du XIVe siècle) | 1968 | |
《의미에 관하여, 기호학적 에세이》(Du sens, essais sémiotiques) | 1970 | |
《모파상: 텍스트의 기호학, 실천적 연습》(Maupassant : la sémiotique du texte, exercices pratiques) | 1975 | |
《기호학과 사회 과학》(Sémiotique et sciences sociales) | 1976 | |
《기호학: 언어 이론의 합리적 사전》(Sémiotique : dictionnaire raisonné de la théorie du langage) | 1979 | 조제프 쿠르테와 공저 |
《의미에 관하여 2》(Du sens. 2) | 1983 | |
《신들과 인간들: 리투아니아 신화 연구》(Des dieux et des hommes : études de mythologie lithuanienne) | 1985 | |
《불완전성에 관하여》(De l'imperfection) | 1987 | |
《정념의 기호학: 사태에서 정신 상태로》(Sémiotique des passions : des états de choses aux états d'âme) | 1991 | 자크 퐁타유와 공저 |
《중세 프랑스어 사전》(Dictionnaire du moyen français) | 1992 |
5. 한국어 번역서
- 《구조 의미론: 방법의 탐구》, 타지마 히로시, 토리이 마사후미 역, 키노쿠니야 서점, 1988년
- 《의미에 관하여》, 아카바네 켄조 역, 스이세이샤, 1992년
참조
[1]
웹사이트
Algirdas Julien Greimas
http://www.denstored[...]
2014-12-15
[2]
서적
Algirdas Julius Greimas. Asmuo ir idėjos.
[3]
웹사이트
The World Celebrates Professor Greimas With No Regard for His Victims.
http://defendinghist[...]
[4]
간행물
The Siauliai Ghetto: Lists of Prisoners
Valstybinis Vilniaus Gaono žydų muziejus
[5]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Garsinęs Lietuvą pasaulyje
http://www.xxiamzius[...]
[7]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FRENCH LINGUISTICS AFTER THE WAR: A. J. GREIMAS'S CONVERSION TO 'SAUSSURISM'
http://www.revue-t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