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만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만니는 다양한 게르만 부족에서 기원한 민족으로, 6세기 비잔틴 역사가 아가티아스에 따르면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3세기부터 로마 제국 영토를 침략하며 로마와 충돌했고, 496년 톨비아크 전투에서 프랑크 왕국에 패배하여 복속되었다. 이후 알레만니아는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오늘날 알레만어는 고지 독일어의 하위 그룹으로, 독일 서부, 스위스, 알자스 지역에서 사용된다. 7세기에는 기독교와 이교 신앙이 혼합된 혼합주의 시기를 거쳐 8세기에 기독교로 개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만니 - 알레만니아
    알레만니아는 3세기경 통합된 독립적인 부족 연맹으로,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으며 슈바벤 공국으로 존속했고, 기독교화와 최초의 알레마니 법전 편찬을 거쳐 동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그 유산은 알레만어 방언과 독일을 지칭하는 여러 언어의 명칭에 남아있다.
  • 중세 전기 - 소왕국
    소왕국은 군주가 통치하는 작은 규모의 왕국이거나 더 큰 왕국이나 제국의 지배를 받는 왕국을 의미하며, 아나톨리아, 잉글랜드, 이베리아 반도 등 다양한 지역과 시대에 걸쳐 존재했다.
  • 중세 전기 -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은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조가 이베리아 반도를 침략하여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키고 알-안달루스를 건설한 사건으로, 칼리프 우트만 시대의 군사 원정과 서고트족 내부 분열을 배경으로 711년 과달레테 전투 승리 후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점령하며 새로운 행정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내부 갈등과 베르베르 반란, 북부 기독교 왕국들의 부상으로 분열되어 레콩키스타의 시발점이 되었다.
  • 슈바벤의 역사 - 슈바벤 공국
    슈바벤 공국은 알레만니족 영역에 기반하여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다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 호엔슈타우펜 가문이 공작위를 차지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핵심 공국으로 존속했으나 콘라딘 사망 후 해체, 여러 영지로 분열되어 현재는 바이에른 슈바벤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 슈바벤의 역사 - 이너외스터라이히
    이너외스터라이히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스리던 영토로 현재의 오스트리아 남부,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일부를 포함하며, 1379년 노이베르크 조약으로 형성되어 반종교개혁의 중심지이자 30년 전쟁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알레만니 - [전쟁]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알레만니족의 확장
알레만니족의 지배 영역
한국어 명칭알레만니족
독일어 명칭Alemanne, Alamannen
영어 명칭Alemanni
라틴어 명칭Alamanni
프랑스어 명칭Allemagne
아랍어 명칭ألمانيا
페르시아어 명칭آلمان
역사
건국 시기268년경
멸망 시기915년
선대 국가불명
후대 국가슈바벤인
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바덴
슈바벤 공국
민족 형성3세기경
프랑크 왕국의 지배497년
정치
정치 체제족장, 왕
족장/왕마크리아누스 (추정)
언어
공용어알레만어
영토
라틴어아그리 데쿠마테스(Agri Decumates)
라틴어라에티아 쿠리엔시스(Raetia Curiensis)
법률
라틴어렉스 알라만노룸(Lex Alamannorum)
통화
통화불명
현대 국가
현재 국가(독일)

2. 명칭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콰드라투스(6세기 중반 비잔틴 역사가 아가티아스에 인용)에 따르면, '알레만니'(Ἀλαμανοι)라는 이름은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는 그들이 다양한 게르만 부족에서 유래한 혼합 집단임을 나타낸다.[8] 로마인과 그리스인들은 그들을 그렇게 불렀다(알레만니, 모든 사람, 즉 이 지역의 모든 집단에서 온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의 의미). 이 어원은 에드워드 기번의 저서 ''로마 제국 쇠망사''[9]와 니콜라 프레레의 논문에서 수집된 익명의 기고자가 1753년에 출판한 노트에서 받아들여졌다.[10] 이 어원은 이름의 표준적인 유래로 남아있다.[11] 또 다른 제안은 ''*alah'' "성소"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12]

9세기에 발라프리두스 스트라보는 스위스 및 주변 지역의 사람들에 대해 논의하면서, 외국인만이 그들을 알레만니라고 불렀으며, 그들 스스로는 ''수에비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13] 수에비족은 고대 고지 독일어 주석에서 ''치우와리''(Cyuuari)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야코프 그림은 이를 ''Martem colentes''("마르스 숭배자")로 해석했다.[14] 15세기의 학자이자 역사가인 안니오 다 비테르보는 알레만니가 히브리어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주장했는데, 히브리어에서 라인강은 ''만눔''으로 번역되었고 그 강가에 사는 사람들을 ''알레만누스''라고 불렀다.[15] 이는 16세기의 인문주의자인 베아투스 레나누스에 의해 반박되었다.[15] 레나누스는 알레만니라는 용어가 후기 고대에만 전체 게르만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고, 그 전에는 북해의 한 섬의 인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15]

3. 역사

초기 로마 작가들은 알레만니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타키투스는 그의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아그리 데쿠마테스(Agri Decumates)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라인강, 마인강, 도나우강 사이 지역을 설명하며, 이곳이 한때 헬베티족(Helvetians)의 고향이었으나, 이후 "갈리아에서 온 무모한 모험가들"이 점령했다고 기록했다.[17]

알레만니의 벨트 마운트, 바이엥가르텐에 있는 묘지에서 7세기 무덤에서 출토


알레만니는 213년 카라칼라 황제의 원정을 묘사한 카시우스 디오의 기록에서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다. 카시우스 디오는 알레만니를 카라칼라의 배신적인 공격의 희생자로 묘사하며, 알레만니가 도움을 요청했으나 카라칼라가 그들의 땅을 식민지화하고 지명을 바꾸는 등 배신했다고 전한다.[18]

이러한 적대 관계는 로마 작가들이 알레만니를 "야만인"으로 묘사하는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는 알레만니가 로마식 가옥에 거주하고 로마 유물을 사용하는 등 로마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알레만니에 대한 징벌 원정을 수행하여 마인강을 건너 숲으로 들어갔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트라야누스가 알레마니 땅에 요새를 건설했다고 언급했다.[20]

서기 전후에 스칸디나비아 반도 또는 유틀란트 반도에서 남하하여, 로마 제국의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원정시킨 장군 바루스와의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이름을 떨친 게르만 부족 연합의 맹주였던 케루스키족 수장 아르미니우스의 산하에 속했던 롬바르드족과 함께 게르만계 연합 부족의 한 갈래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이 게르만계 민족은 후에 동부 독일의 엘베강 유역으로 이주했다고 전해진다. 3세기 중반부터 여러 차례 로마 제국 영내로의 침입을 시도했다.

3. 1. 로마 제국과의 충돌

알레만니는 3세기 초 카라칼라 황제 시대에 카시우스 디오의 기록을 통해 처음 역사에 등장한다. 당시 알레만니족은 마인강 유역, 카티족의 남쪽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8] 카라칼라는 평화 협상을 구실로 알레만니를 공격하여 한동안 평화를 되찾았고, 그 결과 군단은 ''게르마니카''(Germanica)라는 칭호를 받았다.[19]

3세기와 4세기에 걸쳐 알레만니는 로마 제국과 끊임없이 충돌했다. 268년, 로마가 동쪽에서 고트족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군대를 철수해야 했을 때, 알레만니는 갈리아와 북부 이탈리아를 대규모로 침공하여 약탈을 일삼았다.[8]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는 발레리아누스갈리에누스 시대 (253–260년)에 알레만니의 왕 크로쿠스가 갈리아 전역을 휩쓸며 고대 시대에 세워진 모든 사원을 파괴했다고 기록했다.

268년 벤나쿠스 호수 전투에서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가 이끄는 로마군에 패배하여 독일로 되돌아갔으나, 이후에도 로마 영토를 지속적으로 위협했다.[8] 357년에는 아르겐토라툼(스트라스부르)에서 율리아누스에게 패배하고 왕 크노도마리우스가 포로로 잡혔다.[8] 366년에는 얼어붙은 라인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했으나, 발렌티니아누스 1세에게 패배했다.[8]

406년, 알레만니는 다시 라인강을 건너 알자스와 스위스 고원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고 정착했다.[8] 5세기에 들어서면서 알레만니족의 영역은 알프스 산맥에서 라인강 중류 유역까지 확대되었다.

로마 제국과의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연도전투결과
259년메디올라눔 전투갈리에누스 황제가 알레만니를 격파
268년벤나쿠스 호수 전투클라우디우스 2세 황제가 알레만니를 격파
271년플라센티아 전투알레만니 승리, 아우렐리아누스 황제 패배
파노 전투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알레만니를 격파, 알레만니는 이탈리아에서 철수
파비아 전투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퇴각하는 알레만니 군을 섬멸
298년링고네스 전투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알레만니를 격파
빈도니사 전투콘스탄티우스가 알레만니를 격파
356년랭스 전투율리아누스가 알레만니에게 패배
357년스트라스부르 전투율리아누스가 알레만니를 라인란트에서 몰아냄
368년솔리키니움 전투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알레만니의 침략을 격퇴
378년아르겐토바리아 전투그라티아누스 황제가 알레만니에 승리
451년카탈라우눔 전투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가 이끄는 로마군 및 동맹군이 훈족과 알레만니 연합군을 격파
457년캄피 카니니 전투마조리아누스가 알레만니를 격파
554년볼투르누스 전투나르세스가 프랑크족과 알레만니 연합군을 격파


3. 2. 프랑크 왕국에 복속

496년 톨비아크 전투에서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한 알레만니는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1] 이후 알레만니아는 프랑크 왕국의 공작이 통치하였다.

746년 카를로만은 칸슈타트의 피의 법정에서 알레만니 귀족들을 처형하고 반란을 진압했다.[22]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알레만니아는 동프랑크 왕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1268년까지 공국으로 존속했다.

4. 문화



바덴-뷔르템베르크 지그마링겐 인근에서 발견된 7세기의 구텐슈타인 검집은 알레만니아 이교도 의식의 마지막 증거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의식용 늑대 의상을 입고 링-스파타를 든 전사가 묘사되어 있다.


알레만니의 기독교화는 메로빙거 왕조 시대(6~8세기)에 걸쳐 일어났다. 6세기에는 알레만니가 주로 이교도였으나, 8세기에는 대부분 기독교를 믿었다. 7세기는 기독교 상징과 교리가 점차 영향력을 키워나간 혼합주의 시기였다.

일부 학자들은 서고트 왕국의 영향을 받은 기불드 왕과 같은 알레만니 엘리트가 5세기 후반에 아리우스파로 개종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9]

6세기 중반, 비잔틴 역사가 아가티아스는 고트족과 프랑크족의 비잔틴과의 전쟁과 관련하여, 프랑크 왕 테우데발드의 군대와 함께 싸운 알레만니는 종교를 제외한 모든 면에서 프랑크족과 같다고 기록했다. 아가티아스는 알레만니가 기독교 성소를 파괴하고 교회를 약탈하는 잔혹함을 보였지만, 프랑크족과의 오랜 접촉으로 더 나은 태도를 취하기를 희망했다.[31]

알레만니의 사도는 콜룸바누스와 그의 제자 성 갈루스였다. 보비오의 요나스는 콜룸바누스가 브레겐츠에서 오딘에게 바치는 맥주 제사를 방해했다고 기록했다.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알레만니는 얼마 동안 표면적이거나 혼합주의적인 기독교 요소만으로 이교도 숭배 활동을 계속했다. 특히 매장 관행은 변하지 않았고, 메로빙거 시대 전반에 걸쳐 고분 전사 무덤이 계속 세워졌다.

520년대부터 620년대까지 알레만니 고대 푸타르크 비문이 급증했다. 약 70개의 표본이 남아 있는데, 절반 정도는 피불라이고 나머지는 벨트 버클(예: 포르첸 버클, 뵐라흐 피불라) 및 기타 보석과 무기 부품이다. 룬 문자 사용은 기독교 발전과 함께 쇠퇴했다.

노르덴도르프 피불라 (7세기 초)에는 "logaþorewodanwigiþonar"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오딘과 토르는 마법사/주술사"로 읽히며, 이교 신에 대한 기도이거나 그들에 대한 기독교적 보호 부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32] 바트엠스에서 발견된 피불라의 룬 비문은 "god fura dih deofile ᛭de" ("너를 위한/너 앞에 있는 신, 테오필루스!", 또는 "너 앞에 있는 신, 악마!")라고 읽히며, 기독교적 경건함을 반영한다.[33] 서기 660년에서 690년 사이에 작성된 이 비문은 알레만니 고유 룬 문자 전통의 종말을 알린다. 바트엠스는 알레만니 정착지 북서쪽 경계의 라인란트팔츠에 위치하며, 프랑크족의 영향력이 가장 강했을 것이다.

콘스탄츠 주교구 설립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콜룸바누스가 612년 이전에 설립했을 가능성이 있다. 635년 군조가 그라브의 요한을 주교로 임명하면서 콘스탄츠 주교구가 존재했다는 것이 확인된다. 콘스탄스는 새롭게 개종한 땅의 선교 주교구였으며, 쿠어의 레티아 주교구(451년 설립)나 바젤 (740년부터 주교좌가 있었으며, 아우구스타라우리카 주교 계승, 바젤 주교 참조)과 달리 후기 로마 교회 역사를 돌아보지 않았다. 세속 통치자들이 인정한 기관으로서 교회의 설립은 법적 역사에서도 나타난다. 7세기 초 알레만노룸 조약은 교회의 특별한 특권을 거의 언급하지 않지만, 720년 란트프리드의 렉스 알레만노룸은 교회 문제만을 위해 전체 장을 할애한다.

4. 1. 언어

고지 독일어의 하위 그룹인 알레만어는 오늘날 옛 알레만니 지역에서 사용되는 독일어이다. 포르첸 버클과 같은 알레만어 룬 비문은 고대 고지 독일어의 초기 증거 중 하나이다. 고지 독일 자음 이동은 5세기경 알레만니아 또는 롬바르드족 사이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전에는 알레만니 부족이 사용하던 방언이 다른 서 게르만 민족의 방언과 거의 다르지 않았다.[23]

오늘날 '알레만어'는 언어학적 용어로,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바이에른 주 서부,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 주, 스위스 독일어, 프랑스 알자스알자스어를 포함한다.

4. 2. 정치 조직

알레만니족은 라인강 동쪽 기슭에 여러 개의 '파기'(pagi, 칸톤)를 설립했다. 이 '파기'의 정확한 수와 범위는 불분명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을 가능성이 높다.[24]

'파기'는 일반적으로 쌍으로 결합되어 왕국(''레그나'')을 형성했는데, 이는 대개 영구적이고 세습적인 경향을 보였다.[24] 암미아누스는 알레만니 통치자들을 ''reges excelsiores ante alios''("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왕"), ''reges proximi''("인접한 왕"), ''reguli''("소왕"), ''regales''("왕자") 등 다양한 용어로 묘사했다. 이는 공식적인 계층 구조일 수도, 모호하고 중첩되는 용어일 수도, 혹은 둘의 조합일 수도 있다.[24] 357년에는 연맹의 대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는 두 명의 최고 왕(크노도마르와 베스트랄프)과 다른 일곱 명의 왕(''reges'')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의 영토는 작았고 대부분 라인강을 따라 흩어져 있었다(몇몇은 내륙에 있었지만).[25] ''reguli''는 각 왕국의 두 ''파기''의 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있다. 왕족 아래에는 귀족(로마인들은 ''optimates''라고 불렀다)과 전사(로마인들은 ''armati''라고 불렀다)가 있었다. 전사들은 전문적인 전쟁 집단과 자유민의 징집병으로 구성되었다.[26] 각 귀족은 평균 약 50명의 전사를 소집할 수 있었다.[27]

4. 3. 종교

알레만니족은 초기에는 게르만 다신교를 믿었다. 그들은 나무, 강, 언덕과 산 골짜기를 숭배했으며, 그들을 기리기 위해 말, 소 및 수많은 다른 동물들의 머리를 베어 희생했다.[30] 6세기 중반,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아가티아스는 알레만니족이 프랑크족과는 달리 기독교 성소를 파괴하고 약탈하는 잔혹함을 보였다고 기록했다.[31]

콜룸바누스와 그의 제자 성 갈루스는 알레만니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한 주요 인물이었다. 보비오의 요나스는 콜룸바누스가 브레겐츠에서 오딘에게 바치는 맥주 제사를 방해했다고 기록했다.

7세기는 기독교와 이교 신앙이 혼합된 혼합주의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게르만 동물 양식과 기독교 상징이 함께 나타났으며, 룬 문자와 기독교 상징이 새겨진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노르덴도르프 피불라에는 "오딘과 토르는 마법사/주술사"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이교 신에 대한 기도일 수도, 그들에 대한 기독교적 보호 부적일 수도 있다.[32] 바트엠스에서 발견된 피불라의 룬 비문은 "god fura dih deofile ᛭de" ("너를 위한/너 앞에 있는 신, 테오필루스!", 또는 "너 앞에 있는 신, 악마!")라고 읽히며, 기독교적 경건함을 보여준다.[33]

8세기에 알레만니족은 대체로 기독교로 개종했다. 콘스탄츠 주교구는 7세기 초에 설립되었으며, 알레만니 지역의 기독교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35년 군조는 그라브의 요한을 콘스탄츠 주교로 임명했다.

5. 유전학

2018년 9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된 유전 연구에서는 독일 니더슈토칭겐에 있는 7세기 알레만니 묘지에 묻힌 8명의 유해를 조사했다.[1] 이 묘지는 지금까지 발견된 알레만니 묘지 중 가장 풍부하고 완벽한 곳이다.[1] 묘지에서 신분이 가장 높은 인물은 프랑크족 부장품을 가진 남성이었다.[1]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 다른 4명의 남성은 모두 부계 하플로그룹 R1b1a2a1a1c2b2b 유형을 지니고 있었다.[1] 여섯 번째 남성은 부계 하플로그룹 R1b1a2a1a1c2b2b1a1과 모계 하플로그룹 U5a1a1을 지니고 있었다.[1] 그는 밀접하게 관련된 다섯 명의 개인과 함께 북유럽동유럽, 특히 리투아니아아이슬란드와 밀접한 유전적 연관성을 보였다.[1] 묘지에 묻힌 다른 두 명의 개인은 이들과 유전적으로 달랐으며, 특히 북부 이탈리아와 스페인남유럽과 유전적 연관성을 보였다.[1] 여섯 번째 남성과 함께 이들은 입양아나 노예였을 수 있다.[1]

6. 현대의 알레만니족

알레만니족의 후손들은 현재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와 바이에른 주, 스위스, 프랑스 알자스,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 주, 리히텐슈타인 등에 거주하고 있다. 알레만니 귀족 가문들은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대표적인 가문으로는 체링겐 가문, 호엔슈타우펜 가문, 합스부르크 가문, 호엔촐레른 가문, 리히텐슈타인 가문 등이 있다.

오늘날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서부에서 알자스~스위스의 독일어권은 개신교가 많고, 동부의 슈바벤 지방 (바이에른·슈바벤 포함)에서 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 서단부의 포어아를베르크 주에서는, 인접한 바이에른 주의 바이에른인과 마찬가지로 가톨릭이 많다.

참조

[1] 문서 The spelling with "e" is used in Encyc. Brit. 9th. ed., (c. 1880), Everyman's Encyc. 1967, Everyman's Smaller Classical Dictionary, 1910. The current edition of Britannica spells with "e", as does Columbia and Edward Gibbon, Vol. 3, Chapter XXXVIII. The Latinized spelling with ''a'' is current in older literature (so in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1911 Britannica]]), but remains in use e.g. in Wood (2003), Drinkwater (2007).
[2] 문서 The Alemanni were alternatively known as ''Suebi'' from about the fifth century, and that name became prevalent in the high medieval period, eponymous of the [[Duchy of Swabia]]. The name is taken from that of the ''[[Suebi]]'' mentioned by Julius Caesar, and although these older ''Suebi'' did likely contribute to the ethnogenesis of the Alemanni, there is no direct connection to the contemporary [[Kingdom of the Suebi]] in Galicia.
[3]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26
[3]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26
[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1-25
[4] 문서 "''in pago Almanniae'' 762, ''in pago Alemannorum'' 797, ''urbs Constantia in ducatu Alemanniae'' 797; ''in ducatu Alemannico, in pago Linzgowe'' 873. From the ninth century, ''Alamannia'' is increasingly used of the [[Alsace]] specifically, while the Alamannic territory in general is increasingly called ''[[Duchy of Swabia|Suebia]]''; by the 12th century, the name ''Suebia'' had mostly replaced ''Alamannia''.\nS. Hirze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6 (1888), p. 299."
[5] 문서 "recorded as ''aleman'' in c. 1100, and with final dental, ''alemant'' or ''alemand'', from c. 1160.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informatisée'' s.v. [http://www.cnrtl.fr/etymologie/allemand allemand]."
[6] 서적 The Chronicle of Iohn Hardyng 1812
[7] 서적 Middle English Dictiona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52
[8] 문서 Alamanni EB1911
[9] 웹사이트 Chapter 10 http://www.ccel.org/[...] Ccel.org 2012-01-02
[10] 문서 "''Histoire de l'Académie Royal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avec les Mémoires de Littérature tirés des Registres de cette Académie, depuis l'année MDCCXLIV jusques et compris l'année MDCCXLVI'', vol. XVIII, (Paris 1753) pp. 49–71. Excerpts are on-line at [http://www.eliohs.unifi.it/testi/700/freret/vues.html#notaed ELIOHS]."
[11] 웹사이트 "the name is possibly Alahmannen, 'men of the sanctuary'" http://www.bartleby.[...]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06-05-19
[12] 문서 "the name is possibly Alahmannen, 'men of the sanctuary' [[Inglis Palgrave]] (ed.), ''The Collected Historical Works of [[Francis Palgrave|Sir Francis Palgrave]], K.H.'' (1919), p. 443 (citing: \"[[J. B. Bury|Bury]]'s ed. of ''Gibbon'' (Methuen), vol. I [1902], p. 278 note; [[Hector Munro Chadwick|H. M. Chadwick]], ''Origin of the English Nation'' [1907]\")."
[13] 문서 "''Igitur quia mixti Alamannis Suevi, partem Germaniae ultra Danubium, partem Raetiae inter Alpes et Histrum, partemque Galliae circa Ararim obsederunt; antiquorum vocabulorum veritate servata, ab incolis nomen patriae derivemus, et Alamanniam vel Sueviam nominemus. Nam cum duo sint vocabula unam gentem significantia, priori nomine nos appellant circumpositae gentes, quae Latinum habent sermonem; sequenti, usus nos nuncupat barbarorum.'' Walafrid Strabo, ''Proleg. ad Vit. S. Galli'' (833/4) ed. [[Patrologia Latina|Migne (1852)]]; Thomas Greenwood, ''The First Book of the History of the Germans: Barbaric Period'' (1836), [https://archive.org/details/firstbookofhisto00gree/page/498 p. 498]."
[14] 서적 Der germanische Himmelsgott 1898
[15] 간행물 Planks from a Shipwreck: Belief and Evidence in Sixteenth-Century Historie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1-04
[16] 서적 Tacitus: Germany Book 1 https://www.sacred-t[...] 2022-10-25
[17] 문서 Tac. Ger. 29 https://www.perseus.[...]
[18] 웹사이트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9] 웹사이트 Historia Augusta: The Life of Antoninus Caracalla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 문서 munimentum quod in Alamannorum solo conditum Traianus suo nomine voluit appellari.
[21] 서적 A Companion to Ostrogothic Italy https://books.google[...] Brill
[22] 서적 Franks and Alamanni in the Merovingian Period: An Ethnograph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3] 웹사이트 Alamanni/Alemanni (= Suebi/Suevi, Semnones) http://freya.thelady[...] 2019-04-29
[24] 문서 Drinkwater (2007) 118, 120
[25] 문서 Drinkwater (2007) 223 (map)
[26] 문서 Speidel (2004)
[27] 문서 Drinkwater (2007) 120
[28] 서적 Ancient Germanic warriors: warrior styles from Trajan's column to Icelandic sagas Routledge 2004
[28] 서적 People on the move: attitudes toward and perceptions of migration in medieval and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29] 서적 Das älteste germanische Christentum oder der Sogenannte "Arianismus" der Germanen J.C.B. Mohr 1909
[30] 서적 trans. Joseph D. Frendo (1975)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2-01-02
[31] 서적 Agathiae Myrinaei historiarum libri quinque De Gruyter 1967
[32] 서적 Tradition als Historische Kraf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3] 문서 'God fura dih, deofile †'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