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는 사할린섬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타타르 해협과 서사할린 산맥에 인접해 있다. 1862년 "알렉산드롭스카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1881년 군부대 설치 후 알렉산드롭스키로 불리며 유형지로 활용되었다. 안톤 체호프는 1890년 이곳에서 유형 실태를 조사하고 『사할린섬』을 저술했다. 1920년부터 1925년까지 일본에 점령되었으며, 192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32년부터 1947년까지 사할린주의 주도였으며,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석탄 주산지 및 어업 기지였다. 현재는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할린섬의 도시 - 홀름스크
    홀름스크는 러시아 사할린 섬 서해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러시아 군사 기지로 건설되었고, 러일 전쟁 후 일본 통치 시대에는 마오카로 불렸으며, 현재는 러시아 본토와 연결되는 교통 및 어업 중심지로서 향토 박물관과 일본 정원 등의 문화 유적지가 있고 구시로 시, 안산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사할린섬의 도시 - 유즈노사할린스크
    유즈노사할린스크는 사할린섬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러시아 유일의 바둑판 모양 도시 구조를 가지며, 사할린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일반 정보
공식 이름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로마자 표기Aleksandrovsk-Sakhalinskiy
러시아어 표기Алекса́ндровск-Сахали́нский
일본어 표기アレクサンドロフスク・サハリンスキー
문화어 표기알렉싼드롭스크-싸할린스크
위치러시아, 사할린주,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군
도시 지위 획득1917년
설립1862년
시간대MSK+8 (UTC+11)
전화번호+7 42434
우편 번호694420–694424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OKATO 번호64405
행정
행정 구역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도시 округ
행정 중심지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군
인구
2010년 인구 조사10,613명
2002년 인구 조사12,826명
1989년 인구 조사19,166명

2. 지리

사할린섬 서해안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타타르 해협(마미야 해협)과 서사할린산맥이 있다.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북쪽으로 561km 지점에 있다.

마미야 해협에 면하고, 북사할린 서해안의 대표적인 도시이다. 주도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약 560km 떨어져 있다.

볼샤야 알렉산드로브카 강이 시내를 완만하게 굽이쳐 흐르며, 강을 따라 뻗은 언덕 위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기상 통보의 포로나이스크 보조 통보 지점이기도 하다.

3. 역사

1862년 "알렉산드롭스카야"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된 이래[15], 이 도시는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다. 초기에는 농업 농장과 군사 기지가 설립되었고, 볼셰비키 혁명 이전까지 유형지로 활용되었다. 안톤 체호프1890년에 이곳에 거주하며 유형지의 실태를 조사하기도 했다.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일본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으며, 1926년에는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석탄 주산지 및 어업 기지로 발전했다. 1932년부터 1947년까지는 사할린주(북위 50도 이북 한정)의 주도였으나, 이후 유즈노사할린스크로 이전되었다.

20세기 초 알렉산드롭스크의 모습

3. 1. 초기 역사와 유형지

1862년 "알렉산드롭스카야"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15] 1869년 농장이 세워졌고, 이후 "알렉산드로프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1875년까지 사할린은 러시아인과 일본인이 함께 거주하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이곳을 "오치시"(落石) 혹은 '아항(아코)'으로 불렀다.

1881년 군부대가 세워졌고, 볼셰비키 혁명 때까지 유형지로 활용되었다. 1917년 10월 혁명 이전까지 이곳은 강제 노동, 감옥, 유배지 및 섬 전체를 관리하는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안톤 체호프1890년 이곳에 3개월간 거주하며[10] 유형의 실태를 조사하여 훗날 『사할린섬』을 저술했다.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 (1875년) 이전의 일본어 명칭은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옷치시'''(落石, 낙석)였다. 니브흐어 명칭은 '''이도이'''이다. 남사할린이 일본령이었던 시대에는 '''아코'''(亜港, 아항)라고 불리기도 했다[11].

3. 2. 일본 점령기와 도시 명칭 변경

1920년부터 1925년까지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일본에 의해 무력 점령당했으며, 당시 일본은 이 도시를 亜港|아코일본어라고 불렀다.[15]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1875년) 이전의 일본어 명칭은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落石|옷치시일본어였다. 니브흐어 명칭은 '''이도이'''이다. 남사할린이 일본령이었던 시대에는 亜港|아코일본어라고 불리기도 했다.[11] 시베리아 출병 당시 일본이 수년간 점령했다.

1926년에는 다른 동명의 장소와 구별하기 위해 도시 이름을 현재의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로 변경했다.[15]

3. 3. 사할린주 주도와 소련 시대

1926년까지는 알렉산드롭스키(Александровский)였다. 1932년부터 1947년까지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는 사할린주(북위 50도 이북 한정)의 주도(州都)였으나, 이후 사할린의 주도는 유즈노사할린스크로 옮겨갔다.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 이곳은 석탄 주산지 및 어업 기지였다.

1881년에 유배지로서 개설되어 이후 사할린 행정의 중심이 되어 발전을 이루었다. 1890년 문호 안톤 체호프가 이곳에 3개월간 체류하며[10] 유형의 실정을 조사하여 후에 『사할린섬』을 저술했다. 1946년까지는 러시아령 사할린・소련령 북사할린의 중심 도시였다.[11]

러시아 내전 동안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의 통치를 받았으며, 1920년부터 1925년까지 일본에 점령되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亜港町|아코일본어 "알렉산더 항구의 거리"로 알려졌다.

1926년 다른 동명의 장소와 구별하기 위해 도시 이름을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로 변경했다.

3. 4. 한국과의 관계: 강제징용의 역사

1881년에 유배지로 개설되어 이후 사할린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1890년에는 러시아의 작가 안톤 체호프가 이곳에 3개월간 머물며[10] 유형(流刑)의 실상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할린섬』을 저술하였다. 가라후토・치시마 교환 조약(1875년) 이전에는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옷치시'''(落石)라는 일본어 명칭으로 불렸다. 니브흐어로는 '''이도이'''라고 불렸다.[11]

러시아 내전 시기인 1920년부터 1925년까지는 일본에 의해 무력 점령되기도 하였으며, 당시 일본은 이 도시를 "아코"(亜港)라고 불렀다.[11] 남사할린이 일본령이었던 시대에도 "아코"(亜港)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일제강점기 강제징용과 관련된 아픈 역사를 상기시킨다.

4. 행정 구역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는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며, 이에 종속된다.[4] 지방 자치체로서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시와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구의 13개 농촌 지역은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도시 자치구'''로 통합되었다.[5]

5. 경제 및 기반 시설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의 경제는 주로 사할린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이전에 가장 중요했던 항구와 이 지역의 유연탄 채굴에 의존하고 있다. 마미야 해협에 면하고, 북사할린 서해안의 대표적인 도시이다. 주도 유즈노사할린스크에서 약 560km 떨어진 위치에 있다.

현재 주된 산업은 임업이다. 그 외에 농업, 어업, 봉제업이 있다. 항구는 수심이 얕아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없어, 바지선에 의존하고 있다. 철도가 통하지 않으므로, 내륙부로의 교통은 도로에 한정되어 있다. 2020년, 교외에 비행장이 완성되어, 아비아셸리프 사에 의해 정기편으로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과 연결되었다[9].

내륙으로의 교통은 자동차 또는 버스를 이용한다.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티모프스크역이며,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시가지에서 동쪽으로 서사할린 산맥 북부를 넘어가는 국도가 있어 버스편으로 연결되어 있다. 소요 시간은 자동차로 1시간 30분, 버스로 2시간 정도이다. 또한, 유즈노사할린스크역 앞 버스터미널에서 504번 버스로 접근할 수도 있다.

2020년 11월, 공항이 개항했다.

6. 기후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b'')로, 짧고 온화하거나 따뜻한 여름과 길고 매우 추운 겨울이 특징이다.[16]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 (1991–2020, 극값 1881–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4.7°C5.4°C11.4°C20.9°C28.1°C29.4°C32°C31.3°C28.6°C21.2°C13.8°C5.7°C32°C
평균 최고 기온 (°C)-11.3°C-9.7°C-3.4°C4°C11.2°C16°C19.6°C20.6°C16.9°C9.1°C-0.9°C-8.6°C5.3°C
평균 기온 (°C)-15.4°C-14.4°C-7.6°C0.1°C6.3°C11.4°C15.5°C16.7°C12.7°C5.4°C-3.9°C-12°C1.2°C
평균 최저 기온 (°C)-19.4°C-18.8°C-12.1°C-3.4°C2.4°C7.6°C12°C13.3°C9°C2°C-6.9°C-15.4°C-2.5°C
최저 기온 기록 (°C)-41°C-37.3°C-34.2°C-25.9°C-8.9°C-2.4°C0.5°C1.5°C-2.5°C-15°C-26°C-36.9°C-41°C
강수량 (mm)47.9mm31.2mm35.4mm33.9mm51.7mm44.8mm51.9mm95.8mm90.1mm87.5mm65.2mm70.3mm706mm
평균 적설 깊이 (cm)27cm37cm41cm13cm0cm0cm0cm0cm0cm1cm6cm17cm41cm
평균 비 오는 날0.20.040.3717151619201951120
평균 눈 오는 날2624201560.03000.292528153
평균 상대 습도 (%)80797574768084827974758078
평균 월간 일조 시간10013418518921525221420218012778571933
출처: Pogoda.ru.net[7], NOAA (일조 시간, 1961–1990)[8]


7. 명소

1890년에 문호 안톤 체호프가 이곳에서 3개월간 머무르며[10] 유형의 실정을 조사하여 훗날 《사할린섬》을 저술했다.

알렉산드롭스크사할린스키의 "세 형제" 바위


; 역사・문학 박물관 “체호프와 사할린”

: “역사・문학 박물관 “체호프와 사할린””(러시아어: Историко-Литературный Музей “А.П.Чехов и Сахалин”)은 안톤 체호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1990년 9월에 개관했다.[13] 목조 평옥집 건물은, 전 유배 죄수 란즈베르크의 주거 겸 점포를 개조한 것으로, 체호프가 실제로 방문한 적이 있다.

: 관내에는 체호프의 조사 성과인 《사할린섬》 초판, 체류 중에 친척에게 보낸 자필 전보 (오래된 우체국을 해체하는 중에 우연히 발견), 여행 중에 사용한 스푼, 찻잔, 가방 등 소지품, 죄수들이 탄광 내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등을 전시하고 있으며, 체호프의 업적과 유배 죄수의 실태를 소개하고 있다. 일본 관련으로는 코르사코프(오오토마리)에서 체호프와 일본 영사관원이 술을 주고받는 사진이 있다.

: 휴관은 토요일, 일요일 (원칙). 카메라 촬영의 경우, 입장료 외에 촬영료가 필요하다.

; 세 형제 바위

: 교외의 곶 부근에 솟아있는 3개의 바위를 말한다. 3개의 바위가 직선으로 늘어서서 해상에 솟아있는 모습에서, “'''세 형제 바위'''” (러시아어: Скалы "Три Брата")라고 불린다. 안톤 체호프의 《사할린섬》에서도 묘사되어 있다.

; 중앙 광장

: 원래는 형무소의 운동장이었다. 죄수들의 위령비와 레닌 동상이 있다.

8. 유명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е коды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Сахалин.Бизнес Справочник https://sakhalin.biz[...] 2021-12-25
[2]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3] 서적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4] 문서 Law #25-ZO
[5] 문서 Law No. 524
[6] 웹사이트 Aleksandrovsk-Sakhalinskiy climate: Average Temperature, weather by month, Aleksandrovsk-Sakhalinskiy water temperature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21-12-25
[7] 웹사이트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Alexandrovsk-Sakhalinsky)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21-11-08
[8] 웹사이트 Aleksandrovsk–Sahal (Alexandrovsk-Sakhalinsky)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07
[9] 뉴스 アヴィアシェリフ社就航のニュース https://sakhalin.inf[...] Sakh.com 2020-12-30
[10] 서적 サハリン島 上巻 岩波文庫
[11] 뉴스 嘉子・杉本抑留されソ聯領内に生存 国境監視所から近くア港へ 朝日新聞 1938-01-09
[12] 뉴스 Рейсы в Александровск-Сахалинский и Зональное должны запустить до конца года(Sakhlininfo) https://sakhalin.inf[...] Sakhlininfo 2020-11-14
[13] 문서 徳田耕一の『サハリン-鉄路1000キロを行く-』(1995年、p.46)及び『サハリン・カムチャツカ』(2007年、p.45)より。しかし、チェーホフの生誕は[[1860年]]であり、計算が合わない。
[14]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Том 1 http://www.gks.ru/fr[...] 러시아 연방 통계국 2020-05-14
[15]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6] 웹인용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Alexandrovsk-Sakhalinsky)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15-05-13
[17] 웹인용 Aleksandrovsk–Sahal (Alexandrovsk-Sakhalinsky)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